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647B1 -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647B1
KR101157647B1 KR1020090121299A KR20090121299A KR101157647B1 KR 101157647 B1 KR101157647 B1 KR 101157647B1 KR 1020090121299 A KR1020090121299 A KR 1020090121299A KR 20090121299 A KR20090121299 A KR 20090121299A KR 101157647 B1 KR101157647 B1 KR 10115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housing
contac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617A (ko
Inventor
신현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투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투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투엔텍
Priority to KR102009012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6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과 광촉매에 의해 처리대상수에 포함된 세균과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살균 및 분해할 수 하는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는 양측이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투광튜브와, 투광튜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광튜브의 외측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투광튜브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단위블록들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투광튜브의 외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통로들을 형성하되 물의 체류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통로들이 상호 연결되어 단일의 수로를 형성하는 광반응유니트와,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로의 입구로 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수로를 통과하여 살균처리된 물을 배출시킬 있도록 형성된 캡유니트와,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캡유니트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90121299
자외선, 광촉매, 수처리, 살균

Description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Ultra violeat sterilizer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과 광촉매에 의해 처리대상수에 포함된 세균과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살균 및 분해할 수 하는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산업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을 하여 상수도 보급률은 1961년도에 17.1%, 1인1일당 급수량은 102리터에서 2001년도에 87.8%, 1인1일당 급수량은 374리터로 증가하였으며, 2005년도에 상수도 보급률은 95%까지 상승하였다.
상수도 보급률과 함께 환경오염에 따른 수질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수돗물에서 각종 유해물질이 검출되기도 한다. 이러한 유해성 물질의 검출은 인구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각종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폐수, 대기오염물질 배출과도 무관하지 않다. 특히, 정수 처리장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염소소독은 처리수 중에 인체에 해로운 THM(Trihalomethanes)물질을 생성하며 각종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염소계 유기화합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난분해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부 처리장에서는 활성탄 흡착, 오존산화법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활성탄 흡착법은 물리적 흡착에 의한 오염가 능성이 있으며 오존 산화법은 난분해성 유기물의 산화 시 부산물을 생성하기 쉽고 브롬(Br) 화합물을 생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수돗물의 음용을 기피하여 수돗물 대신에 지하수나 시판 생수를 음용하거나 정수기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수돗물을 매번 끓여 먹거나 지하수를 이용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시판 생수를 이용하는 경우 비용이 문제가 되므로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정수기를 주로 사용하여 음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국내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정수기들은 물속에 함유된 냄새, 트리할로메탄, 세균류, 맛, 천연 유기물질, 이온성 물질 등이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시에 미생물 등에 의한 오염으로 수돗물보다 불안전한 물을 공급하게 되어 적잖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2차 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병원성 세균 및 유해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소독이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원수 중의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광촉매를 이용하여 자외선만으로 처리할 수 없는 유기물질까지 분해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는 양측이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투광튜브와; 상기 투광튜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광튜브의 외측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투광튜브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단위블록들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투광튜브의 외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통로들을 형성하되 물의 체류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통로들이 상호 연결되어 단일의 수로를 형성하는 광반응유니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로의 입구로 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수로를 통과하여 살균처리된 물을 배출시킬 있도록 형성된 캡유니트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캡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단위블록은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투광튜브의 외면과 접촉하는 접촉턱과, 상기 접촉턱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턱의 양측에 나란하도록 마련되며 인접하는 단위블록과 결합하여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아치부와, 상기 제 1아치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제 2아치부와 맞물려 결합하는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 2아치부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제 1아치부와 맞물려 결합하는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아치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턱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반응유니트는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절개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위블록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블록의 제 1 및 제 2아치부는 물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자외선광에 의해 광활성화되는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캡유니트는 상기 광반응유니트의 일측에 결합하며 제 1 및 제 2관통홀이 형성된 제 1격판과, 상기 제 1홀을 통해 상기 통로들 중 상기 수로의 입구가 되는 통로에 삽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제 2홀을 통해 상기 통로들 중 상기 수로의 출구가 되는 통로에 삽입되는 배출관을 가지는 출입모듈과, 상기 출입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하는 제 1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단위블록이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광반응유니트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통로를 가지므로 물의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광반응유니트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물이 광반응유니트 내에서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자외선 광과 접촉하는 시간을 늘려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촉매를 이용하여 원수 중의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유기물질까지 분해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는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도 4는 도 1에 적용된 광반응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는 크게 하우징(10)과, 투광튜브(20)와, 자외선램프(25)와, 광반응 유니트(30)와, 제 1캡유니트(60) 및 제 2캡유니트(8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좌우 양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하우징(10)의 좌우 양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 1 및 제 2캡유니트의 제 1 및 제 2덮개가 각각 나사결합된다.
