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794B1 -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 Google Patents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794B1
KR101158794B1 KR1020100020651A KR20100020651A KR101158794B1 KR 101158794 B1 KR101158794 B1 KR 101158794B1 KR 1020100020651 A KR1020100020651 A KR 1020100020651A KR 20100020651 A KR20100020651 A KR 20100020651A KR 101158794 B1 KR101158794 B1 KR 10115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dress
media
private net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566A (ko
Inventor
성동수
이건배
박은성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79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가 개시된다.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면, 제1 미디어 전송 주소 및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2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비수정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비수정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연결요청 메시지와 함께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기 제2 단말기로부터 연결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비수정하여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Method and SBC(Session Border Controller) for providing VoIP service}
본 발명은 VoIP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를 이용한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떤 곳에서건 원하는 통신 및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 VoIP(Voice over IP(Internet Protocol))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기본 기술 중 하나이다. VoIP 기술은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전화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기술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운용되는 VoIP서비스는 모든 사용자의 단말기에 고유의 IP 주소가 부여됨으로써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부여될 수 있는 고유 IP 주소의 자원은 풍부하지 않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화벽이 사용되는 사설망이 이용되고 있다. 사설망의 내부에 위치한 단말기는 사설 IP가 부여된다. 그리고, 사설망의 내부에 위치한 단말기는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사설망에 부여된 공인IP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사설망을 이용한 VoIP 서비스는 사설망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단말기의 IP 주소가 변경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통신이 원할하지 못하거나 연결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설망 외부의 특정 서버를 이용하는 VoIP서비스 방법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 SBC(Session Border Controller) 서버를 이용하는 VoIP 서비스 방법이 있다.
SBC 서버를 이용하는 VoIP 서비스 방법은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용하는데 많은 장점이 있는 반면, 단말기와 SBC 서버의 연결 구성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 경로의 중첩으로 인한 미디어 지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SBC 서버는 미디어 데이터 경로가 중첩되는 경우, 처리되는 데이터양이 과도하여 부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유지관리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SBC서버를 이용하여 동일 사설망 내의 단말기간 VoIP 연결 시 미디어 전송 시간을 향상하도록 연결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BC서버를 이용하여 동일 사설망 내의 단말기간 VoIP 연결 시 SBC 서버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SBC: Session Border Controller)가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는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 이용하는 주소이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연결요청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피연결요청 단말기임-,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 사설 IP 주소, 사설망의 공인 IP 주소가 맵핑되어 저장된 정보임-,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면,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2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비수정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상기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 이용하는 주소임-, 비수정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연결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비수정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는 위치등록한 등록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등록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 상기 등록 단말기의 사설 IP 주소, 상기 등록 단말기가 속한 사설망의 공인 IP 주소를 맵핑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정보 저장부, 제1 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와 함께 수신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등록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연결요청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피연결요청 단말기임-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2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 및 상기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비수정하는 연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SBC서버를 이용하여 동일 사설망 내의 단말기간 VoIP 연결 시 미디어 전송 시간을 향상하도록 연결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BC서버를 이용하여 동일 사설망 내의 단말기간 VoIP 연결 시 SBC 서버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VoIP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미디어 연결 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동일 사설망 내에 위치한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VoIP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통신 연결 과정을 개선한 VoIP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SBC 서버가 등록서버로 사설망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통신 연결 과정을 개선한 도 4의 VoIP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VoIP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은 사설망 및 SBC 서버를 이용한 VoIP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oIP 서비스 시스템은 등록서버(10), 제1 세션 보더 컨트롤러(SBC: Session Border Controller, 이하, SBC로 통칭하기로 함) 서버(20), 제1 사설망(30), 제2 SBC 서버(50) 및 제2 사설망(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설망(30) 및 제2 사설망(60)은 다수의 단말기(40, 7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40, 70)는 사용자의 영상 및/또는 음성을 송수신한다. 단말기(40, 70)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주로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SBC 서버(20, 50)는 방화벽을 사용하는 사설망(30, 60)의 외부에 위치한다. SBC 서버(20, 50)는 논리적으로 단말기(40, 70)와 등록서버(10) 사이에 위치하며, 등록서버(10)에 대한 단말기(40, 70)의 위치등록과 연결요청을 대행한다. 또한, SBC 서버(20, 50)는 단말기(40, 70) 간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등록서버(10)는 단말기(40, 70)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등록서버(10)가 저장하는 위치정보는 각 단말기(40, 70)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와 단말기(40, 70)가 사용한 SBC 서버(20, 50)의 공인 IP 주소를 포함한다. 등록서버(10)는 단말기(40, 70)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등록서버(10)는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연결요청 단말기의 연결요청 메시지를 피연결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고, 각 단말기로 서로간의 위치정보를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단말기(40, 70)의 위치등록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등록하는 단말기는 제1 사설망(30)에 위치하는 단말기1(42)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기1(42)은 제1 SBC 서버(20)로 자신의 사설 IP 주소를 포함하는 제1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1 SBC 서버(20)는 제1 위치등록 메시지 내의 단말기1(42)의 사설 IP 주소를 제1 SBC 서버(20)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한 후 변경된 제1 위치 등록 메시지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하여 단말기1(42)의 위치등록을 대행한다. 제1 위치등록 메시지는 단말기1(42)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제1 SBC 서버(20)는 등록 서버(10)로부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 받고, 등록 응답 메시지에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주소를 추가하여 단말기1(42)로 전송한다.
