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727B1 -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 Google Patents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727B1
KR101160727B1 KR1020090012978A KR20090012978A KR101160727B1 KR 101160727 B1 KR101160727 B1 KR 101160727B1 KR 1020090012978 A KR1020090012978 A KR 1020090012978A KR 20090012978 A KR20090012978 A KR 20090012978A KR 101160727 B1 KR101160727 B1 KR 10116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ir
support
chest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3862A (en
Inventor
하성규
어성우
김영헌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727B1/en
Publication of KR20100093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가슴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과, 좌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리부와, 좌판과 다리부를 연결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의자 본체, 사용자가 좌판에 앉아서 앞쪽으로 기댈 수 있도록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가슴받이대 및 가슴받이대를 의자 본체에 연결시키도록 일단은 가슴받이대에 결합되며 타단은 의자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strest chair. Ches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ir body having a seat plate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a leg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and a support rod connecting the seat plate and the leg,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seat plate and lean forward One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hair body so as to connect the supporter and the supporter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chest to the chai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chair body.

Description

가슴받이 의자{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Chest Chair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도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in particular, to correct a sitting posture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and to a functional chair that can feel a sense of stability and comfort even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학생이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하루 중 오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한다. 사용자들은 의자에 기대어 앉거나, 무엇인가에 집중할 때에는 상체가 약간 앞쪽으로 쏠린 상태로 앉게 된다.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되면 모든 하중이 허리에 집중됨으로써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척추측만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Students or office workers in offices spend long hours sitting in chairs. When the user sits on a chair or concentrates on something, the user sits down with the upper body slightly forward. If the upper body is kept in a forward state for a long time, all the loads are concentrated on the waist, which makes it easy to feel tired, and incorrect posture may also cause scoliosis.

종래의 의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과, 좌판을 받치는 다리부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를 뒤에서만 지지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앞으로 쏠린 상태에서는 지지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실제 사용자들이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 중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가 많고, 이러한 자세가 오랜 시간 지속되는 바 앞으로 쏠린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의자의 구조 개선이 요청되고 있다. Conventional chairs generally consist of a seat plate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 leg supporting the seat plate, and a backrest supporting the user's waist. Such a conventional chair can only support the user from behind, but the user can move forward. It was not possible to support it in the state. However, many of the postures of the actual users sitting on the chair, the upper body is inclined forward, the posture lasts for a long time, so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hair to support the fron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여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여도 편안감과 안정감이 느껴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슴받이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support the user's chest to prevent the upper body from being forward, induce the correct posture, and improved structure to feel comfortable and stable even after long-term use To provide a chai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과 다리부를 연결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의자 본체와, 사용자가 상기 좌판에 앉아서 앞쪽으로 기댈 수 있도록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가슴받이대 및 상기 가슴받이대를 상기 의자 본체에 연결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가슴받이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의자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Ches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hair body having a seat plate on which the buttocks of the user is seated, a leg portion disposed below the seat plate, a support rod connecting the seat plate and the leg portion, the user One end is coupled to the chest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hair body so that the chest and the ches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chest to sit on the seat plate and lean forward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슴받이대는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사용자의 등 뒤쪽에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strest is preferably rotatably installed between a first posi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chest and a second position disposed behind the user's bac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가 간섭되는 것을 피하도록 사용자의 다리를 우회하여 배치되는 우회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member comprises a bypass connection portion arranged to bypass the user's leg to avoid interference of the user's leg sitting on the seat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슴받이대는 사용자의 좌측 가슴 앞에 배치되 는 제1지지대와, 사용자의 우측 가슴 앞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st support has a first support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left chest, and a second support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right chest,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re mutually accessible and spaced apart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move in the direction to beco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슴받이대는 사용자의 가슴쪽으로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위치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reastres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toward the user's chest.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는 사용자의 상체가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도 편안감과 안정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The breastres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comfort of the user's upper body and providing comfort and stability even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올바르게 유도하여 자세 교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ture correction is possible by correctly inducing the sitting posture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는 기존의 의자에 가슴받이대와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rmres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installing the armrest and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existing chai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breastrest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슴받이 의자의 사용상태가 나타나 있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reastrest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reastrest chair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100)는 의자 본체, 가슴받이대(30) 및 연결부재(40)를 구비한다.1, 2 and 5,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s provided with a chair body, the supporter 30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의자 본체는 좌판(10), 등받이(20), 다리부(50) 및 지지봉(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hair body includes a seat plate 10, a backrest 20, a leg part 50, and a support bar 51.

