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603B1 -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603B1
KR101166603B1 KR1020090008739A KR20090008739A KR101166603B1 KR 101166603 B1 KR101166603 B1 KR 101166603B1 KR 1020090008739 A KR1020090008739 A KR 1020090008739A KR 20090008739 A KR20090008739 A KR 20090008739A KR 101166603 B1 KR101166603 B1 KR 10116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amount
sensor
irradiation unit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478A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뱅킹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뱅킹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뱅킹텍
Priority to KR102009000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6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투입된 지폐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이송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지폐의 진폐 여부를 판별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고 진폐 여부를 판별하는 지폐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폐의 일측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1조사부, 상기 지폐의 타측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2조사부. 상기 제 1조사부 또는 제 2조사부에 조사된 자외선량을 검출하는 제 1자외선 센서, 상기 제 1조사부 또는 제 2조사부에 조사된 자외선량을 검출하는 제 2자외선 센서 및 상기 제 1자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상기 제 2자외선 센서에서 측정값이 기준값을 만족할 경우 진폐로 판별하며, 어느 하나의 값이라도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위폐로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폐, 진폐, 자외선 센서, 계수기. 지폐, 감별

Description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FORGERY TESTER PAPER MONEY OF A COUNTING MACHINE USING DUAL UV SENSOR}
본 발명은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UV(자외선)을 조사하여 위폐 또는 진폐를 효과적으로 감별하기 위한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계수장치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지폐 뿐만 아니라 수표 등과 같은 유가증권을 계수하는데 있어 은행, 보험사 등과 같은 금융권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계수장치(10)는 일반적으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지폐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와, 공급된 지폐를 이송하는 급지 롤러와, 공급 롤러와 급지 롤러에 의해 공급된 지폐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롤러와, 공급 롤러, 급지 롤러 및 반출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이와 같은 롤러를 통해 이송된 지폐를 계수하는 이송수단과, 이송된 지폐를 카운터 하는 계수수 단, 조작부, 표시부 등으로 구성되어 지폐를 계수한다.
또한, 발광 및 수광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이송되는 지폐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지폐의 두께를 측정하며,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마그네틱센서, 다수의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크기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지폐의 위폐여부를 감지한다.
최근에는 산업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복사기, 칼라 프린터, 스캐너 등 인쇄장치를 이용해 간단하게 위조 지폐를 제작하는 악의적인 행위들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지폐 계수장치에는 필수적으로 위폐를 검출하기 위한 기능이 설치되어야 한다.
위폐 검출기능을 수행하는 자외선(UV : Ultra Violet) 센서는 이송되는 지폐 일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위폐 여부를 감지한다. 지폐는 통상 면섬유(목화지)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위조된 지폐 재질들과는 자외선 흡수량에서 차이가 난다. 이에 따라 지폐 계수장치는 자외선 센서를 통해 지폐의 위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검출은 지폐의 일면으로만 자외선을 조사하고 그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자외선량)을 통해 위폐여부를 감지하지만, 지폐의 미세한 면섬유 조직형태에 따라 자외선량이 달리 측정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위폐의 오검출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액 화폐가 발행될 예정으로 위조지폐 발행의 위험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위폐 감별이 가능한 지폐 계수기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외선 센서를 복수개 구비하여 위폐의 검출 정확성을 한층 더 높여 신속하고 정확한 위폐검출 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폐의 종류에 따라 자외선의 반사량 또는 투과량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적용성을 확대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된 지폐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이송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지폐의 진폐 여부를 판별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고 진폐 여부를 판별하는 지폐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폐의 일측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1조사부, 상기 지폐의 타측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2조사부. 