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720B1 -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720B1
KR101168720B1 KR1020100082843A KR20100082843A KR101168720B1 KR 101168720 B1 KR101168720 B1 KR 101168720B1 KR 1020100082843 A KR1020100082843 A KR 1020100082843A KR 20100082843 A KR20100082843 A KR 20100082843A KR 101168720 B1 KR101168720 B1 KR 10116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current
portable device
data
alternat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576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7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교류전류 및 자기장을 발생시켜 CAN(Car Area Network) 모듈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및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따라 자화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와 무선 통신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상기 CAN 모듈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Apparatus for Transfer of Data by Wireless and Portable Device Suppor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네비게이션 단말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는 날로 보급률이 증대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휴대용 디바이스를 자동차 내에 설치하여 이동 중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를 자동차 내에 설치할 때, 현재는 전원 공급 수단으로서 시가 잭(cigar jack)을 이용하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재는 휴대용 디바이스(1)를 흡판(2)을 이용하여 자동차 앞 유리(3) 내부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휴대용 디바이스(1)와 시가 잭(4)을 케이블(5)을 통해 연결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현재는 휴대용 디바이스(1)에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유선 케이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제시되었다. 현재의 무선 전원 공급 장치는 중거리(2 내지 5m) 내의 전자 장치가 전자기파 또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 받는 식이다. 그런데, 이 방식은 강한 전자기파나 자기장이 넓은 공간에 퍼지기 때문에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신용카드, 교통 카드 등의 정보가 삭제되거나 오류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차량에는 다양한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C), 오디오 시스템, 주차용 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전기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근래 들어 이러한 전기 장치는 CAN (Car Area Network 또는 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관리된다. CAN은 자동차 내부의 전기 장치를 체계적,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CAN의 도입에 의해 복수의 전기 장치를 단일 전원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순한 구조의 하드웨어로 구현하고, 이를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로 제어하여, 전체 시스템의 복잡도를 낮추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유연성을 갖추게 되었다.
차량 내 전기 장치의 데이터 중 일부는 운전자에게 매우 유용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내 전기 장치를 CAN을 통해 관리한다 하더라도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며, 운전자가 차량 관련 정보를 알고자 하는 경우, 이를 즉각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휴대용 디바이스는 그 자체로서만 동작할 뿐, 차량과 연동하여 동작하기 위해서는 그 동작 목적마다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결국, 현재는 차량의 기능과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이 서로 독립적일 수 밖에 없으며, 차량과 휴대용 디바이스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량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좁은 영역 내에서 작용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휴대용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를 자동차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교류전류 및 자기장을 발생시켜 CAN(Car Area Network) 모듈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따라 자화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와 무선 통신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상기 CAN 모듈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교류전류 및 자기장을 발생시켜 CAN(Car Area Network) 모듈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따라 자화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와 무선 통신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상기 CAN 모듈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가 탑재되는 본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놓여지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내의 지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접촉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어 차량과 휴대용 디바이스를 연동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용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자동차 내의 환경을 정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기장의 발생 범위를 협소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이나 다른 자성 물질에 가해지는 악영향이 최소화된다.