투광튜브(20)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투광튜브(20)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일 예로 석영관을 이용할 수 있다. 투광튜브(20)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10)의 중심에 설치된다. 투광튜브(20)의 길이는 하우징(10)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튜브(20)의 내부에는 통상적인 자외선 램프(25)가 설치된다. 투광튜브(20)는 자외선램프(25)에서 생성된 광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자외선 램 프(25)가 물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살균효과는 곰팡이류를 제외한 모든 균종에 대해 유효하다. 자외선의 살균효과는 자외선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 데 250 내지 260nm의 파장이 가장 효과적이므로 250 내지 260nm의 파장의 자외선램프(2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자외선 램프(25)는 전선(27)과 연결된 전원부를 통해 구동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부로 상용 전원 또는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만 자외선 램프(25)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 즉 유속센서나 유량센서를 설치하고, 하우징(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외선 램프(25)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회로를 구성한다.
광반응유니트(30)는 외형이 하우징(10)의 곡률반경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광반응유니트(30)는 투광튜브(20)를 둘러싸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장 바깥측부터 하우징(10), 광반응유니트(30), 투광튜브(20)가 동심원을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광반응유니트(30)의 내측에는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 연속되는 통로(35)가 마련된다. 이러한 통로(35)는 광반응 유니트(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가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광반응유니트(30)의 중심에는 투광튜브(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광반응유니트(30)는 투광튜브(20)를 중심으로 다수의 통로들(35)이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통로(35)가 형성된 모 습을 나타내고 있다. 각 통로(35)의 일부는 투광튜브(20)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자외선 광이 통로(35)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로들(35)은 서로 연결되어 물이 이동하는 단일의 수로를 형성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통로(35)를 통해 유입된 물은 나머지의 통로들을 순차적으로 흘러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광반응 유니트(30)는 다수의 단위블록들(40)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4개의 단위블록(40)이 결합하여 하나의 광반응 유니트(30)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광반응 유니트(30)는 2개 또는 3개, 또는 5개 이상의 단위블록(40)이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반응유니트(30)를 이루는 각 단위블록들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제 1단위블록(40a), 제 2단위블록(40b), 제 3단위블록(40c), 제 4단위블록(40d)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 1단위블록(40a)은 내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단부가 투광튜브의 외면과 접촉하는 접촉턱(41a)과, 접촉턱(41a)을 사이에 두고 접촉턱(41a)의 양측에 나란하도록 마련되며 인접하는 제 2단위블록(40b) 및 제 3단위블록(40c)과 결합하여 통로(35)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아치부(45a)(47a)와, 제 1아치부(45a)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제 2단위블록(40b)의 제 2아치부(47b)와 맞물려 결합하는 제 1결합부(48a)와, 제 1결합부(48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2아치부(47a)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제 3단위블록(40c)의 제 1아치부와 맞물려 결합하는 제 2결합부(49a)와, 상기 제 1 및 제 2아치부(45a)(47a)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접촉턱(41a)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부(43a)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아치부(45a)(47a)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측면에 후술할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결합부(48a)는 제 1아치부(45a)의 내측면에 턱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 2결합부(49a)는 제 2아치부(47a)의 외측면에 턱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결합부(48a)(49a)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 2단위블록(40b), 제 3단위블록(40c), 제 4단위블록(40d)의 구성은 상술한 제 1단위블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각 단위블록에 형성된 절개부의 위치가 인접하는 단위블록과 다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각 단위블록은 인접하는 단위블록과 서로 결합하여 이웃하는 제 1 및 제 2아치부끼리 연결됨으로써 통로(35)를 형성한다. 