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783B1 -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783B1
KR101164783B1 KR1020090088641A KR20090088641A KR101164783B1 KR 101164783 B1 KR101164783 B1 KR 101164783B1 KR 1020090088641 A KR1020090088641 A KR 1020090088641A KR 20090088641 A KR20090088641 A KR 20090088641A KR 101164783 B1 KR101164783 B1 KR 10116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ctuator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0956A (en
Inventor
최재일
Original Assignee
암페놀커머셜인터커넥트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커머셜인터커넥트코리아(주) filed Critical 암페놀커머셜인터커넥트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9008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783B1/en
Publication of KR2011003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7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lide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는, 양측단에 슬라이드 가이드(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장공의 형태로 액튜에이터 안내공(12)이 형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부재(2)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10)와, 양측단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1)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12)과 교차되도록 양측단에 인접하게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복수의 곡선구간 또는 직선구간이 연속되게 가이드홈(21)이 형성되며, 내부에 액튜에이터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20)와, 일단은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12)과 가이드홈(21)의 교차점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튜에이터 체결공(22)에 힌지연결되며,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20)를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액튜에이터(40)를 포함한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 guide 11 is formed at both ends, and the actuator guide hole 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guide 11 therein. The first plate 10 coupled to the first member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oth side ends thereof are guided by the slide guide 11 to be slidable to the first plate 10. Guide grooves 21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curved sections or straight sections in a sliding direction adjacent to both side ends thereof so as to intersect the actuator guide holes 12, and an actuator fastening hole 22 is formed therein, and is moved. The second plate 20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ne end is hing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actuator guide hole 12 and the guide groove 21,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connect It said,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and a actuator 40 for slid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plate 20 to the first plate.

이동통신 단말기, 플레이트, 가이드, 액튜에이터, 슬라이드 Mobile Terminals, Plates, Guides, Actuators, Slide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imple structure.

휴대전화, 휴대용 소형 노트북, 전자사전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포개지도록 마련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서로 슬라이딩되게 이동시켜 제1 부재의 상부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타입이 제공되고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ortable small notebooks, electronic dictionaries, etc. are provided with a slide type in which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slidably mov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It is becoming.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대부분 반자동 슬라이드, 즉 일정위치까지만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슬라이딩하게 개폐가 완료되도록 배터리, 메인보드 등이 구비된 제1 부재와 화면이 구비된 제2 부재 사이에 슬라이드 장치가 구비된다.In order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st of the semi-automatic slides, that is, moving onl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remaining parts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creen are provided with a battery, a main board, etc.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is completed automatically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A slide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provided second member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따르면, 제2 부재는 제1 부재의 한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개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부재의 상부면의 면적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제2 부재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에 제한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 에 필요한 버튼의 배치에 어려움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member is made to open only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opened. There is a limit to the area. Therefore, since th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opening of the second member is limited,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button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가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가 제공되고는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추가적인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요소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공정이 늘어나고 제작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there is provided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the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lide in both directions, but a separate component is provided to secure additional strokes in the slide devic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it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cost also increases.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기능이 강조되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 따라 화면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짧은 변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슬라이딩하는 구간이 짧고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구비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that the video function is emphasiz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lid open and close along the short side while the screen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t enough space for provid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하 양방향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made of a simple structure and can open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는, 양측단에 슬라이드 가이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장공의 형태로 액튜에이터 안내공이 형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부재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와, 양측단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과 교차되도록 양측단에 인접하게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복수의 곡선구간 또는 직선구간이 연속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액튜에이터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와, 일단은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과 가이드홈의 교차점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튜에이터 체결공에 힌지연결되며,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한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lide guide is formed at both ends, the actuator guide hole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guide therein, the movement A first plate coupled to the first me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oth ends are guided by the slide guide so as to be slidable on the first plate, along the sliding direction adjacent to both ends so as to cross the actuator guide hole. A plurality of curved sections or straight sections are formed in the guide grooves, the actuator fastening holes are formed therein,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ne end of the guide grooves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actuator guide holes and the guide grooves. Hinge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actuator fastener, Installed in tarred state includes an actuator for sliding relative to the second plate to the first plate.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구간과, 상기 액튜에이터 체결공을 향하여 만곡되고 상기 직선구간에 이어져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원호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groov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second plate and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and may be curved toward the actuator fastening hole and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linear s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arc section.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2개의 곡선이 변곡점 중심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과 상기 변곡점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wo curves convexly curved inwardly of the second plate are connected about an inflection point , and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and the inflection point are disposed along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It is preferable to be.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2개의 곡선이 변곡점 중심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이 상기 변곡점보다 제2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wo curves convexly curved inwardly of the second plate are connected about an inflection point , and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may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plate than the inflection point. It may be.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변곡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2개의 곡선구간이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곡선구간의 외측으로 각각 상기 곡선구간보다 짧은 길이로 직선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two curved sections convexly curved inwardly of the second plate around the inflection point, the straight section is a shorter length than the curved section, respectively, to the outside of the curved s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부로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되는 곡선구간과, 상기 곡선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곡선구간의 단부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직선구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guide groove may include a curved section formed to be convexly curved into the second plate, and connected to the curved section and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plate at an end of the curved section. The straight sec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the movement direction.

