KR101169565B1 - 방독면 - Google Patents
방독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9565B1 KR101169565B1 KR1020100060669A KR20100060669A KR101169565B1 KR 101169565 B1 KR101169565 B1 KR 101169565B1 KR 1020100060669 A KR1020100060669 A KR 1020100060669A KR 20100060669 A KR20100060669 A KR 20100060669A KR 101169565 B1 KR101169565 B1 KR 1011695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sweat
- wearer
- gas
- gas mas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4—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gasproof she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독면 착용시 안면부에서 발생되는 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에 관한 것이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상기 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기유닛과, 상기 마스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과, 상기 정화통이 상기 마스크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흡기유닛을 포함하는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에게 분비되는 땀이 상기 마스크 내측 하부로 응집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닛의 하부에는 착용자에게서 분비되는 땀이 상기 배기유닛 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관체 형상의 땀 배출구가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독면 착용시 안면부에서 발생되는 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군인, 경찰 및 유해 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에 의해 사용된다.
상술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음성전달 및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기밸브 유닛과, 마스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과, 상기 정화통이 마스크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흡기유닛으로 구성된다.
즉,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화통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걸러낸 후 흡기밸브 유닛을 통해 숨을 들이쉬고, 상기 배기밸브 유닛을 통해 착용자가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독면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 착용자의 안면부에 다량의 땀이 분비되게 되는데, 이때, 상술한 종래의 방독면은 안면부에 땀이 분비되었을 경우 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없어 방독면의 내에 응집되거나, 심한 경우 턱부분을 타고 흘러내림으로써, 목과 가슴 등을 적시는 등 땀에 의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쾌감으로 인하여 방독면을 수시로 탈의함으로써 착용자가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자에게서 분비되는 땀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목 및 가슴 등으로 분비된 땀이 흘러내지 않도록 한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상기 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기유닛과, 상기 마스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과, 상기 정화통이 상기 마스크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흡기유닛을 포함하는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에게 분비되는 땀이 상기 마스크 내측 하부로 응집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닛의 하부에는 착용자에게서 분비되는 땀이 상기 배기유닛 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관체 형상의 땀 배출구가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부와 밀착될 수 있는 밀착막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막에는 땀이 마스크의 최하부로 응집될 수 있도록 한 응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집공은 상기 착용자의 턱부분이 위치되는 밀착막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은 분비된 땀이 응집되는 방독면 하부에 착용자의 호흡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밸브 유닛과 연통되는 모세관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모세관을 통해 배기밸브로 올라온 땀을 자가호흡에 의한 압력차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응집된 땀이 모관을 통해 상승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의 사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응집된 땀이 모관을 통해 상승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의 사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100)은 상기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호흡가스와 더불어 착용자에게서 분비되는 땀이 배기유닛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안면부에 밀착되는 마스크(110)와, 상기 마스크(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투시창(120)과, 상기 투시창(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음성전달 및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마스크(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기유닛(130)과, 마스크(110)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140)과, 상기 정화통(140)이 마스크(1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흡기유닛(1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독면(100)은 내부에 상기 마스크(110)와 착용자의 안면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밀착막(112)이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막(112)은 상기 마스크(110)의 끝단에 설치되되, 착용자의 안면 표면과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마스크(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밀착막(112)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나,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됨으로써, 다량의 땀이 분비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막(112)에 분비된 땀이 방독면의 마스크(110) 하부에 응집될 수 있도록 착용자의 턱부분이 위치되는 부분에 응집공(112a)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집공(112a)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턱부분이 위치되는 부분의 밀착막(112)에 단일의 응집공(112a)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착용자의 턱부분이 위치되는 밀착막(112)을 따라 복수개를 형성하여 땀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응집공(112a)을 통해 방독면(100)의 마스크(110) 하부에 모여진 땀을 방독면(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땀이 유동되는 땀 배출구(160)가 설치된다.
상기 땀 배출구(160)는 상기 배기유닛(130)의 하부에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땀 배출구(160)는 상기 마스크(110)의 전면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호흡가스를 마스크(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유닛(130)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땀 배출구(160)는 상기 응집공(112a)을 통해 모여진 땀에 삽입되어 땀 배출구(160) 내부의 액체표면이 외부의 표면보다 높거나 낮아질 경우, 땀이 상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액체의 응집력과 땀 배출구(160)와 액체 사이에 부착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땀이 상기 땀 배출구(1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땀이 응집될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100)의 사용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의 사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상기와 같이 땀 배출구(160)가 형성된 방독면(100)을 착용한다.
