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08B1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08B1
KR101162208B1 KR1020050120550A KR20050120550A KR101162208B1 KR 101162208 B1 KR101162208 B1 KR 101162208B1 KR 1020050120550 A KR1020050120550 A KR 1020050120550A KR 20050120550 A KR20050120550 A KR 20050120550A KR 101162208 B1 KR101162208 B1 KR 10116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housing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0661A (en
Inventor
황재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08B1/en
Publication of KR2007006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6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형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영상표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부로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의 인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안테나의 인출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ceives and reproduces a video signal from the outsid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an image displa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 process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an antenna drawn from the housing, and whether the antenna is drawn out.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a;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whether the antenna is drawn from the sensor to drive the processor.

이동 통신 단말기, 휴대폰, DMB, 안테나 Mobile terminal, mobile phone, DMB, antenna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5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이동 통신 단말기 110: 하우징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housing

120: 프로세서 130: 안테나120: processor 130: antenna

140: 센서 150: 제어부140: sensor 1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and reproduces a video signal from the outside.

일반적으로 휴대폰 및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MP3 파일등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과, 디지털 사진 및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까지 결합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용도가 점점 확장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제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not only simple voice information but also tex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games to users. In addition, recently, an audio player function capable of reproducing an audio file such as an MP3 file and a digital camera function capable of capturing digital photos and images have been combin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u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being expanded in this way, is now a necessity of life.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방송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으로써, DMB는 당초 라디오 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한 위에서 설명한 디지털오디오방송(DAB)으로 시작했으나 음성뿐 아니라 영상을 포함한 종합 이동형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of playing a broadcast. More specifically, a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DMB originally started with the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described above aiming at digital conversion of radio broadcasting, but is a comprehensive mobile multimedia service including video as well as voice.

DMB란 이동 또는 고정된 장소에서 이동 단말기를 통해 CD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또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이다. 전송 수단에 따라 지상파DMB와 위성DMB로 구분된다. DMB is a broadcast providing CD quality sound and data or video ser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or fixed location. It is divided into terrestrial DMB and satellite DMB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ans.

DMB는 국가적 차원에서 주파수 자원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상파?위성?케이블TV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후발 디지털화 영역인 라디오 방송까지 국내 방송매체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DMB started with the intention to promote the digital conversion of domestic broadcasting media from the national leve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requency resource utilization and the digital conversion of terrestrial, satellite, and cable TV in earnest, and to radio broadcasting, which is the late digitization area.

또 지상파 방송사,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 방송사업자들에게 신규 사업 참여 기회를 넓히고 시?청취자에게도 선택의 폭을 확대해준다는 의미가 있다.It also means expanding the opportunities for new business participation by broadcasters such as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broadcasting channel operators (PPs), as well as wider choices for audiences and listeners.

그리고,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에 대한 정부정책과 세부 기술표준 등이 점차 마무리됨에 따라 이 분야 업체들이 지상파 DMB 장비?솔루션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DMB를 내장한 제품이 많이 출시되 고 있다.As the government policies and detailed technical standards f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re gradually completed, companies in this field are actively developing terrestrial DMB equipment and solutions. Therefore, many products incorporating DMB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released.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을 참조하면 외면에 DMB를 실행하는 버튼(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1)을 누르면, DMB 시청 메뉴가 활성화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항목을 찾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인출되는 안테나가 구비될 경우, 상기 안테나를 인출해야, DMB를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안테나를 별도로 결합해야 DMB를 시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버튼(1)의 클릭과 안테나를 인출 또는 결합해야하는 이중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button 1 for executing DMB. When the button 1 is pressed, the DMB viewing menu is activated, and the user finds and executes a desired item. In this case, when the user is provided with an antenna to be drawn ou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ay watch the DMB by drawing out the antenna. Alternatively, the user may watch the DMB only by separately coupling an antenn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ther words, the user must perform the double operation of having to pull out or combine the click of the button 1 and the antenn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를 결합 또는 인출할 때 DMB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DMB when combining or drawing antennas.

본 발명의 일형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영상표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부로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의 인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안테나의 인출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an image displa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 process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an antenna drawn from the housing, and whether the antenna is drawn out.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a;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whether the antenna is drawn from the sensor to drive the proces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가 인출될 때,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drive the processor when the antenna is drawn ou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형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영 상표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부로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테나,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안테나의 결합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an English trademark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process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portion, and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antenna couple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coupling of the antenna from the sensor to drive the proces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가 결합했을 때,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drive the processor when the antenna is coupled.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안테나의 결합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measuring whether the antenna is coupled.

또한, 상기 센서는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agnetic sensor.

