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641B1 - Keypad assembly - Google Patents

Keypad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641B1
KR101167641B1 KR1020100129588A KR20100129588A KR101167641B1 KR 101167641 B1 KR101167641 B1 KR 101167641B1 KR 1020100129588 A KR1020100129588 A KR 1020100129588A KR 20100129588 A KR20100129588 A KR 20100129588A KR 101167641 B1 KR101167641 B1 KR 10116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ge
conductive
dome
capacitiv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8133A (en
Inventor
권순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00129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641B1/en
Publication of KR2012006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1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6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ontact sites, e.g. superimposed s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Abstract

터치 입력과 누름 입력이 함께 가능한 복수의 2단 스위치를 열과 행 단위의 직렬 어레이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어부와 2단스위치 간의 연결이 열과 행 단위의 직렬 어레이 별로 이루어져 제어부와 2단 스위치들 간의 연결 배선을 줄일 수 있어 키패드 어셈블리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고 키패드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개시한다.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capable of both touch input and a push input in the form of a series array of columns and r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two-stage switches is formed by a series array of columns and rows. Disclosed is a keypad assembly that can be reduced to simplify the design of the keypad assembly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keypad assembly.

Figure R1020100129588
Figure R1020100129588

Description

키패드 어셈블리{KEYPAD ASSEMBLY}Keypad Assembly {KEYPAD ASSEMBLY}

본 발명은 키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와 누름을 함께 감지하여 작동하는 2단 스위치를 이용하여 키를 구성한 키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pad assembly configured with a key using a two-stage switch that operates by sensing a touch and a press together.

일반적으로, 키패드 어셈블리는 전자기기에서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사용된다.Generally, keypad assemblies are used as data entry means in electronic devices.

키패드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기계적 접점 스위치인 돔 스위치는 사용자의 누름을 감지하고, 정전용량센서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The dome switch,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used in the keypad assembly, senses the user's press, and the capacitive sensor senses the user's touch.

하지만, 기존에는 돔 스위치와 정전용량센서는 각각 한 개의 지점에서 한 가지의 입력 밖에 받아들일 수 없다.However, conventionally, dome switches and capacitive sensors can only accept one input at one point.

최근에는 키패드 어셈블리의 버튼 수를 줄이는 추세에 있으므로 하나의 스위치에 터치와 누름 이 두 가지 입력을 받아들 수 있다면 키패드 어셈블리의 버튼 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키패드 어셈블리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buttons on the keypad assembly has been reduced, so if the two inputs, touch and push on one switch, can be received, the number of buttons on the keypad assembly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making the keypad assembly smaller.

따라서 기존에는 돔 스위치와 정전용량센서를 결합하여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가지 입력이 가능한 2단 스위치를 구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성함으로써 2단 스위치가 하나의 지점에서 두 가지의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어 키패드 어셈블리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스위치의 기능을 청각적이나 시각적으로 사전에 알 수 있기 때문에 시력이 불편한 사람이나 운전할 때와 같이 시야를 어느 곳에 고정시키고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경우 키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by combining a dome switch and a capacitive sensor,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two inputs to a single switch and a keypad assembly are used to configure the two-stage switch to receive two inputs at one point. Because the keypad assembly can be miniaturized and the switch function can be known audibly or visually in advance, it is convenient to operate the switch when it is necessary to fix the field of view and operate the switch, such as a person who has difficulty in vision or when driving. It can be done.

그러나 기존 키패드 어셈블리의 경우 2단 스위치가 최소한 하나의 키 버튼을 구성하기 때문에 2단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에 각 2단 스위치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keypad assembly, since the two-stage switch constitutes at least one key button, each two-stage switch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wo-stage switch.

