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181B1 - 휴대용 제모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제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181B1
KR101162181B1 KR1020090101422A KR20090101422A KR101162181B1 KR 101162181 B1 KR101162181 B1 KR 101162181B1 KR 1020090101422 A KR1020090101422 A KR 1020090101422A KR 20090101422 A KR20090101422 A KR 20090101422A KR 101162181 B1 KR101162181 B1 KR 10116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lamp
holder
main body
power lin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637A (ko
Inventor
박수종
Original Assignee
(주)푸로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로맥스 filed Critical (주)푸로맥스
Priority to KR102009010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1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026/008Details of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펄스를 조사하기 위한 플래시 램프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래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되, 본체가 홀더에 거치시 축전지와 연결되어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에 구비되는 램프상태표시부에 의해 플래시 램프의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의 교체시기를 손쉽게 감안할 수 있고, 본체에 플래시 램프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모기, 광 펄스, 플래시 램프, 탈착

Description

휴대용 제모기 {PORTABLE EPILAT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제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에 구비되는 램프상태표시부에 의해 플래시 램프의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의 교체시기를 손쉽게 감안할 수 있고, 본체에 플래시 램프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휴대용 제모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 표면에는 약 500 만개의 체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체모는 인체에서 그 나름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사회가 발달하면서 체모가 적은 몸이 호감을 얻게 되면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제모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최근에 제모기로서 크게 주목받는 것으로는 레이저 방식과 광 펄스(IPL, Intensive Pulse Light) 방식이 있다.
레이저 방식은 특정 매질에서 나오는 특정 파장 대역의 빛만을 이용할 수 있는데 비하여 광 펄스 방식은 일정 범위의 파장 대역을 갖는 빛을 주기적인 펄스 형태로 방출시켜서 제모하는 것이다.
광 펄스 제모는 파장이 515~1200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주기적으로 피부에 조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주기적인 광 펄스를 피부에 조사하면 광 에너지는 피부의 표면을 통과하여 모근에 집중되어 순간적인 고열을 발생시킨다.
이 열로 인하여 주위 피부의 손상 없이 모낭만을 파괴하여 제모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광 펄스 방식 제모기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구동회로와 전원 등이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말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범위 파장 대역의 광 펄스를 조사하기 위한 플래시 램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광 펄스 방식 제모기는 본체에 내장된 전원이 구동회로를 통해 플래시 램프로 공급되면 플래시 램프에서 광 펄스가 발생 되어 인체의 체모를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광 펄스 방식 제모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플래시 램프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없어 램프의 수명을 감안할 수 없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의 교체를 제때에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제모를 위한 플래시 램프가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 시 플래시 램프의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홀더에 구비되는 램프상태표시부에 의해 플래시 램프의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하여 플래시 램프의 교체시기를 손쉽게 감안할 수 있는 휴대용 제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플래시 램프를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플래시 램프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 시 플래시 램프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휴대용 제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광 펄스를 조사하기 위한 플래시 램프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래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되, 본체가 홀더에 거치시 축전지와 연결되어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전원공급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래시 램프의 인접영역에 설치되어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인가받아 감지 결과에 따라 축전지의 전원을 플래시 램프에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플래시 램프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와,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상태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인가받 아 디스플레이하는 램프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본체가 홀더에 거치시 플래시 램프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플래시 램프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와, 상기 출력조절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플래시 램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홀더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의 말단에 형성되는 플러그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원선을 감아서 거치하는 전원선거치부와, 상기 전원선거치부의 말단에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전원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원선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첫째, 홀더에 램프상태표시부를 구비하여 플래시 램프의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의 교체시기를 손쉽게 감안할 수 있어 플래시 램프를 제때에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체에 플래시 램프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 시 손쉽게 플래시 램프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램프(11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어 플래시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120)와, 본체(100)를 내부에 인입시켜 거치하는 홀더(200)와, 홀더(200)에 설치되어 본체(100)가 홀더에 거치시 축전지(120)를 충전시키는 전원공급부(21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사용자가 잡기 편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플래시 램프(11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플래시 램프(110)는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삽입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된다.