아울러, 자기장을 발생시기 위한 코일을 영구자석으로 구현하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가 대시보드(dashboard)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 2 데이터 송수신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CAN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교류전류 및 자기장을 발생시켜 CAN 모듈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따라 자화되어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와 무선 통신 경로를 형성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와 CAN 모듈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에서 형성된 교류전류에 따라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자화 현상에 의해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교류전류 및 자기장을 발생시는 교류/자기장 발생부(112) 및 CAN 모듈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통신모듈(114)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교류/자기장 발생부(112)에서 형성된 교류전류에 따라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고, 교류/자기장 발생부(112)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따라 자화되어 교류/자기장 발생부(112)와 무선 접속되는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 및 휴대용 디바이스와 CAN 모듈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통신모듈(12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는 교류/자기장 발생부(112)에서 생성된 교류전류를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에서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휴대용 디바이스로 공급한다. 아울러, 교류/자기장 발생부(112)에서 생성된 자기장과 반대 극성을 갖는 자기장이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에서 생성되어, 교류/자기장 발생부(112)와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4)가 상호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를 대시보드 내에 설치하는 한편,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를 휴대용 디바이스의 거치대 내에 설치한 후,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가 설치된 위치의 대시보드 상에 위치시키고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면,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가 대시보드에 고정될 뿐 아니라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아울러,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원공급 단자를 마련해 두고, 이와 접촉될 수 있도록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에 전원 공급 단자를 마련한 후, 거치대에 휴대용 디바이스를 안착시키면,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의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CAN 모듈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 1 통신모듈(114)을 통해 변조된 후 고주파(10~100MHz)의 반송파 주파수에 실려 교류/자기장 발생부(112)를 통해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로 전송되고, 제 2 통신모듈(124)에서 복조된 후 휴대용 디바이스로 제공된다. 유사하게,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 2 통신모듈(124)을 통해 변조된 후 고주파(10~100MHz)의 반송파 주파수에 실려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를 통해 교류/자기장 발생부(112)로 전송되고, 제 1 통신모듈(114)에서 복조된 후 CAN 모듈로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측 데이터 요청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 2 통신모듈(124),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 교류/자기장 발생부(112), 제 1 통신모듈(114) 및 CAN 모듈을 경유하여 통신 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CAN 모듈은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시 반대 경로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차량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 제 2 통신모듈(124),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 교류/자기장 발생부(112), 제 1 통신모듈(114) 및 CAN 모듈을 경유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차량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통해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실내 온도, 잔여 유량 등의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 명령은 제 2 통신모듈(124),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 교류/자기장 발생부(112) 및 제 1 통신모듈(114)을 경유하여 CAN 모듈로 전송되고, CAN 모듈은 요청 명령을 인식하여 그에 응답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출력 신호, 즉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를 차량 내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출력 장치를 차량 내 장치로 지정할 수 있고, 결국 휴대용 디바이스의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가 차량 내에 장착된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의 일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 2 데이터 송수신부의 일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의 교류/자기장 발생부(112)는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DC-AC 변환기(1121), DC-AC 변환기(1121)에서 출력되는 교류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축전 소자(1123) 및 축전 소자(1123)와 접지 단자 간에 접속되어 축전 소자(1123)를 통과한 교류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한편,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류에 의해 전자석화되는 1차 코일(1125)을 포함한다. 아울러, 외부 전원과 1차 코일(1125)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소자(112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DC-AC 변환기(1121)와 1차 코일(1125) 간의 축전 소자(1123)는 생략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DC-AC 변환기(1121)는 예를 들어 오실레이터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진 주파수로 50Hz 내지 1Mz를 사용할 수 있다. DC-AC 변환기(1121)에서 발생된 교류전류는 축전 소자(1123)를 통해 1차 코일(1125)을 구동하는데, 여기에서 축전 소자(1123)는 교류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회로 부분과 직류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회로 부분이 차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CAN 모듈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제 1 통신모듈(114)에서 변조된 후 10~100MHz의 고주파 반송파 주파수에 실려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1차 코일(1125)를 통해 출력된다. 유사하게,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1차 코일(1125)로 수신된 후 제 1 통신모듈(114)에서 복조되어 CAN 모듈로 전송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의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122)는 접지 단자에 접속되어 1차 코일(1125)을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한편, 전자석화된 1차 코일(1125)의 자성체와 반대 극성으로 전자석화되는 2차 코일(1221)로서의 자성체 및 2차 코일(1221)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변환기(1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2차 코일(1221)로 기능하는 자성체는 1차 코일(1125)의 자성체와 반대 극성으로 전자석화되어, 1차 코일(1125)과 2차 코일(1221) 간에 강한 인력이 작용하게 되며, 통상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대시보드를 사이에 두고 1차 코일(1125)과 2차 코일(1221)이 서로 접촉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나아가, 1차 코일(1125)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2차 코일(1221)을 통해 제 2 통신모듈(124)로 전송되어 변조된 후 휴대용 디바이스로 제공된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제 2 통신모듈(124)에서 변조된 후 2차 코일(1221)을 통해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의 1차 코일(1125)로 제공된다.