한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2 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홈이 형성되는 보호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groove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guide groove of the second pla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 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pened by sliding up and down in both directions with a simple structure.

즉, 별도의 구성요소의 추가없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프레스가공을 통하여 각각 액튜에이터 안내공과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하 양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ithout the addition of a separate component,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by simply forming the actuator guide hole and the guide groove respectively through the press processing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pened in both directions up and down .

특히,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형태가 다양한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운동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late is formed in various form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및 도 5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는, 양측단에 슬라이드 가이드(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장공의 형태로 액튜에이터 안내공(12)이 형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부재(2)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10)와, 양측단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1)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12)과 교차되도록 양측단에 인접하게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복수의 곡선구간 또는 직선구간이 연속되게 가이드홈(21)이 형성되며, 내부에 액튜에이터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20)와, 일단은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12)과 가이드홈(21)의 교차점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튜에이터 체결 공(22)에 힌지연결되며,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20)를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액튜에이터(40)를 포함한다.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guide 11 is formed at both ends, the inside of the slide guide 11 perpendicular to the The actuator guide hole 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in one direction, the first plate 10 coupled to the first member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oth ends thereof are guided by the slide guide 11. The first groove 10 is provided to be slidable, and the guide groove 21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curved sections or straight sections are continuous along the sliding direction adjacent to both ends so as to intersect the actuator guide hole 12.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is formed therein, and the second plate 20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ne end of the actuator guide hole 12 and the guide groove 21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Hinge on It is connecte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and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includes an actuator 40 for sliding the second plate 20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제1 플레이트(10)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1 부재(2)에 체결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는 양측단에 슬라이드 가이드(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1)와 수직한 방향으로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천공되어 장공의 형태로 액튜에이터 안내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12)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1)에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바, 1쌍의 액튜에이터 안내공(12)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1)의 내측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가이드부재(14)가 구비되어 슬라이딩시 윤활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late 10 is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first plate 10 has slide guides 11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first plate 10 is drilled by press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guide 11 to form an actuator guide hole 12 in the form of a long hole. The actuator guide hole 12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lide guide 11, and a pair of actuator guide holes 12 are formed to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slide guide 11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14 made of synthetic resin to perform lubrication when sliding.

제2 플레이트(20)는 양측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10)의 슬라이드 가이드(11)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의 개폐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2 부재(3)에 결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는 각각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제1 플레이트(10)와 제2 플레이트(20)가 각각 체결됨으로써, 제2 부재(3)가 제1 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진다.Both ends of the second plate 20 are guided by the slide guide 11 of the first plate 10 to slid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10. It is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first member 2 and the second memb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re fastened to the first plate 10 and the second plate 20, which are provided to be slidable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3) become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2.

상기 제2 플레이트(20)에는 후술되는 액튜에이터(40)를 안내하기 위한 1쌍의 가이드홈(21)이 대략 상기 제2 플레이트(2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21)은 복수의 곡선구간 또는 직선구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 록 한다. 즉, 상기 가이드홈(21)은 하나의 곡선구단 또는 직선구간으로 형성되지 안니하고, 적어도 2개이상의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이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되는 방식에 의해서 상기 제2 플레트(20)에 체결되는 제2 부재(3)의 운동특성을 결정하게 된다. In the second plate 20, a pair of guide grooves 21 for guiding the actuator 40 to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20.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21 allows a plurality of curved sections or straight sections to be formed continuously. That is, the guide groove 21 is not formed of one curved section or straight section, an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two curved sections and straight sections are continuous. The curved section and the straight section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member 3 fastened to the second plate 20 are determined by the connected manner.

상기 제2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하나로서, 도 5에 형성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1)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1)은 직선구간(21e)과 원호구간(21a)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guide groove 21 formed in the second plate 20, as shown in Figure 5, the guide groove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through the press working. The guide groove 21 is continuously formed by connecting a straight section 21e and an arc section 21a to each other.

상기 직선구간(21e)과 원호구간(21a)은 각각 제2 부재(3)를 제1 부재(2)에 대하여 상부와 하부 개폐시킬 때의 액튜에이터(40)의 운동을 제어한다. 직선구간(21e)은 상기 제2 플레이트(20)의 측단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형성된다. 원호구간(21a)은 상기 직선구간(21e)에 이어져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호구간(21a)과 직선구간(21e)이 연결되는 부분은 변곡점(21c)이 된다. 상기 원호구간(21a)은 제2 플레이트(2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되, 제2 플레이트(20)의 내측을 향해 만곡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원호구간(21a)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다른 가이드홈(21)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The straight section 21e and the arc section 21a resp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40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member 3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2. The straight section 21e is formed adjacent to the side end of the second plate 20. The arc section 21a is formed continuously after the straight line section 21e, and the portion where the arc section 21a and the straight line section 21e are connected is an inflection point 21c. The arc section 21a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face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plate 20, and is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plate 20. That is, the arc section 21a is formed convexly toward the other guide grooves 21 facing each other.

