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81B1 -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81B1
KR101162281B1 KR1020100081641A KR20100081641A KR101162281B1 KR 101162281 B1 KR101162281 B1 KR 101162281B1 KR 1020100081641 A KR1020100081641 A KR 1020100081641A KR 20100081641 A KR20100081641 A KR 20100081641A KR 101162281 B1 KR101162281 B1 KR 101162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astening
prefabricated
panel group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663A (ko
Inventor
홍완기
Original Assignee
홍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완기 filed Critical 홍완기
Priority to KR102010008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판 형상의 골격 부재, 상기 골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요입홈을 포함하는 조립식 판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 {PREFABRICATED PANEL, PANEL GROU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의 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바닥에 몰타르를 소정의 두께로 도포한 뒤에, 그 도포된 몰타르의 상측에 벽돌이나 블록을 각각 쌓고, 그 상부와 일측면에 몰타르를 다시 도포하는 작업을 반복하였다. 이와 같이 벽돌이나 블록을 사용한 몰타르 성형법은, 몰타르를 성형하는데 많은 작업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시멘트 가루와 몰타르 부스러기가 작업현장에 흩어져 현장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조립식 판넬을 이용하여 건축용 벽체를 구축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종래의 조립식 판넬 구조는 내부에 스티로폼, 우레탄 등과 같은 단열, 방음성 재질을 중간부재로 하고, 이것의 외부에 금속판이나 시멘트 합판을 접합하여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판넬은 건축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 가능성, 인체에 대한 유해성 등 친환경적인 요인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한, 조립식 판넬의 무게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립식 판넬을 운반하거나, 건축 현장에서 작업하는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친환경적인 재료로서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가 각광을 받고 있다. 건축 내장재로 사용되는 황토는 판넬 형태로 형성되어, 통상의 기존 벽체 상에 부착된다. 그러나, 황토가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못하고, 강도도 그 자체로 충분하지 않아 취급하기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이 간편하고 운반성이 좋은 조립식 판넬을 이용하여 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조립식 판넬은, 판 형상의 골격 부재, 상기 골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요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판넬군은, 제 1 조립식 판넬 및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과 일면이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 2 조립식 판넬 및 접촉된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 및 상기 제 2 조립식 판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 및 상기 제 2 조립식 판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 및 상기 제 2 조립식 판넬은 각각, 판 형상의 골격 부재, 상기 골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요입홈 및 상기 요입홈 내측에 형성된 일방향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복수 개로 구비된 조립식 판넬 및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 1 판넬군 및 제 2 판넬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판넬군 및 상기 제 2 판넬군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판넬군 및 상기 제 2 판넬군 사이에 삽입부재를 개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판넬군 및 상기 제 2 판넬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물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식 판넬은 각각, 판 형상의 골격 부재, 상기 골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요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조립식 판넬의 구성 전부 또는 일부는 압출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속 생산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조립식 판넬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렴한 설비비로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벽면 판넬은 황토와 같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황토는 향균 효과 및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뛰어난 습도조절 능력을 보유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인체에 유익한 내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황토를 골격 부재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골격 부재는 조립식 판넬의 뼈대 역할을 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시공 조건에 따라 일정 크기로 제작된 후 건설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체결부재를 삽입하기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군 및 삽입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변형된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군 및 삽입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물이 충전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충전물이 충전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조립식 판넬(100)은 벽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서, 기본 골격을 이루는 부재, 조립식 판넬(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재 및 마감재가 층을 이루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100)의 구성 전부 또는 일부는 압출성형(extrusion mold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압출성형은 재료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금형에서 밀어내어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로 변환하는 성형법으로서, 사출성형에 비해 설비비가 저렴하고, 간편하게 생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연속 생산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조립식 판넬(100)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조립식 판넬(100)은 도 1a 및 도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골격 부재(110), 체결부(120), 돌출부(130), 벽면 판넬(140) 및 마감부재(150)를 포함한다.
