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107B1 - 편광거울시스템 - Google Patents

편광거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107B1
KR101163107B1 KR1020100031289A KR20100031289A KR101163107B1 KR 101163107 B1 KR101163107 B1 KR 101163107B1 KR 1020100031289 A KR1020100031289 A KR 1020100031289A KR 20100031289 A KR20100031289 A KR 20100031289A KR 101163107 B1 KR101163107 B1 KR 10116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olarizing
light source
polariz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952A (ko
Inventor
최욱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김주원
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원, 최욱 filed Critical 김주원
Priority to KR102010003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1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4Special arrangements of mirr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14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polaris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66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volving the reflection of light at a particular angle of incidence, e.g. Brewster's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된 빛이 조사되는 편광광원(100)과 상기 편광광원(100)의 편광방향(31)과 직각의 편광방향(32)을 가지도록 편광처리가 된 것으로서 상기 편광광원(100)의 빛이 조사되는 피광체(400)를 비추는 거울인 편광거울(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10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편광거울시스템{Polarized mirror system}
본 발명은 편광거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는 대상물인 피광체(被光體)가 거울에 비추어 보일 때 눈부심이 방지되는 편광거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편광현상은 빛이 편광자를 통과하면서 진행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서 전기장의 방향이 일정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편광현상의 대표적인 예는 두 개의 편광자를 상호간에 편광방향이 수직이 되게 놓고 빛을 통과시키면 빛의 투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진열장의 경우 그 내부에 거울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주로 거울이 뒷면에 설치되어 진열장 내부를 넓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광원이 거울에 직접적으로 비추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만일 거울에 광원이 그대로 비추는 경우 눈부심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진열장에 광원을 설치할 때 그 위치관계를 특별히 신경 써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빛이 거울에 반사되어 눈부심이 유발되거나 제품이 반짝거리거나 또는 번들거리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이 거울에 보이지 않거나 잘 보이지 않는다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 광원의 위치관계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으며 눈부심이 방지되고 반짝거림이나 번들거림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는 반드시 진열장의 경우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의류매장 등에서 고객이 선택한 의류를 입고 거울을 보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광원이 거울에 보이지 않거나 잘 보이지 않아 눈부심이 방지되고 반짝거림이나 번들거림이 감소될 수 있는 편광거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편광 된 빛이 조사되는 편광광원과; 상기 편광광원은 광원체와 상기 광원체의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거울과 상기 거울의 표면에 부착된 편광수단을 가지는 편광거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편광거울은 상기 편광광원의 빛이 조사되는 피광체를 비추는 것이고;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수단의 편광방향과 상기 편광거울의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은 상호간에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수단은 상기 광원체에 부착된 편광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수단은 상기 광원체에 결합된 편광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수단은 상기 광원체를 둘러 배치된 편광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거울의 편광수단은 상기 거울의 거울면에 부착된 편광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광원과 편광거울은 진열장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거울시스템의 편광거울은 매장설치거울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거울에 광원이 보이지 않거나 잘 보이지 않으며 눈부심이 방지되고 반짝거림이나 번들거림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거울시스템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편광광원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거울시스템이 진열장에 적용된 경우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거울시스템(1000)을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우선 편광 된 빛이 조사되는 편광광원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광원체(10)를 둘러 편광필름(20)을 부착한 편광광원(100)을 제공하여 광원체(10)로부터의 빛이 편광필름(20)을 통과하면서 편광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광원체(10)는 백열전구, 형광등, 엘이디 램프 등 다양한 것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편광광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편광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경우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광원체(10')와 상기 광원체(10')를 둘러싼 박스(box)(8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광광원(1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스(880)에서 빛이 조사되어야 할 방향부분은 그 유리판(88)에 편광필름(20)을 부착한 편광유리부(889)를 배치하고 이외의 부분(881)은 빛이 통과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체(10')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편광유리부(889)를 통과하면서 편광된다. 상기 박스(880)는 모든 면 또는 일부 면이 편광유리부(889)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이와 같이 피광체(400)를 향하는 방향만을 편광유리부(889)로 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다른 경우, 상기 편광광원은 광원체에 편광필터를 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광원체에서 빛이 조사되어 나가는 곳에 편광필터를 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광원(100)(100')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피광체(400)를 비추는 것으로서, 거울(80)에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필름 등의 편광수단과 직각의 편광방향을 이루는 편광수단이 설치된 편광거울(800)이 제공된다.
도 1을 참고로, 상기 편광광원(100)의 편광방향(31)과 상기 편광거울(800)의 편광방향(32)은 상호간에 직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거울(80)과 상기 거울(80)의 표면에 부착된 편광필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광거울(800)이 제공되고 있다. 이외 상기 거울(80)의 거울면의 전면에 편광유리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거울(80)에 엘시디(LCD)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광원(100)(100')의 편광방향과 직각의 편광방향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이 따라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방향과 편광거울의 편광방향이 상호간에 직각을 이룬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편광광원(100)(100')으로부터 빛이 편광되어 조사된다. 이렇게 조사되는 빛은 바로 편광거울(800)로 조사되거나 또는 피광체(400)로 조사되고 이후 반사되어 상기 편광거울(800)로 조사된다.
이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편광광원(100)(100')으로부터 바로 상기 편광거울(800)로 조사된 빛은 두 개의 편광방향(31)(32)이 직각임으로 거울면까지 투과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광원(100)(100')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빛은 거울면에 이르지 못하고 광원(100)(100')은 거울에 보이지 않거나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편광광원(100)(100')으로부터 상기 피광체(400)에 조사된 빛은 반사가 된다. 이와 같이 반사가 이루어질 때 빛의 일부는 반사시 파장의 변화로 편광성을 잃게 되고 일부 빛은 편광성을 유지하게 되는데, 편광성을 가져 번들거림이나 반짝임 등을 유발하는 반사광 중에서 상기 편광거울(800)의 편광방향과 직각의 방향을 가지는 것은 상기 편광거울(800)을 통과하지 못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상기 편광거울(800)에서 편광이 되면서 그 세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광체(40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편광거울로 조사된 빛에서 번들거림이나 반짝임 등을 유발하는 것은 감소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거울에 광원이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으며 눈부심이 방지되고 반짝거림이나 번들거림이 감소한다. 이러한 경우, 진열효과를 개선하거나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현상을 이용한 편광거울시스템이 진열장(4000)에 적용된 경우를 보인다.
진열장(4000) 내부의 거울을 상기 편광처리가 된 편광거울(800)을 사용하고 있으며 내부의 광원으로 상기 편광광원(100)을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편광광원(100)은 편광거울(800)에서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으며 눈부심이 방지되고 반짝거림이나 번들거림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진열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과 거울을 각각 편광을 이루게 하고, 이들 사이의 편광방향을 직각으로 하여 거울에서 광원이 보이지 않거나 잘 보이지 않으며 피광체의 반사광이 소거되는 편광거울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0: 편광광원
20: 편광필름
800: 편광거울
80: 거울
4000: 진열장

