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255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255B1
KR101163255B1 KR1020050074586A KR20050074586A KR101163255B1 KR 101163255 B1 KR101163255 B1 KR 101163255B1 KR 1020050074586 A KR1020050074586 A KR 1020050074586A KR 20050074586 A KR20050074586 A KR 20050074586A KR 101163255 B1 KR101163255 B1 KR 10116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vacuum cleaner
cooling
cooling rod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9918A (en
Inventor
김재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255B1/en
Publication of KR2007001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원; 상기 냉기를 전달받는 집진유닛; 및 상기 냉기에 의해서 외면에 수적이 발생되기 위하여 상기 집진유닛의 내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냉각봉이 포함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oling source for generating cold air; A dust collecting unit receiving the cold air; And a cooling rod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so that water droplets are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by the cold air.

본 발명에 의해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되는 이물이 조대화되고 이물의 밀도가 증대되도록 하여 이물분리의 효율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고, 이물의 폐기동작이 편리하게 수행되고, 일단 포집된 이물의 배출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물이 조대화되어 동일한 부피의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될 수 있는 이물의 양이 증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물을 버리는 주기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서 이물의 부피가 부푸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감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각봉에 의해서는 수적이 발생되는 수적발생면으로서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지만, 냉각봉의 위치적인 요인에 의해서 냉각봉의 외주면에 머리카락 등의 긴 이물이 걸려져서, 추후에 이물의 제거가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s coarse and the density of the foreign material is increased, so that the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separation is enhanced, and the disposal oper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is conveniently performed, and the foreign material collected on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prevented.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is coarse to increase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that can be collected in the same volume of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 user can reduce the cycle of discarding the foreign material can be obtained the advantage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enhan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olume of foreign matters from swelling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are enhanced. In addition, although the cooling rod may be operated as a droplet generating surface where water droplets are generated, a long foreign material such as hair is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rod due to the positional factor of the cooling rod, which makes it easier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later. You can also get the benefits.

진공 청소기, 수적, 조대화, 냉각봉 Vacuum cleaner, soaking, coarsening, cooling rod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정면 사시도.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유닛의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Ⅲ-Ⅲ'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A"의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6.

도 8은 도 3의 Ⅰ-Ⅰ'의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에서 제 2 이물저장챔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세로 단면도로서, 도 2의 Ⅱ-Ⅱ'의 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FIG.

도 11은 도 10의 "B"의 확대도.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 10.

도 12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각봉의 단면도.12 is a sectional view of a cooling r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3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단면도.13 is a 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4은 도 13에서 "C"의 확대도.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C” in FIG. 13;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각봉의 단면도.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ling r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0 : 집진바디 601 : 냉각봉400: dust collecting body 601: cooling rod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에 포집되는 이물의 부피가 줄어들도록 하여, 이물의 집진효율이 증진되고 진공 청소기의 사용기간이 길어지고, 나아가서 시각적인 이미지가 개선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심미감이 증진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in detail, to reduce the volume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to improv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erial and the use period of the vacuum cleaner, further improve the visual image I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so as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user.

진공 청소기는 팬과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가 강제로 흡입되고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이 소정의 필터링 부재에 의해서 걸러져서 실내환경을 청결히 하는 가전기기이다.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cleans an indoor environment by filtering external members by a predetermined filtering member while foreign air is forcibly suck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fan and a motor.

한편,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링 기구에는 다공성의 필터를 통과하는 중에 강제적으로 이물이 걸러지는 다공성 필터유닛과,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 중에 이물이 걸러지도록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유닛이 있다. 근래들어서는, 반영구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유닛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ering mechanism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porous filter unit forcibly filtering foreign mat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porous filter, and a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to filter foreign matter during the cyclone flow of air. There is this. In recent years, a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is widely used.

또한, 상기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유닛은 싸이클론 공기 유동이 형성되어 이물이 분리되는 이물분리챔버와, 상기 이물분리챔버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 물저장챔버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이물분리챔버에서 분리된 이물이 계속해서 상기 이물저장챔버에 쌓여서 일정부피 이상으로 이물이 저장되어 청소의 효율이 떨어지면 사용자에 의해서 외부로 버려진다. 그리고, 상기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된 이물이 적정한 시간에 버려지지 아니하면 청소기의 집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in which a cyclone air flow is formed to separate foreign matters, and a water storage chamber in which foreign matters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are stored. With this structure, foreign matters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continue to accumulate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and foreign matters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and discarded to the outside by the user when the efficiency of cleaning decreases. In addition, when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s not discarded at an appropriat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cleaner is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good.

그러나, 상기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유닛에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되는 이물은 상기 이물분리챔버에서 분리되는 이물이 자중에 의해서 자유낙하하는 과정으로 내부에 쌓이기 때문에, 적층밀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실질적으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쌓여있는 이물의 양이 작으면서도 이물의 부피가 과대하게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주 이물저장챔버를 비워야 하는 사용상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서, 저 밀도의 이물이 과대하게 포집되었음에도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이물이 버려지지 아니하면, 이물이 상기 이물분리챔버까지 쌓여서 이물분리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외부에서 관찰되는 미관도 좋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n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has a problem of low stacking density because foreign matters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are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free fall by self weight. In other words, since the volume of the foreign material is excessively large while the amount of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inside of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s excessively lar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use that the user frequently has to empty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Furthermore, even if foreign matters of low density are collected excessively, if foreign matters are not discarded at an appropriate time interval, foreign matters accumulate in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chamber, and thus, the efficiency of foreign material separation decreases, and the aesthetics observed from the outside are not good. have.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된 이물이 미세한 먼지로서 그 크기와 밀도가 낮으면서도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경우에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This problem becomes more apparent when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s fine dust and has a low size and density but occupies a large volume.

또한, 이물의 폐기동작 시에도 미세한 이물이 상기 이물저장챔버의 내벽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물저장챔버를 별도로 씻어야 되는 단점이 있고, 포집된 미세한 이물이 들떠서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환경을 재차 오염시키 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foreign matter disposal oper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has to wash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separately, because the fine foreign matter does not fall on the inner wall of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and the collected fin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room to re-exhaust the indoor environment again. There is a problem of contamination.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되는 이물의 크기가 커지고 이물의 밀도가 증대되도록 하여 이물분리의 효율이 증진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size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s increased and the density of the foreign matter is increased so that the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separation is improved. .

또한, 분리된 이물의 크기가 커지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부피의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될 수 있는 이물의 양이 증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물을 버리는 주기를 줄일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진공 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to increase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that can be collected inside the same volume of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 user can reduce the cycle of discarding the foreign material more convenient to use the vacuum clean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또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서 이물의 부피가 부푸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인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preventing the volume of foreign matters from swelling inside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reby improving the visual aesthetics of the user.