상기 제 1조사부 또는 제 2조사부에 조사된 자외선량을 검출하는 제 1자외선 센서, 상기 제 1조사부 또는 제 2조사부에 조사된 자외선량을 검출하는 제 2자외선 센서 및 상기 제 1자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상기 제 2자외선 센서에서 측정값이 기준값을 만족할 경우 진폐로 판별하며, 어느 하나의 값이라도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위폐로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자외선 센서는, 상기 제 1, 2조사부에 조사된 자외선의 투과량 또는 반사량을 측정하여 위폐여부를 검출하며, 투과량 또는 반사량 측정을 선택하는 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조사부는, LED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자외선 센서는, 제 1조사부가 조사한 자외선을 통해 흡수량을 검출하고, 제 2조사부가 조사한 자외선의 반사량을 동시에 측정하며, 상기 제 2자외선 센서는, 제 2조사부가 조사한 자외선을 통해 흡수량을 검출하고, 제 1조사부가 조사한 자외선의 반사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위폐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조사부와 제 2자외선 센서 및 제 2조사부와 제 1자외선 센서간에 간격 조절을 위한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자외선 투과량 또는 흡수량을 통해 위폐 여부를 검출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위폐 검출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구비함에 따라 투과량과 흡수량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지폐의 양면에서 검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위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국마다 다른 특성을 가지는 지폐를 위폐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폐 제작 특성상 양면이 각각 위폐/진폐로 위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복 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2조사부와 제 1, 2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자외선 투과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2조사부와 제 1, 2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자외선 반사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100)는 투입된 지폐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10)과 이송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120)과 지폐의 진폐 여부를 판별하는 감지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고 진폐 여부를 판별하는 지폐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300)은, 상기 지폐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1, 2조사부(310, 330)와, 상기 제 1, 2조사부에 조사된 자외선의 반사량 또는 투과량을 검출하는 제 1, 2자외선 센서(320, 340) 및 상기 제 1자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상기 제 2자외선 센서에서 측정값이 기준값을 만족할 경우 진폐로 판별하며, 어느 하나의 값이라도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위폐로 판별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지폐 계수기(100)의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 지는 않았지만, 이송수단(110)은 놓여진 지폐를 계수하기 위하여 지폐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투입부에 놓여진 지폐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와, 공급된 지폐를 이송하는 급지 롤러 및 공급 롤러와 급지 롤러에 의해 공급된 지폐를 반출시키는 반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최종적으로 배출부에 배출된다.
계수수단(120)은 이송수단에 의해 공급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해 카운터 센서 등과 같은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지폐 장수를 계수한다. 사용자가 다량의 지폐들을 투입부에 위치시키고 조작부(130)를 통해 계수 명령을 실행하면 상기 이송수단(110)에 의해 각장씩 내부로 이송되면서 상기 계수수단에 의해 다량의 지폐를 계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폐 계수기(100)는 계수된 지폐의 수나 조작부(130)를 통한 계수 환경설정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40)가 LCD패널 또는 세븐세그먼트 등의 표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며, 조작부에 의한 환경 설정, 계수 누적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50)가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00)는 기본적으로 조작부(130) 조작에 따라 지폐 계수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검출된 값에 따라 메모리(150)를 참조하여 위폐 여부를 판별하거나 권종을 판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150)에는 각국의 지폐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지폐 정보를 입력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지폐에 대한 정보 데이터란, 기준 자외선 흡수량, 마그네틱의 유무, 지폐의 크기, 컬러 정보, 이미지 정보, 은선(security thread) 정보 등을 포함한 다.
감지수단(300)은 지폐를 계수할 때 진폐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감지수단에는 현재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며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지폐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사이즈 센서, 지폐의 컬러를 검출하는 컬러센서, 은선(secuurity thread)을 감지하는 은선 센서, 마그네틱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요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자외선의 투과량이나 반사량을 검출하기 위해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다.
자외선 센서는 지폐의 일면과 반대면에 각각 제 1자외선 센서(320)와 제 2자외선 센서(340)가 구비되며, 이에 각각 대응하게 자외선을 조사시켜는 주는 제 1조사부(310)와 제 2조사부(330)가 설치된다.
