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934B1 - Heating Dubble-Bag - Google Patents

Heating Dubble-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934B1
KR101157934B1 KR1020100000821A KR20100000821A KR101157934B1 KR 101157934 B1 KR101157934 B1 KR 101157934B1 KR 1020100000821 A KR1020100000821 A KR 1020100000821A KR 20100000821 A KR20100000821 A KR 20100000821A KR 101157934 B1 KR101157934 B1 KR 10115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water
discharge pipe
steam discharge
inn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0545A (en
Inventor
서준
Original Assignee
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 filed Critical 서준
Priority to KR102010000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934B1/en
Priority to PCT/KR2010/008805 priority patent/WO2011074830A2/en
Publication of KR2011008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9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제 어디서나 컵, 병 등의 용기에 담긴 물을 데울 수 있는 발열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 또는 물을 수용하는 불투수성 재질의 외부포대; 상기 외부포대의 내부에 수용되며, 발열물질 또는 물 중 상기 외부포대가 수용하지 않는 것을 수용하는 불투수성 재질의 내부포대; 상기 외부포대의 일측에서 관(官)형으로 연장 형성된 증기배출관; 일단이 상기 내부포대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증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끈;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끈을 잡아당기면 상기 내부포대가 찢어지면서 발열물질과 물의 발열반응으로 열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bag capable of heating water contained in a container such as a cup or bottle anytime and any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er bag of water or an impermeable material for receiving water; An inner bag of an impermeable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bag and accommodating the outer bag of the heating material or water; A steam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bag in a tubular shape; One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ba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It comprises a, and pulling the connecting strap provides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of the heating material and water while the inner bag is torn.

Description

발열 이중 백{Heating Dubble-Bag}Heating Dubble-Bag

본 발명은 언제 어디서나 컵, 병 등의 용기에 담긴 물을 데울 수 있는 발열 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bag capable of heating water contained in a container such as a cup or bottle anytime and anywhere.

차나 커피 등 기호음료를 마시려면 물을 끓이거나 온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받아야 했고, 이동 중에 물을 끓일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한편, 등산이나 여행 중에 뜨거운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미리 뜨거운 물을 보온병에 넣어 들고다녀야 했으나 이것은 물이 식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것일 뿐 즉석에서 물을 데우거나 끓일 수 있는 수단은 되지 못하였다. Drinking a favorite beverage, such as tea or coffee, required boiling water or hot water from a water heater, and there was no way to boil water on the go.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rink hot drinks while climbing or traveling, it was necessary to carry hot water in a thermos in advance.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언제 어디서든 쉽게 물을 데울 수 있는 발열 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bag that can easily heat water anytime and anywhere while being portable.

본 발명은 물과 발열물질 간의 발열반응과 기존의 티백을 응용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exothermic reaction between the water and the exothermic material and the existing tea bag.

상기 발열물질로는 산화칼슘, 무수염화마그네슘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산화칼슘에 알루미늄 분말 또는 무수염화마그네슘 등 두 종류 또는 여러 종류의 발열물질을 혼합한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반응하는 모든 물질을 "발열물질"이라 통칭하기로 한다.Examples of the heating material include calcium oxide and anhydrous magnesium chloride, and a mixture of two or several kinds of heating materials such as aluminum powder or magnesium anhydride may be applied to the calcium oxide. Hereinafter, all materials that react with water and exothermicly will be referred to as "pyrogenic materials".