또한, 집진유닛의 내부에서 이물이 덩어리를 이룸으로써, 이물의 폐기동작이 편리하게 수행되고 일단 포집된 이물이 다시금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foreign matter forms a mass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which facilitates the disposal operation of the foreign matter and prevents the collected foreign matter from being discharged again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원; 상기 냉기를 전달받는 집진유닛; 및 상기 냉기에 의해서 외면에 수적이 발생되기 위하여 상기 집진유닛의 내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냉각봉이 포함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oling source for generating cold air; A dust collecting unit receiving the cold air; And a cooling rod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so that water droplets are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by the cold air.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진공 청소기 본체;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유닛; 상기 집진유닛의 내부에 형성되어 집진된 이물을 저장하는 이물저장챔버; 상기 이물저장챔버의 내부로 돌출되는 냉각봉; 및 상기 냉각봉에 냉기를 공급하여, 상기 냉각봉의 외면에 수적을 생성시키는 냉각원이 포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cleaner body; A dust collecting unit selectively hous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to collect foreign matter; A foreign material storage chamber form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storing foreign matters collected therein; Cooling rods protruding into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And a cooling source supplying cold air to the cooling rods to generate water drople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s.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원; 열기를 발생시키는 히터; 및 상기 냉기에 의해서 내부에 수적이 형성되어 포집된 이물을 조대화되고 상기 열기에 의해서 상기 수적이 증발되어, 이물의 조대화가 증진되도록 하는 집진유닛이 포함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oling source for generating cold air; A heater generating heat; And a dust collecting unit configured to form water droplets inside the cold air to coarsen the collected foreign matter and to evaporate the water droplets by the heat, thereby increasing the coarsening of the foreign material.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진공 청소기의 집진효율이 개선되고, 사용자가 이물을 버려야 하는 주기가 길어지고, 집진유닛의 미관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물이 집진유닛의 내부에서 덩어리져 있기 때문에 걸러진 이물이 다시금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환경을 해치는 문제점도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is improved, the period in which the user has to discard the foreign material is long, and the aesthetics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foreign matter is agglomera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the filtered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again to the outside,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problem of the indoor environ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흡입관로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흡입팬 및 집진유닛이 놓여서, 흡입된 공기 중에서 이물이 걸려져 깨끗해진 뒤에,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leaner body 100 and a suction pipe path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t least a suction fan and a dust collecting unit are disposed insid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and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and cleaned in the sucked ai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흡입관로는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흡인력에 의해서 공기와 함께 이물이 흡입되는 관로이다. 상세하게, 상기 흡입관로는 강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이물 및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체(1)와, 상기 흡입 노즐체(1)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길이가 신축적으로 늘어나는 연장관(2)과, 상기 연장관(2)의 단부에 제공되는 동작 핸들(3)과, 상기 동작 핸들(3)의 전방에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에 제공되는 조작부(4)와, 상기 동작 핸들(3)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관(5)과, 상기 플렉시블 관(5)의 단부에서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와 연결되는 커넥터(6)와, 상기 연장관(2) 또는 흡입 노즐체(1)의 소정 위치에 놓여 진공 청소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연장관(2)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관 걸이(7)가 포함된다. The suction pipe is a pipe in which foreign matter is sucked together with ai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In detail, the suction pipe passage includes a suction nozzle body 1 for sucking foreign matter and dust together with air from the outside by a strong air flow, and a length extending from the suction nozzle body 1 according to a user's use state. A stretchable extension tube 2, an operation handle 3 provid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tube 2, and an operation unit 4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user's hand touches the front of the operation handle 3; And a flexible tube 5 further extending rearward from the operation handle 3 and b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a connector 6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t an end of the flexible tube 5. And an extension tube hook 7 for placing the extension tube 2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extension tube 2 or the suction nozzle body 1 when the vacuum cleaner is not used.

상기 커넥터(6)는 상기 조작부(4)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단자의 기능과, 흡입된 공기가 진공 청소기 본체(6)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6)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전기 연결단이 더 제공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6)는 흡입관로의 어느 부분에 상기 조작부(4)가 놓일 경우에만 필요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조작부(4)가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어느 곳에 형성되는 경우에, 커넥터(6)는 상기 신호 연결단이 없이 공기의 유입통로로서의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onnector 6 has a func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for allowing the user's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4 to be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nd to allow the sucked air to flow into the vacuum cleaner body 6. The function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ends are further provided at the ends of the connector 6.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6 is necessary only when the operation unit 4 is placed in any part of the suction pi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when the operation unit 4 is formed anywhere in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he connector 6 may allow only the function as the inflow passage of air without the signal connection end.

또한, 상기 흡입관로를 통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이물이 걸러지고 깨끗해진 뒤에,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through the suction pipe pass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cleaned insid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제 1 베이스(1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직근 상측에 놓이는 제 2 베이스(150)와, 상기 본체(100)의 후부의 양측에 제공되어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바퀴(111)와,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상측부에 제공되는 커버(200)와, 본체(100)의 전방부에서 상기 커버(200)와 상기 베이스(110)(150)가 연결되어 양자간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전방 서포터(17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body will be describ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 first base 11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first base ( The second base 150 plac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110, the wheels 11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smoothly mov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and the vacuum cleaner A cover 20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a front supporter which is firmly supported between the cover 200 and the base 110 and 150 at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 170).

상기 전방 서포터(170)에는 상기 커넥터(6)가 연결되어 외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서포터(170)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의 형상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Of course, the connector 6 is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er 170 to allow outside air to be sucked. In addition, the front supporter 170 allows the shape of the front part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o be firmly supported.

상기 제 2 베이스(150)는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직근 상방에 제공되어 제품의 형상이 미려하게 유지되고,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하측부의 강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The second base 150 is provided directly above the first base 110 so that the shape of the product is beautifully maintained and the strength of the lower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is increased.

상기 커버(200)의 후방에는 본체 배기구(302)가 형성되는 배기커버(301)가 제공되어, 진공 청소기 본체(100)에 의해서 깨끗해진 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 기 커버(200)의 상면에는 소정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이동핸들(20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핸들(20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움직임으로써, 진공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립되고 보관시에는 뉘어져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n exhaust cover 301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ver 200 to form a main body exhaust port 302 so that the air cleaned by the vacuum cleaner body 100 is discharg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0 is formed with a movable handle 201 which can be rotated around a predetermined hinge point. The movement handle 201 is moved by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is upright when the user wants to move it, and when it is stored, the mobile handle 201 can be conveniently used.

상기 전방 서포터(170)의 후방에는 집진유닛(400)이 안착되어 외기가 유입되고, 상기 집진유닛(400)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싸이클론 부재가 수용된다. At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er 170, a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eated and outside air is introduced therein, and a cyclon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o filter foreign matter by cyclone flow.

도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유닛(400)은 진공 청소기 본체(100) 내부의 집진 유닛 수용부(151)에 상하 방향으로 안착된다. 그러므로, 장착시에는 하방으로 누르고, 탈거시에는 상측으로 당기면 된다.As shown in FIG. 3,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ea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mmodating part 151 inside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sh downward when mounting and pull upward when removing.

상기 전방 서포터(170)에는 본체 흡입구(17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흡입구(171)과 정렬되는 상기 집진유닛(400)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집진유닛 흡입구(401)가 위치한다. 그리고, 집진유닛(400)에서 상기 집진유닛 흡입구(401)와 반대되는 방향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모터측 흡입구(172)와 정렬되어 집진유닛(400)을 통과하며 깨끗해진 공기가 모터측으로 흡입된다.The front supporter 17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suction port 171, and a dust collecting unit suction port 401 is position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ligned with the main body suction port 171. In addition, a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ust collecting unit suction port 401.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is aligned with the motor side suction port 172 and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nd the clean air is sucked to the motor side.