단말기1(42)은 제1 SBC 서버(20)로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포함하는 제2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1 SBC 서버(20)는 제2 위치등록 메시지 내의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제1 SBC 서버(20)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한 후 변경된 제2 위치 등록 메시지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하여 단말기1(42)의 위치등록을 대행한다. 위치등록 메시지는 단말기1(42)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제1 SBC 서버(20)는 등록 서버(10)로부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 받고, 이를 단말기1(42)로 전송한다. 성공적인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42)은 등록과정을 종료한다.
그래서, 등록서버(10)는 위치등록한 단말기1(42)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와 단말기1(42)이 이용한 제1 SBC서버(20)의 공인 IP 주소를 맵핑하여 저장함으로써, 단말기1(42)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등록을 통해서, 제1 사설망(30)에 위치한 단말기1(42)로의 연결 요청 메시지는 등록서버(10) 및 제1 SBC 서버(20)를 경유하여 단말기1(42)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42)은 제1 SBC서버(20)에 아이디 정보, 자신의 사설 IP 주소 및 자신이 연결된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전달하고, 제1 SBC서버(20)는 등록서버(10)에 아이디 정보, 제1 SBC서버(20)의 공인 IP주소를 전달함으로써 위치등록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단말기(40, 70) 간의 통신 연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사설망(30)에 위치하는 단말기1(42)이 연결요청단말기이고, 제2 사설망(70)에 위치하는 단말기1(72)이 피연결요청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기1(42)은 제1 SBC 서버(20)로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연결요청 메시지는 단말기1(42)과 단말기1(72)의 아이디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는 단말기1(72)이 단말기1(42)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되는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한다.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는 단말기1(42)의 사설 IP 주소이다.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한 제1 SBC 서버(20)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1 SBC 서버(20)는 변경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 및 연결요청 메시지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는 미디어 연결 정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미디어 연결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a)는 단말기1(42)이 전송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이고, (b)는 제1 SBC 서버(20)가 변경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220)를 포함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에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210)는 192.168.1.107이다. 이 IP 주소는 단말기1(42)의 사설 IP 주소가 될 수 있다. (a)의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는 단말기1(42)이 전송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컨넥션 필드(Connection Field)(200)에 위치한다.
(b)에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220)는 203.249.9.110이다. 이 IP 주소는 제1 SBC 서버(20)의 IP 주소로, 공인 IP 주소이다. 즉, (b)와 같이, 제1 SBC 서버(20)는 제1 단말기(42)로부터 수신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에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한다.
제1 미디어 연결 정보 및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등록서버(10)는 저장된 단말기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72)이 위치하는 제2 사설망(60)의 제2 SBC 서버(50)를 통해 단말기1(72)로 제1 미디어 연결 정보 및 연결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어, 제1 미디어 연결 정보 및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72)은 연결 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제2 SBC 서버(50), 등록서버(10), 제1 SBC 서버(20)를 통해 단말기1(42)로 전송한다. 단말기1(72)이 전송하는 연결 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는 단말기1(42)이 전송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가 전송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는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며, 제2 SBC 서버(50)가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단말기1(72)의 사설 IP 주소에서 제2 SBC 서버(50)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한다. 그래서, 단말기1(42)와 단말기1(72) 사이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후, 단말기1(42)은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이용하여 단말기1(72)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기1(72)은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이용하여 단말기1(42)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는 각각 제1 및 제2 SBC 서버(20, 50)의 공인 IP 주소이다. 그래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데이터는 두 단말기(42, 72) 사이에서 제1 및 제2 SBC 서버(20, 50)를 통해 전송된다.
