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938B1 -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938B1
KR101159938B1 KR20100007795A KR20100007795A KR101159938B1 KR 101159938 B1 KR101159938 B1 KR 101159938B1 KR 20100007795 A KR20100007795 A KR 20100007795A KR 20100007795 A KR20100007795 A KR 20100007795A KR 101159938 B1 KR101159938 B1 KR 10115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producing
aggregate
cooling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065A (ko
Inventor
기준성
황진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0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938B1/ko
Priority to EP10841100.0A priority patent/EP2471963A4/en
Priority to CN201080024753.6A priority patent/CN102471827B/zh
Priority to PCT/KR2010/004150 priority patent/WO2011081267A1/ko
Priority to JP2012513889A priority patent/JP5370707B2/ja
Publication of KR2011008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065A/ko
Priority to US13/310,562 priority patent/US85345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04B18/027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5/00Treatment of  metallurgical  slag ; Artificial stone from molten  metallurgical  slag 
    • C04B5/06Ingredients, other than water, added to the molten slag or to the granulating medium or before remelting; Treatment with gases or gas generating compounds, e.g. to obtain porous slag
    • C04B5/065Porous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원기 조업전 전로 또는 전기로의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 내로 배출하고 환원제를 투입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에 포함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 유가금속이 회수된 용융 슬래그를 냉각하여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를 분쇄 및 파쇄한 후 골재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 외로 배출된 슬래그의 포밍과 제어냉각을 통해 다기능 골재를 제조함으로써 고품질 시멘트, 경량 골재, 혼화재료로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건설 자재의 수급 불안정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of multi-functional aggregate using slag}
본 발명은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로, 전기로 등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래그는 철강제련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생성물이다. 슬래그는 제선과정에서 철광석이나 코크스의 맥석 성분에서, 제강과정에서는 용선 또는 용강의 산화와 탈산시 생성되는 산화물 또는 정련을 목적으로 첨가되는 부원료 등에 의해 필연적으로 생성된다.
슬래그는 SiO2와 CaO를 기본계로 하여 정련반응의 종류에 따라 Al2O3, FeO, MgO, P2O5 및 CaS 등을 포함한다.
제선 슬래그는 CaO-SiO2-Al2O3를 기본계로 하고 있고, 용선 또는 용강의 산화반응에 기초하는 제강슬래그는 CaO-SiO2-FeO를 기본계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강 용융 슬래그의 개질을 통해 시멘트 및 혼화재료 및 특수용도 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원기 조업전 전로 또는 전기로의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 내로 배출하고 환원제를 투입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에 포함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 유가금속이 회수된 용융 슬래그를 냉각하여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를 분쇄 및 파쇄한 후 골재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환원제는 탄소, 알루미늄, 실리콘,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CO가스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환원제는 상기 용융 슬래그의 온도가 1300~1600℃ 범위로 유지되도록 투입한다.
상기 냉각은 상기 용융 슬래그 내로 스팀과 가스를 주입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는 공기(air),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스팀과 가스는 상기 용융 슬래그의 냉각속도가 5~50℃/sec가 되도록 주입한다.
상기 스팀과 가스는 상기 용융 슬래그의 중량과 온도에 따라 주입량과 압력이 조절되어 공급된다.
상기 스팀과 가스에 의해 냉각된 슬래그 입도가 50mm 이하로 형성된다.
상기 용융 슬래그의 냉각 전에 융점과 비중을 낮추고 슬래그의 성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접종제를 투입한다.
상기 접종제는 알루미늄, 실리콘, 생석회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용융 슬래그의 유가 금속 환원 후 포밍과 제어 냉각에 의해 생성된 냉각슬래그가 0.6~3.0 g/cm3의 용적밀도(Bulk Density)를 갖는다.
상기 용융 슬래그의 냉각 전 시멘트 성분 제조를 위한 첨가제를 투입한다.
상기 냉각 슬래그는 부유비중선별법을 통해 고비중 슬래그와 저비중 슬래그로 선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원 후 포밍과 제어냉각을 통해 저 비중의 슬래그를 확보한 후 다기능 골재로 제조한다. 이 다기능 골재는 성분 자체가 천연골재, 시멘트 등과 성분이 유사하고 팽창성이 낮아 건물 층간 소음 방지재 등의 특수 용도로 제조되는 다기능성 경량골재를 대체하기에 적합하고 조성을 시멘트(Cement) 조성으로 변경하여 시멘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이 다기능 골재는 별도의 소성과정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시멘트 제조시 사용되는 연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전력 소비량도 감소시킨다.