제 1, 2자외선 센서(320)는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투과량 또는 반사량을 통해 위폐 여부를 검출한다. 지폐는 빛의 파장대역 중 단파장의 빛에 대한 반사율이 높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자외선 센서를 통해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광량을 측정하여 지폐에 함유된 형광물질 및 지질을 분석하여 위폐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타국의 지폐(예 : 달러)의 경우 자외선에 대한 반사율보다는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각각 다른 지폐의 특성에 따라 자외선의 투과량이 반사량을 측정하게 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조사부는 자외선 영역대의 빛을 조사하는 LED로 구성되고, 자외선 센서는 상기 조사부에서 발광된 빛을 감지하여 자외선 레벨을 감지하는 수 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수단(110)에 의해 공급되는 지폐가 통과하는 통과부(350)의 양측이 제 1,2 조사부(310, 330)와 제 1, 2자외선 센서(320, 340)에 의해 지폐에 조사된 자외선의 투과량 또는 반사량을 측정한다.
자외선 측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투과량 측정값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 1조사부에 조사된 자외선이 지폐의 일면에서 투과하면 반대면에 설치된 제 1자외선 센서(320)가 투과량을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제 2조사부(330)에서 조사된 자외선은 지폐의 반대면에서 투과하면 제 2자외선 센서(340)에 의해 투과량을 측정하여 기준값 즉, 자외선레벨이 기준치 이하이면 위폐로 판단한다.
이때 제 1검사부는 제 1조사부와 제 1자외선 센서에 해당하며, 제 2검사부는 제 2조사부와 제 2자외선 센서에 해당한다.
자외선 검출을 위한 상기 감지수단(300)은 각각 엇갈린 위치에 설치된다. 일측면으로는 제 1조사부와 제 2자외선 센서가 설치되고, 타측면으로는 제 2조사부와 제 1자외선 센서가 설치된다.
이것은 투과량과 더불어 반사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에 조사된 자외선의 반사량을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제 1조사부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지폐에서 다시 반사되며 제 2자외선 센서(340)가 측정하며, 제 2조사부에서 조사된 자외선의 반사량은 제 1자외선 센서(320)가 측정한다.
이때에는 투과량을 측정하는 것과 다르게 제 1검사부(제 1조사부와 제 2자외선 센서)가 우선적으로 검사를 실시한 후 제 2검사부(제 2조사부와 제 1자외선 센 서)가 동작하도록 구현한다. 또한, 반사율 획득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동수단(220)이 구비되어 제 1조사부와 제 2자외선 센서 및 제 2조사부와 제 1자외선 센서의 간격을 좁힌 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다.
따라서 지폐의 종류에 따라 투과량이나 반사량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위폐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지폐의 양면에서 각각 실시하기 때문에 한층 더 높은 검출력을 달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과량 또는 반사량을 측정을 결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드전환부(21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드전환부(21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부를 통해 선택하거나, 첫번째 계수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투과량 또는 반사량이 극히 미세할 경우 즉, 투과량 또는 반사량이 기준치를 크게 못 미칠 경우 그에 따른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투과량이 미세할 경우에는 반사량 측정 모드로 전환하며, 반사량이 미세할 경우 투과량 측정 모드로 전환한다.