아울러, AC-DC 변환기(1223)는 정류회로로서, 브릿지 회로, 정류 캐패시터, 정전압 회로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AC-DC 변환기(1223)의 출력은 약 500mA 내지 1A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정도의 출력이면 각종 휴대용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수 있다. 차량은 대체로 13.6V의 전원을 사용하므로 예를 들어, 교류/자기장 발생부(112)로 10V의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5 내지 10W의 출력 전력이 휴대용 디바이스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코일(1125) 및 2차 코일(1221)이 안테나로 동작하여 제 1 통신모듈(114) 및 제 2 통신모듈(124)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차량 내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인 CAN 모듈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는 AC-DC 변환기(1223)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제 2 통신모듈(124)로 전송되고,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직접 제 2 통신모듈(124)로 전송된다.
또한, 1차 코일과 2차 코일(126, 144)의 전자석화에 의한 인력으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를 대시보드 상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1차 코일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2차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므로써, 휴대용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1차 코일(126) 및 2차 코일(142)은 자성재료로서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성재료로서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1차 코일(126)과 2차 코일(142)이 계속해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거치대(3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30)는 내부에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가 탑재되는 본체(32), 휴대용 디바이스가 놓여지는 안착부(34) 및 안착부(34) 내의 지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제 2 데이터 송수신부(120)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접촉 단자(36)를 포함한다. 접촉 단자(36)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로 전송하거나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의 데이터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함은 물론, 휴대용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거치대(30)는 대시보드(2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대시보드(20) 내부에 제 1 데이터 송수신부(110)를 설치한 후 전원을 공급하면, 거치대(30)가 대시보드(20)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함께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하였듯이 1차 및 2차 코일(126, 142)의 자성재료를 영구자석으로 구현하는 경우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두 코일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대시보드(20) 상에 거치대(3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CAN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AN 시스템은 차량 내의 다양한 전기 장치(50) 및 이와 접속되는 CAN 모듈(40)을 포함한다.
CAN 모듈(40)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10), CAN 모듈(40)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정보,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420), 전기 장치(50)가 CAN 모듈(40)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드라이버(430)를 포함한다.
CAN 모듈(40)에 의해 차량 내의 다양한 전기 장치를 체계적,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정된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CAN 시스템이 도입됨에 따라 엔진 관리 시스템, 변속 장치 제어, 계기 장치, 차체 전자 기술 등과 같은 온-보드 전자 제어 장치들 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CAN 시스템을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면, 차량 내의 유용한 정보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함은 물론, 휴대용 디바이스와 차량 내 탑재 장치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110 :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112 : 교류/자기장 발생부
114 : 제 1 통신 모듈
120 : 제 2 데이터 송수신부
122 :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
124 : 제 2 통신 모듈

Claims (18)

  1. 외부로부터 직류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직류 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시키는 한편, 상기 직류 전류에 의해 전자석화되는 교류/자기장 발생부; 및 CAN(Car Area Network) 모듈과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 간에 접속되어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상기 CAN 모듈과 제 2 데이터 송수신부 간에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에서 형성된 교류전류에 따라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가 전자석화됨에 따라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와 반대 극성으로 전자석화되는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접속되어 상기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간에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데이터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는,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DC-AC 변환기; 및
    상기 DC-AC 변환기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간에 접속되어 상기 DC-AC 변환기를 통과한 교류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접지 단자 간에 접속되어 상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류에 의해 전자석화되는 1차 코일;
    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는, 상기 DC-AC 변환기와 상기 1차 코일 간에 접속되어, 상기 DC-AC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교류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축전 소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1차 코일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소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C-AC 변환기는, 오실레이터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의 자성 재료로서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는,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에서 발생된 교류전류에 의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가 전자석화됨에 따라 반대 극성으로 전자석화되는 2차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C-DC 변환기;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기는 브릿지 회로, 정류 캐패시터, 정전압 회로 중 어느 하나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의 자성 재료로서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12. 외부로부터 직류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직류 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시키는 한편, 상기 직류 전류에 의해 전자석화되며, CAN(Car Area Network) 모듈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형성된 교류전류에 따라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가 전자석화됨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와 반대 극성으로 전자석화되며,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와 무선 통신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상기 CAN 모듈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가 탑재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와 전자석화 현상에 의해 흡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의 지정된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놓여지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내의 지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접촉 단자;
