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682B1 -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682B1
KR101167682B1 KR1020100103119A KR20100103119A KR101167682B1 KR 101167682 B1 KR101167682 B1 KR 101167682B1 KR 1020100103119 A KR1020100103119 A KR 1020100103119A KR 20100103119 A KR20100103119 A KR 20100103119A KR 101167682 B1 KR101167682 B1 KR 10116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ouch panel
hole
substrate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600A (ko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주) 캐치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캐치웰 filed Critical (주) 캐치웰
Priority to KR102010010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6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3Peripheral electrode pattern in resistive digitisers, i.e. electrodes at the periphery of the resistive sheet are shaped in patterns enhancing linearity of induced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산업용 PDA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본체에 터치 패널을 장착 시 터치 패널의 케이블에 대한 방수 기능을 가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는, 터치 패널의 구성부품 중 glass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슬릿 형태의 케이블 관통홀을 형성하고, 단말기 본체의 터치 패널 장착부에 케이블 관통홀과 대응되게 슬릿 형태의 케이블 방수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결과 터치 패널을 터치 패널 장착부에 부착 시 케이블 관통홀과 케이블 방수홀의 슬릿 외곽이 접착되어 실링된 상태에서 터치 패널의 케이블을 터치 패널 장착부의 케이블 방수홀을 통해 단말기 본체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케이블에 대한 방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TOUCH PANEL OF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의 케이블에 대한 방수 기능을 가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고 개인 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라는 용어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A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사회 속에서 각각의 개인은 각자 나름대로의 정보를 보관하거나 유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개인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 그것들 중의 하나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다. PDA는 포켓용 컴퓨터로도 불리는데,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종종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특히,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PDA)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용 PDA는 일반 PDA에 없는 바코드스캐너, 카드결제기 등 다양한 사무용 기능을 갖춘 PDA로서 산업용 PDA를 사용하면 배송이나 자료관리 그리고 관련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에 있어서는 고객정보관리, 고객검색, 일정관리, 상담일지관리, 기념일 검색, 자금계산서 처리 등의 각종 보험관련 업무를 보험설계사가 산업용 PDA를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병원에 있어서는 환자의 진료기록과 병력, 처방은 물론 X-레이 등 영상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도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의료진이 휴대한 산업용 PDA로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 업무를 산업용 PDA를 통해 실시하여 현재 단속뒤 2-3일이 지나야 납부할 수 있는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을 즉시 금융기관에 납부할 수 있게 하여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산업용 PDA는 전술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 PDA와 달리 일반적인 환경이 아닌 산업용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어느 수준 이상의 요구 사항을 갖추어야 한다. 즉, 산업용 PDA는 일반 PDA와 달리 영하 10도 이하의 냉동창고에서 사용할 때도 있을 것이고, 또한 야외에서도 장시간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히 예측되며, 집배원 같은 사용자가 업무 상 함부로 다룰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어느 수준 이상의 내충격성, 방수, 내열/냉기능 등을 갖추어야 제품으로서 경쟁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산업용 PDA는 일반 PDA보다 좀더 견고하고 단단히 만들어져야 함은 물론 특히 눈이나 비에 견딜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함은 제품이 가져야할 필수적인 사항이다.