또한, 이 다기능 골재를 사용한 시멘트는 기존 시멘트를 생산 할 시와 비교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40%정도 낮춘다.
또한, 이 다기능 골재는 화학저항성이 우수하고 염화물 이온에 대한 침투저항성이 우수하다. 또한, 내알칼리-실리카 반응(ASR, Alkali Silica Reaction)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어 내구성이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멘트 원료로 활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품질 시멘트, 경량 골재, 혼화재료로의 활용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이므로 건설 자재의 수급 불안정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래그에 포함된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을 보인 작업 과정도.
도 2는 다기능성 골재의 활용예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은, 환원기 조업전 전로, 전기로의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 내로 배출하고 환원제를 투입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에 포함된 유가금속을 회수한 후, 유가금속이 회수된 용융 슬래그를 냉각하여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로 형성하고,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를 분쇄 및 파쇄한 후 골재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러한 다기능성 골재는 성분 자체가 천연골재, 시멘트와 유사하여 고품질 시멘트, 경량골재, 혼화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비중이 낮고 흡습성이 적어 다양한 용도의 특수 골재로 활용가능하다.
전기로 제강공정 중 분석한 제강 슬래그의 화학조성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단위: wt%)
구분 SiO2 AL2O3 T.Fe CaO MgO MnO P2O5 T/S CaO/SiO2
전기로
용락
18.30 11.11 22.36 20.12 8.41 5.81 0.241 0.123 1.11
전기로
산화정련 말기
19.29 11.39 19.02 22.12 8.61 6.28 0.213 0.100 1.14
LF도착 26.59 8.03 1.88 37.95 16.18 4.64 0.033 0.332 1.44
LF출강 26.44 6.92 0.58 48.05 13.18 0.84 0.024 0.785 1.83
전로, 전기로에서 발생되는 제강 슬래그에는 20% 이상의 유가금속 산화물이 함유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전기로의 초기 슬래그에는 30% 이상의 유가금속 산화물이 함유되어 있다.
제강 슬래그에 함유된 유가금속 산화물은 FeO가 대표적이며, FeO의 함량이 높으면 슬래그를 골재로 제조시 파쇄가 어렵고 시멘트 원료로 활용시 제약이 크다. 따라서, 슬래그에 포함된 유가금속을 회수한 후 제어 냉각을 통해 슬래그를 다공성 구조의 경량물로 형상을 변경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기로에서 생성되는 슬래그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로 슬래그의 배출은 산화정련이 완료되고 환원정련이 진행되기 전 즉, 산화정련 중반 이후부터 시행한다. 슬래그는 전기로를 기울이거나, 도어(Door)가 있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여 슬래그 포트 내로 배출한다.
산화 정련 말기로 진행되면 슬래그 중 금속 산화물이 감소되면서 슬래그의 유동성이 악화되므로 슬래그 배출이 곤란하다. 따라서 슬래그 배출시기의 선택이 중요하다.
슬래그 포트 내로 배출된 용융 슬래그에 환원제를 투입한다. 환원제는 용융 슬래그의 유가금속 산화물 중 특히 FeO를 Fe로 환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환원제로는 산소와의 친화력이 큰 C와 Al 등의 산소 친화력이 큰 물질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환원제는 탄소, 알루미늄, 실리콘,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CO가스 중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환원제로 C와 Al을 투입하는 경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Al 등의 환원제는 슬래그 포트로 공급된다. 이때, 교반력을 높여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스와 함께 투입될 수도 있다.
가스는 공기(air),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일 수 있다. 그리고 슬래그 포트의 내피는 열전도율이 높은 동판이나 철판으로 구성한다.
Al은 Fe의 강력한 환원을 위해 투입된다.
용융 슬래그에 함유된 Fe의 환원은 용융 슬래그의 온도가 높고 반응속도가 높을수록 유리하다. 그런데, C에 의한 Fe의 환원반응은 흡열반응이므로 용융 슬래그의 온도를 낮춘다.
용융 슬래그는 배출시 온도가 1600℃ 정도이나 C에 의한 Fe의 환원반응과 외적인 요인 등에 의해 배출된 후에는 용융 슬래그의 온도가 1시간당 200~300℃정도 떨어진다.
