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91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917B1
KR101158917B1 KR1020040101812A KR20040101812A KR101158917B1 KR 101158917 B1 KR101158917 B1 KR 101158917B1 KR 1020040101812 A KR1020040101812 A KR 1020040101812A KR 20040101812 A KR20040101812 A KR 20040101812A KR 101158917 B1 KR101158917 B1 KR 10115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key
keypad
function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2836A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917B1/en
Publication of KR2006006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8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에 핫키, 메뉴키, 기능키, 숫자키를 고정 할당하고, 한 번의 키눌림으로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핫키의 눌림에 의해 해당 기능을 즉시 실행하지만 핫키를 임의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한 번의 키눌림으로 실행 가능한 메뉴의 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아이콘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부와, 키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린 키에 해당하는 키 값을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값에 따라 키패드의 키에 대한 기능 및 이미지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키 이미지 선택부와, 상기 설정된 기능 및 이미지에 따라 키패드의 소형 표시창에 상기 아이콘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적용부로 구성되어 키패드에 기능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여 키패드에 서로 다른 단축 메뉴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의 제한된 키 숫자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 요구에 맞게 단축키를 설정 변경하고, 기능에 따라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를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related art, hot keys, menu keys, function keys, and numeric keys are fixedly assigned to a key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sired key is pressed to execute a desired function. The function is immediately executed by pressing the hotkey, but since the hotkey is fixed at rando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menus that can be executed by one keypress is limit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s taken by an icon and a camera, a key input unit for outputt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a user on the keypad, and a key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key value. Key imag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d setting the function and image for the image and the image application unit for displaying the icon or image on the small display window of the keypad in accordance with the set function and image to display the image according to the function on the keypad By configuring different shortcut menus on the keypad, the shortcut keys can be set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limited number of keys on the keypad.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keypa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아이콘 표시 방법의 동작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hortcut icon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of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키패드에서 소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mall display window in the keypad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방법의 동작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method of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방법의 키패드 이미지 변경의 설정 화면 전환을 보인 예시도.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etting screen switching of keypad image change in the image display method of the keypad of FIG. 4;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22 : 이미지 저장부 24 : 키 이미지 선택부22: image storage unit 24: key image selection unit

25 : 이미지 적용부 26 : 소형 표시창25: image applying unit 26: small display window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 으로, 특히 키패드에 기능을 정의하고 기능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한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ey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eypad that can define a function on the keypad and display an image according to the function.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촬영된 이미지를 단축 메뉴의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표시창에 단축 메뉴에 해당하는 단축 아이콘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단축 메뉴의 아이콘으로 설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축 메뉴의 이미지를 단축 아이콘으로 사용하여 단축 메뉴를 표시한다.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a photographed image as an icon of a shortcut menu to display a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menu on a display window. A user photographs an object using a camer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ts the photographed image as an icon of a shortcut menu.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hortcut menu using the image of the shortcut menu set by the user as a shortcut icon.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아이콘 표시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메뉴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하고 메뉴키가 눌리면 단축 메뉴로 설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단축 메뉴의 아이콘을 표시창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단축 메뉴의 아이콘을 보고 단축 메뉴의 기능을 판단하고 원하는 기능의 단축 메뉴를 선택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창에 표시된 단축 메뉴 중 어느 단축 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축 메뉴의 기능을 실행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hortcut icon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menu key is pressed by the user's key operation in the standby mode, and when the menu key is pressed, determines whether an image set as a shortcut menu exists and displays an icon of the shortcut menu on the display window. The user looks at the icon of the shortcut menu to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shortcut menu and selects the shortcut menu of the desired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ich shortcut menu of the shortcut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is selected, and executes the function of the shortcut menu selected by the user.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축 메뉴에 대한 아이콘 변경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단축 메뉴의 아이콘에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대응시켜 설정하여 단말기 고유의 단축 메뉴를 구성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단축 메뉴의 아이콘에 사용되는 이미지로 설정하고 단축 메뉴 출력시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n icon change menu for the shortcut menu, and the user configures the terminal's own shortcut menu by setting the icon of the shortcut menu to correspond to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s an image used for an icon of a shortcut menu and uses the captured image when outputting the shortcut menu.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단축 메뉴의 아이콘으로 사용하여 고유한 단축 메뉴를 구성하지만 사용자는 표시창에 표시된 단축 메뉴 중에서 키 조작으로 원하는 기능의 단축 메뉴를 선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a unique shortcut menu is constructed by using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as a shortcut menu ic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user can use a shortcut menu of a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a key among the shortcut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selected.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에 핫키, 메뉴키, 기능키, 숫자키를 고정 할당하고, 한 번의 키눌림으로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핫키의 눌림에 의해 해당 기능을 즉시 실행하지만 핫키를 임의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한 번의 키눌림으로 실행 가능한 메뉴의 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has fixed assignment of hotkeys, menu keys, function keys, and numeric keys to the keypad, and immediately executes the corresponding functions by pressing a hotkey that executes a desired function with a single keystrok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menus that can be executed by one key press is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키패드에 기능을 정의하고 기능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여 키패드에 서로 다른 단축 메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image display device of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defines a function on a keypad and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the function to configure different shortcut menus on the keypa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을 관리하는 이미지 저장부와; 키 입력부의 키 값에 따라 키패드의 키에 대한 기능, 이미지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키 이미지 선택부와; 키 이미지 선택부에 의해 설정된 키, 기능,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키패드에서 해당 키의 소형 표시창을 선택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적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mage storage unit for managing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the icon stored in the terminal; A key imag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d setting a function and an image of a key of a keypad according to a key value of the key input unit; And an image application unit for selecting a small display window of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keypad and outputting image data by referring to data on keys, functions, and images set by the key image selection unit.