도 3은 동일 사설망 내에 위치한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VoIP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서는 동일한 사설망(제1 사설망) 내에 위치한 연결요청 단말기(44) 및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통신 연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VoIP 서비스 시스템은 등록서버(10), 제1 SBC 서버(20), 연결요청 단말기(44) 및 피연결요청 단말기(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VoIP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VoIP 서비스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각 구성부는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통신 연결 과정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하지만, 연결요청 단말기(44) 및 피연결요청 단말기(46)는 제1 사설망(30)에 위치하여 제1 SBC 서버(20)를 통해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고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SBC 서버를 이용하는 VoIP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SBC 서버가 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중계한다. SBC 서버가 미디어 데이터를 중계함에 따라 VoIP 서비스 시스템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사설망(제1 사설망) 내에 위치한 연결요청 단말기(44) 및 피연결요청 단말기(46)는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 제1 사설망의 외부와 통신 연결이 불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제1 SBC 서버(20)를 경유해야 한다. 이것은 불필요한 전송 경로의 증가를 유발한다.
도 4는 도 3의 통신 연결 과정을 개선한 VoIP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의 각 구성부는 도 3과 동일하므로, 각 구성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요청 단말기(44)는 피연결요청 단말기(46)와 통신 연결을 구성하기 위하여 제1 SBC 서버(20)로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한 제1 SBC 서버(20)는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SBC 서버(20)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면, 연결요청 단말기(44)가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제1 SBC 서버(20)가 하나의 사설망을 관리하는 경우, 제1 SBC 서버(20)는 단말기들이 등록서버(10)로 위치등록 시, 저장한 단말기들의 위치정보 중에서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면,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연결요청 단말기(44)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SBC 서버(20)는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각 위치정보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1 SBC 서버(20)가 다수의 사설망을 관리하는 경우, 제1 SBC 서버(20)는 피연결 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가 존재하고,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각 위치정보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가 서로 동일하면,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제1 SBC 서버(20)는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미디어 전송 주소를 수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제1 SBC 서버(20)는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지 않고, 등록서버(10)를 통해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그대로 피연결요청 단말기(46)로 전송한다.
제1 SBC 서버(20)가 연결요청상태를 저장하고 있다면, 이후, 피연결요청 단말기(46)로부터 연결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제1 SBC 서버(20)는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자신의 공인IP 주소로 변경하지 않고, 등록서버(10)를 통해 연결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그대로 연결요청 단말기(44)로 전송한다.
제1 SBC 서버(20)가 연결요청상태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면, 피연결요청 단말기(46)로부터 연결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SBC 서버(20)는 제2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면,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SBC 서버(20)는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각 위치정보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1 SBC 서버(20)는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지 않고, 등록서버(10)를 통해 연결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그대로 연결요청 단말기(44)로 전송한다.
연결요청 단말기(44)는 피연결요청 단말기(46)로부터 전달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이용하여 피연결요청 단말기(46)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피연결요청 단말기(46)는 연결요청 단말기(44)로부터 전달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이용하여 연결요청 단말기(44)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는 서로의 미디어 전송 주소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제1 SBC 서버(20)를 경유하지 않고 미디어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SBC 서버가 등록서버로 사설망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설망(30)에 위치하는 단말기1(42)이 제1 SBC 서버(20)를 통해 등록서버(10)로 위치등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사설망에 위치하는 모든 단말기는 해당 SBC 서버를 통해 위치등록을 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제1 SBC 서버(20)는 단말기1(42)로부터 제1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1 위치등록 메시지는 단말기1(42)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 및 사설 IP 주소를 포함한다.
S520 단계에서, 제1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BC 서버(20)는 제1 위치등록 메시지 내의 단말기1(42)의 사설 IP 주소를 제1 SBC 서버(20)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한 후 변경된 제1 위치 등록 메시지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하여 단말기1(42)의 위치등록을 대행한다. 이때, 제1 SBC 서버(20)는 단말기1(42)의 아이디 정보와 사설 IP 주소를 맵핑하여 단말기1(42)의 위치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제1 SBC 서버(20)는 등록 서버(10)로부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 받고, 위치등록에 대하여 단말기1(42)로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제1 SBC 서버(20)는 등록 응답 메시지에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포함시켜 단말기1(42)로 전송한다. 단말기1(42)은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를 이용하여 자신이 연결된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인식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제1 SBC 서버(20)는 단말기1(42)로부터 제2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2 위치등록 메시지는 단말기1(42)의 공인 IP 주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인 IP 주소는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주소이다.
