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141B1 - Ground anchoring apparatus of post for decking and other structural installations - Google Patents
Ground anchoring apparatus of post for decking and other structural installatio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6141B1 KR101166141B1 KR1020090128183A KR20090128183A KR101166141B1 KR 101166141 B1 KR101166141 B1 KR 101166141B1 KR 1020090128183 A KR1020090128183 A KR 1020090128183A KR 20090128183 A KR20090128183 A KR 20090128183A KR 101166141 B1 KR101166141 B1 KR 1011661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ground
- gravity
- fixing device
- ground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에 매입되는 지중매입부와, 이러한 지중매입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기둥이 삽입되는 기둥삽입부를 포함하는 그라운드 앵커를 구비하되,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는, 지중매입부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끝이 가늘어지는 깔대기 형상의 단부결착구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ound anchor including an underground embedded portion embedded in the ground, and a pillar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underground embedded portion and into which the pillar is inserted, and the ground anchor accommodates the free end of the underground embedded portion.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be coupled, and a ground fixing device for the pillar for structure installation is further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funnel-shaped end binding port having an end taper toward the gravity direction.
이러한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에 의하면, 지중매입부의 자유단과 결합하는 단부결착구는 주위의 토양 등과 결합하여 그라운드 앵커가 지중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고 내구력 있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한 하부의 토양을 압축하는 하중분배판의 압축력에 의해 데크(Decks)와 같은 구조물의 설치에 필요한 기초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ground fixing device of the pillar for installing the structure, the end binding port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s coupled to the surrounding soil and the like so that the ground anchor can be fixed firmly and durable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In addition,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load distribution plate, which compresses the soil underneath, can provide a sufficient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structures such as decks.
앵커, 데크, 하중분배판, 단부결착구 Anchor, deck, load distribution plate, end clos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크(Decks), 간이창고 등과 같은 경량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내구력을 가진 기둥을 지면(地面)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그라운드(Ground)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필요로 하던 기둥 설치용 구멍, 콘크리트 또는 비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지지해줄 수 있는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데크, 창고, 계단 등의 기초(Foundations)는 땅을 파고, 그 곳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은 후, 그 위에 기둥을 설치함으로써 완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초 형성방법은 기초의 내구력 측면에서는 효과적이긴 하지만 시간을 많이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기초가 동결에 의하여 융기되거나 침하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깊이와 넓이로 설치해야 하는 추가적인 조치를 필요로 한다. In general, foundations such as decks, warehouses, and stairs are completed by digging, filling concrete in them, and then installing columns on them. However, this method of forming the foundation, although effective in terms of durability of the foundation has a disadvantage that it consumes a lot of time. In addition, additional measures must be taken to ensure sufficient depth and width to protect the foundations from rising or sinking by freezing.
위와 같이 기초를 형성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상(地上)에 시멘트 블록을 설치하여 데크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술이 공개되었다. 이 러한 기술로는, 일례로서 기초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둥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형성된 시멘트 블록에 제공하는데, 이러한 내용은 미국특허 US5,392,575, US5,953,874, US6,609,346 등에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at occur in forming the foundation 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for supporting the deck structure by installing a cement block on the ground (地上) has been disclosed. Such a technique is provided as an example in a cement block in which a space for installation of a pillar is formed to form a foundation, which is disclosed in US Pat. Nos. 5,392,575, 5,953,874, 6,609,346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시멘트 블록을 이용한 기초의 형성기술은 데크의 기둥이 시멘트 기초에 가해지는 중력에 의존하게 되며, 이것은 바람이나 기타 환경요소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que of forming the foundation using the cement block depends on the gravity of the pillars of the deck applied to the cement foundation, which may occur from the ground by wind or other environmental factors.
즉, 데크 블록이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상황이나 움직이는 상황을 막아줄 안전수단이 없으며, 기둥에 가해지는 횡 하중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없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경사 버팀목 등이 필요하다. 이것은 결국 추가적인 비용과 노동력을 발생시키는 한계를 갖고 있다.That is, there is no safety means to prevent the deck block from slipping or moving in the ground, and because there is no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lateral load applied to the column, there is a need for an inclination shoring to solve this problem. This, in turn, has the limitation of generating additional costs and labo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둥 설치용 구멍, 콘크리트 또는 비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지지해줄 수 있으며, 기둥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해주는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support the ve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without using a pillar mounting hole, concrete or scaffolding, and the like for the installation of a structure that firmly supports the pillar from falling off the grou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round anchor for the colum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입되는 지중매입부와, 상기 지중매입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기둥이 삽입되는 기둥삽입부를 포함하는 그라운드 앵커를 구비하되, 상기 그라운드 앵커는, 상기 지중매입부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끝이 가늘어지는 깔대기 형상의 단부결착구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ground anchor including a ground embedded portion embedded in the ground, and a pillar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nderground embedded portion and the pillar is inserted, the ground anchor, An accommodation groove is formed to receive and engage the free end of the underground embedding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funnel-shaped end binding port having an end taper toward the gravity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ground fixing device for the pillar for structure installation.