또한, 대기 모드에서 키패드 이미지 변경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 선 택하면 키패드에서 키 위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키에 기능을 할당하고 기능에 대한 이미지, 아이콘을 선택하고 설정하는 단계와; 키패드 이미지 설정이 마치면 설정된 키, 기능,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키패드에서 해당 키의 소형 표시창을 선택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이미지 데이터가 촬영된 이미지이면 촬영된 이미지를 키패드의 소형 표시창 해상도에 맞게 이미지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를 키패드에 적용하여 키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이미지 데이터가 아이콘이면 저장된 아이콘을 키패드의 소형 표시창에 적용하여 키에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determining whether to select the keypad image change menu in the standby mode, and if selected, selecting a key position on the keypad, assigning a function to the selected key, and selecting and setting an image and an icon for the function; Selecting a small display window of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keypad and determining the property of the image data by referring to the data on the set key, function, and image when the keypad image setting is completed; If the image data is a photographed image, converting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a resolution of a small display window of the keypad and applying the converted image to the keypad to output an image to a key; If the image data is an icon, the stored icon is applied to the small display window of the keypa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을 관리하는 이미지 저장부(22)와; 키 입력부(23)의 키 값에 따라 키패드의 키에 대한 기능, 이미지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키 이미지 선택부(24)와; 키 이미지 선택부(24)에 의해 설정된 키, 기능,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키패드에서 해당 키의 소형 표시창(26)을 선택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적용부(25)로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of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1 and an image stored to manage an icon stored in the terminal are shown. Section 22; A key image selector 24 for selecting and setting a function and an image of a key of a keypad according to the key value of the key input unit 23; The image application section 25 selects the small display window 26 of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keypad and outputs the image data by referring to the data on the key, function, and image set by the key image selection section 24.

카메라(21)는 사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22)에 전달하고 이미지 저장부(22)는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미지 저장부(22)는 촬영된 이미지,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을 관리하고, 키 이미지 선택부(24)에 이미 지, 아이콘의 목록을 제공하고, 이미지 적용부(25)에 소형 표시창(26)에 표시될 이미지, 아이콘을 제공한다.The camera 21 photographs an object and transfers the captured image to the image storage unit 22, and the image storage unit 22 stores the captured image in a memory. The image storage unit 22 manages photographed images and icons stored in the terminal, provides a list of images and icons to the key image selection unit 24, and displays the image display unit 26 on the small display window 26. Provide the image and icon to be displayed.

키 입력부(23)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눌린 키에 해당하는 키 값을 키 이미지 선택부(24)로 전달하고 키 이미지 선택부(24)는 키 값을 해석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키패드의 키에 대한 기능, 이미지를 선택하여 설정한다. 키 이미지 선택부(24)는 키패드에서 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키에 기능을 할당하고 기능에 알맞은 이미지를 설정한다. 키 이미지 선택부(24)는 이미지 저장부(22)로부터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리스트, 썸네일을 출력하여 기능에 알맞은 이미지를 선택하고, 기능에 대한 메뉴 리스트를 출력하여 키에 기능을 할당하고, 키패드의 키 배열을 표시하여 키를 선택한다.The key input unit 23 transmits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key press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to the key image selector 24, and the key image selector 24 interprets the key value and the keypad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Set by selecting the function, image for the key. The key image selector 24 selects a key on the keypad, assigns a function to the selected key, and sets an image suitable for the function. The key image selector 24 outputs a list and thumbnails of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21 from the image storage unit 22 to select an image suitable for the function, and outputs a menu list for the function to the key. To select a key by displaying the key arrangement on the keypad.