따라서 기존에는 제어부와 2단 스위치들 간의 연결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어부와 2단 스위치들 간에 배선이 많아져 설계가 복잡하고 키패드 어셈블리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two-stage switch is made independently, the wiring is increased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two-stage switch, which makes the design complicated and limits the size of the keypad assembl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어부와 2단 스위치들 간의 연결 배선을 줄이도록 터치 입력과 누름 입력이 함께 가능한 복수의 2단 스위치를 열과 행 단위의 직렬 어레이 형태로 구성하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pad assembly configured to form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capable of a touch input and a push input in the form of a serial array of columns and rows so as to reduce the connection wiring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two-stage switche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는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가 결합되어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가지 입력이 가능한 2단 스위치가 열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과, 상기 2단 스위치가 행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과 제1 스위치그룹별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과 제2 스위치그룹별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의 출력 신호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가압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pacitive sensor and a dome switch coupled to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two inputs to a single switch connected in series in a column direction, and the output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A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for outputting signals together; a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having the second stage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in a row direction and outputting output signals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together;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switch group and the first switch group,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and the second switch group, and according to output signal changes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Determining a row and a column to which the two-stage switch touched or pressed by the user belongs, and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 and column It includes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하나의 키 버튼은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2단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2단 스위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one key button in the keypad assembly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two-stage swit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and at least one two-stage swit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가압되는 영역 내에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2단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2단 스위치가 위치하도록 마련된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wo-stage switch of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 is provided to be located in the area touched or pressed by the user.

또한, 상기 2단 스위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도전성 돔형 누름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의 접촉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이 들 떠 있는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제2 도전성 패턴과, 정전용량센서 감지선을 통하여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돔 스위치 출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돔 스위치 출력선과 상기 정전용량센서 감지선을 시분할하여 사용하고,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에 인체 등의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정전용량 스위치가 동작하고,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에 압력이 가해져서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과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이 접촉하면 상기 돔 스위치가 동작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wo-stage switch is positioned where the substrate,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provided on the substrate,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contact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and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A second conductive pattern installed on the substrate, a capacitive sensor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through a capacitive sensor sensing line, and a dome switch output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The control unit uses the dome switch output line and the capacitive sensor detection line to time-division, and when a contact of a human body or the like occurs on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 plate, the capacitive switch by the capacitive sensor operates, an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 plate. Is applied to the dome switch when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It includes.

또한, 상기 정전용량 스위치가 상기 기계적 접점 스위치의 기능을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apacitive switch includes a visual or audio notification of the function of the mechanical contact switch.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는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가 결합되어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가지 입력이 가능한 2단 스위치가 열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과, 상기 2단 스위치가 행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의 출력 신호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가압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단 스위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도전성 돔형 누름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의 접촉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이 들 떠 있는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제2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에 발생된 터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2단 스위치를 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정전용량 스위치로 동작시키고,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에 압력이 가해져서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과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이 접촉하면 상기 2단 스위치를 상기 돔형 스위치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pad assembly includes a capacitive sensor and a dome switch, and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two inputs to a single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in a column direction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s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A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output together; a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in which the two-stage switches are connected in series in the row direction,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together;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row and column to which the two-stage switch touched or press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change of the first switch group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 and outpu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 and column The two-stage switch includes a substrate, a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installed on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and the conductive dome type leakage. A first conductive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contact of the plate, a second conductive pattern provided on the substrate so as to be positioned where the conductive dome-shaped pressing plate is lifted, and a capacitive sensor for sensing a touch generated on the conductive dome-type pressing plate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two-stage switch as a capacitive switch by a capacitive sensor when a touch is sensed by the capacitive sensor, and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to press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and the second switch. And operating the two-stage switch as the dome-type switch when the conductive pattern is in contac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과 누름 입력이 함께 가능한 복수의 2단 스위치를 열과 행 단위의 직렬 어레이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어부와 2단 스위치 간의 연결이 열과 행 단위의 직렬 어레이 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어부와 2단 스위치들 간의 연결 배선을 줄일 수 있어 키패드 어셈블리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고 키패드 어셈블리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 capable of both touch input and push input in the form of a series array of columns and r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two-stage switch is a serial array of columns and rows Since the connection wiring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two-stage switch is reduced, the design of the keypad assembly can be simplified and the size of the keypad assembly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2단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복수 개의 2단 스위치가 열과 행 단위로 그룹화 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사용자의 임의의 터치 입력에 따른 행과 열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사용자의 다른 터치 입력에 따른 행과 열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2단 스위치의 열과 행 별로 그에 대응하는 키 신호값을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which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wo-stage switch constituting the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grouped in columns and rows in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determining a row and a column according to an arbitrary touch input of a user in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determining a row and a column according to another touch input of a user in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key signal values corresponding to columns and rows of a two-stage switch in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which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main body 1.

