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396B1 -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396B1
KR101167396B1 KR1020100038993A KR20100038993A KR101167396B1 KR 101167396 B1 KR101167396 B1 KR 101167396B1 KR 1020100038993 A KR1020100038993 A KR 1020100038993A KR 20100038993 A KR20100038993 A KR 20100038993A KR 101167396 B1 KR101167396 B1 KR 10116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loess
yellow
mesh net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346A (ko
Inventor
박정석
Original Assignee
박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석 filed Critical 박정석
Priority to KR102010003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39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9Coating or impregnation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1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토, 모래, 해초물, 화산재, 왕겨의 혼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황토:모래:해초물:화산재:왕겨의 구성비가 10:10:6:1: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황토 혼합물을 적층하는 제 1단계, 상기 적층된 황토 혼합물 상부에 메쉬(mash)망을 적층하는 제 2단계, 상기 메쉬망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황토 혼합물 내로 삽입하는 제 3단계, 상기 메쉬망 상부로 노출된 황토 혼합물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은 후 건조시키는 제 4단계,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4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5단계로써 형성된 황토 적층물의 상면에 표면처리용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제 6단계, 상기 건조된 황토 적층물 상면을 사포로 연마하는 제 7단계 및 상기 연마된 황토 적층물 상면에 코팅용 혼합물을 도포하고 롤러로 롤링한 후 건조시키는 제 8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은, 건조시에 뒤틀림과 균열이 방지되고, 사용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LOESS MIXTURE AND USAGE THEREFOF}
본 발명은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돌, 타일, 매트리스, 시트 제조 및 바닥 시공을 위한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 혼합물은, 황토, 물, 세단한 짚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황토 혼합물의 사용방법은, 상기 황토 혼합물을 일정한 틀에 주입하여 굳히거나 여러 겹으로 바르는 방법으로 주로 벽돌, 타일, 매트리스, 시트 제조 및 바닥 시공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건조시에 수분증발로 수축균열이 발생하여, 벽재 및 바닥재로써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건조시에 뒤틀림이 발생하고, 황토 혼합물을 건조시킨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황토가 묻어 나와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황토 고유의 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심미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축균열이 없는 안전성 높은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성이 우수한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미성이 우수한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은, 황토, 모래, 해초물, 화산재, 왕겨의 혼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황토:모래:해초물:화산재:왕겨의 구성비가 10:10:6:1: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초물은, 해초 1kg 에 물 3말을 혼합하여 끓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은, 황토 혼합물을 적층하는 제 1단계, 상기 적층된 황토 혼합물 상부에 메쉬(mash)망을 적층하는 제 2단계, 상기 메쉬망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황토 혼합물 내로 삽입하는 제 3단계, 상기 메쉬망 상부로 노출된 황토 혼합물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은 후 건조시키는 제 4단계,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4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5단계로써 형성된 황토 적층물의 상면에 표면처리용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제 6단계, 상기 건조된 황토 적층물 상면을 사포로 연마하는 제 7단계 및 상기 연마된 황토 적층물 상면에 코팅용 혼합물을 도포하고 롤러로 롤링한 후 건조시키는 제 8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단계는, 4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8단계는, 3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처리용 혼합물은, 입자 크기 300메쉬 이상의 미세 황토, 해초물, 화산재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팅용 혼합물은, 입자 크기 300메쉬 이상의 미세 황토, 해초물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 혼합물을 적층하고, 그 상부에 메쉬(mash)망을 삽입한다. 상기 메쉬망은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유리 섬유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황토 혼합물의 건조시 황토 혼합물이 수축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적층된 황토 혼합물 상면에는 표면처리용 혼합물이 4층으로 도포된다. 상기 표면처리용 혼합물을 도포함으로써, 황토 적층물의 균열을 2차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메쉬망과 표면처리로 인해 수축균열이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망은 황토 혼합물의 건조시에 뒤틀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용 혼합물이 도포된 상면에는 코팅용 혼합물이 3층으로 도포된다. 상기 코팅용 혼합물은 황토가 외부로 묻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메쉬망이 뒤틀림을 방지하고 상기 코팅용 혼합물이 황토의 묻어남을 방지해 사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코팅용 혼합물에 색소를 첨가할 수 있다. 즉, 색소가 첨가된 코팅용 혼합물을 도포하여 황토색 외에 다양한 색상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에 다양한 색상이 적용되어 심미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인 황토 혼합물(10)은, 황토, 모래, 해초물, 화산재, 왕겨 등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황토의 부피를 기준으로, 상기 모래는 상기 황토와 동일한 부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해초물은 상기 황토의 60%의 부피로 구성되며, 화산재와 왕겨는 각각 상기 황토의 10%의 부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황토:모래:해초물:화산재:왕겨의 구성비는 10:10:6:1:1 로 구성된다. 이때의 구성비는 부피비(체적비)이다.
