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078B1 -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078B1
KR101160078B1 KR1020100106244A KR20100106244A KR101160078B1 KR 101160078 B1 KR101160078 B1 KR 101160078B1 KR 1020100106244 A KR1020100106244 A KR 1020100106244A KR 20100106244 A KR20100106244 A KR 20100106244A KR 101160078 B1 KR101160078 B1 KR 101160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projectile
clamp
housing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767A (ko
Inventor
정두환
전혁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10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0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413Means for exhaust gas disposal, e.g. exhaust deflectors, gas evacu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7/00Launching-apparatus for projecting missiles or projectiles otherwise than from barrels, e.g. using spig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장치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발사체 및 발사대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클램프의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운동변환조립체와, 상기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동기를 오프시키도록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동기와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전동기가 오프되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회전력제한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장비구성이 단순하고, 구속력의 설정이 가능하고 장시간 구속력 유지가 가능한 발사체의 구속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APPARATUS FOR FIXING LAUNCHER AND LAUNCH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사체를 발사대에 고정시키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로켓이나 유도탄과 같은 발사체는 발사대에 의하여 가이드되며, 이를 통하여 목표를 향하여 발사된다. 발사대에 장착된 발사체는 구속에 필요한 구속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발사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발사장치를 장시간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구속력이 약화되어 발사체와 발사대가 이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발사체와 발사대의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되고, 나아가 발사체가 발사대로부터 분리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발사체를 발사대에 구속시키는 방법 및 장치는 유도무기체계에 있어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현재, 발사체를 발사대에 구속하는 방법으로, 폭발볼트를 이용한 구속, 전단핀을 이용한 구속 및 구동장치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구동장치는 전기기계식구동기 및 유압구동기로 분류된다. 전기/기계식구동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위치제어에 장점이 있고 자립이 가능한 나사를 적용하면 장시간 작동력 유지는 쉽게 구현할 수 있지만 구동력 제어장치가 복잡하다. 또한, 유압구동기는 시스템 구조가 복잡하고, 구속력의 장시간 유지가 어렵다. 이는 유압장치의 특징인 내부 누유와 내외부 온도변화에 의한 작동유의 체적변화에 기인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발사체를 발사대에 구속시키는 경우에는, 유압구동기를 사용하되 장시간의 구동력 유지를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추가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발사체의 고정신뢰도가 보다 향상된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용이 보다 용이한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발사체의 고정장치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발사체 및 발사대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클램프의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운동변환조립체와, 상기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동기를 오프시키도록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동기와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전동기가 오프되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회전력제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력제한장치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제1 하우징의 회전축에 경사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끼워지는 볼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력제한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제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을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볼디텐드볼트와, 상기 볼디텐드볼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너트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는 수용실, 및 상기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상기 너트 및 상기 수용실의 바닥을 각각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서로 마주보며 상기 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용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발사체의 고정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력전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가압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눌러주도록 형성되는 작동바, 및 상기 작동바가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운동변환조립체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나사와, 상기 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나사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는 요크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와 상기 회전력제한장치는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와 상기 회전력제한장치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력제한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나사에 전달하도록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나사와 상기 실린더는 자립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사체 및 발사대를 함께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온오프 제어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클램프의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하는 운동변환조립체와, 상기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동기를 오프시키도록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동기와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력제한장치를 포함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진가스에 의하여 발사되는 발사체와, 상기 발사체의 발사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발사대, 및 상기 발사체를 상기 발사대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상기 발사체의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발사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에 의하면,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나사클램프의 슬라이딩으로 변환하고, 회전운동이 기설정된 크기를 넘으면 전동기를 오프시킴에 따라, 발사체에 대한 구속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하여 구동 및 구동력의 유지가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변환조립체가 나사의 자립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됨에 따라, 발사체에 대한 장시간의 구속력을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발사시스템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라인 Π-Π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고정장치가 해제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라인 Ⅳ- 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구동장치에 대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6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발사시스템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 Π-Π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고정장치가 해제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라인 Ⅳ- 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발사시스템(100)은 발사체(110), 발사대(120) 및 고정장치(130)를 포함한다.