조립식 판넬(100)의 하측에는 골격 부재(110)가 배치된다. 골격 부재(110)는 판 형상을 가진다. 골격 부재(110)의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면은 체결부(120) 및 돌출부(1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골격 부재(110)는 조립식 판넬(100)의 뼈대 역할을 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조립식 판넬(100)은 타 조립식 판넬(100)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부(120)를 포함한다. 체결부(120)는 골격 부재(110)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120)는 제 1 방향(50)으로 연장된 긴 바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120)는 제 1 방향(50)을 따라 동일한 단면을 가지므로 골격 부재(110)와 함께 압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20)는 골격 부재(1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 것이되, 골격 부재(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120)의 단면이 골격 부재(110)의 단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조립식 판넬(100)이 타 조립식 판넬(100)과 연결될 때, 연결되는 측면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체결부(120)는 도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요입홈(122) 및 걸림턱(124)을 포함한다. 요입홈(122)은 체결부(12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 1 방향(50)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요입홈(122)에는 내측 방향으로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된다. 체결부(120)는 요입홈(122)에 삽입된 체결부재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일방향 걸림턱(124)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24)은 체결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임의의 형상 및 임의의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걸림턱(124)에 의해 삽입된 체결부재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각각의 체결부(12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요입홈(122)은 각각 조립식 판넬(100)의 측면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조립식 판넬(100)은 벽면 판넬(140)과의 결합을 위해 골격 부재(110) 상에 형성된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벽면 판넬(140)은 돌출부(130)를 통해 골격 부재(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양 체결부(120) 사이에 제 1 방향(50)을 따라 긴 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돌출부(130)는 골격 부재(110)와 함께 압출 성형을 통해 제 1 방향(50)으로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30)는 골격 부재(110)의 외측 방향을 따라 너비가 증가한다. 이것은 벽면 판넬(140)을 고정하기 위한 특징으로, 너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와, `T`형상과 같이 특정 부분에서 너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돌출부(130)는 골격 부재(110)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너비가 감소하므로, 벽면 판넬(140)은 돌출부(130) 측면의 기울기에 의해 골격 부재(110) 방향으로 단단히 고정된다. 골격 부재(110)와 벽면 판넬(140)은 돌출부(130)의 형상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돌출부(13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돌출부(130)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골격 부재(110), 체결부(120) 및 돌출부(1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골격 부재(110), 체결부(120) 및 돌출부(130)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에 목분 재료를 첨가하여 외관 및 강도 특성을 개선하거나,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압출 성형을 이용할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벽면 판넬(140)이 골격 부재(110) 위를 덮기 때문에, 골격 부재(110), 체결부(120) 및 돌출부(130)가 플라스틱 재료로 구비되더라도 내연 특성에 있어 문제되지 않는다.
벽면 판넬(140)은 조립식 판넬(100)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골격 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된다. 벽면 판넬(140)은 시공 조건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수 cm일 수 있다. 조립식 판넬(100)은 타 조립식 판넬(100)과 결합되므로, 벽면 판넬(140)의 길이는 골격 부재(11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벽면 판넬(140)은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면 판넬(140)은 황토와 같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황토는 향균 효과 및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뛰어난 습도조절 능력을 보유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인체에 유익한 내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황토를 사용하는 경우, 석회, 볏짚 및 고화제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황토에 볏짚을 혼합하면 황토 사이의 점성을 강화하고 무게를 경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벽면 판넬(140)의 재료는 골격 부재(110)에 단단히 결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돌출부(130)는 골격 부재(110)의 외측 방향을 따라 너비가 증가하는 형성을 가지고, 그 결과 벽면 판넬(140)을 물리적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부분적으로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골격 부재(110)와 벽면 판넬(140)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이것과 관련해서는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도 1a의 1b-1b`를 따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다. 조립식 판넬(100)은 일반적으로, 도 1b(a)에 도시된 바과 같이, 골격 부재(110), 체결부(120), 돌출부(130), 벽면 판넬(140) 및 마감부재(150)가 층을 이루어 형성된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조립식 판넬(100)의 일부는 도 1b(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 수단(160)이 포함된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고정 수단(160)은 나사, 못 등 임의의 고정 및 체결 수단일 수 있으며, 제 1 방향(50)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조립식 판넬(100)은 제 1 고정 수단(160)을 이용하여 골격 부재(110)와 벽면 판넬(140)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벽면 판넬(140)은 발포 재료로 구비되어 골격 부재(110) 상에 직접적으로 발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골격 부재(110) 측면에 벽면 판넬(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골격 부재(110)와 독립적으로 벽면 판넬(140)을 형성한 후, 골격 부재(11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벽면 판넬(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성형 할 수 있다.
