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126B1 -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126B1
KR101160126B1 KR1020120012784A KR20120012784A KR101160126B1 KR 101160126 B1 KR101160126 B1 KR 101160126B1 KR 1020120012784 A KR1020120012784 A KR 1020120012784A KR 20120012784 A KR20120012784 A KR 20120012784A KR 101160126 B1 KR101160126 B1 KR 10116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power generation
converter
cell module
generation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언
박동식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에디슨솔라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슨솔라이텍(주) filed Critical 에디슨솔라이텍(주)
Priority to KR102012001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효율의 향상 및 최적화를 위한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스트링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들 및 태양전지 모듈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 발전효율을 최적화시키는 복수의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들을 포함한다.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는 DC/DC 컨버터부,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적하도록 DC/DC 컨버터부를 제어하고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최적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를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에 설치함으로써, 인접하는 건물, 주택, 나무, 낙엽 등에 의한 음영 및 태양 위치에 의한 음영, 태양전지 모듈간의 부정합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방지하고, 태양전지 모듈의 동작 모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체적인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WITH POWER PLUS STATION THROUGH POWER OPTIMIZER}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 간의 전력 최적화 및 음영에 따른 발전 손실 보정을 통해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최적화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포함하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의 확대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대체에너지 개발의 일원으로, 태양 에너지의 무공해성 및 무한정성에 힘입어 지구 환경 문제와 미래 에너지원의 다각화 대책으로서 선진 각국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효율향상과 최적화 발전장치의 실용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들을 직병렬 접속하여 전력변환장치에 연결하게 된다. 즉, 태양전지 모듈 단독으로는 출력전압이 매우 낮기 때문에,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입력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들을 직렬접속하고, 이러한 직렬접속 어레이를 다수 병렬로 연결하여 최종 전력을 얻게 된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설치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을 건물 밀집지역이나 주택 등의 설치면적에 제약이 있는 곳에 이용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인접하는 건물, 주택, 나무 등에 의한 음영, 태양각도에 의한 음영, 낙엽 등의 각종 오염물질 등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간의 출력전력에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들을 직렬 접속할 경우 최종 발전전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각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되는 발전효율이 최적화 될 수 있도록 태양전지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간의 전력 생산의 격차 해소 및 전력의 안정화를 통하여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전효율 향상과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스트링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들,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 발전효율을 최적화시키는 복수의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력을 부하에 적합한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적하도록 상기 DC/DC 컨버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최적화 장치 제어부, 및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DC/DC 컨버터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동작 모드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기설정된 최적의 동작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상기 DC/DC 컨버터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되도록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를 태양전지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드를 위해 상기 동작 모드 변환부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DC/DC 컨버터부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기설정된 최적의 동작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 변환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고, 최대전력점을 추적하도록 상기 DC/DC 컨버터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전력점 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을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부를 벅(buck)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전력점 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부를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 스트링 전류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를 포함하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따르면, 인접하는 건물, 주택, 나무, 낙엽 등에 의한 음영 및 태양 위치에 의한 음영, 태양전지 모듈간의 부정합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를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에 설치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의 동작 모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이를 통해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체적인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DC/DC 컨버터부 및 동작 모드 변환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들(100) 및 태양전지 모듈(100)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들(200)을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전지 모듈들(10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버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100)은 태양전지의 최소단위인 태양전지 셀들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된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약 20 ~ 60V의 직류전력을 출력한다. 