이 본체(1)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키 버튼을 가진 키패드 어셈블리(10)와, 이 키패드 어셈블리(10)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을 해당하는 키 신호를 TV 등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에 송신하는 송신장치(20)가 마련된다.The main body 1 has a keypad assembly 10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to receive a command from a user, and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command input to the keypad assembly 10 for external display such as a TV. The transmitter 20 which transmits to the apparatus 2 is provided.

키패드 어셈블리(10)는 모드 전환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터치된 손가락에 압력을 더욱 가해서 입력할 수도 있다.The keypad assembly 10 may be input by a user's touch with a finger according to a mode change, or may be input by applying pressure to the touched finger.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 버튼을 가볍게 터치만 한 경우에는 동작 모드를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키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키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강하게 누른 경우에는 동작 모드를 가압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키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nly touches the key button lightly,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touch mode, and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touched by the user is output.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strongly while the user touches the key butto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pressing mode, and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pressed by the user is output.

또한, 키패드 어셈블리(10)에서 각 키 버튼은 돔 스위치와 정전용량센서를 결합하여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가지 입력이 가능한 2단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2단 스위치 1개 혹은 여러 개가 1개의 키 버튼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key button in the keypad assembly 10 is composed of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two inputs to one switch by combining the dome switch and the capacitive sensor. In this case, one or more two-stage switches may constitute one key button.

따라서 사용자가 키패드 어셈블리(10)상의 임의의 키 버튼을 터치 입력하면 키패드 어셈블리는 동작 모드를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터치 입력된 키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 키 신호를 근거로 하여 송신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에 해당 키 신호를 무선 송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에 해당 키 신호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가 표시되게 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touches any key button on the keypad assembly 10, the keypad assembly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touch mode and outpu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key button. T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transmits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 through the transmitter 20 based on the key signal so that the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do.

디스플레이 장치(2)에 해당 키 데이터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된 키 버튼을 강하게 누르면 키패드 어셈블리는 동작 모드를 터치 모드로부터 가압 모드로 전환하고, 눌려진 키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 키 신호를 근거로 하여 송신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에 해당 키 신호를 무선 송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에 해당 키 신호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가 표시되게 한다.As the corresponding key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when the user strongly presses the touched key button, the keypad assembly switches the operation mode from the touch mode to the pressing mode and outpu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button. T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transmits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 through the transmitter 20 based on the key signal so that the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2단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wo-stage switch constituting the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스위치(10)는 인쇄회로기판(PCB 기판)(1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two-stage switch 1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substrate) 100.

PCB 기판(100) 상에는 도전성 PCB 패턴(110, 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PCB 패턴(110)은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과 PCB 기판(100)의 접촉 사이에 개재되며, 제2 PCB 패턴(120)은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이 들떠 있는 곳에 위치한다.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 상에는 스위치 고정판(140)이 덮여 있다. 스위치 고정판(140) 상에는 도광판(150) 및 케이스(160)가 설치된다.Conductive PCB patterns 110 and 120 are formed on the PCB substrate 100, and the first PCB pattern 110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tact of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130 and the PCB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PCB pattern. 120 is located where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130 is excited. The switch fixing plate 140 is covered on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130. The light guide plate 150 and the case 160 are installed on the switch fixing plate 140.

또한, 2단 스위치(10)는 정전용량센서(170)와 제어부(18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wo-stage switch 10 includes a capacitive sensor 170 and the controller 180.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은 돔 스위치의 누름판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정전용량센서(170)의 감지단자 역할을 함께 한다. 즉, 사용자가 케이스(160)에 접촉하면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 제1 PCB 패턴(110) 및 정전용량센서감지선(H)을 통하여 정전용량센서(170)에 전기적 신호가 입력된다.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ing plate 130 serves as a pressing plate of the dome switch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sensing terminal of the capacitive sensor 170. That is, when the user contacts the case 160,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capacitive sensor 170 through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 plate 130, the first PCB pattern 110, and the capacitive sensor detection line H.

제어부(180)는 정전용량센서(17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된 키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180 detects a user's touch input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apacitive sensor 170, and outpu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key button.