마감부재(150)는 벽면 판넬(140)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150)는 부직포 및 창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부직포는 예컨대, 난연성 부직포일 수 있다. 마감부재(150)가 벽면 판넬(140)의 일면에 부착되면, 황토 재료가 마감부재(150)에 스며들 수 있으므로, 마감부재를 통해 자연스럽게 황토의 재질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마감부재(150)는 벽면 판넬(140)의 표면을 평평하게 하거나, 황토 재료의 일부가 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100)은 시공 조건에 따라 일정 크기로 제작된 후 건설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조립식 판넬(100)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이 현저히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판넬(100)은 무게가 가벼운 특성이 있기 때문에, 고층빌딩의 벽체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조립식 판넬(100)의 가로방향의 길이는 약 50cm 내지 70cm이고, 세로방향은 약 2.5m일 수 있으나, 건출물 벽체의 시공 규격 또는 실시예에 따라 규격이 결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 제조 방법은 조립식 판넬을 기본 단위로 하여 제조한 것으로, 조립식 판넬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판넬군을 제조하고, 대향되게 배치한 판넬군을 이용하여 벽체를 제조한다. 특히, 하기에서 설명하는 조립식 판넬은 도 1에서 설명한 조립식 판넬(100)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도 2의 각 단계는 도 3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판넬군 및 제 2 판넬군을 제조한다(S100).
제 1 및 제 2 판넬군(200)은 복수 개의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을 측면 또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한 것으로서, 서로 동일한 개수의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판넬군 및 제 2 판넬군의 제조 단계(S100)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군을 도시한 도면이다. 판넬군(200)은 도 3a 내지 도 3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복수 개의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 체결부재(260), 돌출부 체결부재(270) 및 단부 체결부재(280)를 포함한다.
판넬군(200)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은 체결부재(260), 돌출부 체결부재(270) 및 단부 체결부재(280)와 체결된다. 도 3a 및 도 3b는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과 체결부재(260)의 체결을 도시하고, 도 3c는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과 돌출부 체결부재(270)의 체결을 도시하고, 도 3d는 조립식 판넬(204, 208)과 단부 체결부재(280)의 체결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260)는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을 제 2 방향(60)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의 요입홈(222, 227)에 삽입된다. 체결부재(260)의 너비는 측면이 연결된 조립식 판넬(202, 204)의 요입홈(222, 227) 너비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260)의 길이는 제 1 방향(50)으로 연결된 조립식 판넬(202, 206)의 수에 따라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재(260)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262, 2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돌기(262)가 제 1 조립식 판넬(202)의 요입홈(222)에 삽입되면, 제 2 결합돌기(264)는 제 2 조립식 판넬(204)의 요입홈(227)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 1 방향(50)을 따라, 제 1 조립식 판넬(202)과 제 2 조립식 판넬(204)에 연결된 제 3 조립식 판넬(206)과 제 4 조립식 판넬(208)의 요입홈(미도시)에도 체결부재(260)가 삽입된다. 각 결합돌기(262, 264)의 형상은 각 요입홈(222, 227)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체결부(220, 225)는 요입홈(222, 227) 양측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224, 229)을 구비하므로, 요입홈(222, 227)에 결합된 체결부재(260)가 다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각 결합돌기(262, 264)는 도 3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갖거나,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체결부재(260)는 요입홈(222, 227)에 다양한 방법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체결부재(260)는 측면이 연결된 조립식 판넬(202, 204)의 요입홈(222, 227)에 제 1 방향(50)으로 삽입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260)는 제 1 조립식 판넬(202) 및 제 3 조립식 판넬(206)에 대해서는 제 1 방향(50)으로 삽입되고, 제 2 조립식 판넬(204) 및 제 4 조립식 판넬(208)에 대해서는 제 2 방향(60)으로 삽입된다. 특히, 도 3b에 도시된 제 2 결합돌기(264)의 형상은 제 1 결합돌기(262)의 형상과 상이하다. 