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645B1 -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645B1
KR101156645B1 KR1020100073973A KR20100073973A KR101156645B1 KR 101156645 B1 KR101156645 B1 KR 101156645B1 KR 1020100073973 A KR1020100073973 A KR 1020100073973A KR 20100073973 A KR20100073973 A KR 20100073973A KR 101156645 B1 KR101156645 B1 KR 10115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witch
series
open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076A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0007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6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댐퍼가 직렬로 구비되어 다양한 힘(댐핑력)의 구현이 가능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홀(120)과; 외부의 링크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며, 상기 안내홀(120)을 따라 유동하는 스위치(130)와;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13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어셈블리(200)와; 상기 스위치(13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여, 스위치(1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복귀수단(1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댐퍼(210,220)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힘(댐핑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Control device have series damper}
본 발명은 도어나 서랍 등에 사용되는 개폐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댐퍼가 직렬로 구비되어 다양한 힘(댐핑력)의 구현이 가능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랍의 개폐가 사용자에 의해 모두 이루어졌으나, 근래에는 서랍의 개폐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가 출현하고 있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08-0118919호에는 서랍의 닫힘을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닫힘조절수단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닫힘조절수단은, 서랍의 닫힘뿐만 아니라, 도어의 닫힘은 물론, 서랍이나 도어 등의 자동 열림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닫힘조절수단(개폐조절장치)의 구조에서는, 스위치에 댐퍼와 인장스프링 등이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나 서랍이 닫히거나 열리는 경우에 개폐속도가 댐퍼에 의해 감속되고, 종국에는 인장스프링의 힘에 의해 도어나 서랍이 완전히 개폐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나의 댐퍼만이 이용되므로, 설정된 동일한 댐핑력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환경에 따른 다양한 힘(댐핑력)을 가지는 개폐조절장치(닫힘조절수단)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어나 서랍의 개폐속도 조절력(에너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댐퍼의 댐핑력(Damper force)을 높이거나, 댐퍼의 스트로크(stroke)를 길게 하여야 한다.
그런데, 댐퍼의 댐핑력(Damper force)을 높이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댐퍼의 스트로크(stroke)를 증가시키려면 로드(rod)를 길게 하거나 댐퍼하우징(실린더)를 길게 하여야 하므로 재료비(cost)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하나의 댐퍼를 가지고, 스트로크(stroke)별로 다양한 힘을 나타내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댐퍼가 직렬로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힘(댐핑력)을 구현할 수 있는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홀과; 외부의 링크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며, 상기 안내홀을 따라 유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와; 상기 스위치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여, 스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는, 다수의 댐퍼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의 댐퍼는, 댐핑력이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댐퍼가 다수의 열(列)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에는, 댐퍼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보조복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댐퍼가 직렬로 구비된다. 따라서, 스트로크(stroke)를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직렬로 구비되는 다수의 댐퍼가 서로 다른 힘(댐핑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트로크(stroke)별로 다양한 크기의 힘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댐핑력(Damper force)이 큰 댐퍼와 댐핑력(Damper force)이 작은 댐퍼를 서로 조합하여 필요한 소정의 힘을 가지도록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댐핑력(Damper force)을 가지는 다수의 댐퍼가 직렬로 설치되므로, 상대적으로 댐핑력(Damper force)이 작은 댐퍼가 먼저 작동된다. 따라서, 도어나 서랍의 개폐시 초기 충격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다수의 댐퍼가 다수의 열(列)로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조절장치는, 도어나 서랍 또는 이와 대응되는 다양한 설비에 구비되어, 도어나 서랍 등이 자동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폐조절장치는 도어나 서랍 또는 이와 대응되는 문틀이나 가구 등에 설치되는 링크와 선택적으로 간섭된다. 즉, 개폐조절장치에 구비되는 스위치가 링크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되어, 도어나 서랍의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링크는, 종래기술 등에도 예시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링크와 부대설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개폐조절장치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의 일부가 절개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조절장치(100)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홀(120)과, 상기 안내홀(120)을 따라 유동하는 스위치(130)와, 상기 스위치(13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어셈블리(200)와, 상기 스위치(13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여 스위치(1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복귀수단(1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프레임(110)은 도어나 서랍 또는 이와 대응되는 문틀이나 가구 등에 장착된다.
