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730B1 - 낚시대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대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730B1
KR101162730B1 KR1020100020491A KR20100020491A KR101162730B1 KR 101162730 B1 KR101162730 B1 KR 101162730B1 KR 1020100020491 A KR1020100020491 A KR 1020100020491A KR 20100020491 A KR20100020491 A KR 20100020491A KR 101162730 B1 KR101162730 B1 KR 101162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shing
support
contac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477A (ko
Inventor
서정구
Original Assignee
서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구 filed Critical 서정구
Priority to KR102010002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7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대를 받쳐주는 낚시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고기가 물림을 신호음으로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에 접철 가능한 받침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다리 사이는 가로고정대를 끼워 고정하는 한편 받침다리의 전방에는 길이 조절되는 각도조절다리가 끼워지게 되고, 상기 가로고정대의 상측으로 높낮이 조절봉을 이용하여 전방 받침대와 후방받침대를 설치하며, 상기 전방받침대는 낚시대 받침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어신을 신호음으로 포착하는 어신포착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 받침대는 낚시대의 후방을 끼워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낚시대 받침장치{DEVICE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시대를 받쳐주는 낚시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고기가 물림을 신호음및 불빛으로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다.
낚시를 하기위하여 사용되는 필수 장비로 낚시대와 낚시 받침대가 있게 되며, 상기 낚시 받침대는 낚시를 하는 장소에 펼쳐놓고 여러 대의 낚시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고, 낚시대의 분실을 방지하는 한편 설치가 철거는 물론 이동이 용이하여야 한다.
기존의 낚시 받침대는 다양한 형태로 낚시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여러 대의 낚시대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는 그 부피가 커서 운반 및 설치와 철거가 쉽지 않으며, 또한 여러 대의 낚시대를 설치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는 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것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낚시 받침대에서는 낚시대를 설치해 놓은 후 찌를 보고 있어야만 고기가 물렸음을 확인 할 수 있으므로, 낚시를 하는 동안 찌에서 눈을 떼기 어려우며, 또한 낚시 받침대에 설치된 낚시대는 고기가 끌고 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낚시대 이탈 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고기가 낚시대를 물고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여러 대의 낚시대를 설치할 수 있는 기존 낚시 받침대의 최대 문제는 부피가 커서 보관이나 운반이 쉽지 않고, 무게도 많이 나가 낚시꾼의 고민하는 낚시채비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낚시 받침대가 운반과 보관 및 설치가 쉽지 않은 문제와 함께 어신 포착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량의 알루미늄바를 이용하여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여러 대의 낚시대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어신의 포착을 신호음 및 불빛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에 접철 가능한 받침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다리 사이는 가로고정대를 끼워 고정하는 한편 받침다리의 전방에는 길이 조절되는 각도조절다리가 끼워지게 되고, 상기 가로고정대의 상측으로 높낮이 조절봉을 이용하여 전방 받침대와 후방받침대를 설치하며, 상기 전방받침대는 낚시대 받침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어신을 신호음 및 불빛으로 포착하는 어신포착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 받침대는 낚시대의 후방을 끼워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두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와 분해가 간편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낚시대를 받치는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낚시 받침대를 간단히 조립하여 분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낚시대 이탈방지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낚시 받침대의 후방받침대에서 낚시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낚시 받침대의 전방받침대에 설치된 어신포착수단에 의해 고기가 물렸음을 신호음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간편하여 보관이나 운반 중에는 부피를 크게 줄이는 한편 간단히 설치하여 높낮이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일부 절결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후방 받침대 높낮이 조절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어신 포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낚시대 고정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낚시대를 받치는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재를 분해 조립하는 한편 어신을 신호음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받침다리(10)를 양쪽으로 벌려서 설치하되 상기 받침다리(10) 사이에는 가로고정대(20)를 끼운 후 고정나사(21)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다리(10)는 중간이 힌지(11)에 의해 꺽여서 접히도록 하는 한편 전방에는 각도조절다리(15)가 끼워져 고정나사(16)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각도조절다리(15)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낚시대(1)가 놓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다리(10)의 중간에는 전후로 가로고정대(20)가 끼워지게 하되 후방의 가로고정대(20)는 끼워지는 구멍(12)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낚시 받침대의 설치 상태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즉, 각조조절다리(15)를 돌출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경우 앞쪽을 높일 수 있고, 후방의 가로고정대(20)를 하측의 구멍(12)으로 이동할수록 후방을 낮추어 주게 된다.