태양전지 모듈들(100)은 인버터(300)에서 필요로 하는 입력 전압까지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50) 구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트링(150)은 직렬로 연결된 약 8개에서 10개 정도의 태양전지 모듈들(100)을 포함하며, 약 200 ~ 700V의 전압을 갖는 직류전력을 출력한다. 한편,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스트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 발전효율을 향상 및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태양전지 모듈(100)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는 모든 태양전지 모듈(100)에 각각 하나씩 연결된다. 한편,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는 3 ~ 5개의 태양전지 모듈(100)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들(100)이 건물이나 주택의 밀집지역 또는 설치면적에 제약이 있는 곳에 설치될 경우, 인접하는 건물 또는 나무 등에 의한 음영, 태양각도에 의한 음영, 낙엽 등의 각종 오염물질 등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100) 간의 출력전력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들(100)을 직렬 접속할 경우 최종 발전전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를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00)에 개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출력전력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DC/DC 컨버터부 및 동작 모드 변환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는 DC/DC 컨버터부(210),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 및 동작 모드 변환부(230)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부(210)는 태양전지 모듈(100)을 위한 전력변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DC/DC 컨버터부(210)는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부하(예를 들어, 인버터(300))의 구동에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 레벨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210)는 태양전지 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승압시키거나 감압시키는 벅(buck) 또는 부스트(boos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Maximum Power Point : MPP)을 추적하도록 DC/DC 컨버터부(21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특성을 갖는다.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중앙처리유닛(CPU), 메모리 유닛, 입출력 유닛, DC/DC 컨버터부(210)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및 DC/DC 컨버터부(2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서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DC/DC 컨버터부(210)의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와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서로 비교분석하여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MPP)을 산출하고, DC/DC 컨버터부(210)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로부터 가능한 한 최대전력을 추출할 수 있도록 DC/DC 컨버터부(210)의 듀티 사이클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실시간 평가를 근거로 하여, DC/DC 컨버터부(210)가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MPP)을 추적할 수 있도록,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는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한 동작 모드 변환부(2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동작 모드 변환부(230)는 DC/DC 컨버터부(210)에 병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 변환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게이트 및 공통 소스 구조의 2개의 MOSFET(Q5A 및 Q5B)로 구성된 전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평가한 결과, 태양전지 모듈(100)이 기설정된 최적의 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를 태양전지 모드로 동작시킨다. 즉,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 전압(Vmpp)이 DC/DC 컨버터부(210)의 출력 전압(Vout)과 거의 같을 경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를 태양전지 모드로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 상태의 평가 결과,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 전압(Vmpp)이 출력 전압(Vout)의 ±2%의 범위 내에 들어온다고 판단되는 경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를 태양전지 모드로 동작시킨다. 한편, 최적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 범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드의 동작을 위해, 동작 모드 변환부(230)를 온 상태로 유지시키고, DC/DC 컨버터부(210)를 셧 다운(shutdown)시킨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 모드에서는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DC/DC 컨버터부(210)를 거치지 않고 동작 모드 변환부(230)를 거쳐 외부로 바로 출력된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드에서는 DC/DC 컨버터부(210)의 동작 제어와 같이 전력 손실을 초래하는 별도의 전력처리과정이 제거됨으로 인해, 거의 전력손실이 없는 최적의 전력 획득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DC/DC 컨버터부(210)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온도가 너무 높거나, DC/DC 컨버터부(210)에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상황에서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를 태양전지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의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평가한 결과, 태양전지 모듈(100)이 기설정된 최적의 동작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 모드 변환부(230)를 턴-오프(turn-off)시키고, 최대전력점(MPP)을 추적하도록 DC/DC 컨버터부(2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 전압(Vmpp)이 DC/DC 컨버터부(210)의 출력 전압(Vout)보다 비교적 높거나 낮을 경우,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최적의 발전전력이 출력되도록 DC/DC 컨버터부(21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DC/DC 컨버터부(210)는 벅(buck) 모드와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벅-부스트 컨버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210)는 H-브릿지(bridge) 구조를 갖는 4개의 FET(Q1, Q2, Q3, Q4)를 포함한다.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실시간 평가를 근거로,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MPP)을 추적하기 위하여 DC/DC 컨버터부(210)가 동작할 수 있는 최적의 모드를 결정한다.