종래 제모기의 경우에는 플래시 램프가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 시 플래시 램프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의 경우에는 플래시 램프(110)가 본체(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110)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플래시 램프(110)의 반사판에 세라믹 도료를 500~700℃로 열처리하여 빛의 반사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반사판의 내열성을 높여 고열로 인한 반사판의 열손상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플래시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120)가 구비된다.
한편, 홀더(200)는 상부 측 내부에 플래시 램프(110)의 부피에 대응하는 공간(s)이 형성되어, 이 공간에 플래시 램프(110)가 인입됨으로써 본체(100)를 거치하게 된다.
그리고, 홀더(200)의 내부에는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축전지(12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가 마련되어, 본체(100)가 홀더(200)에 거치시 축전지(120)와 연결되어 축전지(120)를 충전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는 플래시 램프(110)의 일 영역에는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130)와, 감지부(130)의 감지결과에 따라 플래시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140)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130)는 플래시 램프(110) 하면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체모의 제거를 위해 본체(100)를 인체로 접근시키면 접근하는 인체를 인식하여 전원제어부(140)로 그 감지 결과를 전달하게 된다.
전원제어부(14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감지부(130)로부터 감지 결과를 인가받아 플래시 램프(110)에 축전지(120)의 전원를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인체로 본체(100)를 접근시키면, 감지부(130)는 플래시 램프(110)와 인체의 피부를 감지하여 전원제어부(140)로 그 감지결과를 전송하고 전원제어부(140)는 전달받은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인체와 플래시 램프(110)가 접촉됐다고 판단될 때, 플래시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에는 플래시 램프(110)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300)와, 상태감지부(300)의 감지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램프상태표시부(310)를 더 포함한다.
상태감지부(300)는 플래시 램프(110)와 연결되어 형성되어, 플래시 램프(110)의 현재상태, 즉 플래시 램프(110)의 수명이나 고장상태 등을 감지하여 램프상태표시부(310)로 감지결과를 전송한다.
그리고, 램프상태표시부(310)는 홀더(200)의 외측에 다수의 램프로 형성되어 상태감지부(300)의 감지결과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램프상태표시부(310)는 2개의 램프로 형성되고, 상태감지부(300)의 감지결과 플래시 램프(110)의 수명이 90% 남아있다면, 램프상태표시부(310)의 램프 중 오렌지색 램프가 점등되고, 수명이 100%일 경우 적색램프가 점등되어 사용자는 손쉽게 플래시 램프(110)의 수명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램프를 더 마련하여 플래시 램프(110)의 고장 시 경고등을 점등시켜 사용자가 손쉽게 플래시 램프(110)의 고장을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광 펄스를 조사하기 위한 플래시 램프(110)는 석영 등으로 제작된 램프 내부에 크세논(Xenon) 가스 등을 충전한 것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플래시 램프(110)는 사용중에 많은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플래시 램프(110)에 의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홀더(200)의 내부 에 냉각부(400)가 형성된다.
냉각부(400)는 홀더(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사용한 본체(100)가 홀더(200)에 거치될 때 작동되어 플래시 램프(110)의 열을 냉각한다.
전술한 냉각부(400)는 팬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해 플래시 램프(110)를 냉각시킬 수도 있고, 방열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열전도에 따라 플래시 램프(110)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는 플래시 램프(110)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500)와, 출력조절부(500)의 조작에 따라 플래시 램프(110)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제어부(510)를 더 포함한다.
출력조절부(500)는 홀더(200)의 외측에 돌출되는 다수의 버튼으로 형성되어 버튼을 누름에 따라 플래시 램프(110)의 출력을 가감할 수 있고, 출력제어부(510)는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출력조절부(500)의 조절결과를 인가받아 플래시 램프(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플래시 램프(110)의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는 플래시 램프(110)의 출력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가 약한 곳의 체모도 피부의 손상 없이 말끔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의 외측에 돌출되는 전원선거치부(220)와, 전원선거치부(220)의 말단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전원선가이드(230)를 더 포함한다.
전원선거치부(220)는 홀더(200)의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타원형태의 기둥으로 이 기둥에 전원선이 감겨서 거치되게 된다.
그리고, 전원선가이드(230)는 전원선거치부(220)의 말단에 전원선가이드(230)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감겨진 전원선이 전원선거치부(22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는 홀더(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마찰부재(240)는 통상 고무로 형성되어, 홀더(2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플래시 램프(110)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도에 따라 다른 형태의 플래시 램프(11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a는 인체 중 몸의 체모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플래시 램프(110)로 비교적 플래시 램프(110)의 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이때 플래시 램프(110)의 출력은 25J인 것이 바람직하고, 플래시 램프(110)의 재질은 530nm ~ 900nm 파장대의 석영이 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래시 램프(110)의 펄스폭은 7.5m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는 인체 중 얼굴의 수염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플래시 램프(110)로 몸의 체모를 제거하는 플래시 램프(110)보다 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플래시 램프(110)의 출력은 14J인 것이 바람직하고, 플래시 램프(110)의 재질은 530nm ~ 900nm 파장대의 석영이 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래시 램프(110)의 펄스폭은 1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c는 인체 중 얼굴의 솜털 등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플래시 램프(110)로 얼굴의 수염을 제거하는 플래시 램프(110)보다 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플래시 램프(110)의 출력은 12J인 것이 바람직하고, 플래시 램프(110)의 재질은 430nm ~ 1200nm 파장대의 석영이 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래시 램프(110)의 펄스폭은 1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의 플래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모기의 용도에 따른 플래시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플래시 램프
120 : 축전지 130 : 감지부
140 : 전원제어부 200 : 홀더
210 : 전원공급부
212 : 플러그 220 : 전원선거치부
230 : 전원선가이드 240 : 마찰부재
300 : 상태감지부 310 : 램프상태표시부
400 : 냉각부 500 : 출력조절부
510 : 출력제어부