S550 단계에서, 제2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BC 서버(20)는 제2 위치등록 메시지 내의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제1 SBC 서버(20)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한 후 변경된 제2 위치 등록 메시지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하여 단말기1(42)의 위치등록을 대행한다. 이때, 제1 SBC 서버(20)는 단말기1(42)의 아이디 정보와 사설 IP 주소 및 공인IP 주소를 맵핑하여 위치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1 SBC 서버(20)는 등록 서버(10)로부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 받고, 이를 단말기1(42)로 전송한다. 성공적인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42)은 등록과정을 종료한다.
도 6은 통신 연결 과정을 개선한 도 4의 VoIP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610 단계에서, 연결요청 단말기(44)는 제1 SBC 서버(20)로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는 연결요청 단말기(44)의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한다.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는 연결요청 단말기(44)의 사설 IP 주소가 될 수 있다. 연결요청 단말기(44)는 제1 SBC 서버(20)가 담당하는 제1 사설망(3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말기로, 제1 사설망(30) 내부의 사설 IP 주소를 가진다.
S615 단계에서,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한 제1 SBC 서버(20)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제1 사설망(30)의 내부의 사설 IP 주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SBC 서버(20)는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제1 사설망(30)의 내부의 사설 IP 주소이면, 연결요청 단말기(44)가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가 아닌 경우, S630 단계로 진입한다.
S620 단계에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면, 제1 SBC 서버(20)는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면, 제1 SBC 서버(20)는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1 SBC 서버(20)가 다수의 사설망을 관리하는 경우, 제1 SBC 서버(20)는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즉, 제1 SBC 서버(20)는 제1 사설망(30)의 단말기들이 등록서버(10)로 위치등록 시, 저장한 제1 사설망(30)의 단말기들의 위치정보 중에서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면,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SBC 서버(20)는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가 존재하고,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공인 IP 주소가 서로 동일하면,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공인 IP 주소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S630 단계로 진입한다.
S625 단계에서,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SBC 서버(20)는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미디어 전송 주소를 비수정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S630 단계에서, 제1 SBC 서버(20)는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수정한다. 이어, 제1 SBC 서버(20)는 수정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 및 연결요청 메시지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한다. 그래서, 제1 미디어 연결 정보 및 연결요청 메시지는 해당하는 피연결요청 단말기로 전달된다.
S635 내지 S640 단계에서, 제1 SBC 서버(20)는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지 않고, 등록서버(10)를 통해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그대로 피연결요청 단말기(46)로 전송한다.
S645 내지 S650 단계에서,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한 피연결요청 단말기(46)는 제1 SBC 서버(20) 및 등록서버(10)를 통해 연결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연결요청 단말기(44)로 전송한다. 이때, 제1 SBC 서버(20)는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지 않는다. 상술한 S645 내지S650 단계는 제1 SBC 서버(20)가 연결요청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 경우에 수행된다. 하지만, 제1 SBC 서버(20)가 연결요청상태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면, S615 및 S620 단계와 같이 제1 SBC 서버(20)는 피연결요청 단말기(46)로부터 연결응답 메시지 및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SBC 서버(20)는 제2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면,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SBC 서버(20)는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의 각 위치정보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655 단계에서,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는 서로간의 통신 연결이 구성되어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요청 단말기(44)와 피연결요청 단말기(46)는 제1 및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제1 SBC 서버(20)를 경유하지 않고 미디어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BC 서버(20, 30)는 위치등록 처리부(22), 연결 처리부(24) 및 단말정보 저장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등록 처리부(22)는 해당 사설망의 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을 요청받으면,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대행한다. 즉, 위치등록 처리부(22)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사설 IP 주소를 포함하는 제1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위치등록 메시지 내의 단말기1(42)의 사설 IP 주소를 제1 SBC 서버(20)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여 이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대행한다. 또한, 위치등록 처리부(22)는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포함하는 등록 응답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포함하는 제2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사설망(30)의 공인 IP 주소를 제1 SBC 서버(20)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한 후 변경된 제2 위치 등록 메시지를 등록서버(10)로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대행한다.