상기 배출구와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크기를 줄이고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납작한 직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The discharge port and the motor side suction port 172 are provided in a flat rectangular shape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nd allow the air to flow smoothly.

또한, 상기 집진유닛(400)의 하면이 닿는 상기 제 2 베이스(150)의 하면에는 냉각봉(601)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봉(601)은 상기 집진유닛(400)의 내부로 삽입된 다. 상기 냉각봉(601)은 그 자체가 차가운 부분으로서 냉각봉(601)의 외면이 주위보다 차가와지게 됨으로써, 냉각봉(601)의 외면에는 이슬, 즉 수적이 맺히게 된다. In addition, a cooling rod 601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150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ouches, and the cooling rod 601 is insert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 The cooling rod 601 is a cold portion itself,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is colder than the surroundings, thereby forming dew, that is, water drople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이와 같이 상기 냉각봉(601)의 외면에 맺히는 이슬, 다시 말하면 수적(水滴)은 자체적인 부착력에 의해서 이물이 뭉쳐지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미세 이물의 크기가 커지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부착력이 높은 수적이 집진유닛(400)의 내부에서 이물이 유동하는 공간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수적에 미세이물이 부착되어 수적이 증발된 뒤에도 이물이 덩어리 진 상태로 조대(造大)화되어 상기 미세 이물은 밀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dew,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that is, water droplets (water) causes the foreign matter to be agglomerated by its own adhesive force,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fine foreign matter. In other words, since the high adhesion water droplets are provided in the spac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flows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he fine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water droplets so that even after the water droplets evaporate, the foreign matter is coarse. The fine foreign matter is maintained in a high density state.

이 경우에, 상기 수적이 증발된 뒤에 냉각봉(601) 및 집진유닛(400)의 내벽에 붙어있는 조대화된 이물이 떨어져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공간에 쌓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집진유닛(400)의 내부에 포집된 이물은 조대화되어 밀도가 커지는 것은 당연히 예측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after the water droplets are evaporated, the coars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ner wall of the cooling rod 601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falls and accumulates in the inner space of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wherei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he foreign material collected inside will be coarse and denser.

한편, 상기 냉각봉(601)은 머리카락등의 길이가 긴 이물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이물이 수적에 의해서 조대화되는 동작이 더욱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봉(601)으로의 열전달이 신속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냉각봉(601)의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예시가능한 고 열전도성의 금속을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적형성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봉(601)의 외면은 매끄럽게 다시 말하면 조도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rod 601 can take a long foreign material such as hair,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ceed the operation that the foreign material is coarse by water droplets. And, in order for the heat transfer to the cooling rod 601 to occur quickly, the material of the cooling rod 601 is preferably made of a high thermal conductivity metal, which can be exemplified by aluminum.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ter droplet form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is formed to be smooth, that is, low illuminance.

도 4는 도 3의 Ⅲ-Ⅲ'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냉각봉(601)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냉각봉(601)의 내부에는 소정의 냉각원으로서 열전모듈(602)이 제공 되어, 상기 냉각봉(601)으로 냉기를 제공한다. 상기 열전모듈(602)은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열을 이동시키는 모듈로서, 상기 냉각봉(601)을 향하는 면은 냉각면이 되고 그의 반대면, 다시 말하면, 내부공간은 방열공간으로 동작된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3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rod 601,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is provided inside the cooling rod 601 as a predetermined cooling source. The cooling rod 601 provides cold air.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is a module for moving heat by using electricity as an energy source by using the Peltier effect. The surface facing the cooling rod 601 becomes a cooling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that is, the internal space is radiated. Operated into space

상기 열전모듈(602)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비스무트(Bi), 텔투르(Te)와 같이 전기전도방식이 다른 반도체를 교번하여 형성시켜서 전기를 통전시키면, 일면에서는 발열현상이 일어나고 반대면은 흡열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하여, 흡열현상이 일어나는 면이 냉각면이 되도록 하여 냉각봉(601)을 차게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상기 반도체의 종류는 소개되는 재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식의 다른 열전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서 상기 냉각봉(601)에 대향되는 면에서 흡열현상이 수행되는 것은 당연하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hen a semiconductor having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on methods such as bismuth (Bi) and teltur (Te) is alternately formed and energized, electricity is generated on one side and the opposite is caused. The surface acts in such a manner that the endothermic phenomenon takes place, so that the side where the endothermic phenomenon occurs becomes the cooling surface, and the cooling rod 601 is cooled. The kind of the semiconductor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to be introduced, and other thermoelectric modules of various types may be used. However, it is natural that the endothermic phenomenon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cooling rod 601 by the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상측부에서 앞쪽에는 상기 제 2 베이스(150)가 놓이고, 뒷쪽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300)이 놓인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상기 커버(200)가 덮혀져서 진공 청소기의 본체(100)가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base 150 is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base 110, and the motor housing 300 is placed on the rear side. Then, the cover 200 is sequentially covered to form a main body 100 of the vacuum cleaner.

여기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전방 서포터(170)가 별도의 부분으로서 상기 커버(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10)(15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300)에서는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 방향이 수직으로 꺾여서 하방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모터 하우징(300)에서 유동 방향이 수평으로 꺾여서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Here,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base 110 and 150 in a state where the front supporter 170 is fastened to the cover 200 as a separate part. In the motor housing 300, the air sucked through the motor side inlet 172 flows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Then,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o the rear by bending the flow direction in the motor housing 300 horizontally.

한편, 상기 제 1 베이스(110)에서 상기 냉각봉(60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열전모듈(602)에서 발열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방열홀(603)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홀(603)을 통하여 열전모듈(602)의 발열면에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된다. Meanwhile, a heat dissipation hole 60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ling rod 601 in the first base 110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to the outside. Hot air is discharged from the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through 603.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유닛(400)은 스펀지등과 같은 다공성의 필터가 사용되지 아니하고, 싸이클론 유동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서로 분리되는 두개소 이상의 분리챔버에서 각각 수행되도록 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까지 완전하게 필터링되도록 하는 것에 일 특징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porous filter such as a sponge or the like, and filters foreign matter from the cyclone flow. In addition, the cyclone flow may be performed in two or more separation cha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ne dust in the air may be completely filtered.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 개의 이물분리챔버(도 8의 423, 424참조)와 복수개의 이물저장챔버(도 8의 417, 416참조)가 형성되는 집진바디(406)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하측부에 밀폐로 제공되어, 상기 이물저장챔버(416)(417)에 저장되는 이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챔버 실링부(415)(402)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방에 놓여서 집진바디(406)에서 배기되는 공기의 토출측에 제공되는 배기부(407)와, 상기 배기부(407)의 상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되어 배기부(407)를 통과한 공기가 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간격부(408)와, 상기 간격부(408)의 상방에 놓이는 커버구조(409)(410)(411)(412)가 포함된다. In detail, a dust collecting body 406 having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s (see 423 and 424 of FIG. 8) and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s (see 417 and 416 of FIG. 8)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t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and the chamber sealing parts 415, 402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s placed above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417) to leak The exhaust portion 407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air exhausted from the body 406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portion 407 at predetermined intervals above the exhaust portion 407 are directed in one direction. And a cover structure 409, 410, 411, and 412 placed above the spacer 408.