상기 받침다리(10)는 중간에 설치된 힌지(11)를 중심으로 서로 맞닿는 형태로 접히게 되나, 설치되는 경우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 형태를 갖도록 벌려준 후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받침다리(10)는 90도 이상 벌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로 고정대(20)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 고정대(30)를 끼워 설치하되 상기 수평 고정대(30)가 가로 고정대(20)에 끼워진 후 고정나사(31)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 고정대(30)에는 후방 쪽으로 서로 거리를 두어 두 개의 높낮이 조절봉(40)(40a)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높낮이 조절봉(40)(40a)은 양쪽으로 각각 한 쌍씩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봉(40)(40a)의 상측에는 조절나사(41)를 통하여 전방 받침대(50)와 후방 받침대(60)가 결합되게 한다.
여기서 조절나사(41)는 좌우 회전에 따라 높낮이 조절봉(40)(40a)의 상측으로 전방 받침대(50)나 후방 받침대(6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조절나사(41)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상기 높낮이 조절봉(40)(40a)의 하측은 수평 고정대(30)에 끼워져 고정되고, 높낮이 조절봉(40)(40a)의 상측은 조절나사(41)를 통하여 전방 받침대(50)나 후방 받침대(60)의 하부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조절나사(41)를 돌려 전방 받침대(50)나 후방 받침대(6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높낮이 조절봉(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전방 받침대(50)는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낚시대의 하부를 받치는 낚시대 받침홈(51)이 형성되는 한편 그 일측 상부에 접점(52)이 형성되고, 상기 접점(52)의 후방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접점(53)을 연결함으로써 회동접점(53)이 전방 받침대(50)의 전방으로 회동하면 회동접점(53)과 접점(52)이 만나게 되고, 회동접점(53)이 전방 받침대(50)의 후방으로 회동하면 접점(52)과 만나지 않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접점(53)의 선단에는 연결실(54)로 집게(55)를 연결한다.
상기 집게(55)는 낚시대(1)를 설치한 후 낚시줄(2)에 물리도록 하여 회동접점(53)이 접점(52)의 상부에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고기가 물려 낚시줄(2)을 당기게 되면 낚시줄(2)에 물린 집게(55)가 떨어지면서 회동접점(53)이 접점(52)과 만나도록 하며, 회동접점(53)과 접점(52)이 만나면 어신포착기(70)에서 이를 인식하여 신호음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전방 받침대(50)의 일측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72)를 점등시켜 표시하도록 한다.
전방 받침대(50)의 내부에는 여러 개의 접점(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일측의 잭(56)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어신포착기(70)에 연결된 플러그(71)를 상기 잭(56)에 꼿아주면, 접점(52)과 회동접점(53)의 만남을 감지하여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방 받침대(50)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72)를 점등시켜 불빛으로 알리도록 한다.
높낮이 조절봉(40a)의 상부에 결합되는 후방 받침대(60)는 전방 쪽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낚시대(1)의 선단이 끼워지는 낚시대 끼움홈(61)을 형성하되 후방 받침대(6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나사(62)로 낚시대 끼움홈(61)에 끼워진 낚시대(1)가 빠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낚시대(1)를 설치할 때 낚시대(1)의 끝이 낚시대 끼움홈(61)에 끼워지게 한 후 고정나사(62)를 조이면, 고정나사(62)의 선단이 낚시대 끼움홈(61)에 끼워진 낚시대(1)의 선단을 압착함으로써 낚시대(1)를 고기가 물고 도망가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수평 고정대(30)의 후방 쪽으로 채비정리판(80)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채비정리판(80)에는 플러그(71)를 통하여 전방 받침대(50)의 잭(56)에 끼워진 어신포착기(70)를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낚시에 필요한 자잘한 물건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채비 정리판(80)은 높낮이 조절봉(40a)과 수평 고정대(30)를 이용하여 간단히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끝난 후에는 채비 정리판(80)을 분리하여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는 분해를 하는 경우 모든 자재가 받침다리(10)의 중간 크기만한 가방에 넣어져 수납될 수 있는 것으로, 낚시를 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낚시 받침대를 구성하는 자재가 분해되어 넣어진 가방을 들고 가면되고, 본 발명의 자재는 모두 알루미늄 바나 알루미늄 파이프로 제작하여 경량 제작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 낚시터에 도착하여 낚시 받침대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낚시터에 도착하면 한 쌍의 가로 고정대(20)에 한 쌍의 수평 고정대(30)를 끼워주고, 한 쌍의 받침다리(10)를 양쪽으로 세워주되 받침다리(10)는 힌지(11)를 중심으로 ∧형태가 되게 벌려준 후 상기 받침다리(10)의 내측으로 가로 고정대(20)를 끼운 후 고정나사(21)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하는 한편 수평 고정대(30)도 고정나사(31)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각도 조절다리(15)의 길이를 조절하여 낚시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나사(16)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하고, 수평 고정대(30)에 양쪽으로 각각 한 쌍씩 높낮이 조절봉(40)(40a)을 설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봉(40)(40a)은 전 후로 설치되어 각각 전방 받침대(50)와 후방 받침대(60)를 설치하도록 한다.