한편, 기존의 티백은 종이 주머니에 말린 찻잎을 넣어 봉하고, 상기 종이 주머니에 연결끈을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끈의 말단에는 종이 손잡이 등의 손잡이부가 장착된 것으로서, 뜨거운 물에 상기 종이 주머니를 담그면 차가 우러나도록 구성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tea bags are sealed by putting dried tea leaves in a paper bag, connecting the connection string to the paper bag, the end of the connection strap is equipped with a handle, such as a paper handle, when the paper bag is immersed in hot water It is configured to look good.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열 이중 백은 불투수성 소재의 외부포대와 내부포대가 각각 발열물질과 물을 나누어 수용하고, 상기 외부포대에는 증기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관은 외부포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이므로 추후 내부포대가 찢어져 발열물질과 물이 반응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수소 같은 기체가 상기 증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내부포대는 연결끈을 잡아당김으로써 찢겨지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연결끈의 일단은 상기 내부포대에 결합시키고, 타단은 상기 증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 타단을 잡아당겨 격막이 찢겨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격막은 인장력에 약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야 한다.In the exothermic double bag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bag and the inner bag of the impermeable material divide and receive the heating material and water, respectively, and the outer bag is provided with a steam discharge pipe. Since the steam discharge pipe communicat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outer bag, the inner bag is torn later, and gas such as steam or hydrogen generated when the heating material reacts with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On the other hand, the inner bag is configured to be torn by pulling the connecting string. That is, one end of the connecting strap is coupled to the inner bag,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thereby pulling the other e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tear the diaphragm. Therefore, the diaphragm should have a structure weak to tensile force.

이와 같이 구성된 발열 이중 백을 젖병이나 컵 등에 수용된 물에 담근 후 상기 증기배출관을 잡고 연결끈을 잡아당기면 격막이 찢어지면서 발열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발열 이중 백 전체가 뜨거워지면서 결과적으로 젖병이나 컵 등에 수용된 물이 데워지게 된다. 다만, 증기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나 증기배출관으로 전달되는 전달열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단열관이나 인양고리 같은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토록 하여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끈을 좀 더 쉽게 잡아당길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증기배출관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 연결끈의 말단에 손잡이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열 이중 백을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중에 외부포대 내부에 수용된 발열물질이나 물이 상기 증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증기배출관을 조여 묶는 조임밴드가 함께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After immersing the exothermic double ba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a bottle or cup and holding the vapor discharge tube and pulling the connecting string, the diaphragm is torn and the exothermic reaction occurs. The water will heat up. However, since burns may be caused by the high temperatur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or the transfer heat delivered to the steam discharge pipe,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 heat insulating pipe or a lifting ring may be provided to prevent burns. In addition, in order to be able to pull the connection strap more easily, the handle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str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heating material or water contained in the outer bag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while carrying or storing the heat generating double bag may be provided with a tightening band to tighten the steam discharge pipe. .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열 이중 백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컵이나 병 등에 담긴 물을 데워 따뜻한 차, 커피, 분유 등을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발열 이중 백은 용기 속의 물에 담겨진 상태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 열은 물속에서 상하좌우 전 방향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점은 기존의 발열장치가 용기의 하단이나 특정 부위에 장착되어 그 장착부위에만 열을 전달한다는 점과는 열 효율성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The heat generating double bag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and can drink hot tea, coffee, powdered milk and the like by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a cup or bottle anytime, anywhere. The exothermic double bag generates heat in the state of being contained in the water in the container, and the heat is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in the water. This is a big difference in thermal efficiency from the fact that the existing he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bottom or a specific portion of the container to transfer heat only to the mounting por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이중 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이중 백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산화칼슘과 물이 발열반응하여 물이 끓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산화칼슘과 물이 발열반응하여 수증기가 발생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백을 물이 담긴 컵에 넣고 발열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내부포대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발열 이중 백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othermic doubl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ross section of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of the boiling state of the water due to the exothermic reaction of calcium oxide and water.
4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water vapor is generated by exothermic reaction between calcium oxide and water.
FIG. 5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into a cup containing water and generates heat.
6 illustrates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having a perforation line formed in an inner bag.

