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434B1 - 네트워크 할당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434B1
KR101159434B1 KR1020107007307A KR20107007307A KR101159434B1 KR 101159434 B1 KR101159434 B1 KR 101159434B1 KR 1020107007307 A KR1020107007307 A KR 1020107007307A KR 20107007307 A KR20107007307 A KR 20107007307A KR 101159434 B1 KR101159434 B1 KR 10115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clear signal
transmission
signal
transmission cl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939A (ko
Inventor
마아튼 멘조 웬틴크
Original Assignee
코넥스안트 시스템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넥스안트 시스템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넥스안트 시스템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네트워크 할당을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되는 이전의 송신 요청 신호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할당{NETWORK ALLO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네트워크 할당을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이 증가됨에 따라, IEEE 802.11 프로토콜의 활용도 증가되고 있다. IEEE 802.11 통신에서는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NAV)가 간섭확률(probability of interference)을 줄이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IEEE 802.11 프로토콜에 따르면, 네트워크 할당 벡터는 송신 요청 신호 메시지(request to send(RTS) 메시지)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으로, 유효한 물리 계층 헤더(valid physical layer (PHY) header)가 일정한 타임아웃 내에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수신자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게 리셋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할당을 위한 네트워크 할당 방법,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매체, 네트워크 할당 시스템, 네트워크 할당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네트워크 할당을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송신되는 이전의 송신 요청 신호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매체는 송신되는 이전의 송신 요청 신호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로직-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냄-과,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제1 송신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할당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할당 시스템은 송신되는 이전의 송신 요청 신호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냄-과,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 및/또는 이점은 첨부되는 도면 또는 세부적인 설명의 검토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지식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모든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장점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될 수 있고, 현재의 정보 공개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이전에 송신되는 송신 요청 신호없이도 네트워크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많은 관점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효과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면 내 구성요소는 중요성 대신 본 명세서의 원리를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배치됨에 따라 일정 비율을 가질 필요는 없다. 게다가, 도면에서는 참조 번호가 몇가지 의도에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킬 것이다. 몇 가지 실시 예는 이들의 도면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여기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발명이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상기 의도는 모든 변형, 변경 및 대응물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형태의 예시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102)와 유사한 통신 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예를 들면 도 1의 네트워크 형태에서, 두 개의 통신 장치간의 데이터 교환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송신 요청 신호에 의해 바로 따르는 송신 클리어 신호의 통신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도 3b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통신 장치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송신 클리어 신호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3d는 도 3c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수신된 송신 클리어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복수의 송신 클리어 신호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b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송신 요청 신호에 의해 바로 따르는 송신 클리어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c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통신 장치에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송신 클리어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d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수신된 송신 클리어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송신 클리어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2007년 9월 4일 출원된 U.S. 가출원 번호 60/969,847에 기초하여 작성되었다.
본 발명은 수신대상(recipient)으로 어드레스된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구현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된 프레임은 동일한 수신대상으로 어드레스된 송신 요청 신호 메시지에 의해 뒤따르는 프레임이다. 그리고, 송신 요청 신호의 지속기간 필드의 종료지점(endpoint)은 송신 클리어 신호의 것을 초과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어떤 실시 예는 수신 대상의 송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이 아닌 송신 클리어 신호를 그 수신 대상으로 어드레스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대상은 제1 송신 클리어 신호의 송신자에게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는 노드로 어드레스된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전송하고 동일한 수신 대상(주소가 엑세스포인트(access point)인 경우 송신클리어신호-투-에이피(CTS-to-AP)로 나타냄)으로 다음의 송신 요청 신호(following RTS)를 전송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AP로의-송신클리어신호 구성은 어드레스된 노드(예를 들면, 엑세스 포인트)가 아닌 다른 장치에서 넌-리셋팅 네트워크 할당 벡터(non-resetting NAV)를 설정(set)하여, 상기 어드레스된 장치가 다음의 송신 요청 신호에 응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속기간 필드의 종료지점이 이전의 송신 클리어 신호의 것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어드레스된 수신대상 외에 스테이션(station)에서 상기 네트워크 할당 벡터를 업데이트하지는 않는다. 