상세하게, 상기 커버구조는 모체를 이루는 제 1 커버(410)와, 상기 제 1 커버(4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놓이는 제 3 커버(412) 및 제 2 커버(409)와, 상기 제 1 커버(410)와 제 2 커버(409)가 같이 고정되도록 하는 커버 삽지구(411)가 포 함된다. 상기 커버 삽지구(411)는 상기 제 1 커버(410) 상면부의 일부분을 덮어서 외관이 아름답게 구현되고, 상기 제 1 커버(410) 및 제 2 커버(409)가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된다.In detail, the cover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ver 410 that forms a parent, a third cover 412 and a second cover 409 which are respectively placed in front and rear of the first cover 410, and the first cover 410. Cover insertion hole 411 for fixing the cover 410 and the second cover 409 is included. The cover insertion slot 411 cover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cover 410 so that the appearance is beautifully implemented, and the first cover 410 and the second cover 409 are simultaneously fixed.

상기 집진바디(406)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유동에서 오물 분리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원추형 필터(405)와, 상기 원추형 필터(405)의 하방에 놓여서 포집된 이물의 재비산을 방지하는 차단부(404), 상기 차단부(404)의 하방에 형성되어 회전운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이물이 오물저장챔버의 내부에 가라앉도록 하는 유동방지판(403)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404)와 상기 유동방지판(403)은 한 몸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 필터(405)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dust collection body 406, a conical filter 405 for smoothly separating the dirt in the cyclone flow, and a block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re-scattering of foreign matter collected under the conical filter 405 ( 404, a flow preventing plate 403 is formed below the blocking portion 404 to slow the flow rate of the air to be rotat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sinks inside the dirt storage chamber. Here, the blocking part 404 and the flow preventing plate 403 may be formed in one body, and the conical filter 405 may be formed as a separate component.

또한, 상기 제 1 커버(410)의 일측부에는 개폐버튼(413)이 놓이고, 상기 개폐버튼(413)과 일단이 닿아서 상기 개폐버튼(413)의 푸쉬 동작에 의해서 회동운동이 수행되는 개폐레버(41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개폐레버(414)의 타단은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와 닿는다. 그러므로, 상기 개폐버튼(413)의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개폐레버(414)는 소정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레버(414)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와 상기 개폐레버(414)와의 접촉부가 떨어지면,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는 자중에 의해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물저장챔버(416)(417)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던 이물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폐기된다.In addition, an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3 is plac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ver 410, and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3 is in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3 Lever 414 is included.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lever 414 contacts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Therefore,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3,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414 is rotated about a predetermined hinge point. Whe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irst chamber sealing portion 415 and the opening / closing lever 414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lever 414, the first chamber sealing portion 415 may set a hinge point by its own weight. The foreign material that is rotated about the center and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s 416 and 417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and discarded.

또한,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에 포집되는 이물이 조대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냉각봉(601)이 삽입되는 삽입공(6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610)은 다수개의 격막(611)에 의해서 막혀있다. 여기서, 상기 격막(611)은 연질의 고무를 재질로 하는 것으로서, 냉각봉(601)이 삽입될 때에는 부드럽게 변형되어 냉각봉(601)이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냉각봉(601)이 빠질때에는 냉각봉(601)의 외면을 훑을 수 있어서 냉각봉(601)의 외면에 점착되는 조대화된 이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제 1 이물저장챔버(416)의 내부공간에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공(610)은 상기 냉각봉(60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oarsen the foreign material collect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the insertion hole 610 is inserted into the cooling rod 60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chamber sealing portion 415 The insertion hole 610 is formed and blocked by a plurality of diaphragms 611. Here, the diaphragm 611 is made of soft rubber, and when the cooling rod 601 is inserted, it is softly deformed so that the cooling rod 60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When the cooling rod 601 is pulled out,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may be swept away so that the coars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Be in the interior space. To this end, the insertion hole 610 is of cours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oling rod 601.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공(610) 및 격막(611)의 구조에 대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6, an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structures of the insertion hole 610 and the diaphragm 611 will be clearly understood.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챔버 실링부(415)(402)는 각각의 실링부에 의해서 이물저장챔버(416)(417)의 하측면 각각이 별도로 밀폐 실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는 상기 집진바디(406)에 힌지결합되고, 이물의 폐기시에 제 1 챔버 실링부(415)가 힌지운동에 의해서 열려서 이물이 손쉽게 버려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면에는 제 1 이물분리챔버(423)와 제 2 이물분리챔버(424)를 구획하고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판(437)이 형성된다. Referring back to FIG. 6, the chamber sealing parts 415 and 402 allow each of the lower side surfaces of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s 416 and 417 to be hermetically sealed by the respective sealing parts. In addition,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is hing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and when discarding the foreign material,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is opened by the hinge movement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an be easily discarded. . In addition, a separation plate 437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to partition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 423 and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 424 and form a flow path.

또한, 상기 집진바디(406)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기부(407)가 집진바디(406)의 바깥쪽으로 안착될 때 위치가 용이하게 찾아지고, 삽입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45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459)의 상측 모서리 부위는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하여, 배기부(407)의 삽입동작이 손쉽게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459)의 외측면에 상기 배기부(407)의 내측면이 접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부(407)로 외부의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가이드 리브(459)에 의해서 충격이 흡수되고 충격이 지지되기 때문에, 배기부(407)의 몸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when the exhaust portion 407 is seat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s easily located, a plurality of guide ribs (so that the insertion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459 is formed. In additio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guide rib 459 is smoothly curved, so that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exhaust part 407 is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ortion 407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ib 459,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exhaust portion 407, the guide rib 459 Since the shock is absorbed and the shock is supported, breakage of the body of the exhaust portion 407 can be prevented.

도 8은 도 3의 Ⅰ-Ⅰ'의 단면도로서, 도 8을 참조하여, 집진 유닛(400)의 내부 구성 및 집진유닛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3, with reference to FIG. 8 to describ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nd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n detail.

먼저, 상기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400)에는, 집진바디(406)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하측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실링부(402)(415)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내부에 수용되어 집진효율을 증대시키는 원추형 필터(405)와, 포집된 이물의 재비산을 막는 차단부(404)와,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저하되어 이물이 낙하되도록 하고, 먼지의 들뜸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판(403)과,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집진바디(406)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는 배기부(407)와, 배기부(407)를 경유한 공기가 일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간격부(408)와, 상기 배기부(407)의 상측부에 놓이는 커버(409)(410)(411)(412)가 도시된다. First, 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collecting body 406 and a sealing part 402 for selectively sealing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 415, the conical filter 405 accommoda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to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the blocking portion 404 for preventing re-splash of the collected foreign matter, and the flow rate of cyclone flow is reduced. A flow preventing plate 403 to allow foreign matters to fall, and an exhaust part 407 placed above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to allow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to flow smoothly. And a gap 408 for collec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407 in one direction, and covers 409, 410, 411 and 412 that are placed above the exhaust 407. do.

상기 집진바디(406)의 구성을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will be described.