제 1단위블록(40a)의 제 1결합부(48a)가 제 2단위블록(40b)의 제 2결합부(49b)와 결합하게 되면 제 1단위블록(40a)의 제 1아치부(45a)와 제 2단위블록(40b)의 제 2아치부(47b)가 결합하여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 1단위블록(40a)의 제 2결합부(49a)는 제 3단위블록(40c)의 제 1결합부(48c)와 결합하게 되면 제 1단위블록(40a)의 제 2아치부(47a)와 제 3단위블록(40c)의 제 1아치부(45c)가 결합하여 또 하나의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4개의 단위블록이 결합되면 총 4개의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각 통로들은 절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각 단위블록에 형성된 절개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단위블록들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단위블록 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광반응유니트를 형성하는 경우 제 1단위블록(40a)에는 절개부(43a)가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면, 인접하는 제 2 및 제 3단위블록(40b)(40c)에는 절개부(43b)(43c)가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4단위블록(40d)의 접촉턱(41d)의 절개부(43d)는 좌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단위블록들의 구성에 의해 광반응유니트(30)는 각 통로들이 서로 연결되어 지그재그로 물이 흐르는 하나의 수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수로의 입구, 즉 어느 한 통로로 유입된 물은 각 통로를 따라 지그재그로 흐르면서 투광튜브(20)의 주위를 한바퀴 돌아 수로의 출구인 마지막 통로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각 통로를 절개부에 의해 지그재그로 연결함으로써 물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는 광반응유니트(30)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물이 광반응유니트(30) 내에서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자외선 광과 접촉하는 시간을 늘려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단위블록(40)의 제 1 및 제 2아치부는 물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돌기들(50)이 돌출되어 형성된 접촉면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돌기(50)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물이 흐르는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통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돌기와 접촉하여 난류화된다. 이런 난류화 흐름에 의해 자외선 광과의 접촉면적을 더욱 증대시켜 수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아치부의 접촉면에는 물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질을 분해 할 수 있도록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광촉매는 자외선광에 의해 강력한 산화 환원 능력을 갖는 물질로서, 광촉매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ZnO, CdS, WO3, TiO2 등이 있다. 이 중 이산화티타늄은 여기전자가 갖는 환원력보다도 정공이 갖는 산화력이 대단히 세다. 정공의 에너지 위치는 전위로 나타내면 수소기준 전위로 약 +3 V로서 염소(Cl2)의 1.36 V와 오존(O3)의 2.07 V에 비하여 훨씬 높은 산화력을 가져 강력한 살균력과 유기물 분해능력을 갖는다. 따라서 광촉매로서 이산화티타늄( TiO2 )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는 자외선램프에 의해 자외선광이 조사되면 전자, 전공대가 형성되어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하이드록시 라디칼(-OH)과 슈퍼옥사이드를 생성하고 하이드록시 라디칼과 슈퍼 옥사이드가 유기화합물을 산화 분해시켜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시킨다. 이런 원리로 수중의 유기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시켜 무해한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시킨다.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도 광촉매의 강한 산화작용에 의해 분해되어 살균된다.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에 제 1캡유니트(60)가 결합된다. 제 1캡유니트(60)를 통해 광반응유니트(30)로 물이 유입되고 수처리된 물이 배출된다.
제 1캡유니트의 일 예로 광반응유니트(30)의 일측에 결합하며 제 1 및 제 2관통홀(63)(65)이 형성된 제 1격판(61)과, 유입관(73) 및 배출관(71)이 설치된 출입모듈(73)과, 제 1덮개(79)로 이루어진다.
제 1격판(61)은 원판형으로 하우징(10)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제 1격판(61)에는 상기 제 1 및 제 2관통홀(63)(65) 외에도 투광튜브(20)의 단부가 끼 워지는 삽입홀(67)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삽입홀(67)은 제 1 및 제 2관통홀(63)(65)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삽입홀이 제 1 및 제 2관통홀과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광튜브(20)의 길이에 따라 삽입홀(67)은 생략될 수 있다. 제 1격판(61)은 수로의 입구가 되는 통로와 수로의 출구가 되는 통로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통로를 광반응유니트(30)의 일측에서 막는 역할을 한다.