이는 만약, 주변의 장치가 상기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 일정 시간 내 유효한 물리 계층 헤더(valid physical layer (PHY) header)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주변의 장치가 그들의 네트워크 할당 벡터를 재설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송신클리어신호-투-에이피/송신요청신호/송신클리어신호(CTS-to-AP/RTS/CTS)의 교환 이후, 예를 들어, 듀얼 송신 클리어 신호가 사용되는 경우(802.11 n 드레프트2.0 섹션9.2.5.5a참조)에, 일어날 수 있는, 주변 기지국에 의해 디코드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무선 통신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형태의 예시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의 한정하지 않는 예시를 참조하면, 네트워크(100)은 엑세스 포인트(100a, 100b)에 연결될 것이다. 상기 엑세스 포인트(100a, 100b)는 무선 장치(102a, 102b, 102c 및/또는 102d)에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특정 형태에 따라서, 엑세스 포인트(100a 및/또는 100b)은 인터넷 전화 서비스(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rvice), 와이파이 서비스(WIFI(wireless fidelity) service), 위맥스 서비스(WiMAX service), 무선 세션 개시 프로토콜 서비스(wireless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service), 블루투스 서비스(bluetooth service) 및 다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네트워크(100)에 연결된 것은 서버(106)이다. 상기 서버(106)은 웹 서버, SIP 서버, 다른 종류의 서버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00)은 공중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복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ISDN), 인터넷,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 통신 장치간의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다른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한정이 없는 예시로서, 통신 장치(102a 및 102d)가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구현되더라도, 통신 장치(102c, 102d 및/또는 106)은 상기 네트워크(100)에 연결될 수 있고 VOIP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또는 다른 무선라인 및/또는 무선 통신을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통신 장치(102)와 유사한 통신 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 구조 측면에서, 통신 장치(102)는 프로세서(282), 메모리 컴포넌트(284),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94), 데이터 저장 컴포넌트(295) 및 로컬 인터페이스(292)를 통해 통신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I/O) 장치 인터페이스(2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인터페이스(292)는 예를 들지만 한정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 및/또는 다른 유선/무선 커넥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인터페이스(292)는 간단함을 위해 생략되는,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컨트롤러, 버퍼(캐쉬), 드라이버, 리피터 및 리시버 등의 추가적인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인터페이스(292)는 앞서 기술된 컴포넌트들간에 통신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주소(address), 제어 및/또는 데이터 연결(data conne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82)는 소프트웨어, 특히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82)는 맞춤형이거나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상기 통신 장치(102)와 관련된 몇 가지 프로세서간의 보조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반도체(마이크로칩 또는 칩셋 형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일반적인 다른 장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는 하나 또는 결합된 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예를 들면, 랜덤 엑세스 메모리(DRAM, SRAM, SDRAM, VRAM 등과 같은 RAM)),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예를 들어 ROM, 하드 드라이브, 테이프, CD-ROM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는 전기식, 자기식, 광학의 및/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미디어를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는 다수 컴포넌트가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외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282)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분산 구조(distributed architectur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 내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분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프로그램의 각각은 로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명령의 요청 목록을 포함한다. 도 2의 예시에서는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 내 소프트웨어는 통신 로직(logic)(288)뿐 아니라 운영 체제(28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로직(288)은 이전에 송신되는 송신 요청 신호 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로직(2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data exchange duration)을 나타낸다.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로직(293)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외 다른 컴포넌트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로컬 컴포넌트(290, 291, 및 293)는 한정하지 않는 예시에서 로직의 단편(single piece)으로 각각으로 도시되었다. 이들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분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이들 논리 컴포넌트는 원하는 기능(desired functionality)을 제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체제(286)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스케쥴링, 입력-출력 제어, 파일 및 데이터 관리, 메모리 관리, 및 통신 제어/통신관련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와 같이 구체화된 시스템 컴포넌트는 소스 프로그램,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목적코드), 스크립트, 및/또는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의 집합을 포함하는 다른 엔트리로 해석될 수 있다.
소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경우,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284)에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 있는 컴파일러, 어셈블러, 인터프리에이터 등에 의해 해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286)과 연결되어 적절하게 동작할 수 있다.
