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859B1 -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 및 점핑용 신발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 및 점핑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859B1
KR101163859B1 KR1020100019655A KR20100019655A KR101163859B1 KR 101163859 B1 KR101163859 B1 KR 101163859B1 KR 1020100019655 A KR1020100019655 A KR 1020100019655A KR 20100019655 A KR20100019655 A KR 20100019655A KR 101163859 B1 KR101163859 B1 KR 10116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shoes
coupled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695A (ko
Inventor
박정치
Original Assignee
박정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치 filed Critical 박정치
Priority to KR102010001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85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power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8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부착하여 발전기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발의 하부에 부착하여 보행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필요시 외부의 장치로 출력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은, 신발의 하부에 마련되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양 측면에 접합되며 상기 신발의 발등에서 교차 결합되는 발등벨트; 상기 밑창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신발의 뒷굽 및 신발굽을 감싸도록 하고 상기 밑창의 직 상방으로 설치되어 발전부가 내재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서 접합되며 상기 신발의 발목에서 교차 결합되는 발목벨트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며 발전부의 마그네트가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된 기전력을 일정한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정류회로 및 상기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통상의 모든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출력 잭을 통하여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 및 점핑용 신발{A shoes with electric generator}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기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발의 하부에 부착하여 보행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필요시 외부의 장치로 출력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음악 재생기 및 디지털 카메라 등 개인이 소지하는 전자기기가 다양해지고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들을 구동하는 전지 또는 축전지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의 사용에 따라 축전지가 방전되었을 경우 야외 혹은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없는 장소에서 쉽게 재충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러한 방법들 중에 태양광 발전이 있으나 그 설치장소가 한정되어 있고 더구나 야간에서와 같이 태양광이 차단될 경우에는 발전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다른 대안으로는 보행시 신발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 즉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많이 개시되어 있다.
보행시 신발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법칙은 '자기장 속에서 도선이 움직이면 도선 속의 전하가 로렌츠의 힘을 받아 움직이므로 도선 내부에 전류가 흐른다'는 페러데이의 법칙을 이용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38217호에는 신발의 굽에 발전장치를 내재하여 보행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발전기가 부착된 신발을 첨부된 도 1을 통하여 설명하면, 발전용 신발(1a)의 신발굽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신발굽(1') 내부에 수용되는 보빈(4)과 상기 보빈(4)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코일(5), 보빈(4) 내부에 슬라이딩되도록 수납되는 가동마그네트(3), 외부 진동시 상기 가동마그네트(3)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보빈(4) 내부에 수납되는 탄성부재(3') 등으로 구성되어 보행시 충격에 의해 보빈(4)의 가동마그네트(3)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발전되고 충전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발전용 신발은 발전장치가 신발굽 또는 신발의 밑창에 마련되어 상기의 발전용 신발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발전용 신발 그 자체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신발굽과 신발 밑창에 다양한 형태의 발전장치가 내재되어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되거나 신발 본래의 특성인 안정감 및 편의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더하여, 발전장치가 신발의 하부쪽에 위치하여 빗물 등의 유입으로 발전장치에 녹이 발생하거나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통상의 신발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충전을 필요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발전기가 구비된 신발을 부착하여 보행에 의해 발전하고, 평상시에는 탈착하여 보행할 수 있으며,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행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축전지에 충전되고 이 축전지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보행시 충격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발전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은, 신발의 하부에 마련되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양 측면에 접합되며 상기 신발을 감싸서 결합되는 발등벨트; 상기 밑창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신발의 뒷굽 및 신발굽을 감싸도록 하고 상기 밑창의 직 상방으로 설치되어 발전부가 내재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서 접합되며 상기 신발의 발목을 감싸서 결합되는 발목벨트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며 발전부의 마그네트가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된 기전력을 일정한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정류회로 및 상기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밑창에는 다수개의 탄성체가 설치되어 보행시 충격을 완화시키며, 발등벨트와 상기 발목벨트의 결합은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져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전부가 신발의 뒷굽 상방에 위치하여 빗물 등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창의 양 측면에 접합되며 상기 신발의 발등에서 결합되는 발등벨트와 신발의 발목에서 결합되는 발목벨트에 의해 통상의 모든 신발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고,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신발에 부착하여 발전하고, 충전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탈착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발등벨트와 발목벨트는 벨크로로 이루어져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며 신발을 착용하지 않은 맨발에도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보행에 따른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축전지에 충전되고 이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출력 잭을 통하여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밑창에는 다수개의 탄성체가 설치되어 발전을 하기 위한 보행시 충격을 감소시키고 점핑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전부가 신발의 뒷굽 상방에 위치하여 빗물 등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여 코일 및 정류장치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아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전용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상의 신발과 결합한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의 측 단면도와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창과 중간창에 구비되는 탄성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수납되는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시 마그네트의 하향 이동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시 마그네트의 상향 이동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탈부착하는 앞코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상의 신발과 결합된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발전용 신발(100)은 하부의 밑창(50)과; 발전부가 내재되는 케이스(200)와; 발등벨트(60) 및 발목벨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밑창(50)은 신발(1)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부창(51), 중간창(52) 및 하부창(53)을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부창(51)은 신발(1)의 바닥면과 당접하는 부분이고, 하부창(53)은 지면에 맞닿는 부분이며, 중간창(52)은 보행시 충격에 의해 수축과 이완 작용을 반복한다.