좌판(10)은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되는 곳으로서 대략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며 사용자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우레탄 등의 커버가 씌워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eat plate 10 is a place where the user's buttocks are supported, which is generally flat to the ground, and is generally covered with a cover such as urethane so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등받이(20)는 좌판(10)에 앉은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부분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이, 등받이(20)와 좌판(1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의자에서는 좌판(10)과 등받이(20)가 분리되어 설치된다. The backrest 20 is a portion where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plate 10 leans back, and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he backrest 20 and the seat plate 10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in most chairs, the seat plate 10 and the backrest 20 are separately installed.

다리부(50)는 바닥에 놓여져서 좌판(10)과 등받이(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봉 형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지지봉(51)의 상단은 좌판(10)에 결합되고, 하단은 다리부(50)에 결합되어, 좌판(10)과 등받이(20)는 다리부(50)에 지지된다. 또한, 좌판(10)은 지지봉(51)을 회전축으로 하여 다리부(5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다. 또한, 다리부(50)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5개의 받침다리(53)를 구비하며, 의자 본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받침다리(53)의 단부에는 각각 바퀴(52)가 설치되어 있다. The leg 50 is placed on the floor to support the seat plate 10 and the backrest 20.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51 vertically arranged in a rod shape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10,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eg part 50, and the seat plate 10 and the backrest 20 are leg parts 50.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seat plate 10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leg portion 50 using the support rod 51 as the rotation axis. In addition, the leg 50 has five support legs 53 spaced apart at regular angular intervals, and the wheels 52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upport legs 53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chair body. have.

가슴받이대(30)는 좌판(10)에 앉은 사용자의 몸이 앞쪽으로 치우쳤을 때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기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가슴받이대(30)는 사용자가 좌판(10)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가슴받이대(30)는 사용자가 좌판(10)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좌측 가 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대(31)와 사용자의 우측 가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대(32)로 이루어진다. Chestrest 30 is to support the user's chest when the user's body sitting on the seat plate 10 to the front so that the user can lean. Accordingly, the supporter 30 is dispos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ches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10. Chest support 30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 31 for supporting the user's left ches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10 and a second support 32 for supporting the user's right chest.

가슴받이대(30)는 후술할 연결부재(40)에 의하여 지지봉(51)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결부재(40)의 상단부에는 사각 기둥 형상의 고정바(33)가 결합된다. 이 고정바(33)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Breastplate 30 is to be able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user by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51 by a connecting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A fixing bar 33 having a square pillar shap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40. The fixing bar 33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바(33)의 내측 공간부에는 볼스크류축(37)이 수평하게 설치된다. 볼스크류축(37)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데, 외주면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볼스크류축(37)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36)은 오른 나사 형태이며, 타측에 형성된 나사산(35)은 왼 나사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바(33)의 내부 양측에는 베어링(b)이 설치되며, 볼스크류축(37)의 양단은 각각 베어링(b)에 끼워져 고정바(33)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ball screw shaft 37 is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xing bar 33. The ball screw shaft 37 is made of a rod shape and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each formed in a different direction. That is, the thread 36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screw shaft 37 is in the form of a right screw, and the thread 35 formed on the other side is made in the form of a left screw. Bearings b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bar 33, and both ends of the ball screw shaft 37 are fitted to the bearing b to be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fixing bar 33.

또한, 볼스크류축(37)의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34)가 결합된다. 사용자가 볼스크류축(37)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 손잡이(34)는 고정바(33)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34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all screw shaft 37. The handle 34 protrudes out of the fixing bar 33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ball screw shaft 37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ball screw shaft 37.

