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402B1 -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402B1
KR101164402B1 KR1020100021050A KR20100021050A KR101164402B1 KR 101164402 B1 KR101164402 B1 KR 101164402B1 KR 1020100021050 A KR1020100021050 A KR 1020100021050A KR 20100021050 A KR20100021050 A KR 20100021050A KR 101164402 B1 KR101164402 B1 KR 10116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cloth
tube
reinforcement
cloth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798A (ko
Inventor
정필조
Original Assignee
신신상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신상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신상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40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02B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용 속공의 튜브 외주면에 구비되는 보강포가 튜브에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튜브와 보강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보강포의 외부에 구기용 판넬을 부착하여 공을 타격할 때 탄력과 터치감을 증가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HIGH ELASTIC INSIDE BALL FOR BALL G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기용 속공의 튜브 외주면에 구비되는 보강포가 튜브에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튜브와 보강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보강포의 외부에 구기용 판넬을 부착하여 공을 타격할 때 탄력과 터치감을 증가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의 한 분야로 볼을 사용하는 종목의 총칭인 구기(球技, ball games)는 네트(net)형, 베이스볼(baseball)형, 골(goal)형의 3가지로 구별되는 데, 네트형은 네트를 사이에 두고 하는 경기로서 배구?테니스?탁구?배드민턴 등이 포함되고, 베이스볼형은 야구?크리켓?소프트볼이 해당되며, 골형은 공을 때리거나 차거나 함으로써 상대방의 골에 넣는 것으로 축구?농구?럭비?하키?미식축구 등이 포함된다.
근래에는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져 많은 사람들이 직접 스포츠를 즐기거나 스포츠를 관람하는 저변인구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기종목은 경기에 있어 축구공 또는 농구공, 배구공 등 구기용 공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기용 공은 라텍스(latex) 또는 부틸(butyl) 재질의 튜브 외주면에 보강층으로 실이나 직물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상기 보강층의 외부에 피혁 및 가죽 등의 재질로 된 다수의 패널을 접착한 접착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착구는 패널의 내부에 삽입되는 속공의 튜브 외주면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보강층인 직물 또는 실 등을 감아 접착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여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튜브의 외주면에 실을 감아 속공을 제작할 때는 튜브의 외주면을 긴 길이의 실로 감아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많은 설비가 필요하며, 실의 무게가 가벼워 속공의 중량을 맞추기 위해서는 다른 부위에서 중량을 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다른 부위에서 중량을 올려야 함으로써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튜브의 외주면에 실을 감을 경우 상기 실은 튜브의 모양에 따라 외주면에 감기므로 튜브가 정원형이 아니면 속공의 형상이 정원형이 아닌 상태로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작업으로 튜브의 외주면에 보강층으로 직물 등을 접착함으로써 속공의 밸런스가 균일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패널을 부착하여 공을 사용할 때 공의 밸런스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착구는 속공의 튜브와 튜브의 외주면에 보강층이 접착되고, 보강층의 외주면에 다수의 판넬을 접착하여 튜브와 보강층, 판넬이 일체로 접착되어 공을 타격시 고무공과 같은 충격이 사람에게 전해지면서 경기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속공의 튜브 외주면에 구비되는 보강포가 튜브에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튜브와 보강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보강포의 외부에 구기용 판넬을 부착하여 공을 타격할 때 탄력과 터치감을 증가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기용 고탄력 속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튜브의 외주면에 다수 개로 분리된 보강포를 테두리만 구형으로 접착하여 속공의 형상 유지성이 뛰어난 구기용 고탄력 속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호형으로 성형된 다수의 보강포를 다수의 구형 몰드금형으로 튜브에는 보강포가 접착되지 않고 보강포의 테두리끼리만 자동으로 접착되도록 하여 튜브와 보강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고탄력 속공을 제조할 수 있는 구기용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튜브의 외주면에 다수의 구형 몰드금형으로 자동으로 다수의 보강포 테두리를 구형으로 접착함으로써 속공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탄력 속공의 제조할 수 있는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구형 몰드금형으로 튜브의 외주면에 구형으로 다수의 보강포 테두리를 순차적으로 접착하여 균일하게 속공의 밸런스가 보강될 수 있는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기용 속공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형의 튜브(110)와;
상기 튜브(110)의 외주면을 구형으로 감싸도록 다수 개로 분리된 보강포(120)와;
상기 튜브(110)와 다수의 보강포(120) 사이가 분리되어 튜브(110)와 보강포(120) 사이에 구비된 공기층(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포(120)는 튜브(110)의 중앙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기 튜브(110)의 중앙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보강포(122)와;
상기 튜브(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 보강포(123)와;
상기 튜브(110)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면 보강포(124)와;
상기 튜브(11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좌측 보강포(125)와;