또한, 제어부(180)는 제1 PCB 패턴(110)과 제2 PCB 패턴(1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의 접촉 이후에 더 큰 힘, 즉 압력을 가하면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이 제2 PCB 패턴(120)과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돔 스위치 출력선(G)과 돔 스위치 입력선(K)이 서로 연결되어 돔 스위치가 동작하게 되는데, 제어부(180)를 이를 감지하고, 돔 스위치 작동에 따른 키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is connect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first PCB pattern 110 and the second PCB pattern 120. Therefore, if the user applies a larger force, that is, a pressure after the contact of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130,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13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CB pattern 120, thereby causing the dome switch output line (G) The dome switch input line K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operate the dome switch.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is and outputs a key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me switch.

한편,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이 정전용량센서(170)의 감지단자로 사용하기 때문에 돔 스위치 출력선(G)과 정전용량센서 감지선(H)은 시분할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렇게 시분할하여 사용할 경우 돔 스위치 출력선(G)과 정전용량센서 감지선(H)은 인에이블(enable)될 경우 각각의 신호를 갖게 되고, 디스에이블(disable)될 경우에는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ance)가 되어야 한다. 이때, J는 정전용량센서 출력선이고, J는 정전용량센서 인에이블선이고, M는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에 접촉이 이루어졌을 경우 출력되는 신호이고, L는 도전성 돔형 누름판(130)이 더욱 눌려졌을 경우 출력되는 신호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130 is used as a sensing terminal of the capacitive sensor 170, the dome switch output line G and the capacitive sensor sensing line H should be used by time division. In this time division, the dome switch output line (G) and the capacitive sensor detection line (H) have their respective signals when they are enabled, and when they are disabled, they are high impedance. Should be At this time, J is the capacitive sensor output line, J is the capacitive sensor enable line, M is a signal that is output when the contact is made to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130, L is a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130 This signal is output when pressed.

상기한 구성을 가진 2단 스위치는 돔 스위치 위에 용량센서의 감지단자가 위치하기 때문에 하나의 스위치에서 2가지 인식 즉, 접촉에 의한 정전용량센서 인식과 압력에 의한 기계적 접점방식 스위치 인식을 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two-stage switch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sensing terminal of the capacitive sensor on the dome switch,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wo types of recognition in one switch, that is, capacitive sensor recognition by contact and mechanical contact type switch recognition by pressure. do.

이렇듯 2단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입력키에 두 가지 입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면적과 버튼수로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키패드 어셈블리의 사이즈가 작아진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two-stage switches can be used to input two inputs to a single input key, and thus, the keypad assembly can be reduced in size with a small area and a number of buttons.

그리고 정전용량센서의 감지단자에 접촉이 이루어졌을 때 음성이나 소리로써 스위치의 기능을 알려준다면 시력이 불편한 사람이나, 시야를 어느 곳에 고정시키고 스위치를 조작해야 할 경우(예: 자동차 운전자)에 키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2단 스위치의 정전용량센서 감지단자에 접촉이 이루어지면 음성신호나 소리로써 해당 스위치의 기능을 알려주고, 사용자는 이를 듣고 바로 그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여 돔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시력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나, 스위치 작동시 스위치를 보지 못하고 작동해야 할 경우에도 스위치의 기능을 소리로서 듣고 조작할 수 있게 된다.And when the touch terminal detects the function of the switch by voice or sound, when the touch terminal is touched, the key is operated when a person who has difficulty in vision or when the view must be fixed and the switch is operated (e.g. car driver).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hat is, when the capacitive sensor detection terminal of the two-stage switch is contacted, the function of the switch is notified by a voice signal or sound, and the user hears it and applies a pressure to the switch to operate the dome switch. In some cases, when the switch is operated without seeing the switch, the function of the switch can be heard and operated as a sound.