앞쪽으로 양쪽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봉(40)에는 전방 받침대(50)를 결합하고, 뒤쪽으로 양쪽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봉(40a)에는 후방 받침대(60)를 결합하며, 각각의 높낮이 조절봉(40)(40a)의 조절나사(41)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받침다리(10)의 각도 조절과 수평 고정대(30)의 각도 조절 및 전방 받침대(50)와 후방 받침대(60)의 높낮이 조절은 낚시터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각도로 낚시대(1)를 설치하기 위하여 조절하게 된다.
이 같이 낚시 받침대의 설치가 완료되면 낚시대(1)를 펼치게 되고, 낚시를 드리운 낚시대(1)는 전방 받침대(50)의 낚시대 받침홈(51)에 받쳐지면서 후방 받침대(60)의 낚시대 끼움홈(61)에 손잡이 끝이 끼워지게 한 후 집게(55)를 낚시줄(2)에 걸어주되 연결실(54)을 팽팽하게 함으로써 회동접점(53)이 접점(52)의 상측에서 일정 거리를 이격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낚시대(1)를 모두 펼치게 되고, 낚시대(1)가 펼쳐지면 어신포착기(70)의 플러그(71)를 전방 받침대(50)의 잭(56)에 끼움으로써 회동접점(53)과 접점(52)의 접점 상태에 따라 어신포착기(70)에서 소리가 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신 포착기(70)는 수평 고정대(30)의 후방에 높낮이 조절봉(40a)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채비 정리판(80)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낚시 준비가 완료된다.
그리고 고기가 낚시대(1)를 물고 도망가지 못하도록 고정나사(62)를 조이면 고정나사(62)의 선단이 낚시대 끼움홈(61)에 끼워진 낚시대(1)의 선단을 압착하게 되어 낚시대(1)가 낚시 받침대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낚시를 하게 되면 고기가 낚시를 물게 되고, 고기가 물리게 되면 낚시줄(2)이 당겨지면서 낚시줄(2)에 물린 집게(55)가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동접점(53)이 접점(52)의 상부와 닿게 되며, 이를 어신포착기(70)에서 인식하여 소리로 고기가 물렸음을 알리는 한편 발광다이오드(72)를 점등시켜 불빛으로도 알리게 된다.