제 2 결합돌기(264)는 외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양측으로 구비된 후크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제 2 조립식 판넬(204)과 제 4 조립식 판넬(208)이 제 2 방향(60)으로 이동하여 제 2 결합돌기(264)에 접촉됨에 따라, 제 2 결합돌기(264)의 양 후크는 내측 방향으로 휘어진다. 양 후크가 휘어지면, 제 2 결합돌기(264)는 제 2 조립식 판넬(204)과 제 4 조립식 판넬(208)의 요입홈(227)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결합돌기(264)가 삽입되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고, 걸림턱(229)에 의해 다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다. 도 3b의 실시예는 체결부재(260)를 제 1 방향(50)으로 삽입하기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체결부재(260)는 양측 결합돌기가 모두 제 2 결합돌기(264)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조립식 판넬은(202, 204, 206, 208)은 제 1 방향(50) 및 제 2 방향(60)으로 각각 두 개씩 연결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방향에 한해서만 연결되거나, 각 방향(50, 60)을 따라 두 개 이상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260)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체결부재(260)는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의 단부 측에 삽입되므로, 완성된 판넬군(200)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체결부재(260)의 내연성은 문제되지 않는다.
도 3c를 참조하면, 판넬군(200)은 복수 개의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 체결부재(260) 및 돌출부 체결부재(270)를 포함한다.
돌출부 체결부재(270)는 체결부재(260)에 의해 측면이 결합된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를 상하 방향으로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의 돌출부(230, 235) 내측 홈(231, 236)에 각각 삽입된다.
돌출부 체결부재(270)는 제 1 방향(50)을 따라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 체결부재(270)의 단면은 돌출부(230, 235)에 형성된 홈(231, 236)과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돌출부 체결부재(270)의 길이는 제 1 방향(50)으로 연결된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의 수에 따라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판넬군(200)은 복수 개의 조립식 판넬(204, 208) 및 단부 체결부재(28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260) 및 돌출부 체결부재(270)에 의해 복수개의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이 연결되면, 좌우측 방향을 따라 최외곽에 배치된 조립식 판넬(204, 208)의 일측 단부에서는 요입홈(227)이 외부로 노출된다. 단부 체결부재(280)는 노출되는 요입홈(227)을 마감 처리하여 평평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요입홈(227)에 제 1 방향(50)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단부 체결부재(280)는 제 1 방향(50)을 따라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부 체결부재(280)는 단부 결합돌기(282) 및 단부 마감부재(284)를 포함한다. 단부 결합돌기(282)는 요입홈(227)에 삽입되고, 단부 마감부재(284)는 조립식 판넬(204, 208)의 일측 단부에 접촉된다.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은 체결부재(260), 돌출부 체결부재(270) 및 단부 체결부재(280)에 의해 각각 제 1 방향(50)과 제 2 방향(60)을 따라 복수 개로 연결되어, 판넬군(200)을 형성한다. 제조가 완성된 판넬군(200)은 상측면이 천장에 접촉되고, 하측면이 바닥에 접촉된다. 따라서, 판넬군(200)의 세로길이는 완성될 건출물의 시공 규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판넬군(200)을 이용하여 벽체를 완성하면, 판넬군(200)의 양 단부는 다른 벽면이나 출입문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부분에서는 시멘트 또는 벽돌을 이용하여 적절히 연결될 수 있다.
판넬군(200)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한 두 개의 판넬군(200)으로 구비되어, 각각 제 1 판넬군 및 제 2 판넬군으로 사용될 수 있다.
판넬군(200)을 구성하는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은 판넬군(200)과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의 규격에 따라 임의의 수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판넬군(200)은 제 1 방향(50) 및 제 2 방향(60)으로 각각 하나 이상의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판넬(202, 204, 206, 208)은 시공 조건에 따라 일정 크기로 제작된 후 건설 현장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1 판넬군과 제 2 판넬군 사이에 삽입부재를 개재한다(S200).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을 이용하여 벽체(300)를 제조하기 위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한 후, 그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한다. 충전물을 충전하기 전 단계로,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을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삽입부재(310)를 삽입한다.