한편, 이러한 산업용 PDA에는 터치 패널과 같은 입력 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유연성을 가진 필름으로 된 상부 기판에 펜이나 손가락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접촉하게 되면,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s)를 사이에 두고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하부 기판이 상호 통전이 된다. 이렇게 통전이 되면, 그 위치의 저항치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값을 읽어 들인 후 제어 장치에서 전위차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해서 위치 좌표를 찾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은 산업용 PDA 본체의 상부 케이스에 마련된 터치 패널 장착부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데, 이때 터치 패널에 연결된 케이블은 산업용 PDA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산업용 PDA의 단말기 본체에 터치 패널을 장착 시 터치 패널의 케이블에 대한 방수 구조가 없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케이블과 단말기 본체와의 연결 부위에 습기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기기 고장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산업용 PDA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본체에 터치 패널을 장착 시 터치 패널의 케이블에 대한 방수 기능을 가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은, 제 1 투명도전막이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투명도전막에 형성되는 스트립 형태의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면에 패턴화된 제 2 투명도전막이 형성되고 일측에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투명도전막과 통전가능한 스트립 형태의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에 상기 제 1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관통홀은 상기 제 2 기판의 가장자리 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안쪽에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장착 구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케이스에 케이블 방수홀이 형성된 터치 패널 장착부가 마련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기 터치 패널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술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 패널 장착부의 가장자리 리브에 접착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터치 패널 장착부에 형성된 상기 케이블 방수홀을 통과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방수홀은 상기 터치 패널 장착부의 가장자리 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안쪽에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방수홀은 상기 터치 패널을 상기 터치 패널 장착부에 부착 시 상기 터치 패널에 형성된 상기 케이블 관통홀과 대응되게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관통홀 및 상기 케이블 방수홀의 외곽이 접착되어 실링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관통홀 및 상기 케이블 방수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에 따르면, 터치 패널의 구성부품 중 glass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슬릿 형태의 케이블 관통홀을 형성하고, 단말기 본체의 터치 패널 장착부에 케이블 관통홀과 대응되게 슬릿 형태의 케이블 방수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결과 터치 패널을 터치 패널 장착부에 부착 시 케이블 관통홀과 케이블 방수홀의 슬릿 외곽이 접착되어 실링된 상태에서 터치 패널의 케이블을 터치 패널 장착부의 케이블 방수홀을 통해 단말기 본체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케이블에 대한 방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터치 패널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산업용 PDA를 일 예로 들어 예시하였으나, 산업용 PDA뿐만 아니라 일반 PDA, 휴대폰, PMP 등 모든 모바일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터치 패널(100)은 제 1 기판(110), 제 2 기판(130), 접착부재(150) 및 케이블(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10)은 터치 패널(100)의 상부 기판에 해당하며, 유연성을 가지도록 PET과 같은 투명한 필름으로 되어 있고, 이 필름의 하면에는 ITO막과 같은 제 1 투명도전막(미도시)이 도포된다.
제 1 기판(110)의 하면에는 제 1 기판(110)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스트립 형태로 된 제 1 전극(111)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전극(111)의 일단부로부터는 연장선(113)이 각각 인출되고 제 1 기판(110)에는 후술할 제 2 전극(131)과 상호 통전되는 배선(115)이 마련된다. 여기서, 연장선(113)과 배선(115)은 제 1 기판(110)의 가장자리 일변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집합되어 전원 인가점(117)이 된다.
제 2 기판(130)은 터치 패널(100)의 하부 기판에 해당하며, 제 1 기판(110)과 상호 대향되게 위치한다.
제 2 기판(130)은 투명한 유리(glass) 재질로 되어 있고, 제 1 기판(110)보다 리지드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 2 기판(130)의 상면에는 패턴화된 제 2 투명도전막(미도시)이 선택적으로 코팅되고, 제 2 투명도전막의 상면에는 제 1 전극(111)이 설치되는 위치와 상이한 방향으로 제 2 기판(130)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스트립 형태의 제 2 전극(131)이 형성된다.
제 2 기판(130)의 일측에는 후술할 케이블(170)이 통과하도록 케이블 관통홀(1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블 관통홀(133)은 제 1 기판(110)에 마련된 전원 인가점(117)과 대응되게 위치하며 제 2 기판(130)의 가장자리 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안쪽에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기판(130) 상에는 도트 스페이서(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이 도트 스페이서는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20)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도트 스페이서의 적절한 높이는 대략 4 내지 5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접착부재(150)는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30) 사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제 1 및 제 2 기판(110)(130)의 상호 접착과 함께 제 1 및 제 2 전극(111)(131)의 상호 절연 역할을 하는 양면 접착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150)에는 후술할 케이블(170)이 통과하도록 케이블 관통홀(133)과 일치되는 위치에 슬릿 형태의 개구홀(153)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170)은 제 1 기판(110)의 가장자리 일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집합되어 있는 연장선(113) 및 배선(115)과 전원 인가점(117)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되고, 제 2 기판(130)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133)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케이블(170)은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 FPC)이다. FPC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패널(100)은 제 1 기판(110)에 펜이나 손가락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접촉하게 되면, 도트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제 2 기판(130)이 상호 통전이 된다. 이와 같이 통전이 되면, 그 위치의 저항치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값을 읽어들인 후 제어 장치(미도시)에서 전위차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해서 위치 좌표를 찾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터치 패널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터치 패널 장착 구조는, 산업용 PDA 단말기 본체(200)의 터치 패널 장착부(210)에 상술한 본 발명의 터치 패널(100)을 부착 시 터치 패널 케이블(170)의 방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200)의 전면 케이스에 마련된 터치 패널 장착부(210)의 가장자리 리브(211)에 터치 패널(100)의 케이블(170)이 통과하여 단말기 본체(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 방수홀(213)을 형성한다.