상기 지중매입부의 자유단은 상기 단부결착구의 수용홈 바닥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단부결착구의 수용홈의 내벽과 상기 지중매입부와의 사이에는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중매입부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결착구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 절곡되고 상기 돌출부와 용접 결합하여 상기 틈새를 복수로 구획하는 복수의 요부와, 인접하는 상기 요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부결착구는 상기 산부로부터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중매입부의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ree end of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s weld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end fastener,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end fastener and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In addition,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the end fasteners, a plurality of recesses which are bent to the end of the protrusions and welded to the protrusions to partition the gap into a plurality, and the adjacent recesse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untains connecting the. Furthermore, the end fasten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art which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from the peak portion and surrounds a portion of the underground buried part spaced apart.
상기 지중매입부는, 지중에 매입된 상태에서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여 지중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력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The ground buried portion, the ground fixed to the pillar for installing the structure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on means disposed at least on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o prevent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by resisting the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gravity direction in the state buried in the ground Provide the device.
상기 지중매입부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일부가 분리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중력방향의 반대방향 벌어져서 상기 돌출부로부터 멀어지는 분리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편은 상기 각 돌출부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편이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진 각도는 10 ° ~ 1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편의 자유단과 상기 돌출부의 일면 사이의 최대 이격거리는 3 ~ 8mm일 수 있다.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y be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protrusion and extended outward, and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protrus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Here, the separating pieces may be disposed in plural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in each of the protrusions. In addition, the separation angle of the separation piece from the outside of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may be 10 ° ~ 15 °. In addition,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ee end of the separation piece and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may be 3 ~ 8mm.
대안으로서, 상기 지중매입부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에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홈을 형성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지중매입부의 중심 쪽으로 갈수록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걸림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각 돌출부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의 상단부가 기울어진 각도는 155 ° ~ 175 °이고, 상기 걸림턱의 하단부가 기울어진 각도는 99 ° ~ 119 °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is provided by forming a groove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y direction at the free end of the protrusio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underground buried It may be a locking jaw inclined toward the center toward the center of the negative. Here, the locking jaw may be disposed in a plurality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in each of the protrusions.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step relative to the axis of the pillar may be 155 ° ~ 175 °,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jaw may be 99 ° ~ 119 °.
다른 대안으로, 상기 지중매입부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양 측단이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의 각 대향면에 결합하고,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중매입부의 중심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역마름모의 형상을 갖는 이탈방지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판은 각 돌출부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the detachment preventing means is disposed such that both side ends thereof are coupled to respective opposing surfaces of the adjacent protrusions, and ar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toward the gravity direction. It can be a departure prevention plate having the shape of a reverse rhombus. Here,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may be disposed in a plurality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in each protrusion.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지중매입부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각 돌출부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alternative,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y be through holes formed through the protrusions. Here, the through holes may be disposed in plural in each of the protrusions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지중매입부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 부위가 중력방향을 따라 물결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일 수도 있다. As another alternative,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n-like protrusions,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y be a bent portion in which the free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is curved in a wavy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지중매입부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 부위에 요철을 만들기 위하여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 돌출부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As another alternative,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y be a stepped portion formed with a step to make an unevenness at the free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Here, the protrusions may be arranged in plural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in each of the protrusions.
한편 상기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는, 그 상부면이 상기 기둥삽입부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중매입부가 수용되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수용홀이 형성된 하중분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ground fixing device of the pillar for installing th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load distribution plate having a receiving hole formed in a size and shape through which the underground embedding portion is accommodated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contacts the bottom of the pillar insertion portion. can do.
상기 하중분배판은, 볼록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응하여 오목한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ad distribution plate may include a convex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concav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상기 기둥삽입부는, 그 바닥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삽입부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중분배판은 상기 삽입부경사면에 상보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바닥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분배판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ar inser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the gravity direction from the bottom thereof to the inside, and the load distribution plate is inclined inward from the bottom thereof so as to complementarily correspond to the insertion portion inclined surface. It may further comprise a jin distribution plate slope.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에 의하면, 지중매입부의 자유단과 결합하는 단부결착구가 주위의 토양 등과 결합하여 그라운드 앵커가 지중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According to the ground fixing device of the pillar for the structur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fastener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is coupled to the surrounding soil, etc., so that the ground anchor is firmly fixed to the ground.
또한 하부의 토양을 압축하는 하중분배판의 압축력에 의해 데크(Decks)와 같은 구조물의 설치에 필요한 기초를 충분히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load distribution plate that compresses the underlying soil provides a sufficient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structures such as decks.