시스템 I/O 인터페이스(296)에 연결될 수 있는 상기 입력/출력 장치는 예를 들지만 한정되지는 않는, 키보드, 마우스, 스케너, 마이크로폰, 카메라, 근접 장치, 리시버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출력 장치는 예를 들지만 한정되지는 않는, 프린터, 디스플레이, 전송기 등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출력 장치는
예를 들지만 한정되지는 않는, 변조기/복조기(modulator/demodulator)(다른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모뎀), 무선 주파수(RF) 또는 다른 트랜시버, 전화 인터페이스, 브릿지, 라우터, 와이파이 통신 장치, 위맥스 통신 장치, 블루투스 통신 장치 등의 입력 및 출력을 모두 통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컬 인터페이스(292)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8)는 도 1의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통신 장치(102)를 통해 이루어지더라도, 이는 요구조건이 아닐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8)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8)는 다른 장치와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된 어떠한 컴포넌트라도 포함할 수 있다. 몇가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2)는 한정하지 않는 예시로서 무선 네트워크 카드를 수신하는 개인용 컴퓨터 메모리 카드 국제 카드 협회 카드(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PCMCIA) card)("PC card"로 축약되기도 함)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2) 내 통신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카드가 불필요하다.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 예는 유선 연결을 통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USB interface), 시리얼 포트, 다른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동작에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8)는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102), 엑세스 포인트(110) 및 와일리스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또는 다른 무선 통신망을 통한 다른 무선 장치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통신 장치(102)가 개인용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workstation) 등 중 하나인 경우,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에 있는 소프트웨어는 기본 입력 출력 시스템(basic input output system)(BIOS)(간단함을 위해 미도시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IOS는 셋업에서 하드웨어를 초기화 및 테스트하고, 운영체제(286)을 개시하고 상기 하드웨어 장치들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하는 소트프웨어 루틴의 집합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02)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BIOS가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BIOS는 ROM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02)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282)는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 내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284)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통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84) 내 소프트웨어는 전체 또는 일부에서, 상기 프로세서(282)에 의해 판독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282) 내에서 버퍼링되고 실행된다. 추가적으로, 앞서 기재된 설명이 통신 장치(102)를 가리키더라도, 다른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은 상기 통신 장치(102)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및/또는 로직을 구비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 통신 장치(102)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는 여기 설명된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형태에 따라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통신하기 위한 와일리스 인터페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는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예를 들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 동적 호스트 제어 프로토콜(dynamic host control protocol (DHCP)), 라우팅, 방화벽 중 하나 이상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네트워크 형태에서, 두 개의 통신 장치간의 데이터 교환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3A의 한정하지 않는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102c)는 엑세스 포인트(110)에 송신클리어신호-투-셀프 신호(CTS-to-Self signal)를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송신클리어신호-투-셀프 메시지(302)는,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를 송신한 통신 장치(102)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로 어드레스된 송신 클리어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302)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를 구비한 복수의 통신 장치에 브로드캐스트되고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송신클리어신호-투-셀프 신호(302)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시간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할당 벡터(304)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할당 벡터(304)는 복수의 장치를 위하여 설정될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상기 통신 장치(102c)는 송신 요청 신호(306)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IEEE 802.11 프로토콜로 인해,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는 응답하지 못할 수 있다.
앞서 리스트된 교환이 통신 장치(102c) 및 엑세스 포인트(110)간에 발생하는 반면에, 이는 한정적인 예시인 것임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기재된 상기 데이터 교환은 어떠한 통신 장치(예를 들면, 통신 장치(102), 서버(106), 엑세스 포인트(110) 중 하나 이상)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송신 요청 신호에 의해 바로 따르는 송신 클리어 신호의 통신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b에 한정하지 않는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102c)는 상기 통신 장치(102a)에 어드레스된 송신 클리어 신호(308)(또는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다른 단기 프레임(short frame))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308)를 바로 따르는,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102a)("A")로 어드레스된 송신 요청 신호(310)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308)는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넌-리셋 네트워크 할당 벡터를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02a)는 전달 채널이 송신 클리어 데이터(clear to send data)임을 나타내는, 통신 장치(102c)로 어드레스된 송신 클리어 신호(314)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장치(102c)는 데이터(316)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316)는 상기 인접 레거시 장치들이(legacy devices) 송신 클리어 신호(308) 및/또는 송신 클리어 신호(314)의 수신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리셋될 수 없는 네트워크 할당 벡터를 설정하기 때문에, 인접 레거시 장치(nearby legacy devices)와 역방향 호환(backward compatible)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물리 계층 헤더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c는 도 3b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통신 장치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송신 