본 발명은 물 또는 물을 수용하는 불투수성 재질의 외부포대; 상기 외부포대의 내부에 수용되며, 발열물질 또는 물 중 상기 외부포대가 수용하지 않는 것을 수용하는 불투수성 재질의 내부포대; 상기 외부포대의 일측에서 관(官)형으로 연장 형성된 증기배출관; 일단이 상기 내부포대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증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끈;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끈을 잡아당기면 상기 내부포대가 찢어지면서 발열물질과 물의 발열반응으로 열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er bag of water or an impermeable material for receiving water; An inner bag of an impermeable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bag and accommodating the outer bag of the heating material or water; A steam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bag in a tubular shape; One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ba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It comprises a, and pulling the connecting strap provides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of the heating material and water while the inner bag is tor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포대의 일부에는 인장력에 약한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끈을 잡아당기면 상기 내부포대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찢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ion of the inner bag is formed with a tear line weak to the tensile force, the inner bag is torn apart along the tear line by pulling the connecting string is provided with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끈의 외측 말단에 부착된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portion attached to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ng string; Provides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기배출관에 덧씌워진 단열관;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발열 이중 백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insulating tube overlaid on the steam discharge pipe; Provides with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기배출관의 말단에 결합된 인양고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ing ring coupled to the end of the steam discharge pipe; Provides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기배출관의의 중단을 조이는 조임밴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ghtening band for tightening the interruption of the steam discharge pipe; Provides a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포대(110), 내부포대(120), 증기배출관(130) 및 연결끈(140)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150), 단열관(160), 인양고리(170), 조임밴드(180)를 부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outer bag 110, the inner bag 120,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and the connecting string 140, as shown in Figure 1, the handle portion 150, the heat insulation pipe as necessary 160, the lifting ring 170 and the tightening band 180 may be added.

상기 외부포대(110)는 불투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태와 크기의 제한은 없다. 상기 내부포대(120) 역시 불투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부포대(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그 형태의 제한은 없다. 상기 외부포대(110)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포대(120)에 발열물질이 수용되고, 상기 외부포대(110)에 발열물질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포대(120)에 물이 수용되어 있어, 상기 내부포대(120)가 찢겨짐에 따라 물과 발열물질의 발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The outer bag 110 is made of an impervious material and is not limited in shape and size. The inner bag 120 is also made of an impervious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bag 110, there is no limitation in its form. When water is contained in the outer bag 110, a heating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bag 120, and when the heating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outer bag 110, water is in the inner bag 120. Since the inner bag 120 is torn, an exothermic reaction between the water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occurs.

상기 내부포대(120)는 연결끈(140)을 잡아당겨 찢는 것이므로 인장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포대(120)의 일부에 인장력에 약한 절취선(121)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결끈(140)을 잡아당기면 상기 절취선(121)을 따라 격막이 찢어지게 된다. Since the inner bag 120 is to pull the connection string 140 to tear, it should be configured to be easily torn by the tensile force. To this end, as shown in FIG. 6, a portion of the inner bag 120 may have a cut line 121 that is weak in tensile force, and in this case, the pull line 121 may be pulled out by pulling the connection string 140. As a result, the diaphragm is torn.

상기 내부포대(120)가 찢어지면 상기 외부포대(110)와 내부포대(120)의 발열물질과 물이 발열반응을 하면서 순간적으로 많은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3]과 [도 4]는 상기 발열물질의 일 예로 산화칼슘과 물을 반응시키고 이를 촬영한 사진인데, 산화칼슘과 물이 반응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격렬하게 끓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외부포대의 내부에서 발열물질과 물을 반응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을 이용하여 젖병, 컵 등의 용기에 담긴 물을 데우는 것이므로 상기 외부포대는 열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단열성 소재는 피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산화칼슘의 5~70%를 무수염화마그네슘이나 분말 알루미늄 등 두 종류 또는 여러 종류의 발열물질을 혼합한 것으로 치환하면 발열량이 더 커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물질을 특정물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모든 물질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When the inner bag 120 is torn, the heating material and the water of the outer bag 110 and the inner bag 120 exothermicly generate a lot of heat in an instant. 3 and 4 are photographs taken by reacting calcium oxide with water as an example of the exothermic material. When calcium oxide and water react, water is violently shown in FIG. Boil, and a large amount of water vapor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heat by reacting the heating material and water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bag, it is used to he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such as bottles, cups, so that the outer bag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is preferred, and at least insulating materials will be avoided. On the other hand, if 5 to 70% of the calcium oxide is replaced with a mixture of two or several kinds of heating materials, such as anhydrous magnesium chloride or powdered aluminum, the calorific value becomes large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material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and any material that generates heat by reacting with water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needed.