상기 집진바디(406)는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벽이 제공되는데, 최외각에 형성되는 외벽(418)과, 상기 외벽(418)의 안쪽에 형성되는 중간벽(419)과, 상기 중간벽(419)의 안쪽에 형성되는 내벽(4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벽(419) 및 내벽(420)은,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가 통과되는 간격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lls extending up and down, the outer wall 418 formed on the outermost, the intermediate wall 419 formed inside the outer wall 418, and the intermediate wall ( An inner wall 420 formed inside 419 is included. The intermediate wall 419 and the inner wall 420 are not formed at intervals through which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passes, thereby allowing air to flow smoothly.

상기 외벽(418) 및 중간벽(419)의 사이 공간은 제 1 이물저장챔버(416)가 되고, 상기 중간벽(419)과 상기 내벽(420)의 사이 공간은 제 2 이물저장챔버(417)가 되고, 상기 내벽(420)의 내부 공간은 제 1 이물분리챔버(423)가 된다. 그리고,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챔버실링부(415)에는 상기 냉각봉(601)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610)과 상기 삽입공(610)을 막는 격막(611)이 제공되어 있다.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418 and the intermediate wall 419 is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and the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wall 419 and the inner wall 420 is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wall 420 becomes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610 through which the cooling rod 601 can be inserted and a diaphragm 611 blocking the insertion hole 610. have.

상기되는 구성에 의한 작용 내지 동작을 공기의 유동순서를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를 통하여 집진유닛(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는 외측으로는 상기 전방 서포터(170)와 접하고, 내측으로는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와 연통되어 외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의 내측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주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제 1 유입 가이드(421)가 상기 내벽(420)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The operation or operation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flow order of air. First,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pporter 170 on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on the inside to introduce the outside air. In addition, a first inflow guide 421 is inward from the inner wall 420 so as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air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Protrudes.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부에서 공기가 싸이클론 유동하는 중에, 이물은 하방으로 낙하되고 깨끗한 공기는 원추형 필터(405)의 개공을 통과하여 상측방향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원추형 필터(405)가 적용되는 것은, 집진유닛측 흡입구(401)가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추형 필터(405)의 상측부에는 비교적 고속회전의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나고, 하측부에는 비교적 저속의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고속의 싸이클론 유동에서는 이물이 외측으로 좀더 많이 치우쳐서 회전되지만, 저속의 싸이클론 유동에서는 이물질이 내측으로 좀더 많이 퍼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터 부재가 원추형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uring the cyclone flow of air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the foreign matter falls downward and clean air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nical filter 405 and is discharged upward. The conical filter 405 is applied in this way because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cyclone flow of the high speed rotation occur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ical filter 405, and the relatively low speed in the lower portion. Because cyclone flow occurs. That is, in the high-speed cyclone flow, the foreign material is rotated more outwardly, but in the low-speed cyclone flow, the foreign material is spread more inward, so that the filter member is applied in a conical shape to filter the foreign material. desirable.

상기 원추형 필터(405)는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상면벽을 이루는 분리판(437)의 중심부에 안착되고, 상기 분리판(437)에서 선택적으로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필터(405)에는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외부에서 안쪽으로 통과하여 유입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conical filter 405 is seated at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late 437 forming the upper wall of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i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plate (437). In addition, the conical filter 40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of course, the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여기서, 낙하된 이물의 재비산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원추형 필터(405)의 하측에는 차단부(404)가 놓이고,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404)는 하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됨으로써, 이물의 상승이 차단되어 들뜨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404)의 하방에는 유동방지판(40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일단 포집된 이물에 대해서는 싸이클론 공기 유동이 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물이 들뜨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없어지도록 한다. Here, the blocking portion 404 is placed under the conical filter 405 in order to prevent the re-splash of the falling foreign matter, as shown, the blocking portion 404 is expanded in diameter downwards, the foreign matter The rise of is blocked and do not get excited. In addition, a flow preventing plate 403 is formed below the blocking portion 404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cyclone air flow is not reached with respect to the foreign matter once collected, thereby eliminating the phenomenon of the foreign matter being lifted up. .

한편, 상기 냉각봉(601)의 외면에는 수적이 맺히게 되고, 상기 수적에 의해서 미세이물이 조대화되기 때문에, 이물이 들뜨는 현상은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미세이물이 조대화됨으로써 미세이물이 다시금 외부로 배출될 가능성이 줄어들고, 수적이 증발되더라도 미세이물은 조대화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미세이물의 부피가 줄어들어서 미세이물을 버리는 주기가 길어지고, 미세이물 자체에 의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어서 집진효율의 저하가 방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ater droplet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and because the foreign matter coarse by the water droplets, the phenomenon that the foreign matters can be further suppressed. In addition, as the fine foreign matter is coarsened, the possibility of the fine foreign matter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decreases, and even when water droplets evaporate, the foreign matter remains coarse, so that the volume of the fine foreign matter decreases and thus the cycle of discarding the fine foreign matter is reduced. Longer,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due to the fine foreign material itself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reduction of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prevented.

또한,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부에서 걸러진 이물은 하방의 제 1 이물저장챔버(416)에 저장된다. 여기서, 저장된 이물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의 하단부에는 제 1 챔버실링부(415)가 놓인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filter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is stor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below. Here,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is plac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to prevent leakage of the stored foreign material.

한편, 상기 원추형 필터(405)를 통과하여 분리판(437)의 상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대략적으로 큰 이물은 걸러진 상태이다. 그러므로, 이차적으로 미세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싸이클론 유동이 더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더 수행되는 싸이클론 유동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nical filter 405 to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437 is largely filtered foreign matter. Therefore, there is a further need for cyclone flow to allow secondary fines to be filtered out. Hereinafter, the cyclone flow performed furth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원추형 필터(405)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유입가이드(422)를 통하여 복수개의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입가이드(422)는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주면을 접선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챔버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난다. Air passing through the conical filter 405 is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through the second inlet guide 422.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inflow guide 422 dire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n a tangential direction,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may be formed in the chamber. Cyclone flow occurs.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분리되는 이물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제 2 이물저장챔버(417)에 저장된다. 그리고, 낙하된 이물이 다시금 비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하측부는 수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내부에 포집되는 이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하측부는 제 2 챔버실링부(402)에 의해서 밀폐된다.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the cyclone flow in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dropped downward and stored in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In order to prevent the dropped foreign material from scattering aga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 424 is contracted.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is sealed by the second chamber sealing part 402 in order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from leaking.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에서 이물이 걸러진 뒤에는 배기부측 흡입구(425)를 경유하여 배기부(407)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부(407)와 간격부(408)의 사이간격의 공간에 모인다. 여기서, 상기 배기부측 흡입구(425)의 직경은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경보다 축소되는데, 이와 같은 직경의 관계로 인하여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이물이 상기 배기부(407)로 함께 유동하는 가능성은 더욱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주면에 모여있는 이물은 상기 배기부측 흡입구(425)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fter the foreign material is filtered in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the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art 407 via the exhaust part side suction port 425, and the gap between the exhaust part 407 and the spacer part 408 is provided. Gather in space. Here, the diameter of the exhaust side suction port 425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the foreign matter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the exhaust portion ( The possibility of flowing together with 407 can be further reduced. In other words, the foreign matter gather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exhaust side suction port 425.