용융 슬래그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열원이 필요하나 환원제로 Al을 사용하면 Al 산화에너지가 발생한다. Al에 의한 Fe의 환원반응식은 3FeO + 2Al → 3Fe + Al2O3---187.1kcal로 발열반응이다. 이 반응은 환원되면서 열을 발생하므로 테르밋 반응(Thermit reaction)이라고 한다.
Al의 투입량은 용융 슬래그의 온도를 1300~1600℃로 유지하는 범위로 제어한다. 용융 슬래그의 온도는 고온일수록 Fe의 환원에 유리하나 1600℃를 초과하면 슬래그 포트의 과도한 침식이 발생할 수 있고, 1300℃ 미만이면 환원반응이 급격히 저하된다.
구체적으로 그 과정을 살펴보면, 전기로의 용융 슬래그가 슬래그 포트 내로 배출되면 투입된 C가 환원제 역할을 하여 FeO + C → Fe + CO의 환원반응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용융 슬래그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나 이후, Al을 투입하면 3FeO + 2Al → 3Fe + Al2O3---187.1kcal의 발열반응에 의해 용융 슬래그의 온도가 고온으로 유지되어 환원반응이 촉진된다. 여기서, 환원반응에 의해 생성된 Al2O3는 슬래그의 조성 변화를 일으키고, 융점을 낮춘다.
용융 슬래그의 온도를 1300~1600℃로 유지하기 위한 Al의 투입량은 슬래그 1ton당 10~50kg이다.
Al의 투입량은 조업 조건에 따라 Al 실수율을 50~100%로 설정한 값이다.
Al의 투입량은 아래의 반응식 및 발열량 공식에 의해 산출한다.
<반응식> 3FeO + 2Al → 3Fe + Al2O3---187.1kcal
<발열량> Q=CMT
여기서, Q:발열량, C:슬래그 열용량, M:슬래그 중량, T:승온온도이다.
예를 들어, 슬래그 중량이 10ton, 슬래그 중 FeO함량이 1ton이라 가정하면 Al의 투입량은 251kg이 된다.
계산과정은 아래와 같다.
FeO 1mole과 반응하는 Al은 2/3mole
FeO 1mole=71.8g
FeO 1ton=1000000/71.8=13928mole
FeO 13928mole과 반응하는 Al은 9285mole
Al 9285mole → 9285mole×27g/mole=251kg
용융 슬래그 중 FeO의 함량 측정은 분광계(spectro meter)를 이용하거나 습식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환원은 Al 투입후 1~2시간 후면 완료된다.
환원이 완료되면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중이 높은 Fe이 슬래그 포트(11) 하부로 분리되고 그 상부에 용융 슬래그가 위치된다. 그러면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13)로 배출하고 슬래그 포트(11)에 남은 Fe은 회수한다.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13)는 유가금속이 회수된 용융 슬래그의 제어 냉각을 위한 장치이다.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13)는 유가금속이 회수된 용융 슬래그를 다공성 구조의 경량물로 형성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구비한다.
냉각수단은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13)의 내벽과 바닥에 내부로 기체와 스팀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구(15)와 이 분사구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가스와 스팀이 주입된 후 혼합되도록 된 기체 및 스팀 유입관(17)을 포함한다.
기체 및 스팀 유입관(17)은 가스와 스팀이 주입된 후 혼합되어 분사구(15)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체 및 스팀 유입관(17)에는 스팀의 열 손실로 인해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및 가스 및 스팀의 주입량과 주입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기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냉각은 용융 슬래그를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로 만들어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쉽게 파쇄될 수 있도록 한다.
용융 슬래그를 일반적인 수냉 또는 공냉 처리하면 Fe함량이 높아 파쇄가 어렵고, 3.5 g/cm3 이상의 높은 비중과 f-CaO와 f-MgO에 의한 팽창성으로 인해 시멘트 원료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제어 냉각 전 용융 슬래그의 융점과 비중을 낮추기 위한 접종제를 투입할 수 있다. 접종제는 1300℃이상인 용융 슬래그의 포밍을 유도하여 융점과 비중을 낮추는 방향으로 용융 슬래그의 물리?화학적 조성을 변화시킨다.
용융 슬래그의 비중은 3.0 g/cm3 이하를 만족한다. 이때, 용융 슬래그의 비중은 접종제의 투입과 FeO가 Fe로 회수되는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낮아진다.
원리는, 접종제를 투입하면 산화반응에 의해 저융점 산화물이 형성되며 또한 스팀과 가스에 의해 냉각되면서 용융 슬래그의 부피가 팽창되어 슬래그의 비중이 낮아진다. 그리고 저융점 산화물에 의해 용융 슬래그의 융점도 낮아진다.