상기 제2 플레이트(20)의 내부에는 액튜에이터 체결공(2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액튜에이터(40)가 힌지연결된다.An actuator coupling hole 22 is formed in the second plate 20 so that the actuator 40 to be described later is hinged.

한편, 도 6을 참조로 하여 제2 플레이트(20)의 가이드홈(21)과 액튜에이터 체결공(22)의 위치관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액튜에이터 체결공(22)에 대하여 가이드홈(21)의 각 부분과의 거리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guide groove 21 and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of the second plat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Each of the guide grooves 21 with respect to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will be described. The distance to the part is shown.

상기 제2 플레이트(20)의 가이드홈(21)은 원호구간(21a)과 직선구간(21e)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호구간(21a)과 직선구간(21e)의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가이드홈(21)의 변곡점이 되는 부분으로서 가이드홈(21)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액튜에이터 체결공(22)과의 거리가 최대가 되고, 원호구간(21a)과 직선구간(21e)의 각각의 중간부분과 최소가 된다.The guide groove 21 of the second plate 20 has a circular arc section 21a and a straight section 21e formed continuously, and the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of the arc section 21a and the straight section 21e are guides. As the inflection point of the groove 21, the distance from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is maximized except for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21, and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ircular arc section 21a and the straight section 21e. And minimum.

즉, 액튜에이터 체결공(22)은 직선 a, e로 연결된 가이드홈(21)의 양단과 직선 c로 연결된 변곡점(21c)부분의 거리가 최대가 되고, 직선 b, d로 연결된 임계점(21b)(21d) 부분이 최소가 된다.That is,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has a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21 connected by the straight lines a and e and the inflection point 21c connected by the straight lines c, and the critical points 21b connected by the straight lines b and d ( 21d) part is minimum.

액튜에이터(40)는 탄성력에 의해서 신축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액튜에이터(40)의 가동단이 되는 일단은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12)과 가이드홈(21)의 교차점에 힌지연결되어, 액튜에이터(40)의 가동단은 회전과 함께 제1 플레이트(10)와 제2 플레이트(20)의 위치에 따라 액튜에이터 안내공(12)과 가이드홈(21)의 교차점으로 슬라이딩한다. 아울러, 액튜에이터(40)의 타단, 즉 고정단은 상기 제2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액튜에이터 체결공(22)에 힌지연결하여 회전한다.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12), 가이드홈(21) 및 액튜에이터 체결공(22)은 제1 플레이트(10)와 제2 플레이트(20)에 좌우 대칭으로 각각 1쌍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액튜에이터(40)는 1쌍으로 구비되도록 한다.The actuator 40 is elastically formed by the elastic force. One end, which is the movable end of the actuator 40, is hing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actuator guide hole 12 and the guide groove 21, and the movable end of the actuator 4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plate 1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late 20, it slides to the intersection of the actuator guide hole 12 and the guide groove 21.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actuator 40, that is, the fixed end rotates by hingedly connecting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formed in the second plate 20. The actuator guide hole 12, the guide groove 21 and the actuator fastening hole 22 are form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y in the first plate 10 and the second plate 20, respectively, and thus the actuator ( 40) is provided in pairs.

상기 액튜에이터(40)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바디(41)를 마련하고, 상기 바디(41)로부터 복수의 샤프트(42)가 돌출되게 형성하여 선단이 마주보고 있는 바 디(4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42)의 외측에 각각 압축스프링(43)을 끼움으로써, 상기 액튜에이터(40)가 압축된 상태에서 신장되면서 상기 제1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제2 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ctuator 4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bodies 41 to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hafts 42 may protrude from the bodies 41 to be slid to the body 41 facing the front end thereof. By fitting the compression springs 43 to the outside of the shaft 42, respectively, the actuator 40 is extended in the compressed state while the second plate 20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10 Allow it to slide.