    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직류 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시키는 한편, 상기 직류 전류에 의해 전자석화되는 교류/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CAN 모듈과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 간에 접속되어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상기 CAN 모듈과 상기 제 2 데이터 송수신부 간에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는,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DC-AC 변환기; 및
    상기 DC-AC 변환기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간에 접속되어 상기 DC-AC 변환기를 통과한 교류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접지 단자 간에 접속되어 상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류에 의해 전자석화되는 1차 코일;
    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은 영구자석인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에서 형성된 교류전류에 따라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가 전자석화됨에 따라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와 반대 극성으로 전자석화되는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상기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 간에 접속되어 상기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간에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류/자기장 발생부는,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에서 발생된 교류전류에 의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가 전자석화됨에 따라 상기 교류/자기장 발생부와 반대 극성으로 전자석화되는 2차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C-DC 변환기;
    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은 영구자석인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KR1020100082843A 2010-08-26 2010-08-26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KR10116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43A KR101168720B1 (ko) 2010-08-26 2010-08-26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43A KR101168720B1 (ko) 2010-08-26 2010-08-26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76A KR20120019576A (ko) 2012-03-07
KR101168720B1 true KR101168720B1 (ko) 2012-07-30

Family

ID=4612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43A KR101168720B1 (ko) 2010-08-26 2010-08-26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6475S1 (en) * 2020-09-24 2022-03-22 Daniel Alan Hilton Geberth Pedal
USD946476S1 (en) * 2020-09-30 2022-03-22 Daniel Alan Hilton Geberth Pedal
USD947086S1 (en) * 2020-09-30 2022-03-29 Daniel Alan Hilton Geberth Pedal
USD957294S1 (en) 2020-11-03 2022-07-12 Rivian Ip Holdings, Llc Vehicle ped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148A (ja) 2006-12-12 2008-06-26 Sony Corp 無線処理システム、無線処理方法及び無線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148A (ja) 2006-12-12 2008-06-26 Sony Corp 無線処理システム、無線処理方法及び無線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76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5925A1 (en) Powering or charging small-volume or small-surface receivers or devices
JP7414526B2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ストリームの送信を行う装置及び方法
KR101532497B1 (ko) 반도체 장치,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충전 시스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102246177B1 (ko)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30093390A1 (en) Systems and method for positioning freedom, and support of different voltages, protocols, and power levels in a wireless power system
US94967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356659B2 (en) Charger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EP32800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receiver devices
US9472939B1 (en) Remote display
KR101168720B1 (ko)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 거치대
TW201347349A (zh) 用於無線電力傳輸之系統及方法
US20150091508A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device under charge
JP7429677B2 (ja) 無線電力送信システムにおいて電力制御を行う装置及び方法
US20170237470A1 (en) Power receiving device and power feeding system
JP2018023276A (ja) 受信装置を充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95348A (ko) 고정 주파수를 이용하는 lc공진 발진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득 조절 방법
KR20140129897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KR20150045602A (ko) 공진방식 기반의 무선충전장치
KR20150114063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413630B1 (ko)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WO2023085048A1 (ja) 送電装置、受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25436B1 (ko)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100955896B1 (ko)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거치대
KR20120049084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충전 방법
KR101425435B1 (ko) 자기장 통신을 이용한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충전에 관한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