일 예로,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평가한 결과,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 전압(Vmpp)이 DC/DC 컨버터부(210)의 출력 전압(Vout)보다 낮을 경우, DC/DC 컨버터부(210)를 벅(buck) 모드로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 전압(Vmpp)이 DC/DC 컨버터부(210)의 출력 전압(Vout)의 약 98%보다 낮을 경우, DC/DC 컨버터부(210)를 벅(buck) 모드로 동작시킨다. 벅(buck) 모드에서, 제1 FET(Q1) 및 제2 FET(Q2)는 스위칭되며, 제3 FET(Q3)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4 FET(Q4)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다른 예로,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평가한 결과,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 전압(Vmpp)이 DC/DC 컨버터부(210)의 출력 전압(Vout)보다 높을 경우, DC/DC 컨버터부(210)를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최적화 장치 제어부(22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 전압(Vmpp)이 DC/DC 컨버터부(210)의 출력 전압(Vout)의 약 102%보다 높을 경우, DC/DC 컨버터부(210)를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시킨다. 부스트(boost) 모드에서, 제3 FET(Q3) 및 제4 FET(Q4)는 스위칭되며, 제2 FET(Q2)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1 FET(Q1)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100)이 최적의 동작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대전력점(MPP)을 추적하도록 DC/DC 컨버터부(210)를 제어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00)의 최적의 동작 상태를 유지시키고, 발전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한편,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는 스트링 전류를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다이오드(D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다이오드(D1)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음영에 의한 전력 손실이 발생되거나, 또는 태양전지 모듈(100) 또는 DC/DC 컨버터부(210)에 파손이 발생된 경우, 스트링 전류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링 전류가 DC/DC 컨버터부(210) 및 태양전지 모듈(100)을 거치지 않도록 바이패스시킨다. 이를 위해, 바이패스 다이오드(D1)는, 정상 동작 상태에서는 역 바이어스(reverse bias)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이상 동작 상태에서는 스트링 전류가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순 바이어스(forward bias)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0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200)를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00)에 설치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이를 통해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체적인 발전효율을 향상 및 최적화시킬 수 있다.
100 : 태양전지 모듈 200 :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
210 : DC/DC 컨버터부 220 : 최적화 장치 제어부
230 : 동작 모드 변환부

Claims (7)

  1.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스트링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들;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 발전효율을 최적화시키는 복수의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력의 레벨을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적하도록 상기 DC/DC 컨버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최적화 장치 제어부, 및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DC/DC 컨버터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동작 모드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기설정된 최적의 동작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상기 DC/DC 컨버터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되도록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를 태양전지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드를 위해 상기 동작 모드 변환부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DC/DC 컨버터부를 셧다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기설정된 최적의 동작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 변환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고, 최대전력점을 추적하도록 상기 DC/DC 컨버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전력점 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을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부를 벅(buck)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장치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전력점 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부를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효율 최적화 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 스트링 전류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120012784A 2012-02-08 2012-02-08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16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784A KR101160126B1 (ko) 2012-02-08 2012-02-08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784A KR101160126B1 (ko) 2012-02-08 2012-02-08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126B1 true KR101160126B1 (ko) 2012-06-27

Family

ID=4668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784A KR101160126B1 (ko) 2012-02-08 2012-02-08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12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42B1 (ko) * 2014-06-27 2014-11-17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CN106877311A (zh) * 2017-04-27 2017-06-20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光伏发电系统
KR102301613B1 (ko) * 2021-01-22 2021-09-14 퍼스트실리콘 주식회사 보호회로가 내장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전력최적화기
KR102361319B1 (ko) * 2021-04-01 2022-02-14 최봉진 지능형 태양광 모듈 컨트롤러
KR20220082980A (ko) * 2020-12-10 2022-06-2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전력최적화를 위한 Self-MPPT 기능이 내장된 전력최적화기