접종제는 알루미늄, 실리콘, 생석회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알루미늄, 실리콘, 생석회 등은 슬래그 1ton당 400kg 이하로 투입된다. 알루미늄과 실리콘은 첨가량이 증가하면 용융 슬래그의 비중과 융점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과도하게 첨가되면 반응전 용융 슬래그의 열을 빼앗아 슬래그를 응고시키므로 슬래그 1ton당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융점과 비중을 낮추기 위한 반응은 용융 슬래그 상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용융 슬래그의 냉각 전 첨가제가 더 투입될 수 있다. 첨가제는 용융 슬래그를 시멘트 성분으로 제조하기 위한 첨가제일 수 있다.
제어 냉각은 용융 슬래그 내로 스팀과 가스의 혼합기체를 분사하여 이루어진다. 가스는 공기(Air),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비중과 융점이 낮아진 슬래그 내로 스팀과 가스의 혼합기체를 분사하면 용융 슬래그는 내부에 기포가 생성된 상태에서 냉각되어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로 된다. 스팀과 가스는 상기 용융 슬래그의 중량과 온도에 따라 주입량과 압력이 조절되어 공급된다.
환원 후 포밍과 제어 냉각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는 0.6~3.0 g/cm3의 용적밀도(Bulk Density)를 갖는다. 용적밀도는 물질과 물질 사이의 부피(빈공간)를 의미한다.
용적밀도는 0.6 g/cm3 미만이면 건축물의 경량골재로 적용시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비하고, 3.0 g/cm3을 초과하면 시멘트 원료로 사용이 어렵다.
스팀은 슬래그의 냉각을 위해 주입되고 가스는 스팀의 슬래그 내에 분사를 위해 주입된다. 스팀은 슬래그의 온도를 낮추면서 팽창력이 적어 냉각효율이 우수하다. 참고로 물은 팽창력이 커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고온의 용융 슬래그 냉각에 적용하지 않도록 한다.
냉각은 상온까지 1~50℃/sec의 냉각속도로 냉각할 수 있다. 냉각속도는 상온의 가스 및 스팀의 주입양과 압력조절에 따라 최대 최소값을 가지게 되며, 이 냉각속도에 따라 고상 슬래그의 형상, 강도, 조직 치밀도에 차이가 난다.
따라서, 냉각속도가 5~50℃/sec로 유지되게 상온의 가스 및 스팀의 주입양과 압력조절을 조절한다. 이는 고상 슬래그의 파쇄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냉각속도가 5℃/sec 이상일 경우 슬래그 입도가 50mm 이하로 파쇄효율이 높다. 그리고, 냉각속도의 상한값은 상온의 가스 및 스팀의 주입량과 압력조절에 따른 최대값을 적용하기로 한다.
제어 냉각에 의해 용융 슬래그가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로 되면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 분쇄한다.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는 유가금속인 Fe의 함량이 낮고 다공성 구조로 인해 파쇄 및 분쇄가 용이하다.
파쇄 및 분쇄된 고상 슬래그의 입도는 50mm 이하로 균일하다.
파쇄 및 분쇄한 슬래그는 부유비중선별기(19)를 통해 고비중 슬래그와 저비중 슬래그로 선별할 수 있다. 고비중 슬래그는 FeO, MnO가 많은 슬래그이며 자력 반발력, 자력 선별법 또는 부유선별법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다. .
여기서, 파쇄 및 분쇄한 슬래그를 고비중 슬래그와 저비중 슬래그로 선별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은 유가금속의 회수율을 높이면서도 비중을 낮춰 경량 골재로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부유비중선별기는 도 1의 (e)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부유비중선별기는 파쇄 및 분쇄한 슬래그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면 입도가 50mm 이하인 슬래그가 메시망을 통과하면서 입도가 50mm를 초과하는 슬래그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메시망을 통과한 슬래그는 부유비중선별기의 하부로 낙하하고 낙하한 슬래그는 공급되는 물의 파동에 의해 FeO, MnO가 적게 포함된 저비중 슬래그는 물 위에 뜨고 FeO, MnO가 많이 포함된 고비중 슬래그는 물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물 위에 뜬 저비중 슬래그는 수평으로 형성된 물넘이턱을 넘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저비중 슬래그는 건조 처리 후 다기능 골재로 성형한다. 그리고 고비중 슬래그와 입도가 50mm를 초과하는 슬래그는 환원제를 투입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한 후 다기능 골재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다기능 골재는 주성분은 CaO, Al2O3, SiO2로, 시멘트 원료로 활용시 별도의 소성과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멘트 제조시 사용되는 연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뿐아니라 전력 소비량도 감소시킨다.