또한, 정전용량센서 감지단자에 접촉이 이루어졌을 경우 LED나 기타의 발광장치로 스위치의 기능을 알려준다면 어두운 환경에서 스위치를 조작해야 할 경우 키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acitive sensor detec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LED or other light emitting device to inform the function of the switch, it is convenient to operate the key when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switch in a dark environment.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제어부에 각 2단 스위치가 독립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어부와 2단 스위치들 간에 배선이 많아져 설계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키패드 어셈블리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each two-stage switch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wiring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two-stage switch increases so that the design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and the size of the keypad assembly is limited in size. There is.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의 2단 스위치를 열과 행 단위로 직렬 어레이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어부와 2단 스위치들 간의 연결 배선을 줄인다.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rial array in units of columns and rows, thereby reducing connection wiring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two-stage switche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R_1, R_2, R_3)과, 복수의 제2 스위칭그룹(C_1, C_2, C_3)과,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keypad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R_1, R_2, and R_3, a plurality of second switching groups C_1, C_2, and C_3, and a controller 180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It includes.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R_1, R_2, ... R_n)에서 각 제1 스위치그룹은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가 결합되어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가지 입력이 가능한 2단 스위치가 열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를 구성한다.In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R_1, R_2, ... R_n), each first switch group includes a capacitive sensor and a dome switch, and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two inputs to a single switch is arranged in a row in a column direction. Configure

제1 열 제1 스위칭그룹(R_1)은 여러 개의 2단 스위치(r_1)가 직렬 연결된다. 특히 각 2단 스위치(r_1)는 제1 PCB 패턴(110)끼리 연결되어 있다.In the first row first switching group R_1,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r_1 are connected in series. In particular, each two-stage switch (r_1) is connected to the first PCB pattern 110.

제2 열 제1 스위칭그룹(R_2)은 여러 개의 2단 스위치(r_2)가 직렬 연결된다. 특히 각 2단 스위치(r_2)는 제1 PCB 패턴(110)끼리 연결되어 있다.In the second row first switching group R_2,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r_2 are connected in series. In particular, each two-stage switch (r_2) is connected to the first PCB pattern (110).

제n 열 제1 스위칭그룹(R_n)은 여러 개의 2단 스위치(r_n)가 직렬 연결된다. 특히 각 2단 스위치(r_n)는 제1 PCB 패턴(110)끼리 연결되어 있다.In the n-th column first switching group R_n,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r_n are connected in series. In particular, each two-stage switch (r_n) is connected to the first PCB pattern (110).

또한, 각 제1 스위치그룹은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각 2단 스위치(10)의 제2 PCB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first switch group outputs an output signal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together.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CB patterns 120 of the respective two-stage switches 10.

또한, 각 제1 스위치그룹은 제어부(180)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each first switch group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0.

한편, 복수의 제2 스위칭그룹(C_1, C_2, ... C_n)에서 각 제2 스위치그룹은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가 결합되어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가지 입력이 가능한 2단 스위치가 행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를 구성한다.Meanwhile, in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ing groups C_1, C_2, ... C_n, each second switch group includes a capacitive sensor and a dome switch, so that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two inputs to one switch is provided in a row direction. Configure a serial array.

제1 행 제2 스위칭그룹(C_1)은 여러 개의 2단 스위치(c_1)가 직렬 연결된다. 특히 각 2단 스위치(c_1)는 제1 PCB 패턴(110)끼리 연결되어 있다.In the first row second switching group C_1,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c_1 are connected in series. In particular, each two-stage switch (c_1) is connected to the first PCB pattern 110.

제2 행 제2 스위칭그룹(C_2)은 여러 개의 2단 스위치(c_2)가 직렬 연결된다. 특히 각 2단 스위치(c_2)는 제1 PCB 패턴(110)끼리 연결되어 있다.In the second row second switching group C_2,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c_2 are connected in series. In particular, each two-stage switch (c_2) is connected to the first PCB pattern (110).

제n 행 제2 스위칭그룹(C_n)은 여러 개의 2단 스위치(c_n)가 직렬 연결된다. 특히 각 2단 스위치(c_n)는 제1 PCB 패턴(110)끼리 연결되어 있다.In the n-th row second switching group C_n,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c_n are connected in series. In particular, each two-stage switch (c_n) is connected to the first PCB pattern 110.

또한, 각 제2 스위치그룹은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각 2단 스위치(10)의 제2 PCB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second switch group outputs an output signal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together.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CB patterns 120 of the respective two-stage switches 10.

또한, 각 제2 스위치그룹은 제어부(180)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each second switch group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0.