삽입부재(310)는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을 지지하기 위한 모든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삽입부재(3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을 가지므로 압출성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의 삽입 단계(S200)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군 및 삽입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삽입부재(310)는 긴 바 형상을 가지고, 그 일면이 제 1 판넬군(302)의 하면에 장착된다. 삽입부재(310)는 제 1 판넬군(302)의 골격 부재(320) 하면에 제 2 방향(60)으로 장착될 수 있다. 삽입부재(310)는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가 소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제 2 방향(60)을 따라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310)는 높이에 따라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삽입부재(310)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 2 방향(60)을 따라 일면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삽입부재(31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네 개의 높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최상측의 제 1 삽입부재(311)가 서로 연결된 길이의 합은 제 1 판넬군(302)의 제 2 방향(6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최하측에 배치된 제 4 삽입부재(314)의 길이의 합은 제 1 판넬군(302)의 제 2 방향(6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 1 삽입부재(311) 및 제 4 삽입부재(314)는 일방향으로 소정가량 이격될 수 있다. 중간측에 배치된 제 2 삽입부재(312) 및 제 3 삽입부재(313)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하나씩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측에 배치된 삽입부재(312, 313)는 제 1 판넬군(302)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립식 판넬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를 갖거나 소정 가량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변형된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군 및 삽입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최상측에 배치된 제 1 삽입부재(311) 및 최하측에 배치된 제 4 삽입부재(314)는 도 4c와 동일하나, 중간측에 배치된 제 2 삽입부재(312) 및 제 3 삽입부재(313)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두 개씩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삽입부재(312) 및 제 3 삽입부재(313)는 일방향으로 소정 가량 이격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측에 하나 또는 두 개씩 교대로 배치된 제 2 삽입부재(312) 및 제 3 삽입부재(313)에 의해,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에 주입되는 충전물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재(310)의 길이 및 배열은 도 4a 내지 도 4d에 나타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길이 및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삽입부재(310)는 실시예에 따라, 높이에 따른 삽입부재(311, 312, 313, 314) 중 일부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삽입부재(310)는 최상측과 최하측에 장착된 삽입부재(311, 314)만 포함하고, 중간측에 장착된 삽입부재(312, 313)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판넬군(302)에 삽입부재(310)의 일면이 장착된 후, 제 2 판넬군(304)을 삽입부재(310)의 타면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제 2 판넬군(304)의 골격 부재(325)의 하면이 삽입부재(310)의 타면에 장착되고, 제 1 판넬군(302) 및 제 2 판넬군(304)은 서로 동일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그 결과,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에는 충천물이 충전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310)는 제 2 고정 수단(330)을 이용하여 제 1 판넬군(302)에 장착될 수 있다. 제 2 고정 수단(330)은 나사, 못 등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제 2 고정 수단(330)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판넬군(302) 및 제 2 판넬군(304)의 외측에서부터 내측 방향으로 삽입된다. 제 2 고정 수단(330)은 제 1 판넬군(302) 및 제 2 판넬군(304)을 관통한 후 삽입부재(310) 내부로 소정 가량 박힌다. 삽입부재(310)의 일부는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60)으로 소정 가량 이격되거나, 제 1 판넬군(302)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립식 판넬의 너비보다 소정 가량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삽입부재(310)는 서로 인접한 복수 개의 조립식 판넬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고정 수단(330)이 삽입될 경우, 삽입부재(310)에 의해 서로 인접한 조립식 판넬이 결합이 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충전물을 충전한다(S300).
충전물은 시멘트 및 단열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물은 유동성 있는 발포 시멘트로 구비되거나, 판넬 형식의 단열재로 구비되어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에 충전될 수 있다. 단열재는 예컨대, 단열성, 보온성을 인정받는 EPS(Expanded Poly Styren)에 우수한 재질의 선피복한 강판(Pre-coated Steel Sheet)를 특수 접착 방식으로 붙인 EPS 판넬일 수 있다.