즉, 상기 액튜에이터(40)는 압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조작력 등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액튜에이터(40)의 가동단은 가이드홈(21)의 임계점(21b)(21d)과 가이드홈(21)의 단부, 변곡점(21c)에 위치하려고 한다That is, since the actuator 40 is in a compressed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user's manipulation force does not act, the movable end of the actuator 40 is the critical points 21b and 21d of the guide groove 21 and the guide groove 21. We are going to be located at edge of inflection point 21c

보호플레이트(30)는 상기 제2 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체결된다. 상기 보호플레이트(30)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20)의 가이드홈(21)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홈(3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홈(31)은 상기 가이드홈(21)이 형성된 궤적을 따라 형성되되,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1)으로 돌출되는 액튜에이터(40)의 단부를 보호한다.The protective plate 3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0. The protection plate 30 is formed with a cover groove 31 for protecting the guide groove 21 of the second plate 20. The cover groove 31 is formed along a trajectory in which the guide groove 21 is formed, and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to protect the end portion of the actuator 40 protruding into the guide groove 21.

상기 제1 플레이트(10), 제2 플레이트(20) 및 보호플레이트(3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FPCB를 통과시키기 위한 연통홈(13)(23)(32)이 각각 형성된다. Passing the FPCB through the first plate 10, the second plate 20, and the protective plate 3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member 2 and the second memb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each other. Communicating grooves 13, 23, 32 for each are 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n operation of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와 도 8에는 본 발명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제2 부재(3)가 제1 부재(2)에 대하여 상부와 하부로 개폐시키는 과정,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 2와 도 3의 상태로 개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는 제1 부재(2)와 제2 부재(3)가 직접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부재(2)와 제2 부재(3)가 체결되는 제1 플레이트(10)와 제2 플레이트(20)의 위치관계를 도시하였으므로, 이를 통하여 제1 부재(2)와 제2 부재(3)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7 and 8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member 3 opens and closes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2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FIG. 1. 2 and 3 are plan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opening to the state of FIG. Although the first member 2 and the second member 3 are not directly shown in FIGS. 7 and 8, the first plate 10 to which the first member 2 and the second member 3 are fastened and Sinc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second plate 20 is illustrat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first member 2 and the second member 3 through this.

도 7에는 제2 부재(3)를 제1 부재(2)에 대하여 상방으로 개방시켜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FIG. 7 shows a case in which the second member 3 is ope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2 such that the state of FIG. 1 becomes the state of FIG. 2.

도 7의 (a)에는 평상시 상태, 즉 제1 부재(2)를 제2 부재(3)가 덮고 있는 상태(도 1 참조)에서 슬라이드 장치(4)의 제1 플레이트(10)와 제2 플레이트(20)의 위치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액튜에이터(40)의 가동단은 액튜에이터 안내공(12)의 외측과 가이드홈(21)에서 변곡점(21c)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액튜에이터(40)는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지속적으로 신장되려 하나, 상기 액튜에이터(40)의 가동단이 원호구간(21a) 또는 직선구간(21e)으로 접어들게 되면 액튜에이터(40)가 압축되어야 하므로 도 7의 (a)의 상태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슬라이드 장치(4)는 계속해서 상태를 유지하려 한다.In FIG. 7A, the first plate 10 and the second plate of the slide device 4 in the normal state,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3 covers the first member 2 (see FIG. 1).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20 is shown. In this state, the movable end of the actuator 40 is located at the inflection point 21c at the outer side of the actuator guide hole 12 and the guide groove 21. The actuator 40 is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so that the actuator 40 is continuously extended, but when the movable end of the actuator 40 is folded into the arc section 21a or the straight section 21e, the actuator 40 is compressed. In the state of FIG. 7A, if the external force does not act, the slide device 4 tries to maintain the state continuously.

이때, 제2 부재(3)를 위로 밀어올려 제2 부재(3)를 상방으로 개방시키면 도 7의 (b)를 거쳐 도 7의 (c)의 상태가 되어 제2 부재(3)가 제1 부재(2)에 대하여 상방으로 개방된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member 3 is pushed upward and the second member 3 is opened upward, the second member 3 is in the state of FIG. 7C through FIG. It is open upward with respect to the member 2.

즉, 도 7의 (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부재(3)를 밀어 올리면, 제2 부재(3)와 함께 제2 플레이트(20)도 제2 부재(3)와 함께 이동한다. 상기 제2 플레이 트(20)가 제1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위로 밀어올려지면, 상기 액튜에이터(40)의 가동단은 변곡점(21c)에서 원호구간(21a)으로 진입하게 된다. 초기에는 상기 액튜에이터(40)가 신장되려는 힘보다 제2 플레이트(20)를 밀어올리려는 조작력이 크므로, 제2 플레이트(20)는 조작력에 의해 개방되기 시작하지만, 도 7의 (b)의 상태와 같은 원호구간(21a) 내에 존재하는 임계점(21b)을 통과하기만 하면, 압축된 액튜에이터(40)가 신장되려는 힘에 의해 별도의 조작력을 가하지 않아도 액튜에이터(4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서 제2 플레이트(20)가 개방되어 도 7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user pushes up the second member 3 in the state of FIG. 7A, the second plate 20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member 3 together with the second member 3. When the second plate 20 is push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10, the movable end of the actuator 40 enters the arc section 21a at the inflection point 21c. Initially, since the operating force to push up the second plate 20 is greater than the force to extend the actuator 40, the second plate 20 starts to open by the operating force, but the state of FIG. As long as it passes through the critical point 21b existing in the circular arc section 21a as shown in FIG. 2, the compressed actuator 40 does not need to apply a separate operation force by the force to be stretched, thereby allowing the second by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actuator 40. The plate 20 is opened to a state as shown in FIG. 7C.