더욱이 그라운드 앵커는 지중매입부에 구비된 이탈방지수단에 의해 지중에서 이탈되지 않고 더욱 내구력 있게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anchor can be fixed more durabl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provided in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ground anchor and the load distribu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ground anchor and the load distribution plate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데크 또는 창고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100)는 그라운드 앵커(10)를 구비한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10)는 지중에 매입되는 지중매입부(12)와, 이러한 지중매입부(12)의 상측에 결합되고 기둥(16)이 삽입되는 기둥삽입부(1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illar ground
또한 상기 그라운드 고정장치(100)는 상기 그라운드 앵커(10)와 결합할 수 있는 하중분배판(1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분배판(102)에는, 상기 그라운드 앵커(10)의 지중매입부(12)가 수용되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수용홀(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홀(104)을 통해 수용되어 통과한 기둥삽입부(14)의 바닥은 상기 하중분배판(102)의 상부면(106)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접촉된 기둥삽입부(14)의 바닥과 하중분배판(102)의 상부면(106)은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그라운드 앵커의 실시예들이다.3A and 3B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ground anchor shown in FIGS. 1 and 2.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그라운드 앵커(10)는 지중매입부(12)와, 기둥삽입 부(14)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삽입부(14)에 삽입된 기둥(16)은 지층의 상부에서 데크나 창고 등과 같은 경량 구조물의 수직하중 지지를 위해 사용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기둥삽입부(14)가 정방형의 횡단면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삽입되는 기둥(16)에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의 적합한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즉, 기둥삽입부(14)의 횡단면은, 그 안에 삽입될 기둥(16)의 횡단면과 크기와 모양이 대략적으로 같은(일반적으론 미세하게 더 큰) 크기와 모양을 가지게 된다. 기둥삽입부(14)의 다른 적합한 횡단면의 예로는 사각형과 원형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삽입부(14)는 철재, 알루미늄재, 목재, 플라스틱재, 합성물질재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크기와 모양도 다양한 기둥(16)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될 기둥(16)은 일반적으로 상기 기둥삽입부(14)보다 작으며, 기둥삽입부(14)의 상단부(18)의 크기에 가깝거나 일치해야 한다. 상기 기둥(16)은, 미세하지만 크게 형성된 기둥삽입부(14)의 상단부(18)로 삽입되고, 기둥삽입부(14)의 바닥(20)에 얹히도록 수용부(30)를 통해 멈출 때까지 삽입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삽입부(14)는 내부로 돌출된 복수의 인각(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로"라는 의미는 기둥삽입부(14)의 안쪽 방향을 말한다. 상기 인각들(22)은 기둥삽입부(14)의 수용부(30)에 삽입된 기둥(16)의 바깥쪽 표면과 맞닿게 된다. 이러한 인각들(22)은 기둥(16)이 그라운드 앵커(10)의 축선 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인각들(22)은 기둥(16)이 기둥삽입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기둥삽입부(14)와 기둥(16)의 연결은 기둥(16)이 보다 넓은 기둥삽입부(14)의 상단부(18)에 삽입될 때 시작되는데, 상기 기둥(16)은 기둥삽입부(14)로 더 깊이 삽입됨으로서 물리적으로 인각(22)과 연결된다. 상기 기둥삽입부(14)의 수용부(30)로 기둥(16)을 삽입하는 동안, 인각(22)에 의해 상기 기둥(16)의 외부 표면은 변형되거나 또는 흠이 발생하기도 한다.As shown in FIG. 3A, the
상기 인각들(22)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삽입되는 기둥(16)의 외부 표면과 맞닿게 내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형태이면, 인각(22)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인각들(22)은 기둥삽입부(14)에 판금 성형을 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내부로 돌출된 인각들(22)은 둥근 주변모서리(33)와, 접촉면을(35)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적 외형은 기둥(16)의 표면에 대못이나 기타 구조물을 사용하기 위한 물리적 구멍을 만들지 않고도 기둥(16)을 죄어줄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이 때문에 안전하게 기둥(16)을 유지하고 지탱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그라운드 앵커(10)에 충격을 주지 않고도 기둥(16)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외형이 더욱 유리한 것은 압축용 덮개나 기둥에 남아 있게 될 수 있는 쐐기류의 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은 설치에 필요한 부속품의 숫자를 줄여주는 장점을 갖는다. The
도 3b에서는 다른 안전성 확보 수단인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관통홀(34)을 통해 설치되는 나사못의 사용이 유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인각들(22)을 제외한 구조 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In FIG. 3B, a structure other than the