상기 튜브(110)의 우측면에 밀착되는 우측 보강포(1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포(120)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전방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전면 보강포(123)의 하부 테두리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후방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후면 보강포(124)의 하부 테두리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며, 상기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좌측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좌측 보강포(125)의 하부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상기 좌측 보강포(125)의 양측 테두리는 전면 보강포(123)의 좌측 테두리와 후면 보강포(124)의 좌측 테두리에 각각 접착되며, 상기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우측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우측 보강포(126)의 하부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우측 보강포(126)의 양측 테두리는 전면 보강포(123)의 우측 테두리와 후면 보강포(124)의 우측 테두리에 각각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구기용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형상으로 튜브의 상하 전후 좌우에 밀착되는 하부와 상부, 전면, 후면, 좌측, 우측의 다수의 보강포(120)를 절단하는 단계(S100);
상기 다수 개의 보강포(120)를 열성형기로 가압하여 원호형상으로 굴곡시키는 단계(S200);
상기 다수 개로 절단된 보강포(12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300);
상기 원호형상의 하부(121)와 상부(122), 전면(123), 후면(124), 좌측(125), 우측(126) 보강포(120)를 몰드금형의 내주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단계(S400);
상기 몰드금형의 상부에 공기주입관이 삽입되도록 튜브(110)를 결합하는 단계(S500);
상기 몰드금형을 튜브의 중심을 향해 이송되도록 작동시키는 단계(S600);
상기 몰드금형의 공기주입관을 통해 튜브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S700);
상기 몰드금형을 순서대로 튜브의 외측으로 이송시켜 속공을 인출하는 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속공의 튜브 외주면에 구비되는 보강포가 튜브에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튜브와 보강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보강포의 외부에 구기용 판넬을 부착하여 공을 타격할 때 탄력과 터치감을 증가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튜브의 외주면에 다수 개로 분리된 보강포를 테두리만 구형으로 접착하여 속공의 형상 유지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호형으로 성형된 다수의 보강포를 다수의 구형 몰드금형으로 튜브에는 보강포가 접착되지 않고 보강포의 테두리끼리만 접착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튜브와 보강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고탄력 속공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튜브의 외주면에 다수의 구형 몰드금형으로 자동으로 다수의 보강포 테두리를 구형으로 접착함으로써 속공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구형 몰드금형으로 튜브의 외주면에 구형으로 다수의 보강포 테두리를 접착하여 균일하게 속공의 밸런스가 보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보강포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 중 하부와 상부 보강포를 열성형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 중 전면과 후면 보강포를 열성형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 중 좌측과 우측 보강포를 열성형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 중 열성형된 하부와 상부 보강포의 외측면과 전면과 후면 보강포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속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보강포 접착부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의 외주면에 구기용 판넬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속공이 내장된 구기용 공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형의 튜브(110) 외주면을 구형으로 감싸도록 다수 개로 분리된 보강포(120)와 상기 튜브(110)와 다수의 보강포(120) 사이가 분리되어 튜브(110)와 보강포(120) 사이에 공기층(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포(1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10)의 중앙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보강포(121)와 튜브(110)의 중앙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보강포(122)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 보강포(123)와 튜브(110)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면 보강포(124)가 구비되며, 상기 튜브(11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좌측 보강포(125)와 상기 튜브(110)의 우측면에 밀착되는 우측 보강포(126)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강포(120)의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는 전후로 길게 연장되어 양측 테두리는 직선을 이루고, 전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는 원호형으로 곡선을 이루며, 상기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는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상단 테두리와 하단 테두리는 수평을 이루고, 좌우 양측단 테두리는 원호형으로 곡선을 이루며, 상기 좌측 보강포(125)와 우측 보강포(126)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전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는 수직을 이루고, 상단 테두리와 하단 테두리는 원호형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포(120)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전방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전면 보강포(123)의 하부 테두리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후방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후면 보강포(124)의 하부 테두리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며, 상기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좌측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좌측 보강포(125)의 하부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상기 좌측 보강포(125)의 양측 테두리는 전면 보강포(123)의 좌측 테두리와 후면 보강포(124)의 좌측 테두리에 각각 접착되며, 상기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우측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우측 보강포(126)의 하부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우측 보강포(126)의 양측 테두리는 전면 보강포(123)의 우측 테두리와 후면 보강포(124)의 우측 테두리에 각각 접착된다.
상기와 같이 보강포(120)의 테두리만이 서로 접착되고, 보강포(120)와 튜브(110)는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튜브(110)와 보강포(120) 사이에 공기층(130)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구기용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튜브(110)의 상하 전후 좌우에 각각 밀착되는 다수 개의 보강포(120)를 절단(S100)하고, 상기와 같이 절단된 다수 개의 보강포(120)를 열성형기로 가압하여 원호형상으로 굴곡(S200) 시킨다.