이하에서는,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the above object.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바형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여러가지 종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taking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외관은 하우징(1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바타입에서는 하나로 이루어지지만, 슬라이드형 또는 폴더형에서는 두개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하므로, 상기 하우징(110)은 두개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이 두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exteri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formed by a housing 110. The housing 110 is made of one in the bar type, but made of two or more in the slide or clamshell. Since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10 includes two or more. Here, the case where the housing 110 is composed of two will be described.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도시되어 있다.2 and 3 illustrat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되며, 힌지에 의하여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 하우징(111)과 제 2 하우징(112)으로 이루어진다.The housing 110 forms an exteri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ncludes a first housing 111 and a second housing 112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상기 제 1 하우징(111)에는 영상표시부가 구비된다. 상기 영상표시부는 사용자에게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상태, 작동 상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 등을 제공한다. The first housing 111 is provided with an image display unit. The image display unit not only provides the user with the status and operation st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ut also provides a video.

상기 제 2 하우징(112)에는 일측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팩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112)의 어느 일측에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하우징(111)과 상기 제 2 하우징(112)이 접혔을 때, 상기 영상표시부와 상기 키패드는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하우징(111)과 상기 제 2 하우징(112)에 각각 위치된다. A battery pack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one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112. And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12 is provided with a keypad for the user to input a command. Here, when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2 are folded,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keypad are positioned in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2 to face each other. do.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112)에는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와 제어부(150)가 내장된다. 상기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여 송신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미도시)와 외부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송수신 회로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50)의 구성은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것과 대동 소이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112 includes a main board and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and a controller 150 mounted on the main board.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includes a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not shown)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pad and a reception signal processor (not shown)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radio waves from the outside. Transmitting and receiving circuits are provided. Her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m is similar to that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 통신 신호처리부를 통해 음성을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 2 하우징(112)에는 각각 스피커와 마이크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speaker and a microphone are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12, respectively, so that a user can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부로 출력하는 프로세서(120)가 구비된다. 상기 프로세서(120)의 종류 중에서 대표적으로 예를 들면, DMB를 칭한다. DMB는 영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전송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processor 120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Among the types of the processor 120, for example, DMB is called. DMB is an acronym for Englis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t is a new concept of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that combine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t is divided into terrestrial DMB and satellite DMB according to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configuration.

그리고 DMB는 CD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휴대폰?PDA나 차량용 리시버를 통해 이동하면서도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불린다.DMB is called next-generation broadcasting service because it can provide CD quality sound and data service, and can watch multi-channel multimedia broadcasting while moving through mobile phone, PDA or car receiver.

지상파 DMB와 위성 DMB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상파 DMB는 유럽 디지털 라디오방송(DAB)의 기술표준인 유레카-147을 기본 규격으로 사용한다. 2004년 현재 비어 있는 VHF 12번 채널을 이용해 이동 수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는데, 1개 채널을 쪼개면 3개의 블록이 생기고, 블록 1개당 몇 개의 비디오?오디오 채널이 생긴다. 그리고 DMB가 사용하는 주파수는 174~216㎒이고, 압축 방식은 MPEG4 기술을 이용한다. DMB가 사용하는 전파는 장거리에 알맞도록 회절 특성을 가지고 있다.The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DMB and satellite DMB are as follows. Terrestrial DMB uses Eureka-147, the technical standard for European digital radio broadcasting (DAB), as its standard. As of 2004, the VHF No. 12 channel, which is empty, is used for multimedia broadcasting for mobile reception. If one channel is split, three blocks are generated, and each video and audio channel is generated per block. The frequency used by the DMB is 174-216 MHz, and the compression scheme uses MPEG4 technology. The radio waves used by DMB have diffraction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long distances.

반면 위성 DMB는 지상파 DMB와 달리 위성체를 이용해 방송을 서비스한다. 따라서 수신율이 낮은 도심 지역은 갭필러(gap filler)라는 중계기를 이용해 방송을 수신한다. 주파수는 2.605㎓ 이상이고, 압축 방식은 지상파와 같다.On the other hand, satellite DMB, unlike terrestrial DMB, uses satellites to provide broadcasting services. Therefore, urban areas with low reception receive broadcasts using a repeater called a gap filler. The frequency is more than 2.605 kHz, and the compression method is the same as the terrestrial wave.

한편, 상기 DMB를 시청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 그중에서 제 2 하우징(112)에는 외부로 인출되는 안테나(130)가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130)는 평소에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DMB를 시청할 때, 사용자가 외부로 인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130)는 이동 통신 신호처리부와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watch the DMB, the housing 110, among which the second housing 112 is provided with an antenna 130 which is drawn out. The antenna 130 is usually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when the user views the DMB, the user draws it to the outside. Here, the antenna 130 may be used in comm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안테나(130)가 인출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센서(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antenna 130 is withdrawn, and drives the processor 120.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sensor 140.