한편, 상기 지중매입부(12)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느러미형 돌출부(24)는 그 하부(26)가 자유단(28)에 이를 때까지 점점 가늘어진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형상은 지중매입부(12)가 지중에 용이하게 매입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On the other hand, the underground buri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라운드 앵커(10)는, 상기 지중매입부(12)의 자유단(28)을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의 단부결착구(7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부결착구(70)에는 상기 지중매입부(12)의 자유단(28)에 대향하여 수용홈(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부결착구(70)는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즉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져서 지중에 용이하게 매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3, the
상기 지중매입부(12)의 자유단(28)은 상기 단부결착구(70)의 수용홈(71) 바닥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단부결착구(70)에 형성된 수용홈(71)의 내벽과 지중매입부(12)와의 사이에는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는 틈새(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결착구(70)는 지중매입부(12)를 지중에 매입할 때에는 큰 저항력을 발생하지 않지만,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토양과 함께 큰 저항력을 발생한다. 즉, 상기 틈새(t)에는 주위의 토양이 채워지고, 이러한 토양에 의해 작용하는 압축력은 상기 그라운드 앵커(10)의 지중매입부(12)가 지중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또한 상기 단부결착구(70)는, 교대로 반복하는 복수의 요부(73)와 산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부(73)는, 상기 지중매입부(12)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단부로 절곡되고 상기 돌출부(24)와 용접 결합된 부분으로서, 상기 단부결착구(70)와 지중매입부(12)의 돌출부(24) 사이에 형성된 틈새(72)를 복수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산부(74)는 상기 요부들(73)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돌출부(24)와 용접 결합된 요부(73)에 의해 상기 단부결착구(70)는 지중매입부(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단부결착구(70)는 상기 산부(74)로부터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중매입부(12)의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는 연장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75)로 인하여 주위 토양과 결속되는 부피 및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 지중매입부(12)에 더 큰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서 기둥삽입부의 일부를 잘라낸 부분 단면 사시도들이다.4A and 4B are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cut out a portion of the pillar insertion unit in FIGS. 3A and 3B.
도면을 참조하면, 도 4a에서는 인각들(22)이 기둥삽입부(14)의 모든 4면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인각들(22)은 기둥삽입부(14)의 상단부(18)와 바닥(20) 부분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각들(22)의 위치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기둥삽입부(14)의 수용부(30)는 기둥(16)에 통상적으로 적합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기둥(16)은 수용부(30)에 삽입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FIG. 4A, the
상기 인각들(22)에 형성된 구멍(32)은 나사못(미도시)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여기서 나사못들은 기둥삽입부(14)에 삽입된 기둥(16)이 확실하게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기둥(16)을 잡아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각들(22)이 기둥삽입부(14)의 외부 표면에 역침하 방지력을 만듦으로써, 설치후 삽입된 나사못이 기둥삽입부(14)의 외부표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기둥(16)과 연결한 나사못을 단단하게 조이며, 인각들(22)이 내부 쪽으로 더 많은 인장력을 발생해서, 삽입된 기둥(16)의 외부 표면에 더 많은 물림력을 발생한다. A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삽입부(14)의 일면 또는 그 이상의 면에는 다른 형태의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홀(34)은 접착제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출입구의 역할을 한다. 설치자는 관통홀(34)을 통해 기둥삽입부(14)의 수용부(30)에 점착성 물질을 넣을 수 있다. 더욱 유리한 점은 기둥(16)을 수용부(30)를 통해 삽입한 후에도 이러한 관통홀(34)을 통해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접착제는 내부로 확장된 인각들(22)에 의해 만들어진 기둥(16)의 외부 표면과 기둥삽입부(14)의 내부표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게 된다. 건조 또는 양생된 접착제는 기둥삽입부(14) 내에 설치된 기둥(16)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지금까지는 상기 기둥삽입부(14) 내에 삽입된 기둥(16)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둥(16)에 연결되는 대체제 또는 부가제로서, 볼트나 나사못의 부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포함하여 설명하였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one or more surfaces of the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및 도 3b에서 지중매입부와 기둥삽입부의 결합부위 의 일부를 잘라낸 부분 단면 사시도들이다.5A and 5B are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of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nderground insertion portion and the pillar insertion portion in FIGS. 3A and 3B.