설명된 바와 같이, 두 군데의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로 유입되어 모터로 유입된다. 그리고, 모터를 통과한 뒤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후면으로 배기된다. As described, the air filtered by foreign matter by two cyclone flows is introduced into the motor side inlet 172 and flows into the motor. Then, after passing through the motor is exhausted to the rear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한편, 상기 간격부(408)의 상측부에는 소정의 커버구조가 더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커버구조를 이루는 제 1 커버(410)과, 상기 제 1 커버(410)의 전방 및 후방을 보호하는 제 3 커버(412) 및 제 2 커버(409)와, 상기 제 1 커버(410)에 상기 제 2 커버(409)가 고정되도록 하는 커버 삽지구(411)가 제공된다.Meanwhile, a predetermined cover structur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408. In detail, the first cover 410 forming the overall cover structure, the third cover 412 and the second cover 409 protecting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first cover 410, and the first cover A cover insertion hole 411 is provided at 410 to fix the second cover 409.

또한, 상기 배기부(407) 하단의 내측면은 상기 가이드 리브(459)에 접하여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배기부(407)가 상기 가이드 리브(459)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대한 배기부(407)의 강도가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459)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portion 407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guide ribs 459. As such, the exhaust portion 407 is supported by the guide ribs 459, thereby preventing external impac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strength of the base 407 is enhanced. The guide rib 45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한편,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는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4)에서 분리된 이물이 가능한 한 많이 저장되는 기능과,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에 저장되는 이물이 걸려서 움직이지 않고 정확하게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러한 기능과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 한다. Meanwhile,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has a function of storing as much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as possible, and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is caught and moved. Function to ensure that the data is stored correctly. This function and each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에서 제 2 이물저장챔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n a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는 집진바디(406)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is provid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n a predetermined shape.

상세하게,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상측단은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가 배치되는 위치를 따라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네 개소에는,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에서 분리된 이물이 먼저 저장되는 일차 저장부(446)가 형성된다. 상기 일차저장부(446)는 이물의 수용공간이 넓게 확보되고,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 내부에서 회전되는 이물이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is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disposed and extends downward. Then, at four locations extending downward, a primary storage unit 446 is formed in which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first stored. Preferably, at least two primary storage units 446 are formed in order to secure a wide space for accommodating foreign materials and to allow foreign materials to be rotat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또한,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에서 분리된 이물이 원활하게 낙하되어 상기 일차 저장부(446)로 포집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경사면(440)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경사면(440)은 모든 제 2 이물분리챔버(424)에서 분리되는 이물이 일차 저장부(446)측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비교적 넓은 구역에 수평부분이 없는 상태에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면(440)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 1 경사면(440)에 비하여 경사각이 더 가파르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442)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 2 경사면(442)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내부에서도 일차적으로 이물이 포집되는 일차저장부(446)을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4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smoothly dropped to be collected into the primary storage unit 446. The first inclined surface 440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horizontal portion in a relatively wide area so that foreign matters separated from all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s 424 are guided to the primary storage part 446 side. In addition, a second inclined surface 442 having a steeper inclination angle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40 is formed at a portion furth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440. Of course,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42 forms a primary storage unit 446 in which foreign materials are collected, even inside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또한, 상기 일차저장부(446)는 내 개소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그 이상의 개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imary storage unit 446 is shown as being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place, but is not limited to this, more than that may be formed.

한편, 상기 제 2 경사면(442)은 내부공간에 이물이 포집되는 일차저장부(446)의 역할이 수행될 뿐만 아니라, 외부벽은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에 포집되는 이물이 걸려서 요동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로서의 역할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일차저장부(446)는 원형틀의 형상으로서 비교적 넓은 면적에 제공되기 때문에, 머리카락등의 긴 이물이 걸리더라도 사용자가 하측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서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경사면(442)은 일정의 경사각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물을 하측으로 당겨서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42 not only serves as the primary storage unit 446 in which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inner space, but also the outer wall is shaken because the foreign matter trapp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is caught. It serves as a locking portion that does not. In addition, since the primary storage unit 446 is provid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in the shape of a circular frame, even if a long foreign material such as a hair is caught, the user can be quickly removed by a pulling force downward. Of course, sinc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42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he user can smoothly remove the foreign material by pulling the foreign material downward.

또한, 상기 제 2 경사면(442)의 하단부는 상기 제 2 챔버실링부(402)의 내면에 닿아있기 때문에, 상기 일차저장부(446)에 포집되는 이물은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로 빠져나가지 않을 뿐 아니라, 상호간의 공기 유동도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4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sealing portion 402,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primary storage portion 446 is transferred to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Not only does not esc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generate mutual air flow.

상기되는 집진유닛(400)의 동작과 함께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전체적인 동작 내지 작용을 도 10에 제시되는 진공 청소기의 세로 단면도로서, 도 2의 Ⅱ-Ⅱ' 단면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overall oper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II-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

도 10을 참조하여, 먼저 이물의 유입 및 유출경로를 중심으로 본원인 진공 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외기는 커넥터(6)와 연결되는 본체측 흡입구(171)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고,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를 통하여 집진유닛(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집진유닛(400)의 내부에서는 이미 설명된 바 와 같은 동작 및 작용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진 뒤에, 모터측 흡입구(172)를 통하여 모터 하우징(300)의 내부로 유입된다. Referring to FIG. 10, firs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inflow and outflow paths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outside air may be transferr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hrough the main body side suction port 171 connected to the connector 6. It is introduced, and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In addition,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by the operation and action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introduced into the motor housing 300 through the motor side inlet 172.

이때, 상기 모터 하우징(300)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유입구는 상방을 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집진유닛(400)을 통과하여 수평으로 유입된 공기는 진행방향이 꺾여서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300)을 통과한 뒤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에 제공되는 본체 배기구(30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inlet is directed upward in the state in which the motor housing 300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horizontally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turned downward to be directed downward. Then, after passing through the motor housing 30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exhaust port 302 provided on the back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이물의 조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열전모듈(60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냉각봉(601)을 마주보는 외면에는 흡열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결국 냉각봉(601)이 냉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면의 반대쪽에 제공되는 내면에는 발열현상이 일어나서 열이 상기 방열홀(60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the coarsening process of the foreign material,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because the endothermic phenomenon occurs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cooling rod 601, the cooling rod 601 is finally cooled. The inner surfac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surface generates heat and he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603.

또한, 상기 냉각봉(601)으로 전달된 냉기는 냉각봉(601)의 외면과 외부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상기 냉각봉(601)의 외면에 수적을 발생시킨다. 상기 수적에는 이물이 부착되기 때문에 수적을 중심으로 하여 이물이 조대화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610)의 공급전류 및 그 크기를 조절하여 냉기의 양이 조절되면 수적의 크기 및 발생량은 용이하게 제어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cold air delivered to the cooling rod 601 generates water drople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and the outside air. Of course, since the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water droplets, the foreign material is coarsened around the water droplets.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cold air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upply current and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610, the size and amount of water droplets may be easily controlled.

상기 수적의 부착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이 부착되고, 이물의 부착량이 계속해서 커지게 됨으로써 이물의 조대화는 더욱 진행된다.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is attached by the adhesion force of the water droplets, and the adhesion amount of the foreign matter continues to increase so that the coarsening of the foreign matter proceeds further.