한편, 제어부(180)는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R_1, R_2, ... R_n) 및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C_1, C_2, ... C_n)의 출력 신호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is touch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chang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R_1, R_2, ... R_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C_1, C_2, ... C_n) Determine the row and column to which the two-stage switch belongs, and outpu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 and column.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R_1, R_2, ... R_n) 및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C_1, C_2, ... C_n)의 출력 신호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is press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chang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R_1, R_2, ... R_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C_1, C_2, ... C_n). Determine the row and column to which the two-stage switch belongs, and outpu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 and column.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키 버튼을 터치만 한 경우에는 동작 모드를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버튼을 판단하고, 판단된 키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To this end, when the user only touches the key button,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touch mode, determines the row and column to which the two-stage switch touched by the user belongs, and determines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 and column. The button is judged, and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key button is output.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키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강하게 누른 경우에는 동작 모드를 가압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버튼을 판단하고, 판단된 키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키 버튼을 알고 있으므로 별도의 행과 열을 판단하는 과정이 없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키 버튼에 대응하는 가압식 키 버튼을 판단하고 판단된 가입식 키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button strongly while the user touches the key,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pressurization mode, determines the row and column to which the two-stage switch pressed by the user belongs,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row and column.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determined, and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key button is output. At this time, since the key button touched by the user is known, the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ubscribing key button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pressurized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touched by the user without determining a separate row and column.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따라서 제어부(180)는 각 2단 스위치(10)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각 제2 스위치그룹(C_1)(C_2)(C_3)와 각 제1 스위치그룹(R_1)(R_2)(R_3)별로 독립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어부(180)와 2단 스위치들 간의 연결 배선을 대폭 줄일 수 있어 키패드 어셈블리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고 키패드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does not independently connect each two-stage switch 10, but each second switch group C_1 (C_2) (C_3) and each first switch group R_1 (R_2) (R_3). Since they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wiring between the controller 180 and the two-stage switches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design of the keypad assembly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keypad assembly.

이하에서는 제어부(180)가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R_1, R_2, ... R_n) 및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C_1, C_2, ... C_n)의 출력 신호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roller 180 touches the use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chang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R_1, R_2, ... R_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C_1, C_2, ... C_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row and column to which the two-stage switch belongs and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 and colum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키패드 어셈블리를 단순화한 것으로, 4개의 2단 스위치(r_1, r_2, r_3)로 각각 열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를 구성한 3개의 제1 스위치그룹(R_1, R_2, R_3)과, 3개의 2단 스위치(c_1, c_3, c_3)가 각각 행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를 구성한 4개의 제2 스위치그룹(C_1, C_2, C_3, C_4)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simplified view of the keypad assembly shown in FIG. 3, and includes three first switch groups R_1, R_2, and R_3 that form a serial array in a column direction with four two-stage switches r_1, r_2, and r_3, respectively. 3 is a diagram illustrating four second switch groups C_1, C_2, C_3, and C_4 in which a series array is formed in a row direction by three two-stage switches c_1, c_3, and c_3, respectively.

도 4에 도시된 같이, 제1 스위치그룹(R_1, R_2, R_3)은 서로 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스위치그룹(C_1, C_2, C_3, C_4)도 서로 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switch groups R_1, R_2, and R_3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switch groups C_1, C_2, C_3, and C_4 are also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

이때, 한 개의 키 버튼을 구현할 수 있는 2단 스위치는 제1 스위치그룹(R_1, R_2, R_3) 중에서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2단 스위치를 포함함과 함께 제2 스위치그룹(C_1, C_2, C_3, C_4) 중에서 적어도 1개의 2단 스위치를 포함해야 한다. 즉, 키 버튼의 좌표를 알 수 있도록 열 방향으로 배치된 2단 스위치와 행 방향으로 배치된 2단 스위치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한 개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열 방향의 2단 스위치와 행 방향의 2단 스위치가 사용자가 터치하는 최소한의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인근에 배치되어야 한다.In this case, the two-stage switch capable of implementing one key button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among the first switch groups R_1, R_2, and R_3, and the second switch group C_1, C_2, and C_3. , C_4) at least one two-stage switch. That is, the two-stage switch disposed in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wo-stage switch disposed in the row direction should be included so that the coordinates of the key button can be known. In order to satisfy such a condition, the two-stage switch in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wo-stage switch in the row direction corresponding to one key button should be disposed so as to be included in the minimum area touched by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사용자의 임의의 터치 입력에 따른 행과 열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determining a row and a column according to an arbitrary touch input of a user in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가압한 영역(T)에 속한 제1 스위치그룹(R_1)의 2단 스위치가 r_1 이고, 제2 스위치그룹(C_1)의 2단 스위치가 c_1이라면, 제어부(180)는 3개의 제1 스위치그룹(R_1, R_2, R_3)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각 신호를 입력받아 체크하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2단 스위치의 변화로 인해 출력 신호가 변화하는 제1 스위치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제1 스위치그룹(R_1)에 터치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second stage switch of the first switch group R_1 belonging to the region T touched or pressed by the user is r_1 and the second stage switch of the second switch group C_1 is c_1,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input signals of the three first switch groups R_1, R_2, and R_3 sequentially and checks the first switch group in which the output signal changes due to the change of the two-stage switch touched by the user. Can be judged. In this manner, it is recognized that the first column first switch group R_1 is touched.