도면을 참조하면, 원형의 철선 재료로 만들어진 드라이브 핀(40)이, 지상매입부(12)의 두 인접한 지느러미형 돌출부(24) 사이의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브 핀(40)의 상부면(42)은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상단면(4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드라이브 핀(40)은 지느러미형 돌출부(44)의 횡단면에서 중앙부에 가까운 모서리의 맞닿는 위치에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드라이브 핀(40)은 다양한 단면과 크기로 만들 수 있지만, 설치되는 위치는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모서리 상단면(44)과 거의 동일 평면이다. 상기 드라이브 핀(40)은 그라운드 앵커(10)가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넓은 면을 넘어서 더 깊게 삽입될 때 그 힘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삽입 장비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상단면(44) 모서리 또는 그 가까이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핀(40)은 그라운드 앵커(10)를 지중에 삽입하여 설치를 하는 동안 삽입 장비의 타격에 의해 심각하게 구겨질 수 있는 지느러미형 돌출부(24)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용접에 의한 상기 드라이브 핀(40)의 접합 장소는,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상단면(44) 모서리에 가까운 곳일 수로 더 안전하다. 속이 꽉 찬 철선재의 드라이브 핀(40)이 바람직하지만, 속이 빈 관형의 드라이브 핀도 대안으로서 가능하다. Referring to the figure, a
도 6은 도 3a의 평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드라이브 핀(40)의 또 다른 대안으로는 두 인접한 지느러미형 돌출부(24)간의 대각선 방향으로 확장된 철판 형태의 드라이브 핀(4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도 철판 형태의 드라이브 핀(40')의 상단면은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상단면(44)과 거의 같은 평면상에 위치해야 한다. FIG. 6 is a plan view of FIG. 3A. Referring to the drawings, another alternative to the
도 7은 그라운드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und anchor.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1 to 6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nd thus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을 참조하면, 그라운드 앵커(10)의 기둥삽입부(14)는 내부로 돌출된 형태의 직선형 인각들(52)을 포함한다. 이러한 직선형 인각들(52)은 기둥삽입부(14)의 바닥(20)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상기 직선형 인각(52)의 바람직한 구현 형태는, 직선형 인각(52)이 바닥(20) 쪽으로 갈수록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높이가 증가함으로써, 내부로 돌출하는 각진 형태를 갖는 것이다. 상기 직선형 인각(52)은 기둥삽입부(14)의 수용부(30)로 삽입되는 기둥(16)의 외부 표면과 맞닿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진 상기 직선형 인각(52)은 기둥(16)이 수용부(30)를 통해 삽입될수록 더 견고하게 맞닿는 죔쇠의 형태로 만든다. 그럼으로써, 직선형 인각(52)은 계속되는 삽입 공정 중에 기둥삽입부(14)에서 기둥(1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수용 공간이 넓은 기둥삽입부(14)의 상단부(18)에 기둥(16)이 삽입되면서 발생한다. 기둥(16)은 기둥삽입부(14)에 삽입되면서 직선형 인각들(52)과 물리적으로 접합될 것이다. 기둥삽입부(14)의 수용부(30)에 기둥(16)이 삽입되는 동안 직선형 인각(52)에 의해 기둥(16)의 외부 표면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인각(52)은 기둥(16)의 외부 표면에 충분히 맞닿을 수 있도록 내부로 적합하게 확장된 직선형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직선형 인각(52)은 기둥삽입부(14)의 금속 판재에 원하는 형태로 판금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형태는 기둥(16)의 표면에 못과 같은 결합체를 위해 물리적 구멍을 만들지 않고도 기둥(16)에 조임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안정적인 유지력을 얻으면서도, 필요할 경우 그라운드 앵커(10)로부터 기둥(16)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둥(16)에 남을 수 있는 삽입용 쐐기나 압축 캡의 사용을 미연에 막아주며, 설치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직선형 인각들(52)은 기둥삽입부(14)의 바닥(20) 또는 그 근처에 두는 것만으로도 기둥(16)이 수직적으로 설치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직선형 인각(52)은 기둥삽입부(14)의 수용부(30)에 기둥(16)이 놓여 지면, 기둥(16)의 아래 부분과 맞닿게 된다. 이를 위해 기둥삽입부(14)의 상단부(18) 근처에서는 기둥삽입부(14)와 기둥(16)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것이 허용된다. 여기서 기둥삽입부(14) 내에 삽입된 기둥(16)을 흔들어서 수직적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수직적으로 설치된다면, 수직으로 위치된 기둥(16)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관통홀(34)을 통해 접착제나 나사못을 삽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8은 도 3b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삽입부(14)의 측벽은 바닥(20)으로부터 내부로 구부러지고 중력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그리고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상단면(44)은 수용부(30)의 바닥(20)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이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삽입부경사면(220)은, 용접 결합된 상기 지느 러미형 돌출부(24)의 상단면(44) 아래쪽에서 사다리꼴 형태를 형성한다. 상기 삽입부경사면(220)은 쐐기형의 구조로 형성되고, 이것은 설치 과정에서 흙을 그라운드 앵커(10)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데 유용하게 작용한다. 부연하여 상기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상단면(44)의 아래쪽에 고정되는 상기 삽입부경사면(220)은, 그라운드 앵커(10)의 지중 매입 공정 중에 기계의 작동에 의해 지느러미형 돌출부(24)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해주는 구조적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삽입부경사면(220)은 그라운드 앵커(10)의 지중 매입 설치 중에, 타입장치의 타입 과정에서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상단부(44) 모서리나 그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겨짐, 이탈 또는 구부러짐을 막아준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B.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ide wall of the
한편,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중매입부(12)는, 지중에 매입된 상태에서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여 지중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력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to 8, the underground buried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지중매입부(12)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일면으로부터 일부가 분리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분리편(61)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편(61)은 돌출부(24)의 일면으로부터 분리된 일부가 중력방향의 반대방향 벌어져서 상기 돌출부(24)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편(61)은 판형인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일부를 판금 성형하거나, 프레스에 의해 일부를 절단한 후 밀어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y be a