이와 같은 냉기의 전달은 진공 청소기의 동작 중에는 계속해서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이물의 조대화가 계속해서 진행되도록 한다. 이후에는 진공 청소기의 동작이 종료되고 난 뒤에, 열전모듈(602)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역전되도록 하여 냉각봉(601)이 발열판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수적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함으로써, 수적을 중심으로 하여 조대화된 이물이 덩어리로 남아서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의 내부에 포집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열전모듈(602)이 역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수적이 증발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is transfer of cold air continues to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coarsening of foreign matter continues. Thereafter, afte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is finished,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is reversed so that the cooling rod 601 is operated as a heating plate to promote the evaporation of the water droplets. As a result, the coarse foreign matter remains in a lump to be collect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Of course,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is not reversed, water droplets may be naturally evaporated by heat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 내부의 이물은 조대화된 상태로 포집되어 그 밀도가 증진되기 때문에, 이물저장챔버 내부에서 밀도가 높은 상태에서 작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물의 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에 내부에서 이물이 들뜨지 않아서 사용자의 미관이 증진되고, 일단 포집된 이물의 배출이 억제되고, 일단 포집된 이물에 의한 공기 유동의 방해가 억제되어 이물의 집진효율이 증진되고, 이물의 밀도가 커지기 때문에 이물을 버리는 주기가 길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foreign matter inside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is collected in a coarse state and its density is enhanced, thereby occupying a small volume in a high density state with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refore, because the volume of foreign matter is small, foreign matter is not lifted from the inside, so that the user's aesthetics are enhanced, the discharge of foreign matter collected once is suppressed, and the obstruction of air flow by the foreign matter once collected is suppressed, so tha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improved. It is enhanced, and the density of the foreign material is increased, so that the cycle of discarding the foreign material can be obtained.

한편, 자세하게 설명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냉각봉(601)의 개수는 다수개가 적절히 제공되어 수적의 발생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the number of the cooling rods 601 may be appropriately provided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droplets generated.

도 11은 도 10의 "B"의 확대도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집진유닛(400)의 안착시에 제 1 챔버실링부(415)에 형성되는 삽입공(610)을 통하여 상기 냉각봉(601)이 삽입되고, 이때에는 상기 격막(611)에 의해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저장되어있는 이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격막(611)에 의해서, 집진유닛(400)이 빠질때 냉각봉(601)의 외면에 뭍어있는 이물이 격막(611)에 의해서 닦 아져서 이물이 냉각봉(601)을 따라서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B” of FIG. 10. Referring to FIG. 11, the cooling rod is inserted through an insertion hole 610 formed in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whe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eated. 601 is inserted, and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by the diaphragm 611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removed by the diaphragm 611, the foreign matter stuck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is wiped by the diaphragm 611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moved outward along the cooling rod 601. Leakage is prevented.

상기 격막(611)은 연질의 고무를 그 재질로 하여 상기 제 1 챔버실링부(415)에 별도의 물품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diaphragm 611 may be fixed to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by using a soft rubber as a material.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냉각봉(601)에 히터가 더 부설되어 수적에 부착된 조대화된 이물이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열전모듈(602)의 흡열측과 발열측의 위치가 역전될 때 발생되는 열량만으로는 수적의 증발을 위한 열량이 부족할 때, 히터공급열량에 의해서 보다 신속하게 수적이 건조되도록 한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for the other parts, except that the heater is further attached to the cooling rod 601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quickly drying the coars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water droplets. do. In other words, when only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when the positions of the heat absorbing side and the heat gener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are reversed is insufficient, the amount of heat for evaporation of the water droplets is insufficient, so that the water droplets are dried more quickly by the heater supply heat.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각봉의 단면도로서, 상기 열전모듈(602)과 냉각봉(601)의 접면에 히터(604)가 개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ling r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heater 604 is involved 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602 and the cooling rod 601.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적의 증발이 신속하게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수적의 조대화가 보다 신뢰성있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arsening of the water droplets is more reliably performed by causing the water droplets to evaporate quickly.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상기 제 1, 2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냉기가 공급되는 냉각원의 동작 방식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2 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원용된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ut differs only in the operation manner of the cooling source to which cold air is supplied. Therefore, for the parts not described in detail, the descrip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used as they are.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C"의 확대도이다.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C" in FIG.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의 본체측에는 증기냉동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이 현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620),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621),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622), 및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어 열기를 흡수하는 증발기(623)가 포함된다.13 and 14, the respect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team refrigeration system are present on the main body side of the vacuum cleaner. Specifically, a compressor 620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condenser 621 for condens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 expander 622 for expand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and an evaporator 623 for evaporating the expanded refrigerant to absorb heat. Included.

상기 증발기(623)에는 냉매의 증발에 의해서 냉기가 형성되고, 그 냉기는 상기 냉각봉(601)의 외면으로 전달되어 그 외면에 수적이 맺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수적의 부착력에 의해서 이물이 부착되어 이물이 조대화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623)가 냉각원으로서 동작된다.Cold air is formed in the evaporator 623 by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and the cold air is transfer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601 to form water droplets on the outer surface. Of course, foreign matter is attached by the adhesion of the water droplets, it is natural that the foreign material is coarse. 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evaporator 623 is operated as a cooling source.

상기 응축기(621)의 응축효율이 개선되기 위하여, 상기 응축기(621)는 공기의 유속이 빠른 본체 배기구(302)로의 공기 유로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improve the condensation efficiency of the condenser 621, the condenser 621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to the main body exhaust port 302 with a high flow rate of air.

본 실시예에 의해서는 냉기의 양에 대한 조절이 압축기(630)에 의한 압축량의 조절에 의해서 신속하게 가능하기 때문에, 이물 조대화의 필요에 따라서 냉기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cold air can be quickly performed by th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compression by the compressor 630,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adjustment of the cold air becomes easy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coarse foreign matter. will be.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되는 이물이 냉각봉(601)을 뭍은 상태로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챔버 실링부(415)에 어떠한 삽입공도 제공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그 외에 설명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2, 3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상이 그대로 원용될 수 있다.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ith respect to other parts, except that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s more reliably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ith the cooling rod 601 closed. In order to ensure that no insertion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sealing portion 41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refore, the ideas describ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may be used as they are for the parts not described otherwise.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각봉의 단면도이다.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ling r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봉(630)은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에서 융기되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열전모듈(631)은 제 2 베이스(150)의 융기부의 내부에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봉(630)과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5, the cooling rod 630 is provided in a shape that is raised from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631 is provided in the raised part of the second base 150. It is formed at a position aligned with the cooling rod 630.

또한, 상기 집진유닛(400)이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로 안착될 때, 상기 냉각봉(630)의 내부로 열전모듈(631)이 삽입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eated inside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he thermoelectric module 631 may be inserted into the cooling rod 630.

