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555B1 -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555B1
KR101169555B1 KR1020110083314A KR20110083314A KR101169555B1 KR 101169555 B1 KR101169555 B1 KR 101169555B1 KR 1020110083314 A KR1020110083314 A KR 1020110083314A KR 20110083314 A KR20110083314 A KR 20110083314A KR 101169555 B1 KR101169555 B1 KR 10116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shaped steel
bus bar
current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이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찬 filed Critical 이종찬
Priority to KR102011008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2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tubula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부스바를 통해 배전반 내부로 삽입된 각 전기 선로의 고압 전류를 부하에 투입하거나 차단하는 부하 개폐기(LBS : Load Breaker Switch)와, 상기 부하 계폐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단락 전류를 차단하는 전력 퓨즈(Power Fuse), 상기 전력 퓨즈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고전압 또는 고전류의 전기를 일정 수준으로 낮춘 다음 각각의 전기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전류를 체크하는 계기용 변성기(MOF), 상기 계기용 변성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상시 전류 또는 단락 전류를 개폐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진공 차단기(VCB : Vaccum Circuit Breaker), 상기 진공 차단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부스바를 통해 투입되는 교류 전압을 일정 비율로 감쇄하는 트랜스포머(TR : Transformer),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전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 전로를 연결하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끊어 전류의 흐름을 끊는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 및 상기 기중 차단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전로를 개폐하고 과부하 및 단락 시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배선용 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로 이루어진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기역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기역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공극을 두고 떨어진 제 2 알루미늄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은 부스바의 전체에 전류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부스바로부터 발생 된 발열이 부스바 전체로부터 방사되도록 한다. 또한, 90도 내각을 갖는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제 2 알루미늄 형강을 소정 너비의 공극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다음, 각각의 전기 선로에 연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수직 또는 수평 형태의 부스바에 비하여 도체 단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국부 발열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제 2 알루미늄 형강 사이에 소정 너비의 공극을 둠으로써 대류 현상에 의한 자연 통풍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부스바의 재료로서 값비싼 구리 대신에 값싼 알루미늄을 사용함으로써 부스바의 원가를 낮출 수 있고, 가벼운 알루미늄을 배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최초 설치 작업 및 설치 후 유지 보수 작업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SWITCHBOARD HAVING ALUMINUM SECTION BUS BAR}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단면이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스바 2개를 일정 공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다음, 상기 한 쌍의 부스바를 각각의 전기 선로에 연결한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전기는 전력 계통상의 전선을 따라 각 지역 및 가정으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된 전력은 배전반을 거쳐 여러 전력 수요부로 배분되는데 이러한 배전반에는 전기/전자 부품 등을 상호 연결시켜 주면서 전력의 분기점을 만들어주는 부스바(bus bar)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의 국내 수요는 월 1,000톤 이상이며, 대부분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고 가격 또한 고가라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경량 금속을 복합화하여 가격을 낮추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경량 금속을 복합화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가가 저렴할 뿐 아니라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의 바깥 면에 구리를 피복하는 방법이 있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알루미늄과 구리 사이의 결합이 충분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계적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피복된 구리가 벗겨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은 재료의 물리적 성질과 제조 공정의 한계로 인하여 제한된 폭과 두께 이상으로 제조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부스바의 무게를 경량화하여 취급을 간단히 하고, 부스바의 원가를 줄임과 동시에 기존에 출시된 경량 부스바 보다 내구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은 부스바를 통해 배전반 내부로 삽입된 각 전기 선로의 고압 전류를 부하에 투입하거나 차단하는 부하 개폐기(LBS : Load Breaker Switch)와, 상기 부하 계폐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단락 전류를 차단하는 전력 퓨즈(Power Fuse), 상기 전력 퓨즈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고전압 또는 고전류의 전기를 일정 수준으로 낮춘 다음 각각의 전기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전류를 체크하는 계기용 변성기(MOF), 상기 계기용 변성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상시 전류 또는 단락 전류를 개폐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진공 차단기(VCB : Vaccum Circuit Breaker), 상기 진공 차단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부스바를 통해 투입되는 교류 전압을 일정 비율로 감쇄하는 트랜스포머(TR : Transformer),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전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 전로를 연결하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끊어 전류의 흐름을 끊는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 및 상기 기중 차단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와 연결되어 전로를 개폐하고 과부하 및 단락 시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배선용 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로 이루어진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기역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기역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공극을 두고 떨어진 제 2 알루미늄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은 부스바의 전체에 전류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부스바로부터 발생 된 발열이 부스바 전체로부터 방사되도록 한다.