발전부가 내재되는 케이스(200)에는 수납부(210), 정류회로(30) 및 축전지(40)가 포함된다.
케이스(200)는 밑창(5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신발(1)의 뒷굽 및 신발굽을 감싸도록 하고 상기 밑창(50)의 상방으로 설치되며, 일정한 홈이 형성되는 수납부(210)를 포함한다. 이 수납부(210)에는 외주면에 코일(11)이 권취되는 보빈(10)과 보빈(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지체(21)에 의해 상기 밑창(50)과 결합되는 마그네트(20)와 상기 보빈(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납부(2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스(200)는 밑창(50)의 상방에 설치되어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나 더욱 견고하게는 상기 케이스(200)는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발전부가 내재된 케이스(200)는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류회로(30)는 케이스(200)에 수납되며 중간창(52)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상기 보빈(10) 내부에 수용된 마그네트(20)가 상?하운동을 하고 상기 마그네트(20)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코일(11)의 양단에서 기전력이 발생되는데, 이 기전력을 일정한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것으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30a)와 일정전압 이상의 출력을 방지하는 정전압 레귤레이터(30b)를 포함한다.
축전지(40)는 정류회로(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것으로, 케이스(200)에 내재될 수 있으며, 상기 축전지(40)와 연결되어 축전지(40)의 충전된 전압을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 잭(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 잭(41)의 연결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잭 커버(4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밑창(50)의 양 측면에 접합되며 상기 신발(1)을 감싸서 결합되는 발등벨트(60)와 케이스(200)의 후방에서 접합되며 상기 신발(1)을 감싸서 결합되는 발목벨트(70)에 의해 신발(1)을 결합 고정한다.
발등벨트(60)와 발목벨트(70)의 결합은 벨크로(velcro), 스냅(snap), 버클(buckle) 및 후크(hook)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벨크로(60a,70a)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의 측 단면도와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밑창(50)은 상부창(51), 중간창(52) 및 하부창(53)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창(52)에는 다수개의 탄성체(80)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수납부(210)에는 외주면에 코일(11)에 권취된 보빈(10)과 상기 보빈(10)의 내부에서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마그네트(20)가 지지체(21)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21)의 하부에는 연결대(212)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대(212)의 하부에는 회동구체(211)가 결합된다.
회동구체(211)의 직 하방에는 회동구체(211)가 억지끼움에 의해 삽입되는 회동구체 삽입홈(511)이 상부창(51)에 마련된다.
상기에서 탄성체(80)는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며, 구보(驅步)시에는 더 멀리 더 높이 뛸 수 있는 점핑(jumping)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창과 중간창에 구비되는 탄성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중간창(52)에는 앞굽부(90)에 위치하는 탄성체(908), 중간부(91)에 위치하는 탄성체(918) 및 뒷굽부(92) 위치하는 탄성체(928)가 다수개 설치되고, 앞굽부(90)에 위치하는 탄성체(908)와 뒷굽부(92) 위치하는 탄성체(928)의 탄성력은 중간부(91)에 위치하는 탄성체(918)의 탄성력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행시 하부창(53)의 형상은 앞굽과 뒷굽이 중간부분보다 더 수축된 형태의 반원 상태가 되어 보행이 자연스럽고, 이 수축을 통하여 보행자의 종아리, 정강이 및 발목에 상당한 힘이 가해져서 운동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뒷굽부(92) 위치하는 탄성체(928)는 수축과 이완시에 소정의 진동이 발생하여 더 많은 기전력이 출력된다.
상기의 진동과 기전력의 관계를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설명하면 기전력(e)를 나타내는 식은,
Figure 112010014105938-pat00001
식-1
여기서, B는 자속, l은 도선의 길이, v는 속도, θ는 도선과 자기장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식-1에 의하면, 기전력의 크기는 자속의 크기, 도선의 길이, 속도 및 각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자속과 도선의 길이는 각각 마그네트의 자속 세기와 코일의 권취수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플레밍의 오른속 법칙에 따라 본 발명의 탄성체에 의해서 수축과 이완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속도 및 방향이 변하여 더 많은 기전력이 발생된다.