발사체(110)는 추진가스에 의하여 발사되도록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로켓, 미사일 등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발사체(110)의 연소실에서 추진제가 연소하고, 이를 통하여 발사체(110)를 추진시키는 추진가스가 생성되며, 상기 추진가스가 발사체(110)의 후단에 장착되는 노즐장치를 거쳐서 외부로 분출된다.
발사대(120)는 발사체(110)의 발사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발사대(120)는 지면과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발사체(110)가 상기 발사대(12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발사체(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발사대(120)에는 발사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장치(130)는 발사체(110)를 발사대(120)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장치(130)는 클램프(131) 및 구동장치(200)를 구비한다.
클램프(131)는 발사체(110) 및 발사대(120)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며, 구동장치(200)는 상기 클램프(131)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발사체(110) 및 발사대(120)에는 클램프(131)와 대응되는 형상의 플랜지들(111, 121)이 각각 돌출되고, 클램프(131)는 상기 플랜지들(111, 121)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구동장치(200)는 클램프(131)를 플랜지들(111, 121)를 향하여 슬라이딩시켜 클램프(131)가 플랜지들(111, 121)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발사체(110)는 발사대(120)에 구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131)에 플랜지들(111, 121)이 수용된 상태는 고정상태로 정의되며, 도 3 및 도 4의 상태는 해제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동장치(200)는 클램프(131)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클램프(131)가 플랜지들(111, 1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사체(11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이하, 상기 구동장치(20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구동장치(200)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구동장치(200)는 회전력제한장치(210) 및 운동변환조립체(220)를 포함한다.
회전력제한장치(210)는 전동기(201)의 회전운동을 운동변환조립체(220)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동기(201)와 상기 운동변환조립체(2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운동변환조립체(220)는 상기 전동기(201)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클램프(131, 도 1 참조)의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환한다. 전동기(201)는, 예를 들어 회전축(201a)을 구비하는 전기모터가 될 수 있다.
동력전달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동기(201)에서 발생된 동력은 전동기(201)의 회전축(201a)과 결합된 기어조립체(202)를 통하여 회전력제한장치(210)에 전달된다. 그리고 회전력제한장치(210)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203)를 통하여 운동변환조립체(220)로 전달된다.
운동변환조립체(220)는 클램프(131)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상기 클램프(131)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운동변환조립체(220)는 나사(221), 실린더(222) 및 요크(223)를 포함한다.
나사(221)는 전동기(201)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도록 형성된다. 즉, 나사(221)는 기어(203)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실린더(222)는 나사(221)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나사(221)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221)와 나사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실린더(222)의 내주와 나사(221)의 외주는 서로 나사결합되며, 이를 통하여 나사(221)의 회전이 실린더(222)의 슬라이딩으로 변환될 수 있다.
요크(223)는 실린더(222)의 단부에 장착되며, 클램프(131)와 연결된다. 즉, 요크(223)의 일단은 운동변환조립체(220)의 끝단에 조립되고, 타단은 클램프(131)와 핀(132, 도 1 참조)으로 조립되며, 이를 통하여 운동변환조립체(220)가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발사체(110)와 발사대(120, 이상 도 1 참조)의 고정상태 및 해제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나사(221)의 회전축과 회전력제한장치(210)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이격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동변환조립체(220)와 회전력제한장치(210)는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기어(203)는 상기 운동변환조립체(220)와 상기 회전력제한장치(210)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구동장치(200)는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동기(201)는 온오프 제어되도록 이루어지며, 따라서 고정상태에서 전동기(201)의 전원이 오프(OFF)되지 않으면 운동변환조립체(220)는 운동을 멈추나 전동기(201)는 계속 작동하여 전동기(201)의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구동장치(200)는 회전력제한장치(210)와 리미트 스위치(204)의 연동을 통하여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리미트 스위치(204)는 전동기(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동기(201)를 오프시키도록 스위칭된다. 회전력제한장치(210)는 전동기(201)의 회전력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전동기(201)가 오프되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204)를 스위칭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초과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력제한장치(210)의 일 구성요소가 이동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 회전력제한장치(2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력제한장치(210)는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볼(213)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211)은 전동기(201)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11)은 전동기(201)의 회전축(201a)과 결합된 기어(203)에 연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에 의하면, 제1 하우징(211)은 베어링(214a)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키(214b)에 의하여 기어(203)에 체결된다.