상기 분리편(61)은 지중매입부(12)를 지중에 매입할 때에는 큰 저항력을 발 생하지 않지만,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토양과 함께 큰 저항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지중에 매입된 그라운드 앵커(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리편(61)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각 돌출부(24)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The
도 9는 도 2의 Ⅱ-Ⅱ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상기 분리편(61)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편(61)이 상기 돌출부(24)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진 각도(α)는 10 ° ~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4)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진 각도(α)가 10 ° 미만인 경우에는 지중매입부(12)의 이탈방지의 효과가 미미해지고, 1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중매입부(12)를 매입할 때 과다한 설치하중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편(61)의 자유단과 상기 돌출부(24)의 일면 사이의 최대 이격거리(d)는 3 ~ 8mm인 것이 바람직하다.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2, and specifically illustrates the shape of the separating
도 10 내지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지중매입부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10 to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separation prevention means shown in FIGS. 1 and 2.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9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대안으로서 상기 지중매입부(12)는,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자유단(24b)에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홈을 형성하여 마련되는 걸림턱(62)을 포함한다. 이러한 걸림턱(62)의 상단부(62a) 및 하단부(62b)는 상기 지중매입부(12)의 중심 쪽으로 갈수록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져, 소위 낚시 바늘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10, as an alternative, the
상기 걸림턱(62)은 지중매입부(12)를 지중에 매입할 때에는 큰 저항력을 발생하지 않지만,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토양과 함께 큰 저항력을 발생한다. 여기서도 상기 걸림턱(62)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각 돌출부(24)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16)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62)의 상단부(62a)가 기울어진 각도(β)는 155 ° ~ 175 °이고, 상기 걸림턱(62)의 하단부(62b)가 기울어진 각도(γ)는 99 °~ 119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다른 대안으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지중매입부(12)는, 인접하는 상기 지느러미형 돌출부(24)의 각 대향면에 양 측단이 결합하는 이탈방지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판(63)은 중력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중매입부(12)의 중심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역마름모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판(63)은 지중매입부(12)를 지중에 매입할 때에는 큰 저항력을 발생하지 않지만,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토양과 함께 중력방향으로 큰 저항력을 발생한다. 여기서도 상기 이탈방지판(63)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각 돌출부(24)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alternative, referring to FIG. 11, the underground buried
다른 대안으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지중매입부(12)의 돌출부(24)에는 관통된 관통홀(64)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64)은 지중매입부(12)에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주변의 토양과 함께 저항력을 발생한 다. 여기서도 상기 관통홀(64)은,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각 돌출부(24)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할 수 있다.As another alternative, referring to FIG. 12, a penetrating through
다른 대안으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지중매입부(12)는 돌출부(24)의 자유단 부위가 중력방향을 따라 물결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굴곡부(65)는 지중매입부(12)가 지중에 설치된 후,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주변의 토양과 함께 저항력을 발생한다. As another alternative, referring to FIG. 13, the underground buried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지중매입부(12)는 돌출부(24)의 자유단 부위에 요철을 만들기 위하여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는 지중매입부(12)가 지중에 설치된 후,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주변의 토양과 함께 중력방향으로 큰 저항력을 발생한다. 여기서도 상기 단차부(66)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각 돌출부(24)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alternative, referring to FIG. 14, the underground buried
한편 도 1 내지 도 14에서는, 상기 지중매입부(12)가 복수(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하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4)를 가질 수 있으며, 적용되는 상황에 적합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S. 1 to 14, the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100)는, 전술한 그라운드 앵커(10)를 구비하며, 필요에 따하 하중분배판(1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1 and 2, the
상기 하중분배판(102)에는, 그 중앙에 그라운드 앵커(10)의 지중매입부(12) 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모양의 수용홀(10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중분배판(102)의 상부면(106)이 상기 기둥삽입부(14)의 바닥 모서리와 맞닿게 된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10)와 하중분배판(102)의 조합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소매상인들이 그들의 창고에 하중분배판(102)과 그라운드 앵커(10)를 분리된 재고품으로 비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단순히 울타리를 설치할 경우에는 그라운드 앵커(10)만을 부분적으로 팔 수 있는 반면에, 구조물의 지지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라운드 앵커(10)와 하중분배판(102)이 결합된 조합(고정장치;100)의 형태로 팔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라운드 앵커(10)와 하중분배판(102)의 조합(100)이 결합된 채로 창고에 쌓이거나 제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상기 하중분배판(102)은 상부면(106)이 볼록한 반면, 하부면(110)은 이에 대응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지게 되어 대략적으로 컵의 형상(Cupped-Shape)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하중분배판(102)의 형태는 2가지 기능을 갖는다. 첫째, 그라운드 앵커(10)와 하중분배판(102)의 조합(100)이 설치가 되면, 하중분배판(102)은 오목한 하부면(110)을 통해 아래에 놓인 토양을 압축한다. 둘째, 컵 형상으로 만들어진 하중분배판(102)의 굴곡은, 설치된 후에 사용을 통해 발생하는 하중분배판(102)의 휨에 대해 추가적인 저항력을 제공한다. The