클리어 신호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c에 한정하지 않는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는 통신 장치(102a)로 어드레스되고, 요청되지 않은 송신 클리어 신호(318)를 송신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IEEE 802.11 프로토콜에 따르면, 요청되지 않은 송신 클리어 신호를 수신한 통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IEEE 802.11 프로토콜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및/또는 비- IEEE 802.11 환경에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102a)는 상기 장치(102a)에서 어드레스된 요청되지 않은 송신 클리어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로 어드레스된 송신 클리어 신호(233)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는 상기 통신 장치(102a)에 데이터(324)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교환 실시예에서는, 요청되지 않은(unsolicited) 송신 클리어 신호(318)가 송신 요청 신호/송신 클리어 신호의 교환에서의 송신 요청 신호를 대체하고, 네트워크 할당 벡터가 IEEE 802.11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할당 벡터 리셋 규칙에 따라서 리셋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3d는 도 3c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수신된 송신 클리어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복수의 송신 클리어 신호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3d에 한정하지 않는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102c)는 요청되지 않은 송신 클리어 신호(326)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는 두 개의 송신 클리어 신호 메시지(330, 332)를 상기 통신 장치(102c)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송신 클리어 신호 메시지(330)는 제1 변조(modulation)(예를 들어, 단거리 전송(short range transmission))에서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 메시지(332)는 제2 변조(예를 들어, 장거리 전송(longer range transmission))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02c)는 데이터(334)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1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송신 클리어 신호 응답 메시지(332)의 물리 계층 헤더는 레거시 스테이션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코드될 수 없는 물리 계층 헤더를 사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 할당 벡터가 송신 클리어 신호에 의해서 설정되었기 때문에, 상기 레거시 스테이션들은 네트워크 할당 벡터를 리셋시키지 않을 것이다.
도 4는 도 3b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송신 요청 신호에 따르는 송신 클리어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4의 한정하지 않는 예시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102a)는 통신 장치(102b)(블록 432)에 송신 클리어 신호 및 송신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장치(102b)는 통신 장치(102a)(블록 436)에 송신 클리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클리어 신호(102a)는 상기 통신 장치(102b)(block 438)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도 3c의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통신 장치에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송신 클리어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5의 한정하지 않는 예시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102a)는 통신 장치(102b)(블록 532)에 송신 클리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 장치(102b)는 통신 장치(102a)(블록 536)에 송신 클리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장치(102a)는 상기 통신 장치(102b)(block 538)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도 3d의 다이어그램과 마찬가지로, 수신된 송신 클리어 신호의 응답으로, 복수의 송신 클리어 신호의 송신을 위한 처리의 예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6의 한정하지 않는 예시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102a)는 상기 통신 장치(102b)(블록 632)에 송신 클리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02b)는 상기 통신 장치(102a)(블록 636)에 제1 송신 클리어 신호 및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장치(102a)는 상기 통신 장치(102b)(블록 638)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방화벽 또는 그에 따른 결합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적절한 명령 실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방화벽에서 수행될 것이다. 하드웨어에서 수행된 경우,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는 아래 기재되는 기술의 어떠한 결합 이용하여도 실시 될 수 있을 것이다: - 데이터 신호에 따라 로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 게이트를 구비한 개별 로직 회로(discrete logic circuit), 적정 결합 로직 게이트(appropriate combinational logic gate)를 구비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프로그램식 게이트 배열(programmable gate array)(PGA), 필드 프로그램식 게이트 배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등-.
본 명세서에 첨부된 플로우차트는 구조, 기능 및 소프트웨어의 가능한 실행의 동작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블록은 명시된 논리적인 기능의 수행을 위해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코드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어떤 대안적인 실행에서는 블록들 내 에서 언급된 기능이 명령(order) 이외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나타난 두 개의 블록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포함된 기능에 따라 상기 블록이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프로그램은 논리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명령의 요청된 리스팅(listin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기반 시스템, 프로세서-구비 시스템 또는 다른 시스템과 같은 명령 실행 시스템(instruction execution system), 단말, 장치와 결합하거나 혹은 그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단말로부터 명령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상기 명령 실행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또는 그 시스템에 의한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저장할 수 있고 통신할 수 있고,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지만 한정되지는 않는, 전기식, 자기식, 광학의, 전자기식, 적외선식, 반도체식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장치,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의 더욱 상세한 예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wire)를 구비한 전기적(전자적) 접속, 휴대용 컴퓨터 플로피 디스크(마그네틱), 랜덤 엑세스 메모리(RAM), 읽기-전용 메모리(ROM)(전자식), 소거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PROM 또는 플로피 메모리)(전자식), 광섬유(optical fiber)(광학의),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읽기-전용 메모리(portable compact disc read-only memory)(CDRO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형태의 매체에서 구현된 논리적으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an," "could," "might," or "may,"와 같은 조건적인 언어(conditional language)는 명확하게 진술되지 않는 한, 문맥 내에서 사용된 것 혹은 그 반대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가 일정한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해당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의도되었다.