충전물의 충전 단계(S300)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물이 충전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충전물이 발포 시멘트로 구비된 경우, 충전물은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주입된다. 이 경우, 충전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동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밀폐용 틀(400)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틀(400)은 도 5a 및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판넬군(302) 및 제 2 판넬군(304) 사이의 공간에 대해 주입부(405)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동봉할 수 있다. 밀폐용 틀(400)은 각각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의 좌우측면에 접촉되고, 충전물이 주입되기 위한 주입부(405)를 개방한다.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의 상하측면에 삽입부재(311, 312, 313, 314)를 개재하는 경우, 밀폐용 틀(40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추가적인 동봉을 위해 상하측면에 밀폐용 틀(4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충전물이 충전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는 도 4d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되는 것으로, 밀폐용 틀(400)은 각각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의 좌우측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페용 틀(400)은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가 이격된 거리와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으나, 그보다 긴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밀폐용 틀(40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삽입부재(311, 312, 313, 314) 사이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측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밀폐용 틀(400)은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물을 주입하기 위한 필수 구성이 아닐 수 있다. 예컨대, 벽체(300)를 제조하는 건설현장에서는 제 1 판넬군(302), 제 2 판넬군(304) 및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에 개재되는 삽입부재(310)가 모두 벽체(300)가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밀폐용 틀(400)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의 상측면은 천장에 접촉되고, 하측면은 바닥에 접촉되며, 좌우측면이 다른 벽체(300)에 접촉되는 경우, 별도로 밀폐용 틀(400)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충전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405)를 별도로 형성한다.
충전물이 발포 재료로 구비된 경우, 충전물이 발포되면, 충전물은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재(310)는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충전물의 전송 경로를 가이드할 수도 있다. 삽입부재(310)에 의해 가이드된 충전물은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게 된다. 이 후, 충전물이 건조되어 응고되면 벽체(300)가 완성된다.
한편, 충전물이 판넬 형식의 재료로 구비된 경우, 충전물은 제 1 판넬군(302)과 제 2 판넬군(304)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물은 삽입부재(310)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 영역에 판넬 형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제 1 방향 60: 제 2 방향
100: 조립식 판넬 110: 골격 부재
120: 체결부 122: 요입홈
124: 걸림턱 130: 돌출부
140: 벽면 판넬 150: 마감부재
160: 제 1 고정 수단 200: 판넬군
202, 204, 206, 208: 조립식 판넬
220, 225: 체결부 222, 227: 요입홈
224, 229: 걸림턱 230, 235: 돌출부
260: 체결부재 262: 제 1 결합돌기
264: 제 2 결합돌기 270: 돌출부 체결부재
280: 단부 체결부재 282: 단부 결합돌기
284: 단부 마감부재
300: 벽체 302: 제 1 판넬군
304: 제 2 판넬군 310: 삽입부재
320, 325: 골격 부재 330: 제 2 고정 수단
400: 밀폐용 틀 405: 주입부

Claims (21)

  1.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판 형상의 골격 부재,
    상기 골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요입홈을 포함하는 조립식 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요입홈 내측에 일방향 걸림턱이 형성된 것인 조립식 판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판넬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압출 형성된 것인 조립식 판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골격 부재의 외측 방향을 따라 너비가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인 조립식 판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판넬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것인 조립식 판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 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벽면 판넬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벽면 판넬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는 것인 조립식 판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판넬은 황토, 석회, 볏짚 및 고화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인 조립식 판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판넬의 일면에 부착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부재는 부직포 및 창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조립식 판넬.
  9. 판넬군에 있어서,
    제 1 조립식 판넬 및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과 일면이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 2 조립식 판넬 및
    접촉된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 및 상기 제 2 조립식 판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 및 상기 제 2 조립식 판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 및 상기 제 2 조립식 판넬은 각각,
    판 형상의 골격 부재,
    상기 골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요입홈 및
    상기 요입홈 내측에 형성된 일방향 걸림턱
    을 포함하는 판넬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의 요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 2 조립식 판넬의 요입홈에 삽입되는 판넬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요입홈과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넬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질로 된 한쌍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크는 외력에 의해 상기 후크의 내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판넬군.