상기 하중분배판(102)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사용가능한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도 1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하중분배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원형의 하중분배판(102')을 나타내고 있다. 그 리고 이러한 하중분배판(102,102')은 철재로 만들어 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플라스틱, 합성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 수 있다. The
상기 하중분배판(102)은 적용되는 하중에 적합하도록 크고 두껍게 만들어 질수 있고, 반대로 가벼운 하중에 맞도록 좀 더 작고 얇은 판으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그리고 시공과정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중분배판(102)을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들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구멍들은 하중분배판(102)의 아래에 놓인 토양의 압축정도를 눈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The
상기 그라운드 앵커(10)와 하중분배판(102)이 조합된 기둥 고정장치(100)의 설치법은 다음과 같다. 수동 착암기 설치법은 수동 착암기가 하중분배판(102)을 압축하면서, 동시에 그라운드 앵커(10)의 타입장치로서 작용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분배판(102)의 상부면(106)에 놓인 기둥삽입부(14)의 바닥 모서리가 지표면에 닿을 때, 수동 착암기는 부재들을 조합할 수 있도록 진동하고, 하중분배판(102)의 아래쪽과 그라운드 앵커(10)의 지중삽입부(12)를 둘러싸고 있는 지지토양을 요구되는 지지하중을 보장할 수 있도록 압축함으로써, 압밀효과를 만들어 낸다.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상기 하중분배판(102)의 컵 형상은 수동 착암기에 의해 압착될 때, 토양을 기둥지지축의 중앙방향으로 이동하게 강제하고 토양속의 공기주머니나 빈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더욱 튼튼한 기초를 제공한다. The cup shape of the
도 16은 도 1에 나타낸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의 지중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원뿔형 지역(120)의 강하게 압축된 토양은 주변의 토양보다 더 단단히 압밀된다. FIG. 1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ground installation state of the ground anchor and the load distribution plate shown in FIG. 1.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trongly compressed soil of the
상기 수동 착암기를 사용한 설치공법이 가장 뛰어난 결과와 성능을 보여주지만, 큰 쇠망치나 다른 유사한 방법으로 하중분배판(102)을 통과하여 그라운드 앵커(10)를 설치하는 것도 적합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Although th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manual rock drill shows the best results and performance, the installation of the ground anchors 10 through the
한편, 그라운드 앵커(10)와 하중분배판(102)의 조합(100)에 의한 결합방식은 데크 블록 공법보다 우수하다. 왜냐하면 그라운드 앵커(10)와 하중분배판(102)의 조합(100)된 결합에서 두 부재 모두가 수평하중 내력과 수직하중 내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라운드 앵커(10)는 바람이나 이와 유사한 외부의 힘에 의하여 기둥(16)이 뽑히는 것을 막아준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method by the
도 17은 도 2의 평면도로서, 결합된 상태에서의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을 나타낸다.FIG. 17 is a plan view of FIG. 2, showing the ground anchor and the load distribution plate in the engaged state.
도 18은 도 2에 나타낸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의 조립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그라운드 앵커(10)의 기둥삽입부(14)에 구비된 측벽이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삽입부경사면(220)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하중분배판(102)의 상부면(106)에 상보적으로 대응하는 분배판경사면(122)과 서로 맞닿게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분배판(102)의 수용홀(104)이 어느 정도의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그라운드 앵커(10)의 지중매입부(12)를 삽입하는지 보여준다.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ground anchor and load distribution plate shown in FIG.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하중분배판(102)은 내구성과 함께, 목재의 표면에 처리되는 화학적 보존제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용융 아연도금 철판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 만, 유사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른 대체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ground anchor and the load distribu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ground anchor and the load distribution plate shown in Figure 1,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그라운드 앵커의 실시예들,3A and 3B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ground anchor shown in FIGS. 1 and 2,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서 기둥삽입부의 일부를 잘라낸 부분 단면 사시도들, Figures 4a and 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cut out a portion of the column insert in Figures 3a and 3b,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및 도 3b에서 지중매입부와 기둥삽입부의 결합부위의 일부를 잘라낸 부분 단면 사시도들,Figures 5a and 5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cut out a part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nderground insert portion and the pillar insertion portion in Figures 3a and 3b,
도 6은 도 3a의 평면도, 6 is a plan view of FIG. 3A;
도 7은 그라운드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und anchor,
도 8은 도 3b의 횡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B;
도 9는 도 2의 Ⅱ-Ⅱ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도 10 내지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지중매입부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들,10 to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nderground buried portion separation prevention means shown in Figures 1 and 2,
도 1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하중분배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ad distribution plate shown in FIGS. 1 and 2;
도 16은 도 1에 나타낸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의 지중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ground installation state of the ground anchor and the load distribution plate shown in FIG.