또한, 다기능 골재는 시멘트를 생산할 시와 비교하면 소성과정이 요구되지 않음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40%정도 낮춘다.
또한, 다기능 골재는 화학저항성이 우수하고 염화물 이온에 대한 침투저항성이 우수하다. 또한, 내알칼리-실리카 반응(ASR, Alkali Silica Reaction)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어 내구성이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활용가능하다.
상술한 방법은 전로에서 배출된 슬래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Al투입량에 대한 슬래그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슬래그
함량
슬래그 중
FeO함량
환원제 슬래그 온도
(1시간 후)
Fe 회수율
비고
C Al
1 1ton 100kg 외부로
부터 공급
6kg 1250~1350℃ 1~3% 비교예
2 1ton 100kg 9kg 1270~1370℃ 3~5% 비교예
3 1ton 100kg 25kg 1300~1400℃ 18~21% 발명예
4 1ton 100kg 45kg 1400~1500℃ 19~22% 발명예
표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유가금속인 Fe의 회수율이 20% 수준으로 높다.
표 3은 가스 및 스팀의 주입량과 압력조절에 따른 냉각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용융 슬래그 온도
(℃)
냉각된 슬래그 온도
(℃)
냉각소요 시간
(s)
냉각속도
(℃/sec)
1 1400 100 26 50(최대값)
2 1400 100 1800 1(최소값)
표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냉각속도는 상온의 가스 및 스팀의 주입양과 압력조절에 따라 최대 최소값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표 4는 냉각속도에 따른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를 파쇄한 후 입도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냉각속도
(℃/sec)
냉각된 고상 슬래그 입도
(mm)
1 1~5 40~70
2 5~20 15~50
3 20~35 5~20
4 15~50 1~10
표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냉각속도가 5~50℃/sec로 유지된 경우 고상 슬래그의 입도는 50mm 이하로 형성된다. 여기서, 입도는 파쇄 후 초기 입자사이즈를 의미한다.
표 2 내지 표 4를 통해, 환원후 포밍과 제어냉각에 파쇄 후 입도가 50mm이고 비중이 낮은 슬래그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5는 슬래그를 활용한 이산화탄소(CO2)절감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보통 시멘트
다기능 골재(슬래그)
30%이상 함유 시멘트
절감량 절감율(%)
CO2배출량(kg/ton) 472.5 272.1 200.4 42
전력?에너지(원/ton) 311.1 190.4 120.7 39
표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 골재는 시멘트를 생산할시와 비교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40%정도 저감한다.
이는 기후변화협의 발족과 더불어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발효됨에 따라, 시멘트 산업계가 당면하고 있는 CO2 배출량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로 또는 전기로의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11) 내로 배출하고 비중이 높은 유가금속을 슬래그 포트(11)의 하부로 분리한 후, 상부의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13)로 배출하여 제어냉각을 실시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로 또는 전기로의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11)가 아닌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13)로 직접 배출하고 환원제를 투입하여 비중이 높은 유가금속을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13)의 하부로 분리한 후 유가금속을 배출하고 제어냉각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가금속은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13) 하부에 형성한 출강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하나의 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에서 유가금속 회수와 제어냉각이 가능하므로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슬래그 포트 13:슬래그 개질 처리 포트
15:분사구 17:기체 및 스팀 유입관
19:부유비중선별기

Claims (13)

  1. 환원기 조업전 전로 또는 전기로의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 내로 배출하고 환원제를 투입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에 포함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 유가금속이 회수된 용융 슬래그를 냉각하여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구조의 고상 슬래그를 분쇄 및 파쇄한 후 골재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환원제는 상기 용융 슬래그의 온도가 1300~1600℃ 범위로 유지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탄소, 알루미늄, 실리콘,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CO가스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은 상기 용융 슬래그 내로 스팀과 가스를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공기(air),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팀과 가스는 상기 용융 슬래그의 냉각속도가 5~50℃/sec가 되도록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7. 