볼스크류축(37)의 양측에는 각각 볼스크류너트(38,39)가 나사결합된다. 볼스크류너트(38,39)는 중공형으로 그 내주면에는 볼스크류축(37)의 외주면 양측의 나사산에 각각 대응되도록 오른 나사산과 왼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볼스크류너트(38,39)가 각각 볼스크류축(37)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결합되 어 있는 바, 볼스크류축(37)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스크류너트(38,39)들은 볼스크류축(37)을 따라 서로 접근되며,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로 이격된다. 볼스크류축(37)과 볼스크류너트(38,39) 사이에는 순환 경로를 가지는 다수의 볼이 개재되어 볼스크류축(37)과 볼스크류너트(38,39)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킨다. Ball screw nuts 38 and 39 are screwed to both sides of the ball screw shaft 37, respectively. The ball screw nuts 38 and 39 are hollow and have right and left threads respectively formed on thei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so as to correspond to threads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screw shaft 37, respectively. As the ball screw nuts 38 and 39 are screwed to the ball screw shaft 37 in different directions, the ball screw nuts 38 and 39 are rotated when the ball screw shaft 37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pproach each other along the screw shaft 37, and rotated in a reverse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balls having a circulation path is interposed between the ball screw shaft 37 and the ball screw nuts 38 and 39 to minimiz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ball screw shaft 37 and the ball screw nuts 38 and 39.

한편, 고정바(33)의 전면 중앙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스크류너트(38,39)의 각각 결합부재(38a,39a)가 고정되어, 이 결합부재(38a,39a)들은 고정바(33) 전면의 슬릿을 통해 고정바(33)의 외부로 돌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fixing bar 33 is formed with a slit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upling member (38a, 39a) of the ball screw nut (38, 39) is fixed, respectively, the coupling member (38a, 39a) They protrude out of the fixing bar 33 through the slit in front of the fixing bar 33.

고정바(33)의 전면 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재(38a,39a)에는 각각 가슴받이대(30)의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볼스크류축(37)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결합부재(38a,39a)를 매개로 볼스크류너트(38,39)에 결합되어 있는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는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슴 넓이에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에에서 가슴받이대(30)는 연성의 라텍스 재질의 커버를 씌움으로써 사용자의 가슴과 접촉되어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다. The first support 31 and the second support 32 of the chest support 30 are coupled to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38a and 39a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front slit of the fixing bar 33,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ball screw shaft 37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first support 31 and the second support 32 coupled to the ball screw nuts 38 and 39 via the coupling members 38a and 39a.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pport 31 and the second support (32). Thu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31 and the second support 32 can be adjusted to the width of the user's chest.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er 30 is covered with a soft latex material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even when the user touches the user's chest.

한편, 연결부재(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슴받이대(30)를 의자 본체의 지지봉(51)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는 고정바(30)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지봉(51)에 결합된다. 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41)와 우회연결부(45) 및 제2연결부(46)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mber 40 is for connecting the supporter 51 to the support rod 51 of the chair body as described above, consisting of a rod end is coupled to the fixed bar 30, the other end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51). The connecting member 4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41, a bypass connecting portion 45,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46.

제1연결부(41)는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단이 고정바(33)에 결합된다. 또한 제1연결부(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20)의 중앙에 배치된다.  The first connector 41 is vertically arranged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bar 33.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1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ackrest 20 as shown in FIG.

우회연결부(45)는 제1우회부(42), 제2우회부(43) 및 제3우회부(44)로 이루어진다. 제1우회부(42)는 제1연결부(4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을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판(10)의 외측까지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1우회부(42)는 사용자가 좌판(10)에 앉았을 때 가슴과 다리 사이의 높이에 배치된다. The bypass connection part 45 includes a first bypass part 42, a second bypass part 43, and a third bypass part 44. The first bypass portion 42 extend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1 to the outside of the seat plate 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hair, as shown in FIG. 5. In addition, the first bypass portion 42 is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chest and the leg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10.

제2우회부(43)는 제1우회부(42)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따라 좌판(10)의 하측까지 연장형성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좌판(10)에 앉았을 때 제2우회부(43)가 사용자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제2우회부(43)와 사용자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사용자(특히 사용자의 다리)가 제2우회부(43)로 인하여 행동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The second bypass portion 43 extends from the first bypass portion 42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10 in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bypass portion 43 is disposed outside the seat plate 10. Is seated on the seat 10, the second bypass portion 43 is disposed outside the user. That is, since no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second bypass unit 43 and the user, the user (particularly, the user's leg) is not restricted by the behavior due to the second bypass unit 43.