도 17은 도 2의 평면도,17 is a plan view of FIG.
도 18은 도 2에 나타낸 그라운드 앵커와 하중분배판의 조립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사시도이다. 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ground anchor and load distribution plate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0 : 그라운드 앵커 12 : 지중매입부10: ground anchor 12: underground buried part
14 : 기둥삽입부 24 : 돌출부14: pillar insertion portion 24: protrusion
61 : 분리편 62 : 걸림턱61: separation piece 62: locking jaw
63 : 이탈방지판 64 : 관통홀63: departure prevention plate 64: through hole
65 : 굴곡부 66 : 단차부65: bend portion 66: step portion
70 : 단부결착구 100 : 고정장치70: end fastener 100: fixing device
102,102' : 하중분배판102,102 ': Load distribution board
Claims (2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8183A KR101166141B1 (en) | 2009-12-21 | 2009-12-21 | Ground anchoring apparatus of post for decking and other structural installatio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8183A KR101166141B1 (en) | 2009-12-21 | 2009-12-21 | Ground anchoring apparatus of post for decking and other structural installatio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1570A KR20110071570A (en) | 2011-06-29 |
KR101166141B1 true KR101166141B1 (en) | 2012-07-18 |
Family
ID=4440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8183A KR101166141B1 (en) | 2009-12-21 | 2009-12-21 | Ground anchoring apparatus of post for decking and other structural installatio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61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3700A (en) * | 2017-11-10 | 2019-05-20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greenhouse |
US20220127805A1 (en) * | 2019-01-23 | 2022-04-28 | Ail International Inc. | Post for a sound wall and sound wall employ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7237B1 (en) * | 2012-12-27 | 2014-08-13 | (주)태창그린 | Base structure for deck road |
KR102259673B1 (en) * | 2019-08-16 | 2021-06-03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Green sloping ground eco-friendly Gavion struc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8427Y1 (en) * | 1996-11-09 | 1999-06-15 | 박종태 | Mark for underground line |
KR200427374Y1 (en) * | 2006-07-06 | 2006-09-25 | (주)천수녹화조경 | Anchor for reinforcing a slope |
-
2009
- 2009-12-21 KR KR1020090128183A patent/KR10116614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8427Y1 (en) * | 1996-11-09 | 1999-06-15 | 박종태 | Mark for underground line |
KR200427374Y1 (en) * | 2006-07-06 | 2006-09-25 | (주)천수녹화조경 | Anchor for reinforcing a slop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3700A (en) * | 2017-11-10 | 2019-05-20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greenhouse |
KR102009946B1 (en) * | 2017-11-10 | 2019-08-12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greenhouse |
US20220127805A1 (en) * | 2019-01-23 | 2022-04-28 | Ail International Inc. | Post for a sound wall and sound wall employ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1570A (en) | 201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82702B2 (en) | Ground anchor and weight distribution plate for decking and other structural installations | |
US8621816B1 (en) | Anchor bolt locator | |
US7730675B2 (en) | Post anchor with post holding impressions | |
KR10178567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slope panel | |
US8584413B1 (en) | Easily connectable anchor and pillblock replacement for an embedded wooden post | |
KR101166141B1 (en) | Ground anchoring apparatus of post for decking and other structural installations | |
US9631392B2 (en) |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 |
US20150247336A1 (en) |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 |
US20190203493A1 (en) | Hollow post anchoring systems for decking and related methods | |
KR20110071569A (en) | Ground anchoring apparatus of post for decking and other structural installations | |
US9109355B1 (en) | Perimeter foundation wall for manufactured homes | |
US20020100247A1 (en) | Method for quickly building a building and moldboard employed in the method | |
KR100770250B1 (en) | Construn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20090063386A (en) | The structure for the prevention of fall to fence | |
KR20090020082A (en) | Tension soil nail for slope st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concrete block using the same | |
US20080104898A1 (en) | Post anchor with drive pin and ground displacement wedge | |
JPH0376364B2 (en) | ||
CA3121283C (en) | Anchoring system for securing a post | |
JP4293126B2 (en) | Foamed resin block with planar material for embankment and lightweight embank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 |
CA2301495C (en) | Device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formwork | |
KR102185956B1 (en) | Fastening apparatus for retaining wall | |
KR100877317B1 (en) | An assembling and disjointing device of prestressed concrete wire for earth-anchor method | |
KR101182201B1 (en) | Assembly form for boundary stone | |
CA2925809C (en) |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 |
US3606716A (en) | Timber piling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