여기서, 케이블 방수홀(213)은 터치 패널(100)을 터치 패널 장착부(210)에 부착 시 터치 패널(100)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133)과 대응되게 일치하도록 위치하고, 터치 패널 장착부(210)의 가장자리 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안쪽에 슬릿 형태로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산업용 PDA의 터치 패널 장착 구조는, 케이블 관통홀(133)과 케이블 방수홀(213)이 일치되고 케이블 관통홀(133) 및 케이블 방수홀(213)의 외곽이 접착되어 실링된 상태에서 터치 패널(100)에 연결된 케이블(170)이 터치 패널 장착부(210)의 케이블 방수홀(213)을 통과하여 단말기 본체(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터치 패널 장착 구조에 따르면, 터치 패널(100)의 구성부품 중 glass에 케이블(170)이 통과하는 슬릿 형태의 케이블 관통홀(133)을 형성하고, 단말기 본체(200)의 터치 패널 장착부(210)에 케이블 관통홀(133)과 대응되게 슬릿 형태의 케이블 방수홀(213)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결과 터치 패널(100)을 터치 패널 장착부(210)에 부착 시 케이블 관통홀(133)과 케이블 방수홀(213)의 슬릿 외곽이 접착되어 실링된 상태에서 터치 패널(100)의 케이블(170)을 터치 패널 장착부(210)의 케이블 방수홀(213)을 통해 단말기 본체(200)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터치 패널(100)의 케이블(170)에 대한 방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터치 패널 110 : 제 1 기판
130 : 제 2 기판 133 : 케이블 관통홀
150 : 접착부재 170 : 케이블(FPC)
200 : 단말기 본체 210 : 터치 패널 장착부
213 : 케이블 방수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케이스에 케이블 방수홀이 형성된 터치 패널 장착부가 마련되는 단말기 본체; 및
    제 1 투명도전막이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기판과,상기 제 1 투명도전막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판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면에 패턴화된 제 2 투명도전막이 형성되고 가장 자리 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안쪽에 슬릿 형태로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전극이 설치되는 위치와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기판상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투명도전막과 통전 가능한 스트립 형태의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에 상기 제 1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블 관통홀과 일치되는 위치에 슬릿 형태의 개구홀이 마련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기 터치 패널 장착부의 가장자리 리브에 접착되고, 상기 케이블 방수홀은 상기 터치 패널을 상기 터치 패널 장착부에 부착시 상기 터치 패널에 형성된 상기 케이블 관통홀과 대응되게 일치하도록 슬릿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관통홀 및 상기 케이블 방수홀의 외곽이 접착되어 실링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관통홀 및 상기 케이블 방수홀을 통과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장착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103119A 2010-10-21 2010-10-21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 KR10116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19A KR101167682B1 (ko) 2010-10-21 2010-10-21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19A KR101167682B1 (ko) 2010-10-21 2010-10-21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600A KR20120041600A (ko) 2012-05-02
KR101167682B1 true KR101167682B1 (ko) 2012-07-25

Family

ID=4626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119A KR101167682B1 (ko) 2010-10-21 2010-10-21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8086B2 (en) 2017-08-04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02B1 (ko) 2008-03-21 2009-09-10 (주)금영 터치윈도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02B1 (ko) 2008-03-21 2009-09-10 (주)금영 터치윈도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8086B2 (en) 2017-08-04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600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8950C2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чт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KR101027052B1 (ko) 모바일 단말기
US8624126B2 (en) Portable device
CN102681723B (zh) 触摸屏幕
CN110262687B (zh) 触摸面板
US8599321B2 (en) Touch-sensing display device and touch-sensing module thereof
EP3483710A1 (en) Touch screen panel
CN104714690A (zh) 触摸面板
CN104350445A (zh) 电子阅读设备
CN105843462A (zh) 传感器屏幕和包括该传感器屏幕的显示装置
CN102915143A (zh) 用于弯曲或柔性表面的触摸传感器
KR20100036907A (ko) 양면 일체형 터치 패널 구조
US8737052B2 (en) Mobile terminal
CN104731429B (zh) 触摸面板
CN104808879A (zh) 触摸窗和触摸装置
CN103376934A (zh) 触控面板与手持电子装置
CN102955606A (zh) 大致无边缘触摸传感器
CN107037931A (zh) 触控显示屏及显示装置
CN104346015B (zh) 触摸窗口和包括其的触摸装置
CN103135844A (zh) 多表面触摸传感器
US9983701B2 (en) Touch panel
KR101167682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 및 그 장착 구조
CN106886098B (zh) 显示组件及电子设备
US20130314327A1 (en) Frameless touch panel
CN204833212U (zh) 触控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