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360B1 -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 Google Patents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360B1
KR101158360B1 KR1020090131662A KR20090131662A KR101158360B1 KR 101158360 B1 KR101158360 B1 KR 101158360B1 KR 1020090131662 A KR1020090131662 A KR 1020090131662A KR 20090131662 A KR20090131662 A KR 20090131662A KR 101158360 B1 KR101158360 B1 KR 101158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ue
content
pa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253A (ko
Inventor
김종창
Original Assignee
백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152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583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성수 filed Critical 백성수
Priority to KR102009013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3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63D15/083Means, integrated in the cue, for actuating the ball, e.g. spring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큐대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당구큐를 사용 경우 손에서 큐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로 당구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패드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용 항균제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 또는 직접 코팅한 후 건조시켜 제작하여 당구큐를 사용함에 따라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음이온이 발생하여 항균효과가 있는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 부위, 패드, 당구큐

Description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billiard cue}
본 발명은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당구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큐대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당구큐를 사용 경우 손에서 큐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로 당구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패드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용 항균제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 또는 직접 코팅한 후 건조시켜 제작하여 당구큐를 사용함에 따라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음이온이 발생하여 항균효과가 있는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당구큐라 함은 목재를 사용하여 팁(tip)이 붙은 앞부분과 손잡이 역할을 하는 뒷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부분은 나사식으로 서로 체결되어 있다. 목재의 경우 당구공의 가격시 부드러운 느낌을 얻을 수 있으나, 재질의 고유한 특성상 강한 반발력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목재가 가지고 있는 약간의 흡수성으로 말미암아 습한 곳에 보관되는 경우 표면의 미끄러움이 줄어들어 파우더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목재의 단점을 개선하고 당구큐의 형태 및 기능의 다양성을 위해 금 속재의 큐에 관한 선행기술도 있다. 미국특허 4,526,370의 경우는 알루미늄 튜브를 이용하여 큐를 제작한 예로써 알루미늄 튜브내에 스프링장치를 하여 팔이나 손목의 왕복운동없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당구공을 칠 수 있게 하였다. 물론 이 장치의 경우 스프링을 고정시킴으로써 기존의 큐와 같이 인위적인 감각으로 당구를 즐길 수도 있으나, 큐 앞부분의 운동부분이 견고하게 뒷부분과 결합되지 못하여 당구의 미세한 묘미를 즐기는 측면에서 기존의 목재 당구큐에 비해 다소 뒤떨어지는 면이 있다.
종래의 당구큐는 고무패드가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나 사용 경우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이 불편하며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서 노화에 의한 파손의 문제점이 있으며,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당구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큐대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당구큐를 사용 경우 손에서 큐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로 당구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패드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용 항균제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 또는 직접 코팅한 후 건조시켜 제작하여 당구큐를 사용함에 따라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음이온이 발생하여 항균효과가 있는 당구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팁연결큐대와 손잡이큐대로 이루어진 당구큐에 있어서 손잡이큐대 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상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큐대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당구큐를 사용 경우 손에서 큐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로 당구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패드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용 