상기 증기배출관(130)은 상기 외부포대(110)의 일측에서 관(官)형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요소이다. 상기 증기배출관(130)은 1) 발열물질과 물이 반응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 수소 등의 기체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 2) 상기 연결끈이 지나는 통로 역할, 3) 물컵, 젖병 등의 용기에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열 백을 넣고 발열시킬 때의 손잡이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다만, 상기 증기배출관(130)은 상기 외부포대(110)에서 연장된 구성요소이고, 상기 외부포대(110)는 단열성 소재로 구성된 것이 아니므로 사람의 손으로 상기 증기배출관(130)을 직접 잡을 때에는 화상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증기배출관(130)에는 단열관(160)을 덧씌우거나, 상기 증기배출관(130)의 말단에 인양고리(170)를 결합시켜 막대, 볼펜 등의 긴 부재를 상기 인양고리(170)에 걸어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열관(160)과 인양고리(170)를 함께 구비토록 할 수 있다.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is a component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on one side of the outer bag (110).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is 1) the role of the passage of the gas, such as water vapor, hydrogen generated when the heating material reacts with the water, 2) the role of passage through the connecting string, 3) in the container, such as a water cup, baby bottle Put the heating bag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role as a handle when generating heat. However,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is a component extending from the outer bag 110, the outer bag 110 is not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o when holding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directly with a human hand There is a risk of burns. Therefore,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is overlaid with a heat insulating tube 160, or by coupling the lifting ring 170 to the end of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a long member such as a rod, a ballpoint pen to the lifting ring 170 It is possible to prevent burns by allowing them to be lifted up. Of course, the insulation tube 160 and the lifting ring 170 may be provided together.

상기 연결끈(140)은 일단이 상기 내부포대(12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증기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열 이중 백(100)을 물이 담긴 용기에 넣은 후에 상기 증기배출관(130)을 붙잡고 상기 연결끈(140)을 잡아당기면 상기 내부포대(120)가 찢어지면서 발열물질과 물의 발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연결끈(140)을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증기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말단에 손잡이부(150)를 결합시켜 둘 수 있다. 상기 연결끈(140)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인장력은 상기 내부포대(12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내부포대는(120) 인장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The connecting strap 140 is one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bag 120, the other end is a component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the heat generating double bag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 After the 100 is put in a container containing water, grabbing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and pulling the connecting string 140, the inner bag 120 is torn and an exothermic reaction of the heating material and water occurs.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pull the connecting strap 140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150 to the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External tensile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ng strap 140 should be configured to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inner bag 120. The inner bag 120 should be configured to be easily torn by the tension force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열 이중 백(100)을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외부포대(110)에 수용된 발열물질이나 물이 상기 증기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증기배출관(130)의 중단을 조이는 조임밴드(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carrying or storing the heat generating double bag 100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heating material or water contained in the outer bag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130)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ightening band 180 to tighten the interruption of 130.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mention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Therefor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발열 이중 백
110 : 외부포대 120 : 내부포대
121 : 절취선 120 : 증기배출관
140 : 연결끈 150 : 손잡이부
160 : 단열관 170 : 인양고리
180 : 조임밴드
100: fever double bag
110: outer bag 120: inner bag
121: perforated line 120: steam discharge pipe
140: connection string 150: handle
160: heat insulation pipe 170: lifting ring
180: tightening band

Claims (6)