또한, 90도 내각을 갖는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제 2 알루미늄 형강을 소정 너비의 공극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다음, 각각의 전기 선로에 연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수직 또는 수평 형태의 부스바에 비하여 도체 단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국부 발열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제 2 알루미늄 형강 사이에 소정 너비의 공극을 둠으로써 대류 현상에 의한 자연 통풍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부스바의 재료로서 값비싼 구리 대신에 값싼 알루미늄을 사용함으로써 부스바의 원가를 낮출 수 있고, 가벼운 알루미늄을 배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최초 설치 작업 및 설치 후 유지 보수 작업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면 1은 수배전반의 계통도,
도면 2는 R상과 S상 또는 T상에 연결된 부스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3은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제 2 알루미늄 형강의 사시도,
도면 4는 제 1 알루미늄 형강과 제 2 알루미늄 형강의 단면도,
도면 5는 부스바와 스페이서, 애자, 및 지지 브라켓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6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스페이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7은 제 1 알루미늄 형강이나 제 2 알루미늄 형강의 단면도,
도면 8은 연돌 효과에 의해 본 발명에 갖추어진 부스바가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바(1)를 통해 배전반 내부로 삽입된 각 전기 선로의 고압 전류를 부하에 투입하거나 차단하는 부하 개폐기(3)(LBS : Load Breaker Switch)와, 상기 부하 계폐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단락 전류를 차단하는 전력 퓨즈(5)(Power Fuse), 상기 전력 퓨즈(5)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고전압 또는 고전류의 전기를 일정 수준으로 낮춘 다음 각각의 전기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전류를 체크하는 계기용 변성기(7)(MOF), 상기 계기용 변성기(7)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상시 전류 또는 단락 전류를 개폐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진공 차단기(9)(VCB : Vaccum Circuit Breaker), 상기 진공 차단기(9)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부스바(1)를 통해 투입되는 교류 전압을 일정 비율로 감쇄하는 트랜스포머(11)(TR : Transformer), 상기 트랜스포머(11)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전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 전로를 연결하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끊어 전류의 흐름을 끊는 기중 차단기(13)(Air Circuit Breaker), 및 상기 기중 차단기(13)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전로를 개폐하고 과부하 및 단락 시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배선용 차단기(15)(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로 이루어진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1)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기역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기역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공극(18)을 두고 떨어진 제 2 알루미늄 형강(1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 개폐기(3)와 전력 퓨즈(5)의 사이 그리고, 진공 차단기(9)와 트랜스포머(11)의 사이에는 피뢰기(4,8)가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내각은 도면 2 내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를 이루고,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의 내각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내각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 또는 제 2 알루미늄 형강(19)에 갖추어진 두 면의 내각은 90도이므로 제 1 알루미늄 형강(17)이나 제 2 알루미늄 형강(19)에 갖추어진 어느 한 면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선 또는 수직선에 대하여 45도의 사잇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 또는 제 2 알루미늄 형강(19)에 갖추어진 한쪽 면과 수평선 또는 수직선과의 사잇각이 45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전반과 제 1 알루미늄 형강(17) 또는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을 연결하는 애자(21)의 일단이 45 각도로 기울어져야 된다.
그러므로, 배전반 내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애자(21)와 결합 되는 지지 브라켓(27)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5도로 기울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의 어느 한쪽 내벽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어느 한쪽 내벽에는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결합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을 고정시키는 애자나 'ㄷ'자 형태의 스페이서(23)가 제 1?2 알루미늄 형강(17,19)에 볼트(25)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 또는 제 2 알루미늄 형강(19)에 갖추어지면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 어느 한쪽 면과 다른 한쪽 면의 폭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 사이의 공극(18) 너비는 제 1 알루미늄 형강(17) 또는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두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은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내부와 외부에서 균일하게 발열이 일어나는데, 이때,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사이 공간에 채워 진 내부 공기는 달궈져 압력이 높은 반면,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상부에 위치한 외부 공기는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사이 공간에 비하여 매우 넓은 공간을 갖기 때문에 압력이 낮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에 배치된 공기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극(18)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이때, 대류에 의한 냉각 효과는 유속과 온도차에 비례하는데, 본 발명에 갖추어진 부스바(1)의 구조는 연돌 효과에 의한 자연 통풍 효과를 극대화하여 배전반 의 온도가 상승됨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허용 온도 상승 한계 이내로 유지함이 중요한데, 이때, 배전반 내부의 좁은 공간은 부스바(1)의 배치 형태에 따라 열 방산 현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부스바(1)의 단면적은 선정표에 의해 선정하기는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발생 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사 하는 방법으로는 열 방산량과, 대류에 의한 열 발산량, 및 열 전도량을 크게 해야되는데 이때, 도체와 외함의 크기에 있어서 도체와 외함의 높이를 가급적 높게 그리고 도체와 외함의 방열 면적을 넓도록 함이 중요하다.