또한, 제어부(180)는 동일한 방식으로 4개의 제2 스위치그룹(C_1, C_2, C_3,C_4)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각 신호를 입력받아 체크하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2단 스위치의 변화로 인해 출력 신호가 변화하는 제2 스위치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nd checks each signal sequentially for the four second switch groups C_1, C_2, C_3, and C_4 in the same manner,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output signal due to the change of the two-stage switch touched by the use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switch group is chang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사용자의 다른 터치 입력에 따른 행과 열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determining a row and a column according to another touch input of a user in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가압한 영역(T)에 속한 제1 스위치그룹(R_1)의 2단 스위치가 r_1 이고, 제2 스위치그룹(C_4)의 2단 스위치가 c_4임을 인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5, the second stage switch of the first switch group R_1 belonging to the region T touched or pressed by the user is r_1 and the second switch group C_4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second stage switch is c_4.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2단 스위치의 열과 행 별로 그에 대응하는 키 신호값을 보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key signal values corresponding to columns and rows of a two-stage switch in a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속한 2단 스위치의 행과 열을 판단하면,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값을 찾아 그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A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S. 5 and 6,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row and column of the two-stage switch belonging to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80 find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 and column. Outputs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예를 들면, 도 5에서 판단된 열과 행이 r_1과 c_1 이므로, 도 7의 표에서 그에 해당하는 키 신호값인 "Q"를 출력한다.For example, since the columns and rows determined in FIG. 5 are r_1 and c_1,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value “Q” is output from the table of FIG. 7.

또한, 도 6에서 판단된 열과 행이 r_1과 c_4 이므로, 도 7의 표에서 그에 해당하는 키 신호값인 "R"를 출력한다.In addition, since the columns and rows determined in FIG. 6 are r_1 and c_4,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value “R” is output from the table of FIG. 7.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의 2단 스위치를 열과 행 단위로 직렬 어레이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어부와 2단 스위치 간의 연결이 열과 행 단위의 직렬 어레이 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어부와 2단 스위치들 간의 연결 배선을 줄일 수 있어 키패드 어셈블리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고 키패드 어셈블리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two-stage switches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rial array in units of columns and r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two-stage switches is performed in series arrays in units of columns and rows. The reduced wiring between the switches can simplify the design of the keypad assembly and reduce the size of the keypad assembly.

100 : PCB 기판 110 : 제1 PCB 패턴
120 : 제2 PCB 패턴 130 : 도전성 돔형 누름판
140 : 스위치 고정판 150 : 도광판
160 : 케이스 170 : 정전용량센서
180 : 제어부
100: PCB substrate 110: first PCB pattern
120: second PCB pattern 130: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140: switch fixing plate 150: light guide plate
160 case 170: capacitive sensor
180:

Claims (6)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가 결합되어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가지 입력이 가능한 2단 스위치가 열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상기 2단 스위치가 행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의 출력 신호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가압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각각은 상기 제어부에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 각각은 상기 제어부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키패드 어셈블리.
A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in which a capacitive sensor and a dome switch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two inputs to one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in a column direction and outputs output signals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together;
A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in which the two-stage switches are connected in series in a row direction and output the output signals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together;
Determine rows and columns to which a two-stage switch touched or pressed by a user according to output signal changes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and key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s and columns It includes;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에서 하나의 키 버튼은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2단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2단 스위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포함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ne key button in the keypad assembly is implemented by at least one second stage swit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and at least one second stage swit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가압되는 영역 내에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2단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2단 스위치가 위치하도록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ond stage switch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and at least one second stage swit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are positioned in an area touched or pressed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스위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도전성 돔형 누름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의 접촉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이 들 떠 있는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제2 도전성 패턴과, 정전용량센서 감지선을 통하여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돔 스위치 출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돔 스위치 출력선과 상기 정전용량센서 감지선을 시분할하여 사용하고,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에 인체 등의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정전용량 스위치가 동작하고,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에 압력이 가해져서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과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이 접촉하면 상기 돔 스위치가 동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two-stage switch includes a substrate, a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provided on the substrate, a first conductive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a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and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A second conductive pattern disposed on the substrate, a capacitance sensor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through a capacitance sensor sensing line, and a dome switch output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The control unit uses a time division of the dome switch output line and the capacitive sensor detection line,
The capacitive switch is operated by the capacitive sensor when a human body or the lik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ductive dome pressure plate, and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The keypad assembly comprising the oper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스위치가 동작할 때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더 포함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visually or audibly informing when the capacitive switch is in operation.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가 결합되어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가지 입력이 가능한 2단 스위치가 열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상기 2단 스위치가 행 방향으로 직렬 어레이 연결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와 돔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그룹의 출력 신호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가압된 2단 스위치가 속한 행과 열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단 스위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도전성 돔형 누름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의 접촉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이 들 떠 있는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제2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에 발생된 터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2단 스위치를 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정전용량 스위치로 동작시키고,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에 압력이 가해져서 상기 도전성 돔형 누름판과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이 접촉하면 상기 2단 스위치를 상기 돔형 스위치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A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in which a capacitive sensor and a dome switch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two inputs to one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in a column direction and outputs output signals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together;
A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in which the two-stage switches are connected in series in a row direction and output the output signals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the dome switch together;
Determine rows and columns to which a two-stage switch touched or pressed by a user according to output signal changes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groups, and key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ws and columns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two-stage switch includes a substrate, a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provided on the substrate, a first conductive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a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and the conductive dome type pressure plate. A second conductive pattern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 capacitiv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touch generated on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When the touch is sensed by the capacitive sensor,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two-stage switch as a capacitive switch by the capacitive sensor, and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to contact the conductive domed pressure plate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nd operating the two-stage switch as the domed switch.
KR1020100129588A 2010-12-17 2010-12-17 Keypad assembly KR1011676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88A KR101167641B1 (en) 2010-12-17 2010-12-17 Keypad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88A KR101167641B1 (en) 2010-12-17 2010-12-17 Keypad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33A KR20120068133A (en) 2012-06-27
KR101167641B1 true KR101167641B1 (en) 2012-07-20

Family

ID=4668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588A KR101167641B1 (en) 2010-12-17 2010-12-17 Keypad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64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42B1 (en) 2009-03-24 2010-06-03 주식회사 포인칩스 Complex-type input device with touch sensing fea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42B1 (en) 2009-03-24 2010-06-03 주식회사 포인칩스 Complex-type input device with touch sensing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33A (en)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2567C (en) Input device
USRE41443E1 (en) Input device which allows button input operation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the same operation plane
KR101338228B1 (en)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put apparatus
KR100859318B1 (en) Two-stage switch using capacitance sensor and mechanical contactor switch
CN100483584C (en) Keypads with multi-function keys
US20060002203A1 (en) Input device having activating means
CN101098138A (en) Capacitance type switch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CN102203697B (en) Keypad apparatus
CN101179785A (en)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 method including operable keys and prompting key touch
US20180300522A1 (en) Integrated fingerprint and force sensor
KR20090062190A (en) Input/output device for tactile sensation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0764568B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74964B1 (en) Super slim touch keyboard
KR101167641B1 (en) Keypad assembly
KR100960942B1 (en) Complex-type input device with touch sensing features
KR102236945B1 (en) Touch Mouse Module Cooperating Mouse with Touchpad
US20060284741A1 (en) Keypad signal input apparatus
KR20110029246A (en) Complex-type input device with touch sensing features
KR20090019985A (en) Piezo-electric sensing unit
KR200412587Y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61000B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85396A (en) Complex-type input device with touch sensing features
CN205407776U (en) Display device circuit board
KR100670009B1 (en)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KR102110406B1 (en) Force sensor switch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