이때, 도 7의 (c)의 상태에서는 상기 액튜에이터(40)의 가동단은 가이드홈(21)의 원호구간(21a)의 끝부분과 액튜에이터 안내공(12)의 내측단부의 교차점에 위치하게 되고, 액튜에이터(40)는 계속해서 신장되려하므로 도 7의 (c)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state of FIG. 7C, the movable end of the actuator 40 is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end of the arc section 21a of the guide groove 21 and the inner end of the actuator guide hole 12. Since the actuator 40 is continuously extended, it maintains the state (c) of FIG. 7.

한편, 제2 부재(3)가 상방으로 개방된 도 7의 (c)의 상태에서 제2 부재(3)가 제1 부재(2)를 덮고 있는 도 7의 (a)의 상태로 원위치 시킬 때에는, 상기 제2 부재(3)를 도 7의 (b)의 상태까지만 제2 부재(3)를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액튜에이터(40)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서 제2 플레이트(20)가 이동하여 도 7의 (a)의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of FIG. 7 (c) in which the 2nd member 3 is opened upward, when the 2nd member 3 returns to the state of FIG.7 (a) which covers the 1st member 2, When the second member 3 is moved only to the state of FIG. 7B, the second plate 20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stored in the actuator 40 in the remaining sections. It becomes the state of (a) of.

도 8에는 제2 부재(3)를 제1 부재(2)에 대하여 하방으로 개방시키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a)에서 (b)와 같은 상태가 되면서 제2 부재(3)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개방된다.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cond member 3 is ope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2, and the second member 3 is moved to the same state as in FIG. 8 (a) to (b). Opened as shown in FIG. 3.

도 8의 (a)의 상태는 앞서 설명한 도 7의 (a)와 같은 상태이므로 제1 부재(2)를 제2 부재(3)가 덮고 있는 평상시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Since the state of FIG. 8A is the same state as FIG. 7A described above,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3 covers the first member 2 is maintained.

제2 부재(3)를 아래로 내려지도록 슬라이딩 시키면, 제2 플레이트(20)도 제2 부재(3)와 함께 도 8의 (b)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슬라이딩 초기에서는 조작력에 의해서 액튜에이터(40)가 더욱 압축되나, 도 8의 (b)상태, 즉 액튜에이터(40)가 직선구간(21e)내의 임계점(21d)을 통과하게 되면 별도의 조작력이 없이도 액튜에이터(40)가 액튜에이터(40)의 내부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신장되면서 제2 플레이트(20)를 밀어 내리게 되어 도 8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When the second member 3 is slid to be lowered, the second plate 20 also slides along the second member 3 in the direction of FIG. 8B. In the initial stage of sliding, the actuator 40 is further compressed by the operating force. However, when the actuator 40 passes through the threshold point 21d in the straight section 21e, the actuator 40 is further compressed by the operating force. As the 40 is extended by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actuator 40, the second plate 20 is pushed down to be in a state as shown in FIG. 8C.

이 경우에도, 상기 제2 부재(3)를 위로 밀어올리면, 도 8의 (c)에서 (a)의 과정을 거쳐 제2 부재(3)가 제1 부재(2)를 덮게 된다.Even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member 3 is pushed upward, the second member 3 covers the first member 2 through the process of (a) of FIG. 8 (c).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9,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에서 가이드홈의 형상이 변형되어 두 개의 곡선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in the second plate is de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wo cur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서 제2 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홈(111)에는 2개의 곡선구간(111a)(111e)이 변곡점(111c)에서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1)이 물결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11)의 양단과 변곡점(111c)를 연결하는 가상의 곡선은 상기 제 2 플레이트(110)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곡선구간(111a)(111e)은 각각 제2 플레이트(110)의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curved sections 111a and 111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n inflection point 111c in the guide groove 111 of the second plate 110. The guide groove 111 is formed in a wave shape. In this case, an imaginary curv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111 and the inflection point 111c is disposed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110. In addition, the curved sections 111a and 111e are each formed in a curved shape to the inside of the second plate 110.