그럼으로 지폐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지폐의 특성에 따라 반사량 또는 투과량을 측정하여 위폐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구비함에 따라 지폐의 종류에 따라 투과량 또는 반사량을 측정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양면에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지폐의 미세조직 차이로 인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 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폐 계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2조사부와 제 1, 2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자외선 투과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2조사부와 제 1, 2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자외선 반사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폐 계수기 110 : 이송수단
120 : 계수수단 130 : 조작부
140 : 표시부 150 : 메모리
200 : 제어부 210 : 모드전환부
220 : 구동수단 300 : 감지수단
310 : 제 1조사부 320 : 제 1자외선 센서
330 : 제 2조사부 340 : 제 2자외선 센서
350 : 통과부

Claims (5)

  1. 투입된 지폐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이송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지폐의 진폐 여부를 판별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고 진폐 여부를 판별하는 지폐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폐의 일측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1조사부;
    상기 지폐의 타측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2조사부;
    상기 제 1조사부 또는 제 2조사부에서 조사된 자외선량을 검출하는 제 1자외선 센서;
    상기 제 1조사부 또는 제 2조사부에서 조사된 자외선량을 검출하는 제 2자외선 센서; 및
    상기 제 1자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상기 제 2자외선 센서에서 측정값이 기준값을 만족할 경우 진폐로 판별하며, 어느 하나의 값이라도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위폐로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자외선 센서는, 제 1조사부가 조사한 자외선을 통해 흡수량을 검출하고, 제 2조사부가 조사한 자외선의 반사량을 동시에 측정하며,
    상기 제 2자외선 센서는, 제 2조사부가 조사한 자외선을 통해 흡수량을 검출하고, 제 1조사부가 조사한 자외선의 반사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위폐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자외선 센서는,
    상기 제 1, 2조사부에서 조사된 자외선의 투과량 또는 반사량을 측정하여 위폐여부를 검출하며,
    투과량 또는 반사량 측정을 선택하는 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조사부는,
    LED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사부와 제 2자외선 센서 및 제 2조사부와 제 1자외선 센서간에 간격 조절을 위한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KR1020090008739A 2009-02-04 2009-02-04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KR101166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739A KR101166603B1 (ko) 2009-02-04 2009-02-04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739A KR101166603B1 (ko) 2009-02-04 2009-02-04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478A KR20100089478A (ko) 2010-08-12
KR101166603B1 true KR101166603B1 (ko) 2012-07-18

Family

ID=4275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739A KR101166603B1 (ko) 2009-02-04 2009-02-04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43B1 (ko) * 2014-02-21 2014-09-12 (주)하소인텍 위조 신분증 감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식방법
KR101591596B1 (ko) * 2014-06-30 2016-02-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감별 장치 및 매체 감별 방법
KR101673532B1 (ko) * 2015-02-25 2016-11-07 (주)티비엠 지폐 계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909A (ja) * 1999-03-17 2000-09-26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Japan 真偽判別可能な貴重印刷物
JP2002230618A (ja) * 2001-01-30 2002-08-16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判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909A (ja) * 1999-03-17 2000-09-26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Japan 真偽判別可能な貴重印刷物
JP2002230618A (ja) * 2001-01-30 2002-08-16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判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478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211B2 (ja) 有価紙葉の光学的特徴を検出する光学センサ装置
US5420406A (en) Bill validator with bar code detector
US8854186B2 (en) Sheet-of-paper processing device
US8313100B2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with redetection process and method of conveying paper sheet
EP1997079B1 (en) Banknote acceptor with visual checking
US8973730B2 (en) Bank notes handling apparatus
EP1378868A2 (en) Document authenticating apparatus and method
EP2959461B1 (en) System to process a valuable document
EP3447740A1 (en) Invisible-feature detection device, sheet recognition device, sheet handling device, print inspection device, and invisible-feature detection method
KR101166603B1 (ko)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KR200394238Y1 (ko) 지폐 계수 겸용 고속 스캐너
EP3509041B1 (en) Paper sheet sensing device
KR100812254B1 (ko) 지폐 감별기
KR100613423B1 (ko) 지폐 계수기
WO2015019696A1 (ja) 紙葉類取扱装置
KR200394059Y1 (ko) 지폐 계수기
KR100857880B1 (ko) 자성잉크 유무를 검출하는 지폐 계수장치
EP3291186B1 (en) A bank note handling machine
EP1336163A1 (en) Document handling apparatus
CN202373015U (zh) 一种激光点钞机
KR20050111684A (ko)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및 위폐감별 지폐계수 분류장치
RU1589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роверки наличия на банкнотах защитных антистоксовых меток (спецэлемент и)
KR101037696B1 (ko) 은선감지장치의 제어방법
JP2009020707A (ja) 紙葉類識別装置
KR20010090050A (ko) 소형 자외선 발광램프와 청색 컬러센서를 이용한 위조지폐감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