이때, 상기 열 방산량을 도출하는 공식은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1
인데,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2
는 열 방산량이고,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3
는 열 방산 계수이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4
는 열방산 유효 면적이다.
또한,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5
는 온도차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공식에 의하여 열 방산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6
를 크게 하여야되는데,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7
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도체의 두께는 얇게 하고 폭은 넓게 하여야함으로 본 발명과 같이 부스바(1)에 갖추어진 제 1?2 알루미늄 형강(17,19)의 내각을 90도로 굽혀줌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류에 의한 열 방산량을 도출하는 공식은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8
인데,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09
는 대류에 의한 열 발산량이고,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0
는 공기 비열이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1
는 공기 밀도이다.
또한,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2
는 단위 시간당 도체를 통과하는 공기량이고,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3
는 온도차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4
를 높이기 위해서는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5
즉, 단위 시간당 도체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높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1)는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 사이에 공극(18)을 둠과 더불어 기역자 형태로 굽어진 제 1?2 알루미늄 형강(17,19)을 각각의 내각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함으로써 단위 시간당 제 1?2 알루미늄 형강(17,19)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전도량을 도출하는 공식은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6
인데,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7
는 열 전도량이고,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8
는 열 전도율이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19
는 열 전도 유효 면적이다.
또,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0
는 온도차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1
는 열을 전도하는데 측면이 평면보다 30% 내지 100%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1)는 최적의 상태로 열을 전도할 수 있다.
한편, 도체의 통전 전류는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2
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3
은 도체 사이즈(size)에 따른 표준 전류 용량표 이고,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4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5
의 비율에 따른 저감 계수(0.75 ~ 1)이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6
는 주위 온도에 따른 저감 계수이다.
또한,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7
는 수평 배치에 있어서 부스바(1)의 폭과 두께 및 전기 선로당 도체 수에 따른 저감 계수(0.65 ~ 0.9)이고,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8
는 각각의 전기 선로에 연결된 부스바(1)간의 이격 거리 및 배치 형태에 따른 저감 계수(0.75 ~ 1)이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29
는 고도에 따른 저감 계수이다.
이때,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30
값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기 선로당 도체 수를 높여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Figure 112011064748870-pat00031
값이 작아져 효과가 반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기 선로당 도체 수를 늘리면서 부스바(1)간의 이격 거리를 이전보다 넓히거나 대등하도록 함에 따라 부스바(1)의 통전 전류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은 부스바(1) 전체에 전류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부스바(1)로부터 발생된 발열이 부스바(1) 전체로부터 방사되도록 한다.