한편, 상기 제2 플레이트(110)에도 액튜에이터(40)와 연결을 위한 액튜에이터 체결공(112)과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FPCB가 통과하고 작동하기 위한 연통홈(113)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actuator fastening hole 112 for connecting to the actuator 40 and the first member 2 and the second memb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re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110. A communication groove 113 is formed for the FPCB to pass and operate.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제2 플레이트(11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딩 장치에 따를 작동은, 앞서 살펴본 제1 실시예의 작동과 유사한 형태로 개폐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2 부재(3)를 폐쇄된 상태에서 밀어올리거나, 내리게되면, 상기 가이드홈(111)에 연결된 액튜에이터의 단부는 변곡점(111c)에서 곡선구간(111a)(111e)의 최대로 만곡된 지점인 임계점(111b)(111d)까지만 사용자가 조작하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액튜에이터(40)에 의해서 곡선구간(111a)(111e)의 단부까지 이동하여 제2 부재(3)가 위로 개방되거나, 아래로 개방되게 된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lid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second plate 110 of the above type is applied is opened and closed in a similar form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second memb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pushed up or down in the closed state, the end of the actuator connected to the guide groove 111 is curved at the inflection point 111c (111a) ( If the user manipulates only the critical points 111b and 111d, which are the most curved points of 111e, the second member 3 moves to the ends of the curved sections 111a and 111e by the actuator 40 in the remaining sections. Open up or down.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2 부재(3)가 상측으로 개방된 상태 또는 하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2 부재(3)를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밀어올리면, 상기 액튜에이터(40)의 단부가 곡선구간(111a)(111e)의 임계점(111b)(111d)까지만 사용자가 조작하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액튜에이터(40)에 의해 제2 부재(3)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memb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pushed down or pushed up in the state of being opened upward or in the state of being opened downward, the end of the actuator 40 If the user operates only up to the critical points 111b and 111d of the curved sections 111a and 111e, the second member 3 is closed by the actuator 40 in the remaining sections.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딩 장치를 도 10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 slid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딩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실싱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딩 장치에서 제2 플레이트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slid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is formed as shown in FIG. 10 in the slid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sealing example as shown in FIG. Be sure to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적용된 제2 플레이트(120)는 가이드홈(121)이 2개의 곡선구간(121a)(121e)이 변곡점(121c)를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되, 가이드홈(121)의 양단이 상기 2개의 곡선구간(121a)(121e)이 연결되는 변곡점(121c)을 줌심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1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In the second plate 120 applied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s 1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wo curved sections 121a and 121e around the inflection point 121c. Both ends are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plate 120 at the inflection point 121c to which the two curved sections 121a and 121e are connected.

이러한 제2 플레이트(12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도 제2 플레이트(120)와 체결된 제2 부재(3)를 곡선에서 최대로 만곡된 지점인 임계점(121b)(121d)까지만 작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액튜에이터(40)에 의해 작동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2 부재(3)가 개폐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second plate 120 is applied also has a critical point that is the point where the second member 3 coupled to the second plate 120 is curved at the maximum. When only up to (121b) and (121d) is operated, it is operated by the actuator 40 in the remaining sections, and the second memb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opened and closed.

미설명 부호 122, 123은 각각 액튜에이터(40)의 일단을 체결하기 위한 액튜에이터 체결공 및 FPCB의 관통과 작동을 위한 연통홈이다.Reference numerals 122 and 123 are communication grooves for penetrating and operating the actuator fastening hole and the FPCB for fastening one end of the actuator 40, respectively.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적용되는 제2 플레이트(130)가 도시되어 있다.11 illustrates a second plate 130 applied to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적용되는 제2 플레이트(130)는 가이드홈(131)이 2개의 곡선구간(131b)(131d)이 변곡점(131c)을 중심으로 연결되되, 상기 2개의 곡선구간(131b)(131d) 외측에 각각 직선구간(131a)(131e)이 형성된다. 상기 직선구 간(131a)(131e)은 각각 곡선구간(131b)(131d)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곡선구간(131b)(131d)과 직선구간(131a)(131e)이 접속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130)의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다.In the second plate 130 to which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guide groove 131 is connected to two curved sections 131b and 131d about the inflection point 131c, and the two curved sections 131b. Straight sections 131a and 131e are formed outside the 131d. Preferably, the straight sections 131a and 131e are formed to have shorter lengths than the curved sections 131b and 131d, respectively, and the curved sections 131b and 131d and the straight sections 131a and 131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ocking jaw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second plate 130.

상기 가이드홈(131)의 중앙에 위치한 2개의 곡선구간(131b)(131d)에 의해서 기본적으로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작동하되, 상기 곡선구간(131b)(131d)의 외측에 직선구간(131b)(131d)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튜에이터(40)에 의해서 작동한 후, 상기 직선구간(131b)(131d) 만큼 사용자가 추가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The two curved sections 131b and 131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131 basically operat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but the straight sections 131b outside the curved sections 131b and 131d. 131d is formed, and after being operated by the actuator 40, the user can further push and move by the straight sections 131b and 131d.