이때, 마스크(110)의 내측에 마련된 밀착막(112)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되, 응집공(112a)이 착용자의 턱에 막히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후,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활동하게 되면 착용자에게서 땀이 분비되게 된다. 따라서, 분비된 땀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집공(112a)을 통해 마스크(110)의 하부에 응집되게 된다.
이후, 응집된 땀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의 표면장력과 부착력에 의한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상기 땀 배출구(160)를 통해 배기유닛(130)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후, 땀 배출구(160)의 중공을 통해 배기유닛(130)으로 상승된 땀은 착용자가 내뱉는 호흡가스(날숨)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착용자가 호흡가스를 배출하게 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진행하는 부분은 압력이 높고, 그 주변부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기 때문에 상기 호흡가스가 마스크(110) 외부로 배출되면서 주변의 압력을 끌어들여 상기 땀 배출구(160)의 응집되어 있는 땀이 상기 땀 배출구(160)의 최상부로 상승하면서 착용자의 호흡가스와 더불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땀이 상기 땀 배출구(160)의 일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상기 배기유닛(130)으로 호흡가스를 배출하게 되면, 착용자가 내뱉는 압력에 의해 침이 상기 땀 배출구(160)의 최상부로 상승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호흡가스와 함께 마스크(1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땀 배출구가 형성된 방독면(100)은 착용자에게서 분비되는 땀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착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방독면 110 : 마스크
112 : 밀착막 112a : 응집공
130 : 배기유닛 140 : 정화통
150 : 흡기유닛 160 : 땀 배출구
112 : 밀착막 112a : 응집공
130 : 배기유닛 140 : 정화통
150 : 흡기유닛 160 : 땀 배출구
Claims (3)
-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상기 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기유닛과, 상기 마스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과, 상기 정화통이 상기 마스크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흡기유닛을 포함하는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부와 밀착되게 형성되는 밀착막에 착용자의 땀이 마스크 내측 하부로 응집될 수 있게 응집공이 형성되고, 상기 응집공을 통해 응집된 땀이 상기 배기유닛 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배기유닛의 하부에 관체 형상의 땀 배출구가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집공은
상기 착용자의 턱부분이 위치되는 밀착막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0669A KR101169565B1 (ko) | 2010-06-25 | 2010-06-25 | 방독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0669A KR101169565B1 (ko) | 2010-06-25 | 2010-06-25 | 방독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345A KR20120000345A (ko) | 2012-01-02 |
KR101169565B1 true KR101169565B1 (ko) | 2012-07-31 |
Family
ID=4560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0669A KR101169565B1 (ko) | 2010-06-25 | 2010-06-25 | 방독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956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638B1 (ko) | 2008-02-18 | 2010-01-21 | 임남택 | 땀배출부를 갖는 방독면 |
-
2010
- 2010-06-25 KR KR1020100060669A patent/KR1011695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638B1 (ko) | 2008-02-18 | 2010-01-21 | 임남택 | 땀배출부를 갖는 방독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345A (ko) | 2012-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18072B2 (ja) | 農薬防霧マスク | |
KR101639265B1 (ko) |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 |
KR101163509B1 (ko) | 방독면 | |
JP2018512235A (ja) | 汚染物質吸入防止用マスク | |
KR20160089185A (ko) | 성애 방지형 마스크 | |
US11426614B2 (en) | Nasal device with air filter | |
CN111227383A (zh) | 一种透明口罩 | |
KR101530869B1 (ko) | 일상 생활용 마스크 | |
JP4317457B2 (ja) | 呼吸用保護具 | |
KR101169565B1 (ko) | 방독면 | |
CN106730455A (zh) |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 |
CN110193150A (zh) | 一种用于空气过滤的鼻罩 | |
KR101777464B1 (ko) | 휴대용 마스크 | |
JP2010220712A (ja) | ウィルス遮断用マスク | |
CN212651241U (zh) | 一种带外接管的鼻罩 | |
KR102104886B1 (ko) |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 | |
CN207519667U (zh) | 一种呼吸内科门诊用面罩式双层口罩 | |
CN212545689U (zh) | 一种面罩 | |
KR20130115534A (ko) |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 |
KR200496668Y1 (ko) | 통기성 마스크 | |
CN214762953U (zh) | 一种带有固体碱过滤片的头盔 | |
KR102398355B1 (ko) | 사용의 편리성 및 탁월한 여과기능을 겸비한 방진 및 방독마스크 | |
CN212235675U (zh) | 一种一体化防护头罩 | |
CN211211548U (zh) | 一种传染科护理防护罩 | |
CN212065781U (zh) | 一种防压不起雾的口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