Claims (10)

  1. (a) 편광 된 빛이 조사되는 편광광원과; 상기 편광광원은 광원체와 상기 광원체의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b) 거울과 상기 거울의 표면에 부착된 편광수단을 가지는 편광거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c1) 상기 편광거울은 상기 편광광원의 빛이 조사되는 피광체를 비추는 것이고;
    (c2)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수단의 편광방향과 상기 편광거울의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은 상호간에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수단은 상기 광원체에 부착된 편광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수단은 상기 광원체에 결합된 편광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광원의 편광수단은 상기 광원체를 둘러 배치된 편광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거울의 편광수단은 상기 거울의 거울면에 부착된 편광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편광거울은 진열장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거울시스템의 편광거울은 매장설치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거울시스템.
KR1020100031289A 2010-04-06 2010-04-06 편광거울시스템 KR10116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89A KR101163107B1 (ko) 2010-04-06 2010-04-06 편광거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89A KR101163107B1 (ko) 2010-04-06 2010-04-06 편광거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52A KR20110111952A (ko) 2011-10-12
KR101163107B1 true KR101163107B1 (ko) 2012-07-06

Family

ID=4502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289A KR101163107B1 (ko) 2010-04-06 2010-04-06 편광거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1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116U (ja) * 1993-09-07 1995-04-11 清志 矢澤 変色鏡
JP2000175780A (ja) * 1998-12-17 2000-06-27 Koji Kobari 立体物展示装置
JP2006320605A (ja) * 2005-05-20 2006-11-30 Okamura Corp 商品陳列棚における棚板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116U (ja) * 1993-09-07 1995-04-11 清志 矢澤 変色鏡
JP2000175780A (ja) * 1998-12-17 2000-06-27 Koji Kobari 立体物展示装置
JP2006320605A (ja) * 2005-05-20 2006-11-30 Okamura Corp 商品陳列棚における棚板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52A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730898A (en) Lighting device including customized retard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TE509296T1 (de) Fahrzeugrückspiegelanordnung mit anzeige von hoher intensität
RU2010129425A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ветильник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светки
JP2015509647A5 (ko)
CN102840529A (zh) 具有隐藏光源的反射器信号灯
ATE479557T1 (de) Sicherheitsvorrichtung
TWM584058U (zh) 充電樁
TW201401236A (zh) 一種透明顯示模組及其應用
JP2015115220A (ja) 照明装置
US20070133228A1 (en) Back light module
TWI473951B (zh) 燈具
KR101163107B1 (ko) 편광거울시스템
US9623796B2 (en) Vehicle lamp
JP3187902U (ja) 照明装置
KR20140109665A (ko)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학계
KR101981478B1 (ko) 자동차 램프 광학계
CN103185226A (zh) 照明模块
KR20150053573A (ko) 차량용 램프
MX2010002345A (es) Sistema de iluminacion para una maquina despachadora.
KR101151327B1 (ko) 편광현상을 이용한 진열 시스템
TW514725B (en) Projector for appearance test
KR101472965B1 (ko) 차량용 램프
TW200732762A (en) Lighting device including customized retard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US20050162860A1 (en) Auxiliary spotlight diaphragm of an automobile light
JP2009080991A (ja) 面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