제3우회부(44)는 제2우회부(43)로부터 꺽어져 연장형성되며 제2연결부(46)로 이어진다. 제2연결부(46)는 의자 본체의 지지봉(51)에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연결부(46)의 단부에는 고리형의 웜휠(47, worm wheel)이 형성되며 이 웜휠(47)이 지지봉(51)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웜휠(47)과 지지봉(51) 사이에는 베어링(59)이 개재되어 웜휠(4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59)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봉(51)에 고정되는 내륜(54)과 웜휠(47)에 고정되는 외륜(52) 및 내륜(54)과 외륜(52) 사이에 개재되어 외륜(52)이 내륜(54)에 대해서 상대회전 되도록 하는 다수 의 볼(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어링(59)에 의하여 웜휠(47)은 지지봉(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third bypass portion 44 extends from the second bypass portion 43 and extends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6. The second connector 46 is coupled to the support bar 51 of the chair body. 2 and 3, an annular worm wheel 47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6, and the worm wheel 47 is fitted to the support rod 51. . In addition, a bearing 59 is interposed between the worm wheel 47 and the support rod 51 to rotatably support the worm wheel 47. The bearing 59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but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ring 54 and the outer ring 52 and the inner ring 54 and the outer ring 52 fixed to the support rod 51 and the worm wheel 47 are fixed. Interposed in the outer ring 52 is made to include a plurality of balls (53) to rotate relative to the inner ring (54). The worm wheel 47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ing rod 51 by the bearing 59.

한편, 웜휠(47)의 외주면에는 기어이(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판(10)의 하측에는 모터(60)와 웜(61,worm)이 결합된다. 모터(60)는 웜휠(47)을 회전시키 위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연결부재(40)와 가슴받이대(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모터(60)의 축(63)에는 중공형의 웜(61)이 끼워져 결합되며, 웜(61)의 외주면에는 웜휠(47)의 기어이(48)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이(62)가 형성되어 있다. 웜휠(47)과 웜(61)은 웜기어를 구성하여 모터(60)의 축(63)의 회전방향을 수직하게 변경시킨다. On the other hand, a gear 48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wheel 47, and the motor 60 and the worm 61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10. The motor 60 is for rotating the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breastrest 30 by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worm wheel 47. That is, the hollow worm 61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shaft 63 of the motor 60, and the gear 62 which is gear-coupled with the gear 48 of the worm wheel 4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61. It is. The worm wheel 47 and the worm 61 form a worm gear to vertically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haft 63 of the motor 6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받이대(30)가 좌판(10)의 앞쪽, 즉 사용자가 좌판(10)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제1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모터(6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웜(61)과 웜휠(47) 사이의 기어결합에 의하여 웜휠(47)이 회전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받이대(30)가 등받이(20)의 뒤 쪽, 즉 사용자의 등 뒤쪽에 배치되는 제2위치로 이동한다. 반대로, 모터(6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위치에 있던 가슴받이대(30)는 제1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가슴받이대(3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될 때,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좌판(10)의 하측에는 스토퍼(49)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state where the supporter 30 is placed in front of the seat plate 10, that is, in a first posi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ches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10, the motor 6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worm wheel 47 is rotated by the gear coupling between the worm 61 and the worm wheel 47 so that the breastrest 30 is the back of the backrest 20, as shown in FIG. Move to a second position disposed behind the user's back. On the contrary, when the motor 6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breastplate 30 in the second position moves to the first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breastplate 30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 stopper 49 is provided below the seat plate 10 to limit the range of rotation.

사용자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슴받이 의자(100)에 앉게 되면 상체가 앞으로 치우칠 때에도 사용자의 가슴이 가슴받이대(30)에 지지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편안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세가 교 정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breastrest chai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user's chest is supported by the breastrest 30 even when the upper body is biased forward, so that the waist is not unreasonable and maintains a comfortable posture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the attitude is corrected.