제2 하우징(212)은 제1 하우징(211)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리미트 스위치(204)를 스위칭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볼(213)은 제2 하우징(212)에 제1 하우징(211)의 회전축에 경사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의 사이에 끼워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수용홈(211a, 212a)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수용홈(211a, 212a)에 상기 볼(213)이 수용된다.
전동기(201)에서 전달된 회전력은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의 사이에서 볼(213)을 통하여 전달된다. 즉, 상기 회전력은 볼(213)에 의해 분력들로 나누어 져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에 작동하게 된다. 만약, 분력들 중에 제2 하우징(212)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제2 하우징(212)을 이동시키면, 제2 하우징(212)은 리미트 스위치(204)를 스위칭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전동기(201)가 오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력제한장치(210)는 탄성력제공부(215)을 포함하며, 탄성력제공부(215)는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에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력제공부(215)는 볼디텐드볼트(216), 수용실(217) 및 스프링(218)을 포함한다.
볼디텐드볼트(216)는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을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211)에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볼디텐드볼트(216)의 타단에는 너트(219)가 결합되며, 수용실(217)은 상기 너트(219)가 수용되도록 제2 하우징(212)의 일면(제1 하우징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서 리세스된다.
스프링(218)은 수용실(217)에 수용되며,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너트(219) 및 수용실(217)의 바닥을 각각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218)은, 예를 들어 볼디텐드볼트(216)가 관통하는 접시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너트(219)와 스프링(218)의 사이에는 와셔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와셔와 스프링(218)의 사이에는 스프링 지지판이 끼워질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회전력제한장치(210)의 단부에는 가압력전달부(230)가 배치된다. 가압력전달부(230)는 제2 하우징(212)의 이동에 의하여 리미트 스위치(204)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압력전달부(230)는 작동바(231) 및 복원스프링(232)을 포함한다.
작동바(231)는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212)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212)의 가압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하여 리미트 스위치(204)를 눌러주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바(231)는 양단부의 사이에서 구동장치의 본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부가 제2 하우징(212)을 향하여 돌출되고, 타단부가 리미트 스위치(204)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작동바(231)의 일단부가 제2 하우징(212)에 의하여 가압되면 타단부가 리미트 스위치(204)를 스위칭시키게 된다.
복원스프링(232)는 작동바(231)가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복원스프링(232)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으로 형성되어 작동바(231)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이하, 상기 구조에 의하여 구현되는 회전력제한장치(210) 및 리미트 스위치(204)의 연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에 의하면,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은 스프링(218)에 의해 요구되는 힘으로 압축되고 있다. 스프링(218)에 의해 작동되는 힘은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의 사이에 있는 볼(213)로 전달되게 된다. 이 때, 회전력의 분력들 중 제1 하우징(211)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스프링(218)에서 누르고 있는 힘보다 크면 볼(213)은 자기위치를 벗어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하우징(211)은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없고 제2 하우징(212)만 움직이게 된다. 이 움직임은 작동바(231)를 밀게되고 작동바(231)는 결합축(231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리미트 스위치(204)의 레버(204a)를 눌러주어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리미트 스위치(204)가 작동하면 전동기(20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며, 전동기(201)의 작동이 중지된다.