이미지 적용부(25)는 키 이미지 선택부(24)에 의해 설정된 키, 기능,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키패드에서 해당 키의 소형 표시창(26)을 선택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소형 표시창(26)은 키의 기능을 설명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본 실시 예어서는 키패드와 키 입력부(23)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mage applying unit 25 selects the small display window 26 of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keypad with reference to the data on the key, function, and image set by the key image selecting unit 24 and outputs image data. The small display window 26 displays image data describing the function of the key.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keypad and the key input unit 23 are separately provided, but they may be implemented in one combined form.

도 3은 도 2의 키패드에서 소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인 예시도이다. 키패드의 소형 표시창에는 키의 기능을 설명하는 이미지인 아이콘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소형 표시창은 전화번호부, 음량벨소리, 화면설정, 카메라, 일정관리, 수신함의 이미지인 아이콘을 표시한다.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on a small display window in the keypad of FIG. 2. The small display window of the keypad outputs an icon which is an image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key. For example, the small display window displays an icon that is an image of a phone book, a volume ringtone, a screen setting, a camera, a schedule manager, and an inbox.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키패드 이미지 변 경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 선택하면 키패드에서 키 위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키에 기능을 할당하고 기능에 대한 이미지 선택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이미지 선택 모드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을 나열하고 기능에 대응한 이미지, 아이콘을 선택하고 설정하는 단계와; 촬영된 이미지가 선택되면 촬영된 이미지를 키패드의 소형 표시창 해상도에 맞게 이미지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를 키패드에 적용하여 키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아이콘이 선택되면 저장된 아이콘을 키패드의 소형 표시창에 적용하여 키에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method of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elect a keypad image change menu in a standby mode. Assigning a function to the selected key and switching to an image selection mode for the function; Listing images taken by the camera and icons stored in the terminal in an image selection mode, and selecting and setting images and icons corresponding to functions; When the photographed image is selected, converting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small display window of the keypad and applying the converted image to the keypad to output an image to the key; When the icon is selected, the stored icon is applied to the small display window of the keypad to output the icon on the key.

사용자가 키패드의 이미지 변경 메뉴를 선택하고 키패드 기능을 정의하여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를 변경한다고 가정하자.Suppose a user changes the image display on the keypad by selecting the Change Image menu on the keypad and defining keypad functions.

이동 통신 단말기는 대기 모드에서 키패드 이미지 변경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 선택하면 키패드에서 키 위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키에 기능을 할당하고 기능에 대한 이미지 선택 모드로 전환한다.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keypad image change menu is selected in the standby mode, and when selected, selects a key position on the keypad, assigns a function to the selected key, and switches to an image selection mode for the functio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미지 선택 모드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을 나열하고 기능에 대응한 이미지, 아이콘을 선택하고 설정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ists images taken by the camera and icons stored in the terminal in the image selection mode, and selects and sets images and icon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촬영된 이미지가 선택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촬영된 이미지를 키패드의 소형 표시창 해상도에 맞게 이미지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를 키패드에 적용하여 키에 이미지를 출력한다.When the photographed image is sel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small display window of the keypad and applies the converted image to the keypad to output the image to the key.

아이콘이 선택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된 아이콘을 키패드의 소형 표시 창에 적용하여 키에 아이콘을 출력한다.When the icon is sel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s the stored icon to the small display window of the keypad and outputs the icon on the key.

도 5는 도 4의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방법의 키패드 이미지 변경의 설정 화면 전환을 보인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setting screen switching of keypad image change in the image display method of the keypad of FIG. 4.

키패드 이미지 변경 화면은 기능 선택, 이미지 선택, 키 위치를 입력받아 입력된 기능, 이미지, 키 위치를 표시한다. 기능 선택 화면은 메뉴 목록을 표시하여 기능에 대응한 메뉴를 선택하고 기능 선택에 입력하고, 이미지 선택 화면은 촬영된 이미지, 아이콘을 표시하여 키에 표시되는 이미지, 아이콘을 이미지 선택에 입력하고, 키 위치 화면은 키패드의 키 배열을 표시하여 숫자 선택에 의해 키 위치를 입력한다.The keypad image change screen displays the input function, image, and key position by inputting function selection, image selection, and key position. The function selection screen displays a list of menus to select a menu corresponding to a function and inputs them in the function selection.The image selection screen displays photographed images and icons, and inputs the images and icons displayed on the keys in image selection. The position screen displays the key arrangement of the keypad and inputs the key position by number selec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패드에 기능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여 키패드에 서로 다른 단축 메뉴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의 제한된 키 숫자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 요구에 맞게 단축키를 설정 변경하고, 기능에 따라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를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image according to the function on the keypad to configure different shortcut menus on the keypad, and is not limited to the limited number of keys of the keypad to set and change the shortcut ke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depending on the function This has the effect of changing the image display on the keypad.