또한, 사용자가 등받이(20)에 기대거나 할 때에는 가슴받이대(30)를 제2위치로 회전시켜 통상의 의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leans against the backrest 20, the chestrest 30 can b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used as a normal ch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100)에서는 사용자의 가슴 넓이에 따라 가슴받이대(30)의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ha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31 and the second support 32 of the support 30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ser's ches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슴받이대(30)가 사용자의 가슴쪽으로 접근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40)의 제2연결부(46)를 2부분으로 분리하여, 즉 일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만들고 다른 일부는 위 파이프 내에 삽입 및 돌출가능한 봉 형상으로 만들어서 제2연결부(46)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맞게 가슴받이대(3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rest 30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toward the user's chest.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6 of the connecting member 40 is separated into two parts, that is, a part of the pipe shape is hollow inside and the other part is made into a rod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protruded into the upper pipe.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46 may be adjust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reastrest 30 to fit the user.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키에 따라 가슴받이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슴받이대(30)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2연결부(46)와 마찬가지로 제1연결부(41)를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제1연결부(41)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er 3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er 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That is, like the second connector 46, the first connector 41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us the height of the first connector 41 may be changed.

또한, 가슴받이 의자(100)는 기존의 의자에 가슴받이대(30)와, 연결부재(40), 모터(60) 등을 설치하여 기존의 의자에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의자에는 지지봉이 있고, 이 지지봉은 좌판(10)으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간단한 설치를 통해 기존의 의자를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100)로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eastrest chair 100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applicable to the existing chair by installing the breastrest 30, the connecting member 40, the motor 60, etc. in the existing chair. Most chairs have a support rod, and this support rod is detachable from the seat plate 10, so that a simple installation can be used by converting an existing chair into the support cha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 의자의 개략적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reastrest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슴받이 의자의 사용상태가 나타나 있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reastrest chair shown in FIG.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가슴받이 의자 10 ... 좌판100 ... Chest Chair 10 ... Seat

20 ... 등받이 30 ... 가슴받이대20 ... Backrest 30 ... Chestrest

40 ... 연결부재 50 ... 다리부40 ... connecting member 50 ... leg

60 ... 모터 60 ... motor

Claims (11)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과 다리부를 연결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의자 본체;A chair body having a seat plate on which a user's buttocks are seated, a leg portion disposed below the seat plate, and a support rod connecting the seat plate and the leg portion; 사용자가 상기 좌판에 앉아서 앞쪽으로 기댈 수 있도록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좌측 가슴 앞에 배치되는 제1지지대와, 사용자의 우측 가슴 앞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가슴받이대; 및  A supporter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chest to allow the user to sit on the seat plate and lean forward, the supporter including a first support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left chest and a second support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right chest; And 상기 가슴받이대를 상기 의자 본체에 연결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가슴받이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의자 본체에 결합되되, 상기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가 간섭되는 것을 피하도록 사용자의 다리를 우회하여 배치되는 우회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구비하며,One end is coupled to the chest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hair body so as to connect the chest support to the chair body, and the user's legs are disposed to bypass the user's leg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user's legs sitting on the seat plate.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comprising a bypass connection portion,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는 웜휠(worm wheel)이 마련되어 있고,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ring shape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s are provided with a worm wheel (worm wheel)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상기 웜휠에 기어결합되는 웜(worm)과,A worm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gear-coupled to the worm wheel; 상기 웜에 결합되어 상기 웜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구비하며,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tor coupled to the worm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worm, 상기 웜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가슴받이대가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사용자의 등 뒤쪽에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며,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orm the chestrest is rotated between a first posi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chest and a second position disposed behind the user's back,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스크류축과, Ball screw shaft is formed in a rod shape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the screw thread i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각각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다수의 볼을 매개로 상기 볼스크류축의 양측에 각각 끼워져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볼스크류너트를 더 구비하며,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ir of ball screw nut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th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re screwed into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ball screw shaft via a plurality of balls,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상기 볼스크류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호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 의자.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supported by the rotation of the ball screw shaft, the ches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of approac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가슴받이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상기 우회연결부와, 상기 우회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의자 본체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reastplate, the bypass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ypass connecting portion 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hair body. Include, 상기 우회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좌판의 외측까지 연장형성되는 제1우회부와, 상기 제1우회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가슴받이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좌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우회부 및 상기 제2우회부로부터 상기 제2연결부로 연장되는 제3우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 의자. The bypass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o the outer side of the seat plate and a low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ypass portion, the seat plate when the breastplate is in the first position A breastrest chair comprising a second bypass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second bypass portion and a third bypass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ypass portion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슴받이대는 사용자의 가슴쪽으로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위치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 의자. The breastrest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chair posi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toward the user's ches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슴받이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 의자. The breastrest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ch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슴받이대는 라텍스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 의자. The breastrest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atex material.
KR1020090012978A 2009-02-17 2009-02-17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KR101160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978A KR101160727B1 (en) 2009-02-17 2009-02-17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978A KR101160727B1 (en) 2009-02-17 2009-02-17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098A Division KR101180062B1 (en) 2011-09-30 2011-09-30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862A KR20100093862A (en) 2010-08-26
KR101160727B1 true KR101160727B1 (en) 2012-06-28