상기 센서(140)는 상기 하우징(110), 보다 상세히 제 2 하우징(112)에 내장되며, 상기 안테나(130)의 인출여부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5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140)는 마그네틱 센서(140)로 이루어진다. The sensor 140 is embedded in the housing 110, in more detail, the second housing 112, and detects whether the antenna 130 is withdrawn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150. Here, the sensor 140 is made of a magnetic sensor 140.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140)로부터 상기 안테나(130)의 인출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할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안테나(130)가 인출될 때,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안테나(130)를 인출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DMB를 시청하도록 진행한다. The controller 150 receives whether the antenna 130 is withdrawn from the sensor 140, and determines whether to drive the processor 120. Here, the controller 150 drives the processor 120 when the antenna 130 is drawn out. That is, when the user draws out the antenna 130, the controller 150 drives the processor 120 to watch the DMB even if the user does not input a separate command.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보관될 때, 상기 안테나(130)는 마찰이나 걸려서 일부가 인출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안테나(130)가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센서(140)는 상기 안테나(130)의 인출 상태를 지속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안테나(1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140)로부터 상기 안테나(13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시킬지를 결정한다.Meanwhi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ored in a bag or a pocket, the antenna 130 may be pulled out due to friction or hooking. The case of driving 120 occurs. To prevent this, the controller 150 drives the processor 120 when the antenna 130 is completely drawn out. In this case, the sensor 140 may continuously transmit the drawing state of the antenna 130 to the controller 150, and may transmit the state in which the antenna 130 is completely drawn out to the controller 150. Therefor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antenna 130 from the sensor 140 to determine whether to drive the processor 120.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하우징(110), 영상표시부, 키패드, 배터리 팩 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housing 110, the image display unit, the keypad, the battery pack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r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일측에 안테나(1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결합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시킨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antenna 130 is coupled to one sid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upled, and drives the processor 120.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안테나(130)의 결합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130)로 지속적으로 전류를 보내서, 전류가 흐르면 안테나(130)가 결합된 것으로, 흐르지 않으면 안테나(130)가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센서(140)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140)에서 상기 안테나(130)의 결합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Here, the controller 150 continuously sends a current to the antenna 130 to determine whether the antenna 130 is coupled, and if the current flows, the antenna 130 is coupled, and if not, the antenna 130 ) Can be determined not to be combined. Alternative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sensor 140, and measure whether the sensor 140 is coupled by the sensor 140 to the controller 150.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140)로부터 상기 안테나(130)의 결합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시킨다. 물론, 상기 제어부(150)는 상 기 안테나(13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120)를 구동시킨다.The controller 150 receives the coupling of the antenna 130 from the sensor 140 to drive the processor 120. Of course, the controller 150 drives the processor 120 when the antenna 130 is coupl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중복되는 동작없이 안테나를 인출하는 동작으로 방송시청을 위한 프로세서를 구동시키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processor for broadcasting by drawing an antenna without an overlapping opera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영상표시부;An image displa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상기 영상표시부로 출력하는 프로세서; A process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테나;An antenna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안테나의 결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antenna is coupled and to drive the processor.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가 결합했을 때,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rocessor when the antenna is coupl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안테나의 결합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measuring whether the antenna is coupled. 삭제delete
KR1020050120550A 2005-12-09 2005-12-09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622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550A KR101162208B1 (en) 2005-12-09 2005-12-09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550A KR101162208B1 (en) 2005-12-09 2005-12-09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661A KR20070060661A (en) 2007-06-13
KR101162208B1 true KR101162208B1 (en) 2012-07-04

Family

ID=3835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550A KR101162208B1 (en) 2005-12-09 2005-12-09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0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661A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65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ation of multimedia playback
CN101297554B (en) Displaying mobile television signals on a secondary display device
US9538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EP150122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multimedia audio signal during a voice call in a mobile digital multimedia receiver
US8744388B2 (en) Dynamic radio data system options
US20070288954A1 (en)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US200600520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a terminal
US20070123325A1 (en) Method for perform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a dual-hinge type mobile terminal
US20070074248A1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7603079B2 (en) Mobile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nd method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KR100846284B1 (en) Method for epg sharing of portable terminal
KR20100138383A (en) A method for editing channel list in a digital broadcast and an apparatus thereof
JP2005109828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8003741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ultitasking
KR101162208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802228B1 (en)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in portable terminal
KR20050114547A (en) Dmb receiver and method for seeing and hearing dmb
KR100678057B1 (en) Method for executing quick viewer moving picture in mobile terminal
WO2008048051A1 (en) Dmb receiver for changing service frequency
KR1008259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via near area wireless communication
JP4525548B2 (en) Mobile terminal device, broadcast data receiving system, and broadcast data output method
KR20060105892A (en) Antenna with integrated dmb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340160A (en) Broadcast receiver and receiving channel display method
KR2007008301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dio pass selecting servic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0769B1 (en) Service mode conversion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