이때, 상기 걸림턱은 계속해서 압축된 상태로 복귀하려는 액튜에이터(40)의 단부를 구속하여 고정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locking jaw is fixed to restrain the end of the actuator 40 to continue to return to the compressed state.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플레이트(130)에도 액튜에이터(40)와 FPCB를 연통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 체결공(152)과 연통홈(153)이 형성된다.Similarly, an actuator fastening hole 152 and a communication groove 153 for communicating the actuator 40 and the FPCB are also formed in the second plate 130.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의 제5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적용되는 제2 플레이트(140)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plate 140 applied to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own in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가이드홈(141)의 형태를 살펴보면, 직선구간(141a)과 곡선구간(141c)이 변곡점(141b)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상기 직선구간(141a)은 제2 플레이트(140)의 슬라이딩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곡선구간(141c)은 제2 플레이트(14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기 직선구간(141a)은 상기 곡선구간(141c)의 단부에 서 제2 플레이트(140)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곡선구간(141c)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대략 제2 플에이트(141)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2, looking at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141 formed in the second plate 140, the straight section 141a and the curved section 141c is connected to each other around the inflection point (141b),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traight section 141a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140, and the curved section 141c is convexly formed inside the second plate 140. The straight section 141a is formed to face the inside of the second plate 140 at the end of the curved section 141c, and the imaginary lin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urved section 141c is approximately the second plate ( It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141.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140)에는 액튜에이터(40)와 연결하기 위한 액튜에이터 체결공(142)과, FPCB의 연결과 작동에 필요한 연통홈(14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140 is formed with an actuator fastening hole 142 for connecting to the actuator 40, and a communication groove 143 necessary for connecting and operating the FPCB.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The slid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plate 150 as shown in FIG.

상기 제2 플레이트(1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홈(151)이 형성되되, 2개의 직선구간(151a)(151b)과 하나의 곡선구간(151c)이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제5 실시예의 제2 플레이트(140)에서 직선구간이 꺽어져 2개의 직선구간(151a)(151b)이 되도록 한 형태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plate 150 has a pair of guide grooves 151 formed therein, in which two straight sections 151a and 151b and one curved section 151c are connected. In the second plate 140 of the fifth embodiment, the straight section is bent to form two straight sections 151a and 151b.

제6 실시예에서의 제2 플레이트(150)에도 액튜에이터 체결공(152)과, 연통홈(153)이 형성된다.The actuator fastening hole 152 and the communication groove 153 are also formed in the second plate 150 in the sixth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상방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is opened above the first member.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하방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is opened below the first member.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서 제2 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guide groove of a second plate in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를 상부로 개폐시킬 때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when opening and closing a second me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를 하부로 개폐시킬 때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when opening and closing a second me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제2 플레 이트를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plat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plat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plat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plat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plat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이동통신 단말기 2 : 제1 부재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first member

3 : 제2 부재 4 : 슬라이드 장치3: second member 4: slide device

10 : 제1 플레이트 11 : 슬라이드 가이드10: first plate 11: slide guide

12 : 액튜에이터 안내공 13 : 연통홈12: actuator guide 13: communication groove

14 : 가이드부재 20 : 제2 플레이트14: guide member 20: second plate

21 : 가이드홈 21a : 원호구간21: guide groove 21a: arc section

21b : 임계점 21c : 변곡점21b: critical point 21c: inflection point

21d : 임계점 21e : 직선구간21d: critical point 21e: straight section

22 : 액튜에이터 체결공 23 : 연통홈22: actuator fastener 23: communication groove

30 : 보호플레이트 31 : 커버홈30: protection plate 31: cover groove

32 : 연통홈 40 : 액튜에이터32: communication groove 40: actuator

41 : 바디 42 : 샤프트41: body 42: shaft

43 : 압축스프링 110 : 제2 플레이트 43: compression spring 110: second plate

111 : 가이드홈 111a : 곡선구간111: guide groove 111a: curved section

111b : 임계점 111c : 변곡점111b: critical point 111c: inflection point

111d : 임계점 111e : 곡선구간111d: critical point 111e: curved section

112 : 액튜에이터 체결공 113 : 연통홈 112: actuator fastener 113: communication groove

120 : 제2 플레이트 121 : 가이드홈120: second plate 121: guide groove

121a : 곡선구간 121b : 임계점121a: Curved section 121b: Critical point

121c : 변곡점 121d : 임계점121c: inflection point 121d: critical point

121e : 곡선구간 122 : 액튜에이터 체결공121e: Curved section 122: Actuator fastening hole

123 : 연통홈 130 : 제2 플레이트123: communication groove 130: second plate

131 : 가이드홈 131a : 직선구간131: guide groove 131a: straight section

131b : 곡선구간 131c : 변곡점131b: curved section 131c: inflection point

131d : 곡선구간 131e : 직선구간131d: Curved section 131e: Straight section

132 : 액튜에이터 체결공 133 : 연통홈 132: actuator fastener 133: communication groove

140 : 제2 플레이트 141 : 가이드홈140: second plate 141: guide groove

141a : 직선구간 141b : 변곡점141a: straight section 141b: inflection point

141c : 곡선구간 142 : 액튜에이터 체결공141c: curved section 142: actuator fastening hole

143 : 연통홈 150 : 제2 플레이트143: communication groove 150: second plate

151 : 가이드홈 151a : 직선구간151: guide groove 151a: straight section

151b : 직선구간 151c : 곡선구간151b: straight section 151c: curved section

152 : 액튜에이터 체결공 153 : 연통홈152: actuator fastener 153: communication groove

Claims (7)