Claims (8)

  1. 광 펄스를 조사하기 위한 플래시 램프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래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되, 본체가 홀더에 거치시 축전지와 연결되어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램프의 인접영역에 설치되어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인가받아 감지 결과에 따라 축전지의 전원을 플래시 램프에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플래시 램프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와;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상태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램프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본체가 홀더에 거치시 플래시 램프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플래시 램프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와;
    상기 출력조절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플래시 램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홀더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의 말단에 형성되는 플러그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원선을 감아서 거치하는 전원선거치부와;
    상기 전원선거치부의 말단에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전원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원선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용 제모기.
  8. 제1항에 있어서,
    플래시 램프의 반사판의 표면에, 세라믹 도료를 500 ~ 700℃로 열처리하여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모기.
KR1020090101422A 2009-10-23 2009-10-23 휴대용 제모기 KR10116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22A KR101162181B1 (ko) 2009-10-23 2009-10-23 휴대용 제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22A KR101162181B1 (ko) 2009-10-23 2009-10-23 휴대용 제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37A KR20110044637A (ko) 2011-04-29
KR101162181B1 true KR101162181B1 (ko) 2012-07-04

Family

ID=4404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422A KR101162181B1 (ko) 2009-10-23 2009-10-23 휴대용 제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1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76B1 (ko) 2007-03-07 2008-02-05 김휘영 광 펄스를 이용한 휴대용 제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76B1 (ko) 2007-03-07 2008-02-05 김휘영 광 펄스를 이용한 휴대용 제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37A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0981B (zh) 可更換光線盒及冷卻盒的可擕式除毛器
JP6133914B2 (ja) 光に基づく皮膚科治療装置の電源
US92717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skin treatment
EP1992248B1 (en) Dryer for hair shaving device
JP6014095B2 (ja) 作動安全性が向上した除毛器
JP2015073744A (ja) 光照射型美容装置
JP2009022333A (ja) 美容装置
JP5520955B2 (ja) 個人用皮膚トリートメントの方法及び装置
KR101162181B1 (ko) 휴대용 제모기
CN104274242A (zh) 冰点激光脱毛仪及其工作过程
AU2012201387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skin treatment
CN110368594A (zh) 一种手持式光祛斑设备及祛斑方法
KR20150050928A (ko) 제모기용 자동전압전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