위치 판단부(24)는 연결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결요청 단말기와 피연결요청 단말기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결요청 단말기와 피연결요청 단말기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앞서 상술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 처리부(26)는 연결요청 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을 받아 피연결요청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처리한다. 연결요청 단말기와 피연결요청 단말기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는 경우, 연결 처리부(26)는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미디어 전송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지 않고 미디어 연결 정보를 그대로 전송한다. 연결요청 단말기와 피연결요청 단말기가 동일한 사설망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연결 처리부(26)는 미디어 전송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여 미디어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정보 저장부(28)는 단말기가 등록서버(10)로 위치등록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즉, 단말정보 저장부(28)는 단말기의 아이디 정보와 사설 IP 주소 및 공인IP 주소를 맵핑하여 위치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등록서버
20: 제1 SBC 서버
30: 제1 사설망
50: 제2 SBC 서버
60: 제2 사설망

Claims (14)

  1.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SBC: Session Border Controller)가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 메시지 및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는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 이용하는 주소이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연결요청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피연결요청 단말기임-;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 사설 IP 주소, 사설망의 공인 IP 주소가 맵핑되어 저장된 정보임-;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면,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2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비수정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상기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 이용하는 주소임-;
    비수정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미디어 연결 정보를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연결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비수정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는 사설망의 단말기로부터 사설 IP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사설 IP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여 변경된 위치등록 메시지를 등록서버로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보드 컨트롤러 서버가 하나의 사설망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보드 컨트롤러 서버가 다수의 사설망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인 IP 주소가 일치하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가 아니거나,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미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공인 IP 주소가 불일치하면,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 및 상기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는 해당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는 사설망의 단말기로 상기 사설망의 공인 IP 주소를 전송하고, 상기 사설망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설망의 공인 IP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공인 IP 주소를 자신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여 변경된 위치등록 메시지를 등록서버로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연결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비수정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의 연결요청에 대한 연결요청상태를 미저장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면, 비수정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상기 연결응답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8. 위치등록한 등록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등록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디 정보, 상기 등록 단말기의 사설 IP 주소, 상기 등록 단말기가 속한 사설망의 공인 IP 주소를 맵핑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정보 저장부;
    제1 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와 함께 수신되는 제1 미디어 연결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등록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연결요청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피연결요청 단말기임-;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2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 및 상기 제1 미디어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비수정하는 연결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등록 단말기의 사설 IP 주소 또는 상기 등록 단말기가 속한 사설망의 공인 IP 주소를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여 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등록서버로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보드 컨트롤러 서버가 하나의 사설망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위치 판단부는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보드 컨트롤러 서버가 다수의 사설망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위치 판단부는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가 사설 IP 주소이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공인 IP 주소가 일치하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처리부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사설망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미디어 전송 주소를 상기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의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의 연결요청에 대한 연결요청상태를 미저장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연결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 처리부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동일 사설망에 위치하면, 비수정된 제2 미디어 전송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미디어 연결 정보를 상기 연결응답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14.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20651A 2010-03-09 2010-03-09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KR101158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651A KR101158794B1 (ko) 2010-03-09 2010-03-09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651A KR101158794B1 (ko) 2010-03-09 2010-03-09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566A KR20110101566A (ko) 2011-09-16
KR101158794B1 true KR101158794B1 (ko) 2012-06-26

Family

ID=4495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651A KR101158794B1 (ko) 2010-03-09 2010-03-09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307B1 (ko) * 2012-12-14 2015-03-26 주식회사 케이티 Ims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설망 단말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40B1 (ko) * 2007-06-28 2009-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망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장치
KR20090066062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p기반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40B1 (ko) * 2007-06-28 2009-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망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장치
KR20090066062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p기반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566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59509A1 (zh) 一种应用迁移方法及装置
EP4024922A1 (en) Method for achieving service continuity and related devices
WO2021184774A1 (zh) 基于边缘计算的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TWI675572B (zh) 網路服務系統及網路服務方法
CN103339901B (zh) 内容导向网络环境中的终端和中间节点以及终端和中间节点的通信方法
US102506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hannel
WO2019129154A1 (zh) 业务请求处理方法及装置
JP6371592B2 (ja) コンテンツ中心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ノードの通信方法及びそのノード
TWI674780B (zh) 網路服務系統及網路服務方法
JP2019536355A (ja) ノードタイプに基づくデータストリーミングの支援制御
CN114025021A (zh) 一种跨Kubernetes集群的通信方法、系统、介质和电子设备
WO2022121589A1 (zh) 一种数据信息获取方法、装置、相关设备及介质
CN106911732A (zh) 一种网站访问加速方法及装置
US20120300776A1 (en) Method for creating virtual link, 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and ethernet network system
CN107567027B (zh) Rcs终端网络切换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移动终端
KR101158794B1 (ko)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세션 보더 컨트롤러 서버
KR20220039027A (ko) 엣지인에이블서버 및 엣지인에이블서버의 동작 방법
CN114980262B (zh) 接入网关的选择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3497764B (zh) 业务路由方法、系统、计算机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4666846A (zh) 一种通信方法及网关设备
KR20220065486A (ko) 엣지설정서버, 엣지인에이블서버 및 그 동작 방법
EP3935803A1 (en) Content delivery vi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2105972B1 (ko) 발신망의 호 처리 기능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24027479A1 (zh) 呼叫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4786047B (zh) 多屏互动的实现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