또한, 90도 내각을 갖는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을 소정 너비의 공극(18)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다음, 각각의 전기 선로에 연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수직 또는 수평 형태의 부스바(1)에 비하여 도체 단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국부 발열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 사이에 소정 너비의 공극(18)을 둠으로써 대류 현상에 의한 자연 통풍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부스바(1)의 재료로서 값비싼 구리 대신에 값싼 알루미늄을 사용함으로써 부스바(1)의 원가를 낮출 수 있고, 가벼운 알루미늄을 배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최초 설치 작업 및 설치 후 유지 보수 작업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1. 부스바 3. 부하 개폐기
5. 전력 퓨즈 7. 계기용 변성기
9. 진공 차단기 11. 트랜스포머
13. 기중 차단기 15. 배선용 차단기
17. 제 1 알루미늄 형강 18. 공극
19. 제 2 알루미늄 형강 21. 애자
23. 스페이서 25. 볼트
27. 지지 브라켓

Claims (5)

  1. 부스바(1)를 통해 배전반 내부로 삽입된 각 전기 선로의 고압 전류를 부하에 투입하거나 차단하는 부하 개폐기(3)(LBS : Load Breaker Switch)와;
    상기 부하 계폐기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단락 전류를 차단하는 전력 퓨즈(5)(Power Fuse);
    상기 전력 퓨즈(5)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고전압 또는 고전류의 전기를 일정 수준으로 낮춘 다음 각각의 전기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전류를 체크하는 계기용 변성기(7)(MOF);
    상기 계기용 변성기(7)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상시 전류 또는 단락 전류를 개폐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진공 차단기(9)(VCB : Vaccum Circuit Breaker);
    상기 진공 차단기(9)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부스바(1)를 통해 투입되는 교류 전압을 일정 비율로 감쇄하는 트랜스포머(11)(TR : Transformer);
    상기 트랜스포머(11)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전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 전로를 연결하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끊어 전류의 흐름을 끊는 기중 차단기(13)(Air Circuit Breaker);
    및 상기 기중 차단기(13)로부터 연장된 부스바(1)와 연결되어 전로를 개폐하고 과부하 및 단락 시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배선용 차단기(15)(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로 이루어진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1)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기역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기역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공극(18)을 두고 떨어진 제 2 알루미늄 형강(1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내각은 90도를 이루고,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의 내각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내각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3. 제 1항에 있어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의 어느 한쪽 내벽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어느 한쪽 내벽에는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결합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을 고정시키는 애자나 'ㄷ'자 형태의 스페이서(23)가 볼트(25)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 또는 제 2 알루미늄 형강(19)에 갖추어지면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 어느 한쪽 면과 다른 한쪽 면의 폭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알루미늄 형강(17)과 제 2 알루미늄 형강(19) 사이의 공극(18) 너비는 제 1 알루미늄 형강(17) 또는 제 2 알루미늄 형강(19)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KR1020110083314A 2011-08-22 2011-08-22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KR101169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14A KR101169555B1 (ko) 2011-08-22 2011-08-22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14A KR101169555B1 (ko) 2011-08-22 2011-08-22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555B1 true KR101169555B1 (ko) 2012-07-27

Family

ID=4671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314A KR101169555B1 (ko) 2011-08-22 2011-08-22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804B1 (ko) * 2017-11-20 2019-03-18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오픈 마름모형 애자 패드, 및 오픈 마름모형 애자 패드 기반의 직각 배열 모선 구조를 갖는 dc 배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7408U (ja) 1981-12-07 1983-06-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閉鎖配電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7408U (ja) 1981-12-07 1983-06-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閉鎖配電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804B1 (ko) * 2017-11-20 2019-03-18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오픈 마름모형 애자 패드, 및 오픈 마름모형 애자 패드 기반의 직각 배열 모선 구조를 갖는 dc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9962C (en) Bus bar arrangement and a shroud for the same
US7286337B2 (en) Switching device for power distribution
US8619411B2 (en) Switchgear bus assembly having reduced power loss, material and temperature
US20100051342A1 (en) Efficient high-ampacity bowl-shaped tubular conductors
US20110149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ove an arcing fault to a different location in an electrical enclosure
US3793564A (en) Metal enclosed switchgear with s-shaped vertically disposed conductors
US832546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internal pressure caused by an arcing fault in an electrical enclosure
KR20120047776A (ko) 전기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
US20220209516A1 (en) Enclosure and optimizations
KR20160002213U (ko) 직류 배선용 차단기의 커먼 버스바
KR101169555B1 (ko) 알루미늄 형강의 부스바를 배치한 배전반
US20210328413A1 (en) Bus section of a current carrying bus itself configured as a heat sink in an electrical system
KR101301964B1 (ko)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US3780355A (en) Metal enclosed switchgear with j-shaped vertically disposed conductors
KR20170056101A (ko) 배전반
US20220013997A1 (en) Electrical equipment with additional compartment and wiring to account for temperature limitations of connected conductors
US6636401B1 (en) Network protector with insulated laminated bus construction
JP6628590B2 (ja) スイッチギヤ
EP3200295B1 (en) Switchgear
US20230283052A1 (en) Modular Plug-in Power Distribution Panel Assembly for Critical Loads
Hu Electrical Distribution Equipment in Data Center Environments
KR20130011477A (ko) 배전반
CN111193217A (zh) 立式铜排金属封闭高压开关设备
KR20180000846U (ko) 배전반
KR20170051656A (ko)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