이때 상기 보강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는 전후로 길게 연장되어 양측 테두리는 직선을 이루고, 전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는 원호형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절단하고,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는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상단 테두리와 하단 테두리는 수평을 이루고, 좌우 양측단 테두리는 원호형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절단하며, 상기 좌측 보강포(125)와 우측 보강포(126)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전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는 수직을 이루고, 상단 테두리와 하단 테두리는 원호형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절단한다.
이때 상기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는 사방 테두리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접착부(도면에 미도시)를 형성하도록 크게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는 양측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접착부를 형성하도록 절단하며, 좌측 보강포(125)와 우측 보강포(126)는 돌출되는 테두리가 없이 정확한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단된 보강포(120)는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강포(121)과 상부 보강포(122)를 열성형기(도면에 미도시)로 상하 일측면이 원호형으로 굴곡되도록 열성형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를 열성형기로 가압하여 내주면이 전후 일측면을 원호형상으로 굴곡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보강포(125)와 우측 보강포(126)를 좌우 일측면이 원호형상으로 굴곡되도록 열성형기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열성형기는 공지의 열성형 가압장치로써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다수 개로 절단된 보강포(120)의 외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를 도포(S300)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다수의 보강포(120)를 몰드금형(도면에 미도시)의 내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보강포(120)의 외주면을 각각 밀착(S400)시키고, 상기 몰드금형의 상부에 공기주입관이 삽입되도록 튜브(110)를 결합(S500)한다.
이때 상기 몰드금형의 내주면에 밀착된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사방 테두리는 몰드금형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몰드금형의 내주면에 밀착된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의 양측 테두리는 몰드금형의 내주면에서 양 외측으로 돌출되며, 몰드금형과 같은 크기로 절단된 좌측 보강포(125)와 우측 보강포(126)가 몰드금형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몰드금형의 각 내주면에 보강포(120)를 밀착시키고 몰드금형이 순서대로 튜브(110)의 중심을 향해 이송되도록 작동(S600)시킨다.
상기 몰드금형은 상부 보강포(122)를 튜브의 상부 중앙에 먼저 밀착시키고, 튜브(110)의 전면과 후면에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를 각각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몰드금형이 튜브(110)의 중앙으로 이송되면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의 상단 테두리와 하단 테두리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전면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좌측 보강포(125)의 하부와 상부 테두리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좌측 테두리에 겹쳐지고, 좌측 보강포(125)의 양측 테두리는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의 좌측 테두리와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우측 보강포(126)의 하부와 상부 테두리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우측 테두리에 겹쳐지고, 우측 보강포(126)의 양측 테두리는 전면 보강포(123)와 후면 보강포(124)의 우측 테두리와 겹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몰드금형의 이송이 완료되면 몰드금형의 공기주입관을 통해 튜브(1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S700)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몰드금형의 공기주입관을 통해 튜브(1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튜브(110)가 팽창되면서 내부의 공기압력으로 외주면에 밀착된 다수의 보강포(120) 내주면을 몰드금형(220)의 내주면으로 가압하여 서로 겹쳐진 보강포(120)의 테두리만 접착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몰드금형(220)을 순서대로 튜브(110)의 외측으로 이송시켜 속공(100)을 인출(S800)한다.
이와 같이 튜브(110)의 외주면에 테두리만 서로 접찹된 다수의 보강포(120)가 분리되도록 밀착된 고탄력 속공(100)은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10)의 외주면에 보강포(120)가 구형으로 감싸면서 보강포(120)의 테두리만 구형으로 접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10)와 보강포(120)는 분리되어 튜브(110)와 보강포(120) 사이에 공기층(13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고탄력 속공(100)의 보강포(120) 외주면에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기용 패널(300)을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튜브(110)의 크기와 보강포(12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구기용 패널(300)에 따라 본 발명의 고탄력 속공은 축구공 또는 배구공 등 다양한 종류의 구기용 공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속공의 튜브 외주면에 구비되는 보강포가 튜브에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튜브와 보강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보강포의 외부에 구기용 판넬을 부착하여 공을 타격할 때 탄력과 터치감을 증가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튜브의 외주면에 다수 개로 분리된 보강포를 테두리만 구형으로 접착하여 속공의 형상 유지성이 뛰어나고, 균일하게 속공의 밸런스가 보강될 수 있는 것이다.