KR20220131462A (ko) * 2021-03-19 2022-09-28 퍼스트실리콘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패널편차에 의한 크리스마스 트리 라이트 이펙트 현상 규명을 위한 테스트 장치
WO2022211191A1 (ko) * 2021-04-01 2022-10-06 타임로봇 주식회사 지능형 태양광 모듈 컨트롤러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106564A1 (ko) * 2021-12-10 2023-06-15 주식회사 나눔에너지 증강 현실 기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 모듈 최적 제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23204325A1 (ko) * 2022-04-20 2023-10-26 퍼스트실리콘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패널편차에 의한 크리스마스 트리 라이트 이펙트 현상 규명을 위한 테스트 장치
KR20240058313A (ko) 2022-10-26 2024-05-03 주식회사 아모센스 태양전지 모듈의 이상 감지 및 발전 효율 향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707A (ko) * 1999-05-04 2001-07-31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Dc-dc 컨버터
KR101104922B1 (ko) 2010-12-24 2012-01-12 한양전공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707A (ko) * 1999-05-04 2001-07-31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Dc-dc 컨버터
KR101104922B1 (ko) 2010-12-24 2012-01-12 한양전공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설비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42B1 (ko) * 2014-06-27 2014-11-17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WO2015199308A1 (ko) * 2014-06-27 2015-12-30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EP3151422A4 (en) * 2014-06-27 2017-06-28 Edisun Solitec Co., Ltd. Roof-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having devices for enhancing and optimizing photovoltaic efficiency
US10033327B2 (en) 2014-06-27 2018-07-24 Edisun Solitec Co., Ltd. Roof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with a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d optimizing photovoltaic efficiency
CN106877311A (zh) * 2017-04-27 2017-06-20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光伏发电系统
CN106877311B (zh) * 2017-04-27 2019-05-31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光伏发电系统
KR20220082980A (ko) * 2020-12-10 2022-06-2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전력최적화를 위한 Self-MPPT 기능이 내장된 전력최적화기
KR102448796B1 (ko) * 2020-12-10 2022-09-30 퍼스트실리콘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전력최적화를 위한 Self-MPPT 기능이 내장된 전력최적화기
KR102301613B1 (ko) * 2021-01-22 2021-09-14 퍼스트실리콘 주식회사 보호회로가 내장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전력최적화기
KR20220131462A (ko) * 2021-03-19 2022-09-28 퍼스트실리콘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패널편차에 의한 크리스마스 트리 라이트 이펙트 현상 규명을 위한 테스트 장치
KR102576975B1 (ko) * 2021-03-19 2023-09-12 퍼스트실리콘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패널편차에 의한 크리스마스 트리 라이트 이펙트 현상 규명을 위한 테스트 장치
KR102361319B1 (ko) * 2021-04-01 2022-02-14 최봉진 지능형 태양광 모듈 컨트롤러
WO2022211191A1 (ko) * 2021-04-01 2022-10-06 타임로봇 주식회사 지능형 태양광 모듈 컨트롤러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106564A1 (ko) * 2021-12-10 2023-06-15 주식회사 나눔에너지 증강 현실 기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 모듈 최적 제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23204325A1 (ko) * 2022-04-20 2023-10-26 퍼스트실리콘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패널편차에 의한 크리스마스 트리 라이트 이펙트 현상 규명을 위한 테스트 장치
KR20240058313A (ko) 2022-10-26 2024-05-03 주식회사 아모센스 태양전지 모듈의 이상 감지 및 발전 효율 향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126B1 (ko)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파워플러스 스테이션 태양광 발전시스템
US118763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ed elements of a power system
CN101902051B (zh) 一种用于太阳能电池板的高效能量转换装置,阵列及其应用方法
KR101461042B1 (ko)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Du et al. A novel solar panel optimizer with self-compensation for partial shadow condition
Poshtkouhi et al. DC-DC converter for high granularity, sub-string MPPT in photovoltaic applications using a virtual-parallel connection
CN104506135A (zh) 一种高效率的光伏组件功率优化器
CN105517653B (zh) 一种mppt集中模式退出、切换方法及其相关应用
JP2000112545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WO201012031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 operation of solar power systems
KR101135990B1 (ko) 가변 어레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408855B1 (ko) 태양광 모듈용 마이크로 컨버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722212A (zh) 不均匀光照下光伏发电系统最大功率点跟踪方法
CN102118122B (zh) 实现最大功率点跟踪方法、发电模块、控制模块及系统
CN110086421B (zh) 一种智能光伏组件及光伏发电系统
KR20210125834A (ko) 다수개의 태양광 모듈이 직렬 연결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차동 전력변환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제어장치
CN103095180A (zh) 智能光伏模块及其控制方法以及基于该模块的光伏系统
CN108899926B (zh) 光伏离并网储能逆变器
CN103269183B (zh) 基于实时最优效率的光伏电站优化控制系统及方法
CN202488152U (zh) 多路dc输入的光伏并网逆变器母线电压自适应控制装置
CN105159388B (zh) 一种用于光伏微网系统中的最大功率点跟踪的方法
JP6380817B2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JP2015099447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動作点補正装置、および動作点補正方法
TWI460979B (zh) 直流/直流轉換器的控制方法與電壓轉換系統
Picault et al. Reducing mismatch losses in grid-connected residential BIPV arrays using active power conversion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