양측단에 슬라이드 가이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장공의 형태로 액튜에이터 안내공이 형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부재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A first plat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ide guide, and having an actuator guide hole formed in a long ho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guide therein, the first plate being coupled to the first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양측단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과 교차되도록 양측단에 인접하게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복수의 곡선구간 또는 직선구간이 연속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액튜에이터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Both ends are guided by the slide guide to be slidably provided on the first plate, and a plurality of curved sections or straight sections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sliding direction adjacent to both sides so as to intersect the actuator guide hole. An actuator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그 선단이 마주보는 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샤프트와, 상기 각 샤프트에 끼워지는 복수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고,And an actuator including a pair of bodies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shafts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slidably coupled to a body facing the front end, and a plurality of compression springs fitted to the respective shafts. 상기 액튜에이터의 한 쌍의 바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액튜에이터 안내공과 가이드홈의 교차점에 힌지연결되고, 한 쌍의 바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액튜에이터 체결공에 힌지연결되며, One of the pair of bodies of the actuator is hing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actuator guide hole and the guide groove, the other of the pair of bodies is hinged to the actuator fastening hole,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복수의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he actuator includes a actuator for sliding the second plate relative to the first pl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lurality of compression spring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홈은,The guide groove,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구간과, 상기 액튜에이터 체결공을 향하여 만곡되고 상기 직선구간에 이어져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원호구간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 straight section position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second plate and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and an arc section curved toward the actuator fastening hole and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straight section;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홈은,The guide groove,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2개의 곡선이 변곡점 중심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과 상기 변곡점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wo curves convexly curved inwardly of the second plate are formed to be connected about an inflection point , and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and the inflection point are arranged along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Slid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홈은,The guide groove,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2개의 곡선이 변곡점 중심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이 상기 변곡점보다 제2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he two convex curves convex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plate is formed in a form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inflection poi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plate than the inflection point Slide device f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홈은,The guide groove,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2개의 곡선구간이 변곡점을 중심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곡선구간의 외측으로 각각 상기 곡선구간보다 짧은 길이로 직선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wo curved sections convexly curved inwardly of the second plate are formed to be connected about the inflection point, and the mobile section is formed with a straight section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curved section, respectively, to the outside of the curved section. Slide device fo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홈은,The guide groove,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부로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되는 곡선구간과, 상기 곡선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곡선구간의 단부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직선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 curved section formed to be convexly curved into the second plate, and a straight section connected to the curved section and inclined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second plate at an end of the curved section;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2 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홈이 형성되는 보호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nd a protective plate having a cover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so as to cover the guide groove of the second plate.
KR1020090088641A 2009-09-18 2009-09-18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11647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41A KR101164783B1 (en) 2009-09-18 2009-09-18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41A KR101164783B1 (en) 2009-09-18 2009-09-18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956A KR20110030956A (en) 2011-03-24
KR101164783B1 true KR101164783B1 (en) 2012-07-11

Family

ID=4393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641A KR101164783B1 (en) 2009-09-18 2009-09-18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78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268B1 (en) 2008-12-15 2010-12-07 (주)쉘라인 Slide type personal portab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268B1 (en) 2008-12-15 2010-12-07 (주)쉘라인 Slide type personal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956A (en)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6219B (en) Slip cover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same
KR20060043065A (en) Slide hinge module
KR101164783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0866945B1 (en) Hing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913368B1 (en) Movement spring of sliding hinge module
KR100952323B1 (en)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KR100747455B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KR200382516Y1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0935402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liding each other
KR100939195B1 (en)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KR20070018349A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KR200376816Y1 (en) Slide type Module of cellular phone
KR101138923B1 (en) Wire spring acturator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wire spring acturator
US8023257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56907B1 (en) Sliding structure of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KR101104952B1 (en) Sli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liance having it
KR20070078211A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KR100987405B1 (en) sliding hinge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hinge apparatus
KR20110132100A (en) Elastic device for sliding hinge of mobile phone
KR200394684Y1 (en) Semi automatic slid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592889B1 (en) Semiautomatic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end-cam
KR20100008660A (en)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KR20120046585A (en) Spring actuator with slim form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spring actuator
KR200350570Y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100037855A (en) Spring module for sli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