다음으로, 보행에 다른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충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수납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발전부에서는 보행시 중간창(52)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상기 보빈(10) 내부에 수용된 마그네트(20)가 상?하운동을 하고 상기 마그네트(20)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코일(11)의 양단에서 기전력이 발생되는데, 이 기전력은 교류전원로서 축전지에 충전될 수 없다. 따라서 발생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며 축전지에 과전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정류회로(30)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30a)와 일정전압 이상의 출력을 방지하는 정전압 레귤레이터(30b)를 포함한다.
정전압 레귤레이터(30b)는 기준전압을 입력으로 정류된 출력전압을 얻는 것으로, 일정 범위의 전압은 출력하고 일정전압 이상의 전압은 단절하여 일정 범위의 전압으로 강압하여 출력하며, 일정전압 이하의 전압은 상쇠시킨다.
정전압 레귤레이터(30b)에는 일정전압 이하의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회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충전부는 축전지(40), 출력 잭(41) 및 잭 커버(42)가 포함된다. 정전압 레귤레이터(30b)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축전지(40)에 축적되고, 출력 잭(41)을 통해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시 마그네트의 하향 및 상향 이동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지지체(21)의 하부에는 연결대(212)가 설치되며, 연결대(212)의 하부에는 회동구체(211)가 결합되고, 상부창(51)에는 상기 회동구체(211)가 억지끼움에 의해 끼워지는 회동구체 삽입홈(511)이 마련되어 상기 회동구체(211)가 상기 회동 구체 삽입홈(511)에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보행시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 몸무게에 의하여 중간창(52)이 수축하고, 상기 수축에 의해 상부창(51)이 하향 이동되며, 상부창(51)의 회동구체 삽입홈(511)에 끼워져 있는 회동구체(211)가 동일 방향으로 하향되어 이 회동구체(211)에 연결된 마그네트(20)가 보빈(10) 내부에서 하향되고, 상기 보빈(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장이 변화하면서 기전력이 발생된다.
또한, 회동구체 삽입홈(511)에 끼워져 있는 회동구체(211)가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되어 상부창(51)이 하향 및 상향시에 미세한 움직임을 보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탈부착하는 앞코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밑창(50)의 앞코에 결합되며 상기 신발(1)의 발등에서 양 측면으로 분리되어 상기 발목벨트(70)와 결합되는 앞코벨트(61, 6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앞코벨트(61, 62)에 의해 신발(1)이 앞으로 밀림 현상이 제거되어 더욱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앞코벨트(61, 62)의 결합도 벨크로(61a, 62a, velcro), 스냅(snap), 버클(buckle) 및 후크(hook)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앞코벨트(61, 62)가 발목벨트(70)와 결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앞코벨트(61, 62)와 발등벨트(60) 2가지가 결합된 형태 또는 앞코벨트(61, 62)와 발등벨트(60) 및 발목벨트(70) 3가지가 결합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등벨트(60), 발목벨트(70) 및 앞코벨트(61, 62)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며 벨트의 교차점에는 벨크로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창의 양 측면에 접합되며 상기 신발의 발등에서 결합되는 발등벨트와 신발의 발목에서 결합되는 발목벨트에 의해 통상의 모든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을 제공하여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신발에 부착하여 발전할 수 있으며, 발등벨트와 발목벨트에 의해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고, 신발 착용없이 맨발에도 착용하여 발전할 수 있다.