출입모듈(70)에 설치된 유입관(73)은 제 1격판의 제 1관통홀(63)에 끼워져 수로의 입구, 즉 물이 유입되는 통로에 삽입된다. 그리고 배출관(65)은 제 1격판의 제 2관통홀(65)에 끼워져 수로의 출구, 즉 물이 배출되는 통로에 삽입된다. 유입관(73)에는 원수, 즉 처리대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원수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된다. 그리고 배출관(65)에는 광반응유니트에서 수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처리수 이송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를 상수도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원수공급관과 처리수 이송관으로 상수도관이 적용된다. 상기 유입관(73) 및 배출관(65)은 통로에 삽입되는 부분은 통로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덮개(79)는 출입모듈(70)을 지지하도록 하우징(10)에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미설명된 부호 75, 77은 제 1덮개(79)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무링으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2캡유니트(80)는 하우징(10)의 개방된 타측에 결합한다. 제 2캡유니트(80)는 광반응유니트(30)의 타측에 결합하는 제 2격판(81)과, 제 2격판(81)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외선램프의 전선(27)을 인출시키는 고무관(83)과, 하우 징(10)에 나사결합하는 제 2덮개(85)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된 부호 84는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링이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는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광반응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투광튜브
25: 자외선 램프 30: 광반응유니트
35: 통로 40: 단위블록
60: 제 1캡유니트 80: 제 2캡유니트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광튜브와;
    상기 투광튜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광튜브의 외측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투광튜브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단위블록들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투광튜브의 외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통로들을 형성하되 물의 체류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통로들이 상호 연결되어 단일의 수로를 형성하는 광반응유니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로의 입구로 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수로를 통과하여 살균처리된 물을 배출시킬 있도록 형성된 제 1캡유니트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캡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각 단위블록은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투광튜브의 외면과 접촉하는 접촉턱과, 상기 접촉턱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턱의 양측에 나란하도록 마련되며 인접하는 단위블록과 결합하여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아치부와, 상기 제 1아치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제 2아치부와 맞물려 결합하는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 2아치부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제 1아치부와 맞물려 결합하는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아치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턱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반응유니트는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절개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위블록들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의 제 1 및 제 2아치부는 물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해 돌출된 다수의 돌기가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자외선광에 의해 광활성화되는 광촉매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캡유니트는 상기 광반응유니트의 일측에 결합하며 제 1 및 제 2관통홀이 형성된 제 1격판과, 상기 제 1홀을 통해 상기 통로들 중 상기 수로의 입구가 되는 통로에 삽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제 2홀을 통해 상기 통로들 중 상기 수로의 출구가 되는 통로에 삽입되는 배출관을 가지는 출입모듈과, 상기 출입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하는 제 1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KR1020090121299A 2009-12-08 2009-12-08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KR10115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99A KR101157647B1 (ko) 2009-12-08 2009-12-08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99A KR101157647B1 (ko) 2009-12-08 2009-12-08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617A KR20110064617A (ko) 2011-06-15
KR101157647B1 true KR101157647B1 (ko) 2012-06-18

Family

ID=4439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299A KR101157647B1 (ko) 2009-12-08 2009-12-08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6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6896A (en) * 1986-01-17 1987-06-30 Norton William W Faucet mounted purifier
KR200273844Y1 (ko) 2002-02-05 2002-04-27 고석배 자외선 살균장치의 유수 유도관
KR20050078989A (ko) * 2004-02-03 2005-08-08 심종섭 광촉매 살균정화장치
KR100732497B1 (ko) 2004-05-11 2007-06-29 김태형 광촉매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6896A (en) * 1986-01-17 1987-06-30 Norton William W Faucet mounted purifier
KR200273844Y1 (ko) 2002-02-05 2002-04-27 고석배 자외선 살균장치의 유수 유도관
KR20050078989A (ko) * 2004-02-03 2005-08-08 심종섭 광촉매 살균정화장치
KR100732497B1 (ko) 2004-05-11 2007-06-29 김태형 광촉매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617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799A (en) Apparatus for ultraviolet disinfection of water
Luo et al. Advances in application of ultraviolet irradiation for biofilm control in water and wastewater infrastructure
JP5756634B2 (ja) バラスト水を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906823B1 (ko) 상수도관 연결형 정수장치
WO2012010645A1 (en) Photocatalytic purification device
JP5559340B2 (ja) 紫外線照射死角領域を除去した紫外線を利用した殺菌浄化装置
US20200206374A1 (en) Subsea biofouling preventer device
Ochiai et al. Development of a hybrid environmental purification unit by using of excimer VUV lamps with TiO2 coated titanium mesh filter
US20050218084A1 (en) Enhanced photocatalytic system
KR100480347B1 (ko) 광촉매 및 자외선램프 모듈을 이용한 살균 및 정화장치
KR200434724Y1 (ko) 오폐수 살균 및 정화 처리장치
KR101697046B1 (ko) 광촉매 살균정수기
KR101157647B1 (ko) 수처리용 자외선 살균기
KR200346263Y1 (ko) 광촉매 살균정수 장치를 이용한 직결형 광촉매 살균 정수기
KR100774565B1 (ko) 상하수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0924392B1 (ko) 자외선 조사 사각영역을 제거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정화장치
JP4445930B2 (ja) オゾン反応型流体用照射装置
JP4273105B2 (ja) 流体用照射装置
KR20090009624U (ko) 정수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0384586B1 (ko) 광촉매를 이용한 정화 장치
KR100567252B1 (ko) 정수기용 물탱크
KR200330424Y1 (ko) 살균램프가 설치된 정수기 꼭지
KR200387558Y1 (ko) 최적 배열구조를 갖는 광촉매 살균 구조체
KR20170067478A (ko) 수 처리장치
JPH08155445A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