그러므로, 조건 언어는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이들의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가 포함되거나 또는 다른 특정 실시 예에서 실행되기 위한 것이든 간에,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 예 또는 사용자 입력/유도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하지 않는 결정을 위한 로직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인 것을 일반적으로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실시 예는 실행의 단지 가능한 예시이고, 본 발명의 원리가 명확하게 이해되도록 단지 보여주는 것임을 강조한다. 또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목적 및 원리로부터 실질적인 벗어남 없이 어떠한 변경 및 변형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한다.

Claims (22)

  1. 이전의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신호가 송신됨이 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clear to send: CTS)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냄-;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할당 벡터가 설정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바로 따르는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바로(directly) 따르는(following)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되고,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의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페이로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에 바로 이어서 송신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1 변조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2 변조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할당 벡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에서 넌-리셋(non-resetting)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6. 이전의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신호가 송신됨이 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1 수신 로직 -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냄-;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제1 송신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바로 따르는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로직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바로(directly) 따르는(following)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되고,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의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의하여 페이로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3 수신 로직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매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제3 송신 로직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에 바로 이어서 송신되는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1 변조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2 변조에서 형성되는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매체.
  10. 제6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할당 벡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에서 넌(non)-리셋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매체.
  11. 이전의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신호가 송신됨이 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냄-;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할당 벡터가 설정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바로 따르는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바로(directly) 따르는(following)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되고,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의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할당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페이로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할당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에 바로 이어서 송신되는
    네트워크 할당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1 변조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2 변조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 할당 시스템.
  15. 이전의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신호가 송신됨이 없이,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된 제1 송신 클리어 신호(clear to send: CTS)를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송신 클리어 신호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냄-;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바로 따르는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를 바로(directly) 따르는(following)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어드레스되고, 상기 송신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클리어 신호의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데이터 교환 지속시간을 나타냄.-;
    페이로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할당 벡터가 설정되며,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에 바로 이어서 송신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1 변조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2 변조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할당 벡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에서 넌-리셋(non-resetting)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페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에 바로 이어서 송신되는
    네트워크 할당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할당 벡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에서 넌-리셋(non-resetting)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페이로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에 바로 이어서 송신되고,
    상기 제2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1 변조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3 송신 클리어 신호는 제2 변조에서 형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할당 벡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에서 넌-리셋(non-resetting)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할당 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107007307A 2007-09-04 2008-09-04 네트워크 할당 KR101159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984707P 2007-09-04 2007-09-04
US60/969,847 2007-09-04
US12/106,878 2008-04-21
US12/106,878 US8144676B2 (en) 2007-09-04 2008-04-21 Network allocation
PCT/US2008/075182 WO2009032878A1 (en) 2007-09-04 2008-09-04 Network allo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939A KR20100059939A (ko) 2010-06-04
KR101159434B1 true KR101159434B1 (ko) 2012-06-22

Family

ID=4040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307A KR101159434B1 (ko) 2007-09-04 2008-09-04 네트워크 할당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144676B2 (ko)