항균제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 또는 직접 코팅한 후 건조시켜 제작하여 당구큐를 사용함에 따라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음이온이 발생하여 항균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는 당구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B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는 팁연결큐대(10)와 손잡이큐대(20)로 이루어진 당구큐에 있어서, 상기 당구큐는 손잡이큐대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30)를 나선형으로 감으며, 나선형으로 감을 시 겹처진 상태가 나선형 돌 기(50)가 형성되도록 감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패드의 하단부가 양면테이프(40) 또는 태그(70)로 처리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팁연결큐대(10)와 손잡이큐대(20)로 이루어진 당구큐에 있어서 손잡이큐대(20)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30)가 감겨진 상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는 패드의 하단부가 양면테이프(40) 또는 태그(70)으로 처리되어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에 있어서 패드(30)는 실리콘, 천연고무, 합성고무, 발포성 합성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질의 경도(일본 ASKER TYPE C 경도계: CELLULAR RUBBER & YARN PACKAGE DUROMETER HARDNESS 경도계로 측정한 것)가 1?20인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에 있어서 패드(30)는 표면에 (Ce, La, Y, Th)PO4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성성분이 플르오르(F)의 함유율 4.7 중량%, MgO의 함유율 0.62 중량%, Al2O3의 함유율 0.72 중량%, SiO2의 함유율 5.2 중량%, P2O5의 함유율 2.3 중량%, S03의 함유율 4.4 중량%, Cl의 함유율 1.1 중량%, K2O의 함유율 0.074 중량%, CaO의 함유율 1.8 중량%, Kr의 함유율 0.019 중량%, SrO의 함유율 1.2 중량%, BaO의 함유율 4.5 중량%, La2O3의 함유율 23 중량 %, CeO2의 함유율 34 중량%, Pr6O11의 함유율 3.3 중량%, Nd2O3의 함유율 8.1 중량%, Sn2O3의 함유율 0.76 중량%, ThO2의 함유율 0.16 중량% 및 Y2O3의 함유율 4.047 중량%이며 평균입자지름이 1 내지 100㎛인 인산염 모나자이트 광물 분말 20 내지 30 중량부, 수용성 접착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물 40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용 항균제 조성물을 1 내지 100㎛ 두께로 스프레이 분사 또는 직접 코팅한 후 건조시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팁연결큐대(10)와 손잡이큐대(20)로 이루어진 당구큐에 있어서 손잡이큐대의 손잡이 부위에 손잡이봉(50)이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손잡이봉(50)의 표면에 패드(30-1)가 일체로 감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와 같이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는 손잡이큐대(20)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30)가 감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로 당구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에 있어서 패드(30)는 실리콘, 천연고무, 합성고무, 발포성 합성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질의 경도(일본 ASKER TYPE C 경도계: CELLULAR RUBBER & YARN PACKAGE DUROMETER HARDNESS 경도계로 측정한 것)가 1?20인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패드가 노화되거나 가수분해되는 현상을 에방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에 있어서 패드(30)는 표면에 (Ce, La, Y, Th)PO4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성성분이 플르오르(F)의 함유율 4.7 중량%, MgO의 함유율 0.62 중량%, Al2O3의 함유율 0.72 중량%, SiO2의 함유율 5.2 중량%, P2O5의 함유율 2.3 중량%, S03의 함유율 4.4 중량%, Cl의 함유율 1.1 중량%, K2O의 함유율 0.074 중량%, CaO의 함유율 1.8 중량%, Kr의 함유율 0.019 중량%, SrO의 함유율 1.2 중량%, BaO의 함유율 4.5 중량%, La2O3의 함유율 23 중량%, CeO2의 함유율 34 중량%, Pr6O11의 함유율 3.3 중량%, Nd2O3의 함유율 8.1 중량%, Sn2O3의 함유율 0.76 중량%, ThO2의 함유율 0.16 중량% 및 Y2O3의 함유율 4.047 중량%이며 평균입자지름이 1 내지 100㎛인 인산염 모나자이트 광물 분말 20 내지 30 중량부, 수용성 접착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물 40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용 항균제 조성물을 1 내지 100㎛ 두께로 스프레이 분사 또는 직접 코팅한 후 건조시켜 제작하여 사용함에 따라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음이온이 발생하여 항균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5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팁연결큐대(10)와 손잡이큐대(20)로 이루어진 당구큐에 있어서 손잡이큐대의 손잡이 부위에 손잡이봉(50)이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손잡이봉(50)의 표면에 패드(30-1)가 일체로 나선형으로 감겨져 나선형 돌기(60)를 형성한 상태로 성형된 것을 장착하여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 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는 당구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B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팁연결큐대 20: 손잡이큐대
30, 30-1: 패드 40: 양면테이프
50: 손잡이봉 60 : 나선형돌기
70 : 태그