전동기(201)의 작동이 중지되면, 회전력이 단속되며 복원스프링(232)에 의하여 리미트 스위치(204)의 레버(204a)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운동변환조립체(220)에서 나사(221)와 실린더(222)는 자립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서로 나사결합된다. 작동이 중지된 구동장치(200)는 운동변환조립체(220)가 자립을 유지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나사로 되어있기 때문에 구동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프링(218)의 조립상태(변위량 조정)이나 스프링(218)의 기계적 성질을 변경하면 발사체의 구속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슬라이딩에 의하여 발사체 및 발사대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클램프의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운동변환조립체;
    상기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동기를 오프시키도록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동기와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전동기가 오프되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회전력제한장치를 포함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제한장치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제1 하우징의 회전축에 경사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끼워지는 볼을 포함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제한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력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제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을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볼디텐드볼트;
    상기 볼디텐드볼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너트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는 수용실; 및
    상기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상기 너트 및 상기 수용실의 바닥을 각각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서로 마주보며 상기 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력전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가압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눌러주도록 형성되는 작동바; 및
    상기 작동바가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조립체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나사;
    상기 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나사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와 상기 회전력제한장치는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와 상기 회전력제한장치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력제한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나사에 전달하도록 기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와 상기 실린더는 자립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10. 발사체 및 발사대를 함께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온오프 제어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클램프의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하는 운동변환조립체;
    상기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동기를 오프시키도록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동기와 상기 운동변환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력제한장치를 포함하는 발사체의 고정장치.
  11. 추진가스에 의하여 발사되는 발사체;
    상기 발사체의 발사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발사대; 및
    상기 발사체를 상기 발사대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발사체의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발사시스템.
KR1020100106244A 2010-10-28 2010-10-28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 KR101160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244A KR101160078B1 (ko) 2010-10-28 2010-10-28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244A KR101160078B1 (ko) 2010-10-28 2010-10-28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767A KR20120044767A (ko) 2012-05-08
KR101160078B1 true KR101160078B1 (ko) 2012-06-26

Family

ID=4626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244A KR101160078B1 (ko) 2010-10-28 2010-10-28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3000U (ko) * 1990-09-14 1992-05-06
KR970016523A (ko) * 1995-09-29 1997-04-28 배문한 미사일 구속장치
JP2005530982A (ja) 2002-06-27 2005-10-13 パトリア・ヴァマス・オサケウフティヨ 迫撃弾を兵器の砲身内に支持する装置、及び支持体を迫撃弾に取り付ける方法
KR100659303B1 (ko) 2006-04-05 2006-12-20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발사장치의 유도탄 고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3000U (ko) * 1990-09-14 1992-05-06
KR970016523A (ko) * 1995-09-29 1997-04-28 배문한 미사일 구속장치
JP2005530982A (ja) 2002-06-27 2005-10-13 パトリア・ヴァマス・オサケウフティヨ 迫撃弾を兵器の砲身内に支持する装置、及び支持体を迫撃弾に取り付ける方法
KR100659303B1 (ko) 2006-04-05 2006-12-20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발사장치의 유도탄 고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767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200B2 (en) Device for the hold-down and controlled release of space satellites installed on launchers and loads installed on space satellites
CN1916554B (zh) 玩具枪的反冲装置
JP5421539B2 (ja) 手持ち打込み装置
US11243056B2 (en) Very low power actuation devices
JP2019511647A (ja) 錠における電子式シリンダのための、低消費のクラッチ作動機構およびそれを作動させる方法
KR101160078B1 (ko) 발사체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시스템
RU2525583C1 (ru) Пружинная винтовка
CN102598174A (zh) 用于电力开关设备的弹簧操作的致动器
US8624172B2 (en) Shift lock assembly
CN103097852B (zh) 具有致动器的弹簧步枪
KR20010070393A (ko) 박격포 포탄용 신관 장치
US20150325386A1 (en) Control device of the spring type particularly for a high-voltage or medium-voltage circuit breaker or switch
CN110139994B (zh) 离合器驱动装置和车辆
RU2310149C2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вода рукоятки привода управления запуском ракеты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230174152A (ko) 주차 액츄에이터 및 주차 시스템
GB2477840A (en) Controllable electromechanical clutch (variants)
US12000665B2 (en) Device for driving mechanical safety systems
RU2558162C2 (ru) Многоствольный стрельбовой модуль
RU2191339C2 (ru) 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9755052B (zh) 接地开关装置
CN215505486U (zh) 电动发射玩具
KR101174862B1 (ko) 리미트 스위치 구동 캠
RU2288440C1 (ru) Блок рулевого привода управляемого снаряда
KR0132128Y1 (ko) 대포격발장치
RU21919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спуска оруж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