100 : 속공
110 : 튜브 120 : 보강포
121 : 하부 보강포 122 : 상부 보강포
123 : 전면 보강포 124 : 후면 보강포
125 : 좌측 보강포 126 : 우측 보강포
130 : 공기층

Claims (5)

  1.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형의 튜브(110)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110)의 외주면을 구형으로 감싸도록 다수 개로 분리된 보강포(120)가 구비되며, 상기 튜브(110)와 다수의 보강포(120) 사이가 분리되어 튜브(110)와 보강포(120) 사이에 공기층(130)이 구비된 구기용 속공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120)는 튜브(110)의 중앙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기 튜브(110)의 중앙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보강포(122)와;
    상기 튜브(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 보강포(123)와;
    상기 튜브(110)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면 보강포(124)와;
    상기 튜브(11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좌측 보강포(125)와;
    상기 튜브(110)의 우측면에 밀착되는 우측 보강포(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고탄력 속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120)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전방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전면 보강포(123)의 하부 테두리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후방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후면 보강포(124)의 하부 테두리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며, 상기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좌측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좌측 보강포(125)의 하부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상기 좌측 보강포(125)의 양측 테두리는 전면 보강포(123)의 좌측 테두리와 후면 보강포(124)의 좌측 테두리에 각각 접착되며, 상기 하부 보강포(121)와 상부 보강포(122)의 우측 하부와 상부 테두리에 우측 보강포(126)의 하부와 상부 테두리가 각각 접착되고, 우측 보강포(126)의 양측 테두리는 전면 보강포(123)의 우측 테두리와 후면 보강포(124)의 우측 테두리에 각각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고탄력 속공.
  4. 청구항 1 기재의 고탄력 속공(100)을 갖는 구기용 공.
  5. 구기용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형상으로 튜브의 상하 전후 좌우에 밀착되는 하부와 상부, 전면, 후면, 좌측, 우측의 다수의 보강포(120)를 절단하는 단계(S100);
    상기 다수 개의 보강포(120)를 열성형기로 가압하여 원호형상으로 굴곡시키는 단계(S200);
    상기 다수 개로 절단된 보강포(12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300);
    상기 원호형상의 하부(121)와 상부(122), 전면(123), 후면(124), 좌측(125), 우측(126) 보강포(120)를 몰드금형의 내주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단계(S400);
    상기 몰드금형의 상부에 공기주입관이 삽입되도록 튜브(110)를 결합하는 단계(S500);
    상기 몰드금형을 튜브의 중심을 향해 이송되도록 작동시키는 단계(S600);
    상기 몰드금형의 공기주입관을 통해 튜브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S700);
    상기 몰드금형을 순서대로 튜브의 외측으로 이송시켜 속공을 인출하는 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






KR1020100021050A 2010-03-10 2010-03-10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 KR10116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050A KR101164402B1 (ko) 2010-03-10 2010-03-10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050A KR101164402B1 (ko) 2010-03-10 2010-03-10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798A KR20110101798A (ko) 2011-09-16
KR101164402B1 true KR101164402B1 (ko) 2012-07-12

Family

ID=4495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050A KR101164402B1 (ko) 2010-03-10 2010-03-10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25B1 (ko) 2014-10-07 2017-02-13 주식회사 넥스코스 통신단말의 호 처리 부가서비스를 이용한 VoIP 무료통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2499B2 (en) 2000-12-15 2003-06-03 Douglas J. Davies Versatile play ball
US6935274B1 (en) 2002-06-25 2005-08-30 Steven M. Rothschild Pet toy
JP2009006052A (ja) 2007-06-29 2009-01-15 Molten Corp ボ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2499B2 (en) 2000-12-15 2003-06-03 Douglas J. Davies Versatile play ball
US6935274B1 (en) 2002-06-25 2005-08-30 Steven M. Rothschild Pet toy
JP2009006052A (ja) 2007-06-29 2009-01-15 Molten Corp ボ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798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2379B2 (en) Sport bal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port balls
US10398944B2 (en) Sport ball with indented casing
CN112023370B (zh) 一种球、尤其是英式足球及制球方法
EP2408527B1 (en) Sport ball casing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casing
JP5137215B2 (ja) ボール
US11202941B2 (en) Sport ball and casing defining a major channel and a minor channel
EP2726163B1 (en) Sport ball casing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casing
US8579743B2 (en) Sport bal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port balls
US8801553B2 (en) Sports ball
US20060199685A1 (en) Machine laminated basketball
CN106550600A (zh) 用于制造球的系统和方法
US20140179468A1 (en) Sport Balls Having Seam Reinforcing Strips
US20110207564A1 (en) Ball having modified surfaces for training
KR101164402B1 (ko)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37368A1 (en) Stitch-free Footbal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1424807A (zh) 複合球棒的製作方法
KR101131811B1 (ko) 구기용 공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102049126A (zh) 运动球内胆、运动球及运动球内胆的制作方法
KR100290025B1 (ko) 운동용 각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6069A (ko) 구기용 공
EP3718611B1 (en) Sport balls having seam reinforcing strips
KR200327789Y1 (ko) 공 다루기 편리한 축구화
KR20150052548A (ko) 운동용 공 및 그 제작방법
JP2012010722A (ja) 縫い目のないスポーツ用ボール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