또한, 보행에 따른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축전지에 충전되고 이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출력 잭을 통하여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밑창에는 다수개의 탄성체가 설치되어 발전을 하기 위한 보행시 충격을 감소시키고 점핑할 수 있는 발전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1 : 신발 10 : 보빈
11 : 코일 12 : 커버
20 : 마그네트 21 : 지지체
30 : 정류회로 30a : 컨버터
30b : 정전압 레귤레이터 40 : 축전지
41 : 출력 잭 42 : 잭 커버
50 : 밑창 51 : 상부창
52 : 중간창 53 : 하부창
60 : 발등벨트 61, 62 : 앞코벨트
60a. 70a, 61a, 62a : 벨크로
70 : 발목벨트 80, 908, 918, 928 : 탄성체
90 : 앞굽부 91 : 중간부
92 : 뒷굽부 100 : 발전용 신발
200 : 케이스 210 : 수납부
211 : 회동구체 212 : 연결대
511 : 회동구체 삽입홈

Claims (8)

  1. 신발(1)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부창(51), 중간창(52) 및 하부창(53)을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밑창(50)과;
    상기 밑창(5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신발(1)의 뒷굽 및 상기 신발(1)의 신발굽을 감싸도록 하고 상기 밑창(50)의 상방으로 설치되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에 일정한 홈이 형성되는 수납부(210)와;
    상기 수납부(210)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코일(11)이 권취되는 보빈(10)과;
    상기 보빈(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지체(21)에 의해 상기 밑창(50)과 결합되는 마그네트(20)와;
    상기 케이스(200)에 수납되며 상기 중간창(52)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상기 보빈(10) 내부에 수용된 마그네트(20)가 상?하운동을 하고 상기 마그네트(20)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코일(11)의 양단에서 기전력이 발생되며, 상기 기전력을 일정한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정류회로(30)와;
    상기 정류회로(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축전지(40)와;
    상기 밑창(50)의 양 측면에 접합되며 상기 신발(1)을 감싸서 결합되는 발등벨트(60)와;
    상기 케이스(200)의 후방에서 접합되며 상기 신발(1)을 감싸서 결합되는 발목벨트(70)와;
    상기 중간창(52)에는 다수개의 탄성체(8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1)의 하부에는 연결대(212)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대(212)의 하부에는 회동구체(211)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창(51)에는 상기 회동구체(211)가 억지끼움에 의해 끼워지는 회동구체 삽입홈(511)이 마련되어 상기 회동구체(211)가 상기 회동 구체 삽입홈(511)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창(52)에는 앞굽부(90)에 위치하는 탄성체(908), 중간부(91)에 위치하는 탄성체(918) 및 뒷굽부(92) 위치하는 탄성체(928)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앞굽부(90)에 위치하는 탄성체(908)와 상기 뒷굽부(92) 위치하는 탄성체(928)의 탄성력은 상기 중간부(91)에 위치하는 탄성체(918)의 탄성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30)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30a);
    일정전압 이상의 출력을 방지하는 정전압 레귤레이터(3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에 설치되며, 상기 축전지(40)와 연결되어 상기 축전지(40)의 충전된 전압을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 잭(4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잭(41)의 연결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잭 커버(4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등벨트(60)와 상기 발목벨트(70)의 결합은 벨크로(60a, 70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밑창(50)의 앞코에 결합되며 상기 신발(1)의 발등에서 양 측면으로 분리되어 상기 발목벨트(70)와 교차 결합되는 앞코벨트(61, 6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용 신발.
KR1020100019655A 2010-03-05 2010-03-05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 및 점핑용 신발 KR10116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655A KR101163859B1 (ko) 2010-03-05 2010-03-05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 및 점핑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655A KR101163859B1 (ko) 2010-03-05 2010-03-05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 및 점핑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695A KR20110100695A (ko) 2011-09-15
KR101163859B1 true KR101163859B1 (ko) 2012-07-09

Family

ID=4495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655A KR101163859B1 (ko) 2010-03-05 2010-03-05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 및 점핑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5348B (zh) * 2014-06-27 2016-01-06 青岛金智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可两用的防静电鞋
KR101700894B1 (ko) * 2015-07-13 2017-01-31 발리교역(주) 자기유도를 이용한 자가발전 신발
KR102624845B1 (ko) * 2021-09-06 2024-01-12 박정치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점핑 효과를 갖는 자가 발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611A (ja) 2001-02-15 2002-08-27 Seiko Epson Corp 着脱装置付履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611A (ja) 2001-02-15 2002-08-27 Seiko Epson Corp 着脱装置付履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695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75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US9190886B2 (en) Foot-powered energy generator
US20070201221A1 (en) Lighted shoes
KR101602246B1 (ko) 자가발전용 신발
KR101163859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발전 및 점핑용 신발
CN205214344U (zh) 带有充电功能的鞋子
KR20120101774A (ko) 자가 발전 장치를 구비한 계단
CN102334772A (zh) 多功能磁力发电鞋
US20170280824A1 (en) Quick change shock mitigation outsole insert with energy harvester
CN105919240B (zh) 多功能老年护理拐杖
KR200238217Y1 (ko) 자가발전기가 장착된 신발
CN106551462A (zh) 一种减震充电鞋底
KR20130080665A (ko) 우주화
CN109846133A (zh) 一种免充电智能安全鞋
KR20110127334A (ko) 보행 발전 장치
KR102624845B1 (ko)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점핑 효과를 갖는 자가 발전장치
CN215347274U (zh) 一种步行发电鞋
KR101764432B1 (ko) 병진운동을 이용한 자가발전장치
KR101262112B1 (ko) 충전기능신발 및 신발의 충전시스템 및 패드
RU2787839C1 (ru) 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
CN215347273U (zh) 一种新型自发电鞋
KR960014892B1 (ko) 신발굽에 내장된 충전장치
CN206041606U (zh) 一种动电手环
KR200259489Y1 (ko) 충전용 자가 발전 구조를 갖는 신발
JP3099932U (ja) 歩行運動を直接電力に変換する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