상기 해초물은, 해초 1kg 에 물 3말을 혼합하여 끓이는 것으로 제조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해초물은 말린 해초 1kg에 물 3말과 혼합하고 끓인 다음, 체로 거르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체로 해초를 끓인 것에서 해초 및 불순물을 걸러내고 용액만을 사용한다. 상기 해초는 다시마, 미역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 해초물은 황토 혼합물(10)에 점성을 더해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산재는 원적외선을 발생하고 항균 및 탈취의 기능을 가지며, 상기 왕겨는 상기 황토 혼합물(10)의 응집력을 높여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황토 혼합물 사용방법은,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황토 혼합물(10)을 적층하는 제 1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황토, 모래, 해초물, 화산재, 왕겨의 구성비(부피비)가 10:10:6:1:1인 황토 혼합물(10)을 적층한다. 상기 황토 혼합물(10)은 약 10mm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단계가 완료되면, 적층된 황토 혼합물(10) 상부에 메쉬(mash)망(20)을 적층하는 제 2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메쉬망(20)은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유리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20)은 황토 혼합물(10)의 건조시에 황토 혼합물(10)이 수축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황토 혼합물(10) 상부에 적층된 메쉬망(2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황토 혼합물(10) 내로 삽입하는 제 3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메쉬망(20)은 상기 황토 혼합물(10)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1mm 가량 삽입되도록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메쉬망(20) 상부로 노출된 황토 혼합물(10)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은 후 건조시키는 제 4단계가 진행된다. 즉, 흙손 등을 이용하여 메쉬망(20) 상부로 노출된 황토 혼합물(10)을 상기 메쉬망(20)의 그물망 틈으로 메워지도록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은 후 건조한다. 이때, 건조는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1주일 동안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메쉬망(20) 상부로 노출된 황토 혼합물(10)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으면, 상기 메쉬망(20)의 그물망 틈으로 황토 혼합물(10)이 메워지면서 상기 혼합물에 상기 메쉬망(20)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황토 혼합물(10)의 건조시에 상기 메쉬망(20)으로 인해 상기 황토 혼합물(10)의 수축과 뒤틀림이 방지되어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4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4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 5단계가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제 1단계 내지 상기 제 4단계를 통해 형성된 황토 적층물의 상부에, 황토 혼합물(10) 및 메쉬망(20)을 적층하는 제 1단계내지 제 4단계가 반복 진행된다. 따라서, '황토 혼합물(10)-메쉬망(20)-황토 혼합물(10)-메쉬망(20)'의 순서로 이중 적층되어, 더욱 견고하고 수축 균열에 강한 안전성 있는 황토 적층물이 형성되게 된다. 단, 상기의 최초의 4단계와 달리, 반복되는 4단계에서의 건조는,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2일 동안 실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 5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5단계로써 형성된 황토 적층물의 상면에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을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제 6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은, 입자 크기 300메쉬 이상의 미세 황토, 해초물, 화산재 등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황토:해초물:화산재의 구성비(부피비)는 1:1: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을 도포함으로써, 황토 적층물의 균열이 2차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은 0.1~0.2mm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단계는, 3시간 간격으로 4회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6단계에서, 황토 적층물 상면에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을 도포하기 전에, 상기 황토 적층물 상면을 흙손 등으로 문질러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작업이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6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건조된 황토 적층물 상면을 사포로 평평하게 연마하는 제 7단계가 진행된다. 즉, 상기 황토 적층물 상면을 사포로 연마시켜 표면을 매끄럽고 평평하게 한다.