EP (1) EP2193688A4 (ko)
KR (1) KR101159434B1 (ko)
CN (1) CN101796878B (ko)
WO (1) WO2009032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5692B2 (en) * 2009-01-15 2013-12-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etting transmission opportunity 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LAN system using multiple channel
US8576809B2 (en) * 2010-10-07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distributed channel access for a plurality of access terminals transmit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1517321B1 (ko) * 2011-06-08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다중 물리계층을 이용한 프레임 전송방법 및 장치
CN103037531B (zh) * 2011-10-09 2018-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站点接入信道的方法及系统
US10021600B2 (en) * 2013-01-02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Backhaul traffic reliability in unlicensed bands using spectrum sensing and channel reservation
JP6690641B2 (ja) * 2015-05-08 2020-04-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ES2968739T3 (es) 2015-07-17 2024-05-13 Huawei Tech Co Ltd Método para establecer NAV e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y dispositivo relacionado
CN110266591A (zh) * 2019-06-14 2019-09-20 陕西瑞迅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边缘计算网关路由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6650B2 (en) * 2001-03-02 2006-05-16 At&Tcorp. Interference suppression methods for 802.11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944B2 (en) 2002-01-12 2005-12-20 Conexant, Inc. Transmission protection for communications networks having stations operating with different modulation formats
US7184407B1 (en) * 2002-05-10 2007-02-27 Cisco Systems Wireless Networking (Australia) Pty Limited Detecting, reporting and mitigating hidden nodes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20060209771A1 (en) * 2005-03-03 2006-09-21 Extricom Ltd. Wireless LAN with contention avoidance
US7031336B2 (en) * 2002-08-26 2006-04-18 Colubris Networks, Inc. Space-time-power scheduling for wireless networks
US20040071154A1 (en) 2002-10-08 2004-04-15 Wentink Maarten Menzo Achieving high priority and bandwidth efficiency in a shared communications medium
US20040085992A1 (en) 2002-11-05 2004-05-06 Wentink Maarten Menzo Shared-medium contention algorithm exhibiting fairness
US20040085993A1 (en) 2002-11-05 2004-05-06 Wentink Maarten Menzo Shared-medium contention algorithm exhibiting fairness
US7321762B2 (en) 2003-03-26 2008-01-22 Conexant Systems, Inc. Mechanism for reserving multiple channels of a single medium access control and physical layer
CN1567869B (zh) * 2003-06-30 2010-05-05 叶启祥 可避免干扰损坏并增加空间再用率的干扰控制方法
US8274961B2 (en) * 2003-10-24 2012-09-25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adjusting a RTS/CTS transmission protocol
JP4005974B2 (ja) * 2004-01-09 2007-11-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826472B2 (en) * 2005-02-18 2010-11-02 Avay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riority access to 802.11 endpoints using DCF protocol
KR20080016943A (ko) 2005-06-08 2008-02-22 아바야 테크놀러지 코퍼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들에서 노출된 노드 문제들 회피
US8031661B2 (en) 2005-11-08 2011-10-04 Intellectual Ventures I Llc Symmetric transmit opportunity (TXOP) truncation
EP1952595B1 (en) 2005-11-08 2015-10-14 Intellectual Ventures I LLC Collision avoidance systems and methods
CN101336526A (zh) 2005-12-13 2008-12-31 科胜讯系统公司 双cts保护系统和方法
KR100705584B1 (ko) * 2006-01-02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네트워크 및 무선 랜 네트워크의 프레임 전송 방법
US8493590B2 (en) * 2006-03-24 2013-07-23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igh throughput data between multiple devices
US8305948B2 (en) * 2006-11-15 2012-11-0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s to multiple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54773B2 (en) 2006-11-30 2014-02-18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existence of WLAN and bluetooth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6650B2 (en) * 2001-03-02 2006-05-16 At&Tcorp. Interference suppression methods for 802.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59824A1 (en) 2009-03-05
EP2193688A4 (en) 2013-01-02
CN101796878A (zh) 2010-08-04
WO2009032878A1 (en) 2009-03-12
US20120182984A1 (en) 2012-07-19
KR20100059939A (ko) 2010-06-04
CN101796878B (zh) 2013-02-13
EP2193688A1 (en) 2010-06-09
US8144676B2 (en)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434B1 (ko) 네트워크 할당
US72485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bandwidth usage of a communication channel by wireless network nodes
KR101510508B1 (ko) 단일 라디오 핸드오버를 가지는 네트워크들의 인터워킹
RU25000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построения сетей с универсальным интерфейсом услуг
US8060088B2 (en) Method, network el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optimized selection of an agent entity as well as modules of the network element
US201002903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multiple wireless networks
WO2016109921A1 (zh) 数据传输的方法、站点、接入点和接入控制器
KR20160126892A (ko) 중계 방법 및 대응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치, 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182767B1 (ko) 멀티-홉 능력들의 발견 및 링크 당 기준 라우팅
WO2022143161A1 (zh) 一种IPv6地址的配置方法及路由设备
WO2020031682A1 (ja) 通信装置
CN108886745A (zh) 一种处理服务集标识的方法、装置及终端
CN112788160B (zh) 一种地址信息的切换方法及切换装置
EP18178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ning a network link
JP2005526431A (ja) ハードウエア・ファイアウォールを利用してネットワーク・データをホストと安全に共有する経路設定装置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3542343A (zh) 用于混合网络中g3-plc自举的装置和方法
WO2016004557A1 (zh) 传输信息的方法、接入点和站点
KR20190135052A (ko) Ip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CN117527027A (zh) 终端到终端中继场景下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090201897A1 (en) Classification process involving mobile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