Family

ID=4275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978A KR101160727B1 (en) 2009-02-17 2009-02-17 Chair for supporting a user's ch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7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29A (en) 2018-10-16 2020-04-24 석승선 Chair for supporting ch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259B1 (en) * 2009-11-06 2012-05-25 이상호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lance Control Movement Function
KR101304722B1 (en) * 2010-10-19 2013-09-05 조길남 A chair
KR101066240B1 (en) * 2010-11-09 2011-09-21 (주)디오네 Chair
KR102182578B1 (en) 2018-08-27 2020-11-24 권민승 Detachable chest supporter for chair
KR102471972B1 (en) * 2021-11-15 2022-11-28 신대도 The chair for helping baby to bur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565Y1 (en) * 1993-11-30 1996-03-27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Device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head which is sucking works in order to position works
KR200331369Y1 (en) * 2003-08-11 2003-10-30 김상식 Chair
KR100428434B1 (en) * 2001-08-16 2004-04-29 정관영 Chair back supporter of which width being adjustable
KR100572617B1 (en) * 2004-11-24 2006-04-24 안찬일 Waist trac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565Y1 (en) * 1993-11-30 1996-03-27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Device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head which is sucking works in order to position works
KR100428434B1 (en) * 2001-08-16 2004-04-29 정관영 Chair back supporter of which width being adjustable
KR200331369Y1 (en) * 2003-08-11 2003-10-30 김상식 Chair
KR100572617B1 (en) * 2004-11-24 2006-04-24 안찬일 Waist traction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29A (en) 2018-10-16 2020-04-24 석승선 Chair for supporting ch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862A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727B1 (en) Chair for supporting a user&#39;s chest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KR101348803B1 (en) The chair for protect a backbone and a waist
KR200390006Y1 (en) The chair for supporting the armpit
CN105592752A (en) Chair
US11246417B2 (en) Tilt-swivel mechanism chair
US20150130239A1 (en) Active dynamic chair
KR100886181B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KR101180062B1 (en) Chair for supporting a user&#39;s chest
KR101405302B1 (en) Attachable back of chair
WO2012077837A1 (en) Posture-correcting chair including an adjustable seat back
KR20200036996A (en) Hip Seat type baby weight support system
KR101218380B1 (en) Chair for supporting a user&#39;s back and chest
KR102189736B1 (en) the chair for the body portion attaching type task in which the breastplate is included
KR102290271B1 (en) Multi-function Chair
KR20190081416A (en) Chair for guiding correct posture
KR20120124849A (en) Supplementary Study and Office Device Supporting front part of the upper body
KR20110067613A (en) Upper body health chair
KR200423526Y1 (en) Wheel chair for physically handcapped person
KR101967746B1 (en) Detachable lumbar support of a student chair
KR200314987Y1 (en) Structure of leg for chair
KR101354555B1 (en) A chair back of chair connection
KR20160107925A (en) An exercise chair
KR20150144606A (en) Audience chair with triangulation seat
KR101331981B1 (en) 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