또한, 키패드의 키에 이미지를 설정하여 표시함으로써 키의 기능이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응하여 변화하므로 사용자는 키패드의 키 배열을 변경하여 메뉴키, 기능키, 숫자키, 문자키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배치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etting and displaying an image on the keys of the keypad, the function of the key changes according to the displayed image, so the user changes the key arrangement of the keypad and arranges the menu keys, function keys, numeric keys, and character key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is effective.

Claims (3)

기설정된 아이콘 및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 저장부;An image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a preset icon and a captured image; 조작 가능한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되는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comprising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operable keys; 상기 키 입력부의 각 키에 기능을 할당하고, 상기 아이콘 또는 영상을 설정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 선택부; 및An image selection unit configured to assign a function to each key of the key input unit and to set the icon or the image; And 상기 키 입력부의 각 키에 배치되며, 설정된 상기 아이콘 또는 영상을 출력 및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And a display window disposed on each key of the key input unit and configured to output and change the set icon or image. 대기 모드에서 표시창 이미지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설정하고자 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키의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키에 기능을 할당하며,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또는 영상을 설정하는 단계;Selecting a display window image setting menu in a standby mode, selecting a location of a key having a display window to be set, assigning a function to the selected key, and setting an icon and /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상기 표시창 이미지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이미지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Checking a property of a set image when setting of the display window image is completed; 상기 설정된 이미지가 촬영된 영상인 경우, 상기 설정된 영상을 상기 표시창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를 상기 표시창에 출력하는 단계; 및If the set image is a captured image, converting the set image to match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window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image to the display window; And 상기 설정된 이미지가 기설정된 아이콘인 경우, 상기 설정된 아이콘을 상기 표시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방법.And outputting the set icon to the display window when the set image is a predetermined icon.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The setting step, 기능 설정 모드에서 메뉴 목록을 표시하고, 선택된 메뉴를 기능 설정에 입력하는 단계;Displaying a list of menus in a function setting mode and inputting the selected menu into the function setting; 이미지 설정 모드에서 상기 영상 및/또는 아이콘을 표시하며, 선택된 영상 및/또는 아이콘을 이미지 설정에 입력하는 단계; 및Displaying the image and / or icon in an image setting mode, and inputting the selected image and / or icon into image setting; And 키 위치설정 모드에서 상기 표시창을 구비하는 키를 표시하고, 선택된 키를 이미지 출력을 위한 키로 키 위치설정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방법.And displaying a key having the display window in a key position setting mode, and inputting the selected key to the key position as a key for outputting the image.
KR1020040101812A 2004-12-06 2004-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58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12A KR101158917B1 (en) 2004-12-06 2004-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12A KR101158917B1 (en) 2004-12-06 2004-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836A KR20060062836A (en) 2006-06-12
KR101158917B1 true KR101158917B1 (en) 2012-06-21

Family

ID=3715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812A KR101158917B1 (en) 2004-12-06 2004-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9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23B1 (en) * 2006-12-28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and displaying hot key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89869B1 (en) * 2010-11-25 2012-10-10 최진원 Key board for supporting shortcut ke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047A (en) * 2000-07-31 2002-02-07 서평원 Method for user defined hot-key setting in a mobile station
KR20020084784A (en) * 2001-05-04 2002-11-11 주식회사 벨웨이브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using key-pad arrangement type icon in portable s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047A (en) * 2000-07-31 2002-02-07 서평원 Method for user defined hot-key setting in a mobile station
KR20020084784A (en) * 2001-05-04 2002-11-11 주식회사 벨웨이브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using key-pad arrangement type icon in portable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836A (en)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533B1 (en) Method of Displaying Abbreviated Dial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0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477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mposing screen in a touch screen
KR101380084B1 (en)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070010226A (en) Multi function hot key establishing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id function
US20060128437A1 (en) Mobile terminal having user assignable hot keys and method for using same
EP196529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ethod of displaying function menu used for the same and its program
KR1011589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66568A (en) Method for key stroke interface inputting of mobile device
KR10070501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ask Manager ind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07097458A1 (en) Portable terminal and language selection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1006774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utomatically specific menu of multimedia terminal
KR10069702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short-key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80088090A (en) Mobile phone's menu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main menu and sub menu simultaneously and mobile phone thereof
KR100783111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using hi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KR10085252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co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KR100389825B1 (en) Data terminal equipment having touch screen key as a soft hot key and method thereof
KR10134688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input device and input processing method
KR100681913B1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Editing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039894B1 (en)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for wall paper
KR10070194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 number input enable for user to set and its setting method
KR100608789B1 (en) Information searching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703437B1 (en) Method for standby screen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KR2006001239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hot key input and method of hot key user assignment the same
KR100698117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mage data changing function and a chang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