  13. 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로 구비된 조립식 판넬 및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 1 판넬군 및 제 2 판넬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판넬군 및 상기 제 2 판넬군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판넬군 및 상기 제 2 판넬군 사이에 삽입부재를 개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판넬군 및 상기 제 2 판넬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물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식 판넬은 각각,
    판 형상의 골격 부재,
    상기 골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요입홈을 포함하는 벽체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넬군 및 제 2 판넬군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골격 부재의 일면에 벽면 판넬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립식 판넬을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벽체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판넬은 제 1 조립식 판넬 및 제 2 조립식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립식 판넬을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 결합돌기를 상기 제 1 조립식 판넬의 요입홈에 체결하고, 타측 결합돌기를 상기 제 2 조립식 판넬의 요입홈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체 제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판넬은 황토, 석회, 볏짚 및 고화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인 벽체 제조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판넬을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벽면 판넬의 일면에 마감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부재는 부직포 및 창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벽체 제조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를 개재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부재의 일면을 상기 제 1 판넬군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판넬군이 상기 제 1 판넬군과 소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상기 제 2 판넬군의 일면을 상기 삽입부재의 타면에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벽체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일면을 상기 제 1 판넬군에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벽체 제조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을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물이 상기 제 1 판넬군 및 상기 제 2 판넬군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물을 통해 상기 제 1 판넬군 및 상기 제 2 판넬군이 연결되는 것인 벽체 제조 방법.
  21. 제 13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은 시멘트 및 단열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벽체 제조 방법.
KR1020100081641A 2010-08-23 2010-08-23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 KR10116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41A KR101162281B1 (ko) 2010-08-23 2010-08-23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41A KR101162281B1 (ko) 2010-08-23 2010-08-23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63A KR20120018663A (ko) 2012-03-05
KR101162281B1 true KR101162281B1 (ko) 2012-07-04

Family

ID=4612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641A KR101162281B1 (ko) 2010-08-23 2010-08-23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3019B (zh) * 2014-12-05 2017-08-29 广东铝遊家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墙体的配合结构
CN105986638A (zh) * 2015-03-11 2016-10-05 美程新材料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高强度围护结构夹芯板及其加工方法
CN106639133A (zh) * 2015-10-29 2017-05-10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封卡扣式墙板及其拼接方法
NO345690B1 (en) * 2019-06-12 2021-06-14 Frank Cato Lahti Wall-building element system and prefabricated basic wall-building element.
CN113978062B (zh) * 2021-09-25 2024-06-04 张家港飞腾复合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铝复合板
CN114996789A (zh) * 2022-05-20 2022-09-02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约束边缘非阴影区构件构造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78B1 (ko) 2008-03-24 2010-06-29 김재락 단열재가 부착된 조립식 벽체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78B1 (ko) 2008-03-24 2010-06-29 김재락 단열재가 부착된 조립식 벽체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63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281B1 (ko) 조립식 판넬, 판넬군 및 벽체 제조 방법
US6729094B1 (en) Pre-fabricated building pane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4967528A (en) Construction block
US7601234B2 (en) Housing created from high strength expanded thermoformable honeycomb structures with cementitious reinforcement
US11077583B2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US11214963B2 (en) Method of forming a concrete panel
EP2078121A1 (en) Thermal insulating composite panel,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building structures from such panels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309734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위한 문틀프레임
KR101351439B1 (ko) 조립식 벽체블록
US20220220738A1 (en) Method of Forming a Concrete Panel
RU54060U1 (ru) Набор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малоэтажных зданий
KR101466825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090124644A (ko) 조립식 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KR100784494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US8590242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KR100590409B1 (ko) 조립식 건축용 바닥패널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1943918B1 (ko) 건축용 바닥재
EP0088177B1 (en) An insulation panel and a vertical and horizontal tie means for use with the panel
KR20090013932A (ko) 열전달 방지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벽체구조
KR101010353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JPH0819755B2 (ja) サイディングボード
NL2008741C2 (nl) Plaatvormig constructie-elemen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het constructie-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