Claims (4)

  1. 팁연결큐대(10)와 손잡이큐대(20)로 이루어진 당구큐에 있어서, 상기 당구큐는 손잡이큐대의 손잡이 부위에 패드(30)를 나선형으로 감으며, 나선형으로 감을 시 겹처진 상태가 돌기(50)가 형성되도록 감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패드의 하단부가 양면테이프(40) 또는 태그(70)로 처리되며,
    상기 패드는 실리콘, 천연고무, 합성고무, 발포성 합성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질의 경도(일본 ASKER TYPE C 경도계: CELLULAR RUBBER & YARN PACKAGE DUROMETER HARDNESS 경도계로 측정한 것)가 1?20인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표면에 (Ce, La, Y, Th)PO4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성성분이 플르오르(F)의 함유율 4.7 중량%, MgO의 함유율 0.62 중량%, Al2O3의 함
    유율 0.72 중량%, SiO2의 함유율 5.2 중량%, P2O5의 함유율 2.3 중량%, S03의 함유율 4.4 중량%, Cl의 함유율 1.1 중량%, K2O의 함유율 0.074 중량%, CaO의 함유율 1.8 중량%, Kr의 함유율 0.019 중량%, SrO의 함유율 1.2 중량%, BaO의 함유율 4.5 중량%, La2O3의 함유율 23 중량%, CeO2의 함유율 34 중량%, Pr6O11의 함유율 3.3 중량%, Nd2O3의 함유율 8.1 중량%, Sn2O3의 함유율 0.76 중량%, ThO2의 함유율 0.16 중량% 및 Y2O3의 함유율 4.047 중량%이며 평균입자지름이 1 내지 100㎛인 인산염 모나자이트 광물 분말 20 내지 30 중량부, 수용성 접착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물 40 중량부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용 항균제 조성물을 1 내지 100㎛ 두께로 스프레이 분사 또는 직접 코팅한 후 건조시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4. 삭제
KR1020090131662A 2009-12-28 2009-12-28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KR10115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62A KR101158360B1 (ko) 2009-12-28 2009-12-28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62A KR101158360B1 (ko) 2009-12-28 2009-12-28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53A KR20110075253A (ko) 2011-07-06
KR101158360B1 true KR101158360B1 (ko) 2012-06-22

Family

ID=4491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662A KR101158360B1 (ko) 2009-12-28 2009-12-28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852B1 (ko) 2018-08-17 2020-01-13 박성민 휨 방지 당구큐 구조
KR102125468B1 (ko) 2019-07-17 2020-06-23 김시하 디지털 인쇄구조를 갖는 당구큐대용 그립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2046A (en) * 1991-03-12 1992-05-12 Thorpe James F Billiard cue device
US20020072423A1 (en) 2000-12-07 2002-06-13 Pot Rick D. Billiard cue stick
KR200416040Y1 (ko) 2005-12-19 2006-05-10 양원동 은 나노가 함유된 큐 대
US7044861B1 (en) * 2003-10-08 2006-05-16 Sportcraft, Ltd. Reinforced cue sti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2046A (en) * 1991-03-12 1992-05-12 Thorpe James F Billiard cue device
US20020072423A1 (en) 2000-12-07 2002-06-13 Pot Rick D. Billiard cue stick
US7044861B1 (en) * 2003-10-08 2006-05-16 Sportcraft, Ltd. Reinforced cue stick
KR200416040Y1 (ko) 2005-12-19 2006-05-10 양원동 은 나노가 함유된 큐 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852B1 (ko) 2018-08-17 2020-01-13 박성민 휨 방지 당구큐 구조
KR102125468B1 (ko) 2019-07-17 2020-06-23 김시하 디지털 인쇄구조를 갖는 당구큐대용 그립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53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032211D0 (no) Pulverbelegg med lav glans
WO2006017341A3 (en) Coated vaginal devices for vaginal delivery of therapeutically effective and/ or health-promoting agents
KR101158360B1 (ko) 손잡이 부위에 패드가 감겨진 당구큐
GB2362581A (en) Low spin golf ball comprising a mantle having a hollow interior
GB2363725A (en) Low spin golf ball comprising silicone material
IL150928A0 (en) Antimicrobial flash-dry disinfectant aerosol
JP2017101084A5 (ko)
US20070105477A1 (en) Water-spraying yo-yo
US705249A (en) Playing-ball.
KR101922066B1 (ko) 골프용 의류 부착 장치
CN217311939U (zh) 一种低弹性橡胶球
CN213285615U (zh) 一种台球杆结构
TW201433336A (zh) 玩具球
CN104590758A (zh) 羽毛球球筒加湿及出球装置
US2166115A (en) Gaming device
CN208339107U (zh) 一种硅胶手机护套
CN208611709U (zh) 一种耐用坚固的抗菌夜光篮球
CN207744009U (zh) 一种自由旋转且角度可固定的多功能手机指环支架
CN204601551U (zh) 一种适于夜间使用的羽毛球
CN215310211U (zh) 一种曲棍球球棒的儿童玩具
CN216874613U (zh) 一种耐黄变钓鱼竿
CN210021102U (zh) 一种带有支撑结构的六片式剑道锻炼用剑
CN221014448U (zh) 一种护具
CN220588926U (zh) 一种安全性高的趣味玩具绒条
CN208975110U (zh) 一种内部中空可放置物品的橡胶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7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429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223

Effective date: 2019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