발열물질 또는 물을 수용하는 불투수성 재질의 외부포대;
상기 외부포대의 내부에 수용되며 발열물질 또는 물 중 상기 외부포대가 수용하지 않는 것을 수용하는 불투수성 재질의 내부포대;
상기 외부포대의 일측에서 관(官)형으로 연장 형성된 증기배출관;
일단이 상기 내부포대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증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끈;
상기 연결끈의 외측 말단에 부착된 손잡이부;
상기 증기배출관에 덧씌워진 단열관; 및
상기 증기배출관의 말단에 결합된 인양고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끈을 잡아당기면 상기 내부포대가 찢어지면서 발열물질과 물의 발열반응으로 열이 발생하며,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인양고리를 통해 발열 중에도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
An outer bag made of an impermeable material containing a heating material or water;
An inner bag made of an impermeable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bag and not receiving the outer bag in a heating material or water;
A steam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bag in a tubular shape;
One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ba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A handle portion attached to an outer end of the connecting string;
An insulation tube overlaid on the vapor discharge tube; And
A lifting ring coupled to the end of the steam discharge pipe; Including;
Pulling the connecting string tears the inner bag, the heat gener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of the heating material and water, the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even during heat generation through the handle portion or the lifting ring.
제1항에서,
상기 내부포대의 일부에는 인장력에 약한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끈을 잡아당기면 상기 내부포대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찢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
In claim 1,
A portion of the inner bag is formed by a tear line weak in the tensile force, the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tear the inner bag along the tear line when pulling the connecting st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증기배출관의 중단을 조이는 조임밴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이중 백.
The method of claim 1 or 2,
Tightening band for tightening the interruption of the steam discharge pipe; Heat generating double ba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KR1020100000821A 2009-12-14 2010-01-06 Heating Dubble-Bag KR1011579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821A KR101157934B1 (en) 2010-01-06 2010-01-06 Heating Dubble-Bag
PCT/KR2010/008805 WO2011074830A2 (en) 2009-12-14 2010-12-09 Heat generating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821A KR101157934B1 (en) 2010-01-06 2010-01-06 Heating Dubble-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545A KR20110080545A (en) 2011-07-13
KR101157934B1 true KR101157934B1 (en) 2012-06-22

Family

ID=4491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821A KR101157934B1 (en) 2009-12-14 2010-01-06 Heating Dubble-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93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966U (en) * 1985-02-12 1986-08-22
KR930017724U (en) * 1992-01-30 1993-08-20 최석환 Heating element for food heating container
KR200336223Y1 (en) * 2003-08-06 2003-12-18 (주)참맛 Flameless heater
KR20050050934A (en) * 2003-11-26 2005-06-01 맹태훈 Single-use pyrexia lunch pack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966U (en) * 1985-02-12 1986-08-22
KR930017724U (en) * 1992-01-30 1993-08-20 최석환 Heating element for food heating container
KR200336223Y1 (en) * 2003-08-06 2003-12-18 (주)참맛 Flameless heater
KR20050050934A (en) * 2003-11-26 2005-06-01 맹태훈 Single-use pyrexia lunch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545A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8865A1 (en) Portable beverage bottle heaters and coolers
US20070281058A1 (en) Utility package for heating or cooling liquids and food
KR101105660B1 (en) Heating Container and Separable Heating nursing bottle
US20090314667A1 (en) Container for receiving a cartridg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KR101157934B1 (en) Heating Dubble-Bag
US7709035B2 (en) Self-heating, self-hydrating pouch to simultaneously hydrate and heat completely or partially dehydrated food or beverage products in said pouch
KR20110067242A (en) Heating bag
CN206675179U (en) A kind of stay-supported lunch box capable of heating
JP2000107039A (en) Portable heating container
ITPD20010096A1 (en) SELF-COOLING CONTAINER, PARTICULARLY FOR DRINKS.
CN214190799U (en) Warm water bag
KR101136566B1 (en) A separable Heating nursing bottle
CN214804168U (en) Beverage heating device
WO2011074830A2 (en) Heat generating bag
JP3191053U (en) Heating agent heating container
KR20070115165A (en) Bottle cap installed with heating package
US10934464B2 (en) Flameless automatic food heating agent and method thereof
JPH0118126Y2 (en)
CN202272342U (en) Self-heating wine box
JP3073035U (en) Beverage container with heating function
TWI327059B (en)
JPS629151A (en) Heating device
JPH0137543Y2 (en)
JP2015161490A (en) Heating pack, and heater with the heating pack
CN201253149Y (en) Self-heating multipurpose vacuum fl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