상기 제 7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연마된 황토 적층물 상면에 코팅용 혼합물(40)을 도포하고 롤러로 롤링한 후 건조시키는 제 8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코팅용 혼합물(40)은, 입자 크기 300메쉬 이상의 미세 황토, 해초물 등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황토:해초물의 구성비(부피비)는 1: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용 혼합물(40)을 도포함으로써, 황토 적층물의 균열이 3차적으로 방지되고, 황토가 외부로 묻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은 0.1~0.2mm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8단계는, 연속으로 3회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팅용 혼합물(40)에는, 색상을 나타내기 위해 색소가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황토:해초물:색소의 구성비(부피비)는 1:1: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색소는 천연색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용 혼합물(40)에 색소를 추가로 혼합함으로써, 황토색 외에 다양한 색상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심미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메쉬망(20)과,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을 도포한 층 및 코팅용 혼합물(40)을 도포한 층의 두께는 상기 황토 혼합물(10)을 도포한 층의 두께의 1%로 얇게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상기의 메쉬망(20)과,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을 도포한 층 및 코팅용 혼합물(40)을 도포한 층의 두께가 황토 혼합물(10)을 도포한 층의 1% 보다 두껍게 도시되었으나, 이는 상기 메쉬망(20)과,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을 도포한 층 및 코팅용 혼합물(40)을 도포한 층을 도 2의 도면상에서 확인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은, 바닥이나 벽의 시공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 혼합물(10)은, 점성이 높아 벽이나 바닥의 시공시에 접착이 잘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건조로 인한 수축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황토 혼합물 사용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시트 및 매트리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황토 혼합물 사용방법으로 얻어진 황토 적층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벽돌 및 타일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황토 혼합물 20 : 메쉬(mash)망
30 : 표면처리용 혼합물 40 : 코팅용 홉합물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황토 혼합물(10)을 적층하는 제 1단계;
    상기 적층된 황토 혼합물(10) 상부에 메쉬(mash)망(20)을 적층하는 제 2단계;
    상기 메쉬망(2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황토 혼합물(10) 내로 삽입하는 제 3단계;
    상기 메쉬망(20) 상부로 노출된 황토 혼합물(10)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은 후 건조시키는 제 4단계;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4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5단계로써 형성된 황토 적층물의 상면에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을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제 6단계;
    상기 건조된 황토 적층물 상면을 사포로 연마하는 제 7단계; 및
    상기 연마된 황토 적층물 상면에 코팅용 혼합물(40)을 도포하고 롤러로 롤링한 후 건조시키는 제 8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혼합물 사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4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8단계는, 3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혼합물 사용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용 혼합물(30)은,
    300메쉬 이상 크기의 황토 분말 입자로 구성되는 미세 황토, 해초물, 화산재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팅용 혼합물(40)은,
    300메쉬 이상 크기의 황토 분말 입자로 구성되는 미세 황토, 해초물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혼합물 사용방법.
KR1020100038993A 2010-04-27 2010-04-27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 KR10116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93A KR101167396B1 (ko) 2010-04-27 2010-04-27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93A KR101167396B1 (ko) 2010-04-27 2010-04-27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346A KR20110119346A (ko) 2011-11-02
KR101167396B1 true KR101167396B1 (ko) 2012-07-19

Family

ID=4539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993A KR101167396B1 (ko) 2010-04-27 2010-04-27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89B1 (ko) * 2013-04-24 2014-10-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황토 조성물, 황토 건축자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토 건축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346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3321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productos de losas de cemento que tienen propiedades antimicrobianas
KR100709064B1 (ko) 도자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JP6279829B2 (ja) 積層体
KR101040496B1 (ko) 모자이크형 복합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06642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축광을 발생하는 패널제조방법
JP2023058537A (ja) 面材
JP2024050901A (ja) 面材の製造方法
KR100884375B1 (ko) 옻칠을 이용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KR101167396B1 (ko) 황토 혼합물 및 그 사용방법
KR100844845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8145B1 (ko)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CN206737329U (zh) 一种闪光干粒糖果釉陶瓷砖
JPS6317783B2 (ko)
KR20160066961A (ko) 한지 질감의 표면 마감용 천연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장판 바닥 마감 공법
KR100375321B1 (ko) 건축 내장재용 다공성 판넬과 그 제조 방법
JP2004197086A (ja) 装飾性塗材
CN106760286A (zh) 一种新型内墙石膏打底免抹灰结构及其施工工艺
WO2002096824A1 (en) Wall element, as well as covering for walls, wall elements and the like
KR102557506B1 (ko) 생칠을 이용한 건축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CN204715673U (zh) 建筑用环保装饰板
KR101506267B1 (ko) 염전 바닥재용 도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5964B1 (ko)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
KR20110044629A (ko) 조개와 황토를 이용한 황토타일 제조방법
CN108658555A (zh) 隔热防火芯板及其制备方法
KR100833578B1 (ko) 건축용 황토 판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