삭제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팀과 가스에 의해 냉각된 슬래그 입도가 5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융 슬래그의 냉각 전에 융점과 비중을 낮추고 슬래그의 성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접종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종제는 알루미늄, 실리콘, 생석회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융 슬래그의 유가 금속 환원 후 포밍과 제어 냉각에 의해 생성된 냉각슬래그가 0.6~3.0 g/cm3의 용적밀도(Bulk Density)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융 슬래그의 냉각 전 시멘트 성분 제조를 위한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냉각 슬래그는 부유비중선별법을 통해 고비중 슬래그와 저비중 슬래그로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KR20100007795A 2009-12-30 2010-01-28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KR10115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7795A KR101159938B1 (ko) 2010-01-28 2010-01-28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EP10841100.0A EP2471963A4 (en) 2009-12-30 2010-06-25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slag and for producing multifunctional aggregates
CN201080024753.6A CN102471827B (zh) 2009-12-30 2010-06-25 用于从炉渣中回收有价金属和制造多功能团聚物的方法和装置
PCT/KR2010/004150 WO2011081267A1 (ko) 2009-12-30 2010-06-25 슬래그의 유가금속 회수 및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JP2012513889A JP5370707B2 (ja) 2009-12-30 2010-06-25 スラグの有価金属回収及び多機能性骨材の製造方法
US13/310,562 US8534578B2 (en) 2009-12-30 2011-12-02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slag and manufacturing multifunctional aggreg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7795A KR101159938B1 (ko) 2010-01-28 2010-01-28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65A KR20110088065A (ko) 2011-08-03
KR101159938B1 true KR101159938B1 (ko) 2012-06-25

Family

ID=4492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7795A KR101159938B1 (ko) 2009-12-30 2010-01-28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970B1 (ko) 2011-11-29 2013-11-18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래그를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 및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 장치
KR101477145B1 (ko) * 2012-04-03 2014-12-29 이엑스티 주식회사 Phc 파일용 골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phc 파일 제조용 콘크리트 조성물
CN111088429A (zh) * 2019-12-24 2020-05-01 宁夏吉元冶金集团有限公司 高温还原法调质硅锰渣提锰并制备高酸度系数渣液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0044A (ja) * 1986-12-02 1988-06-11 Nisshin Steel Co Ltd ステンレス鋼精錬時に発生するスラグの処理法
KR20050032419A (ko) * 2003-10-01 2005-04-07 장미희 폐주물사와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레미콘 골재의 제조방법및 레미콘 골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0044A (ja) * 1986-12-02 1988-06-11 Nisshin Steel Co Ltd ステンレス鋼精錬時に発生するスラグの処理法
KR20050032419A (ko) * 2003-10-01 2005-04-07 장미희 폐주물사와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레미콘 골재의 제조방법및 레미콘 골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65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5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slag and manufacturing multifunctional aggregate
KR100694012B1 (ko) 슬래그 컨디셔너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철강 생산시 이용 방법
KR101175422B1 (ko) 슬래그의 유가금속 회수방법
CN102559960A (zh) 一种钢渣处理方法
CN103131816B (zh) 双基还原生产海绵铁的方法及其专用室式冶炼竖炉
CN106544464A (zh) 环保型转炉溅渣护炉料及其制备方法
CN107285778B (zh) 一种耐高温镁橄榄石型耐火材料的制备方法
CN102251073B (zh) 半钢用脱氧增碳剂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103011847A (zh) 一种喷补炉耐火材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8640662B (zh) 环保型无水炮泥
KR101159938B1 (ko) 슬래그를 이용한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방법
CN107879733A (zh) 一种高炉出铁沟用快干自流浇注料
CN104531938B (zh) 一种高炉炮泥生产压渣剂用于转炉炼钢的方法
KR101076157B1 (ko) 슬래그를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 및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 장치
CN106810281B (zh) 一种利用镍铁渣制备得到的镁橄榄石耐火砖的方法
KR101330970B1 (ko) 슬래그를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 및 다기능성 골재의 제조 장치
KR20160051680A (ko) 스틸 슬래그 및 유압식 광물 바인더 처리 방법
CN101302569A (zh) 超高功率直流电弧炉脱氧护炉剂、制作方法及其应用
CN101602609B (zh) 一种制备Fe-Si3N4耐火原料的方法
CN115636607A (zh) 协同处理高铁赤泥和电解锰渣的方法及系统
KR101267642B1 (ko) 내열 시멘트의 제조방법
KR20110077257A (ko) 슬래그의 유가금속 회수방법
CN111118238B (zh) 利用高炉瓦斯灰提锌窑渣制备炼钢炉料的方法
RU2710622C1 (ru) Брикет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2864270A (zh) 一种提钒冷却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