낚시꾼은 소리를 듣고 고기가 물렸음을 인식하면 고정나사(62)를 풀고 낚시대(1)를 들어 고기를 낚으면 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낚시대(1)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62)를 활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어신포착기(70)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낚시를 끝내게 되면, 상기 된 조립의 역순으로 분해를 한 후 가방에 넣어 주면 되는 것으로, 분해 한 후에는 부피가 적어 쉽게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은 조립과 분해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10 : 받침다리 15 : 각도조절다리
20 : 가로고정대 30 : 수평 고정대
40,40a : 높낮이조절봉 50 : 전방받침대
52 : 접점 53 : 회동접점
55 : 집게 60 : 후방 받침대
70 : 어신포착기 80 : 채비정리판

Claims (5)

  1. 중간에 힌지(11)를 중심으로 접철 가능한 받침다리(10)를 양쪽으로 설치하되 상기 받침다리(10)의 전방에는 길이 조절되며 고정되는 각도조절다리(15)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받침다리(10) 사이는 가로 고정대(20)를 끼워 고정하며,
    상기 가로 고정대(20)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 고정대(30)를 고정하고,
    상기 수평 고정대(30)에는 높낮이 조절봉(40)(40a)을 세워서 설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봉(40)(40a)은 가로 고정대(20)의 전,후로 한 쌍씩 양쪽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평 고정대(30)의 전방 쪽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봉(40)에는 낚시대 받침홈(51)이 형성된 전방 받침대(50)를 설치하되 조절나사(41)로 높낮이 조절되게 하며,
    상기 수평 고정대(30)의 후방 쪽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봉(40a)에는 낚시대 끼움홈(61)이 형성된 후방 받침대(60)를 설치하되 조절나사(41)로 높낮이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다리(10)는 중간에 힌지(11)를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 형태로 펼쳐지고, 상기 받침다리(10)의 전방에는 각도 조절다리(15)가 끼워져 고정나사(16)로 길이 조절되게 하며, 상기 받침다리(10)에는 가로 고정대(20)가 끼워져 고정나사(21)로 고정되는 구멍(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받침대(50)는 상측으로 낚시대 받침홈(5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 상부에 접점(52)이 설치되며, 상기 접점(52)의 상측으로 회동하는 회동접점(53)을 설치하여 회동접점(53)과 접점(52)이 닿을 수 있게 하고, 상기 회동접점(53)에는 연결실(54)로 낚시줄(2)에 집히는 집게(55)를 설치하며, 상기 접점(52)과 회동접점(53)의 연결은 잭(56)에서 어신포착기(70)로 전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후방 받침대(60)는 전방으로 낚시대 끼움홈(6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받침대(60)의 상부에는 낚시대 끼움홈(61)에 끼워진 낚시대(1)를 압착시키는 고정나사(6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평 고정대(30)의 후방으로 낚시채비를 올려놓는 채비정리판(80)을 설치하되 상기 채비정리판(80)은 높낮이 조절봉(40a)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KR1020100020491A 2010-03-08 2010-03-08 낚시대 받침장치 KR10116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91A KR101162730B1 (ko) 2010-03-08 2010-03-08 낚시대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91A KR101162730B1 (ko) 2010-03-08 2010-03-08 낚시대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477A KR20110101477A (ko) 2011-09-16
KR101162730B1 true KR101162730B1 (ko) 2012-07-05

Family

ID=4495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491A KR101162730B1 (ko) 2010-03-08 2010-03-08 낚시대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302B1 (ko) * 2011-09-26 2012-03-23 박춘호 어신 감지 기능을 갖는 접철식 낚시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477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372B1 (en) Articulating fishing rod holder
US7313887B2 (en) Collapsible trap
US7213361B1 (en) Fishing pole stand, and methods
US6708832B1 (en) Device for hanging objects on a vertical support
KR101162730B1 (ko) 낚시대 받침장치
US8176672B1 (en) Ice fishing signaling device
US20160165870A1 (en) Self hook setting rod holder
US20080237415A1 (en) Hoist apparatus
CN201107985Y (zh) 简易式灭蚊捕虫器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US20130019794A1 (en) Corrosion-Resistant, Ultra-Strong, Universal Holder
CN215454333U (zh) 一种便于收纳以及铺张的折叠式防鸟网
US9339020B1 (en) Fish hanger
KR20220001787U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낚시대 받침대
CN210671845U (zh) 一种可拆卸的油菜田间防鸟装置
KR100903406B1 (ko) 낚시 거치대
CN210695606U (zh) 一种应用于林木虫害防治的悬挂固定式诱捕装置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KR200465317Y1 (ko) 민물낚시대 받침대
CN211430616U (zh) 一种用于黄金鯵养殖的防护围栏
KR200364233Y1 (ko) 절첩식 낚시받침대
CN214629233U (zh) 大口黑鲈养殖用捕捞装置
CN214758717U (zh) 林业用灭虫装置
CN210928834U (zh) 一种便于安装调节的农业大棚立柱连接构件
CN207411293U (zh) 一种筏钓悬吊诱窝料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