또한, 비록 상기 열전모듈(631)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역전됨으로써 열전모듈에 의해서 냉각봉이 가열봉으로서의 역할이 수행되어 수적이 증발되도록 하는 역할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적이 보다 신속하게 증발되어 이물의 조대화가 더욱 증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전모듈(631)의 일면에 히터(632)가 더 형성되어 진공 청소기의 동작이 정지하였을 때에는 히터(632)가 동작되어 냉각봉이 가열봉으로서의 역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631 is reversed, the role of the cooling rod as the heating ro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be performed to allow water droplets to evaporate. However, in order for water droplets to evaporate more quickly to further enhance the coarsening of foreign matter, a heater 632 is furth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631, and the heater 632 is opera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is stopped. The cooling rods can be made to serve as the heating rods.

본 발명은 상술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러한 실시예도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uch embodiment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 열전모듈, 증발기를 어우르는 의미로서 상기 냉각원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를 향하는 외의 다른 경로를 통해서는 소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를 향하는 그 외의 부분은 소정의 단열재에 의해서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combine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evaporator, in order to prevent the cool air generated from the cooling source from being lost through any other path to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o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 outer part may be blocked by a predetermined heat insulator.

또한,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에 대해서만 이물의 조대화가 수행되는 것을 설명이 되어 있으나,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가 채용되어 이물을 조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제안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oarsening of the foreign material is performed only with respect to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but the same structure may be adopted for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o easily coarse the foreign matter.

또한, 도면에는 제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냉각봉(601)에 수적이 맺히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각봉(601)은 이물저장챔버(416)에서 유속이 약한 중앙부분에 제공되는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forming water droplets on the cooling rod 601, the cooling rod 601 will be preferably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ow rate is weak in the foreign material storage chamber (416).

본 발명에 의해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되는 이물이 조대화되고 이물의 밀도가 증대되도록 하여 이물분리의 효율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고, 이물의 폐기동작이 편리하게 수행되고, 일단 포집된 이물의 배출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s coarse and the density of the foreign material is increased, so that the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separation is enhanced, and the disposal oper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is conveniently performed, and the foreign material collected on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prevented.

또한, 이물이 조대화되어 동일한 부피의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될 수 있는 이물의 양이 증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물을 버리는 주기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is coarse to increase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that can be collected in the same volume of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 user can reduce the cycle of discarding the foreign material can be obtained the advantage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enhanced.

또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서 이물의 부피가 부푸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감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olume of foreign matters from swelling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are enhanced.

또한, 냉각봉에 의해서는 수적이 발생되는 수적발생면으로서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지만, 냉각봉의 위치적인 요인에 의해서 냉각봉의 외주면에 머리카락 등의 긴 이물이 걸려져서, 추후에 이물의 제거가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ooling rod may be operated as a droplet generating surface where water droplets are generated, a long foreign material such as hair is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rod due to the positional factor of the cooling rod, which makes it easier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later. You can also get the benefits.

Claims (15)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원;A cooling source for generating cold air; 상기 냉기를 전달받는 집진유닛; 및A dust collecting unit receiving the cold air; And 상기 냉기에 의해서 외면에 수적이 발생되기 위하여 상기 집진유닛의 내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냉각봉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And a cooling rod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to generate water droplets on the outer surface by the cold ai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봉은 속이 비고, 상기 냉각원은 상기 냉각봉의 내부에 삽입되는 진공 청소기.The cooling rod is hollow, and the cooling sourc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vacuum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원은 열전모듈인 진공 청소기.The cooling source is a vacuum cleaner is a thermoelectric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원은 증기냉동 시스템의 증발기인 진공 청소기.The cooling source is a vacuum cleaner of the vapor refriger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봉의 인접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냉각봉이 가열봉으로도 동작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A vacuum cleaner provid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cooling rod such that the cooling rod is also operated as a heating ro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봉은 상기 집진유닛의 이물저장챔버의 내부로 돌출되는 진공 청소기.The cooling rod is a vacuum cleaner that protrudes into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of the dust collecting unit. 진공 청소기 본체;A vacuum cleaner body;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유닛;A dust collecting unit selectively hous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to collect foreign matter; 상기 집진유닛의 내부에 형성되어 집진된 이물을 저장하는 이물저장챔버;A foreign material storage chamber form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storing foreign matters collected therein; 상기 이물저장챔버의 내부로 돌출되는 냉각봉; 및Cooling rods protruding into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And 상기 냉각봉에 냉기를 공급하여, 상기 냉각봉의 외면에 수적을 생성시키는 냉각원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And a cooling source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cooling rod to generate water drople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ro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봉이 삽입되는 상기 이물저장챔버의 삽입공에는 연질의 격막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And a soft diaphragm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nto which the cooling rod is inserte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봉은 상기 이물저장챔버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The cooling rod is a vacuum cleaner form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봉은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The cooling rod is a vacuum cleaner formed on the vacuum cleaner body.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원은 상기 냉각봉의 내부에 삽입되는 진공 청소기. The cooling source is a vacuum cleaner that is inserted into the cooling ro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원은 열전모듈인 진공 청소기. The cooling source is a vacuum cleaner is a thermoelectric module.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냉각봉이 돌출되는 반대방향에서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측에는 열이 방출되는 방열홀이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And a heat dissipation hole for dissipating heat in the vacuum cleaner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cooling rods.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봉의 인접 위치에는 상기 냉각봉으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가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A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heater for transferring heat to the cooling rod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cooling ro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원은 증기냉동 시스템의 증발기인 진공 청소기.The cooling source is a vacuum cleaner of the vapor refrigeration system.
KR1020050074586A 2005-08-13 2005-08-13 Vacuum cleaner KR101163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586A KR101163255B1 (en) 2005-08-13 2005-08-13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586A KR101163255B1 (en) 2005-08-13 2005-08-13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918A KR20070019918A (en) 2007-02-16
KR101163255B1 true KR101163255B1 (en) 2012-07-05

Family

ID=3810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586A KR101163255B1 (en) 2005-08-13 2005-08-13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2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184B1 (en) * 2019-12-19 2021-04-01 주식회사 베스코 Vacuum cleaner with mop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222A (en) 1999-10-04 2001-04-17 Susumu Kida Recirculating centrifugal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222A (en) 1999-10-04 2001-04-17 Susumu Kida Recirculating centrifugal dus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918A (en) 200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429B1 (en) Vacuum cleaner
KR100813537B1 (en) Steam and vacuum cleaner
KR100889325B1 (en) Steam and vacuum cleaner
RU2003127939A (en) Cyclone Dust Collector
CN104764103B (en) Dehumidifier
US20080235898A1 (en) Motor assembly for steam vacuum cleaner
AU2008207368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JP2012200385A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964663B1 (en) Dehumidifier
CN110448243A (en) Dirt case assembly and from movable cleaner
KR101163255B1 (en) Vacuum cleaner
KR101223351B1 (en) Vacuum cleaner
KR100575319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JP2009019813A (en) Cleaning mechanism of indoor unit
KR101223332B1 (en) Vacuum cleaner
KR101223341B1 (en) Vacuum cleaner
KR100813541B1 (en) Motor assembly and steam vacuum cleaner
KR100813542B1 (en) Motor assembly for steam vacuum cleaner
JP6369439B2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JP2002250539A (en) Dehumidifying apparatus
KR100676528B1 (en) Sustaining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n a vacuum cleaner
CN220275517U (en) Dust collector and cleaning equipment
KR100548933B1 (en) Inlet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KR100813540B1 (en) Dust collector for steam and vacuum cleaner
KR100855257B1 (en) Steam and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