상기 안내홀(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0)을 전후로 관통하는 홀(hol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홀(120)의 우측단은 단계적으로 다수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안내홀(120)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핀(134,135)이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수평홀(122)과, 상기 수평홀(122)의 단부(우측단)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핀(134,135)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홀(124)과, 상기 가이드홀(124)의 단부(우측단)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핀(134,135)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1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홀(122)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124)은 상기 수평홀(122)의 우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126)은 상기 가이드홀(124)의 우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130)는, 외부의 링크(도시되지 않음)와 선택적으로 간섭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개폐조절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링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개폐조절장치(100)가 도어나 서랍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문틀이나 서랍이 수용되는 가구 등에는 링크가 설치되어, 도어나 서랍이 개폐될 때 상기 스위치(130)와 링크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도어나 서랍의 자동 개폐 및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130)의 상면에는, 링크와 간섭되는 한 쌍의 링크돌기(132,133)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위치(130)의 상면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링크홈(131)이 형성되고, 이러한 링크홈(131)의 좌우에는 한 쌍의 링크돌기(132,133)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링크홈(131)은 상기 스위치(13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링크홈(131)에 링크(도시되지 않음)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링크돌기(132,133)는, 상기 스위치(13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3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단 좌측에 형성되는 닫힘돌기(132)와, 상단 우측단에 형성되는 열림돌기(1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는 상기 링크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닫힘돌기(132)는 서랍(도시되지 않음)이나 도어(도시되지 않음)가 닫히는 경우에 링크(도시되지 않음)와 먼저 접하는 부분이며, 상기 열림돌기(133)는 서랍이나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 링크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스위치(130)에는 상기 안내홀(12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핀(134,135)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스위치(130)의 중앙 부분 좌우에는 전후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핀(134,135)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홀(120)에 수용된 상태로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핀(134,135)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안내홀(12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130)의 중앙 부근 우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134)과, 상기 스위치(130)의 중앙 부근 좌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1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13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복귀연결단(136)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복귀수단(150)의 우측단이 연결되는 복귀연결단(136)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복귀연결단(136)에 복귀수단(150)의 우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복귀수단(150)이 연결되는 복귀연결단(136)은, 상기 가이드핀(134,135)의 위치보다 항상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스위치(130)가 상기 안내홀(12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위치(130)의 하단부를 당겨 스위치(130)가 고정되도록 하는 복귀연결단(136)은, 상기 스위치(130)의 회전 중심(작용점) 역할을 하는 상기 제1가이드핀(134)보다 적어도 하측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1가이드핀(134)이 상기 고정홀(126)에 정지한 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귀수단(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좌측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130)에 일방향(좌측방향)의 힘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복귀수단(150)은 상기 스위치(130)를 항상 좌측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복귀수단(150)이, 상기 스위치(130)가 우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따라서 이러한 복귀수단(150)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상기 프레임(11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13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130)와 연결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댐퍼(210,220)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상기 프레임(110)에 좌측단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댐퍼(210)와, 상기 고정댐퍼(2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유동댐퍼(2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댐퍼(210)는, 댐퍼의 하우징(housing)을 이루는 원통 형상의 고정실린더(212)와, 상기 고정실린더(212)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로드(2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실린더(212)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된다.
상기 유동댐퍼(220)는 전체가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의 유동실린더(222)와, 상기 유동실린더(222)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유동로드(2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실린더(222)의 좌측단은 상기 고정로드(214)의 우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유동로드(224)의 우측단은 상기 스위치(130)의 좌측부에 형성되는 로드체결단(13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댐퍼(210,220)는, 댐핑력(Damper force)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댐퍼(210)는 상대적으로 댐핑력(Damper force)이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댐퍼(220)는 고정댐퍼(210)에 비해 댐핑력(Damper force)이 작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위치(130)이 이동시 상기 유동댐퍼(220)가 먼저 반응하고, 다음으로 고정댐퍼(210)가 반응하게 된다. 이처럼 각 댐퍼의 댐핑력(Damper force)을 서로 상이하게 하면, 상대적으로 댐핑력(Damper force)이 작은 댐퍼가 먼저 작동되므로, 도어나 서랍의 개폐시 초기 충격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댐퍼(210,220)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210,220)에는, 댐퍼(210,22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보조복귀수단(230)이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댐퍼(210)는 고정로드(214)가 고정실린더(212) 내부로 삽입된 다음 다시 외부로 용이하게 돌출되도록 하는 보조복귀수단(2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복귀수단(230)은, 상기 고정실린더(212)의 내부나 외부에 설치된다. 도 2에는 상기 보조복귀수단(230)이 상기 고정실린더(212)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상기 보조복귀수단(230)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로드(214)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보조복귀수단(230)은 상기 고정실린더(212)와 유동실린더(222)가 항상 멀어지도록 힘을 강제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의 작용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나 서랍을 여는 경우, 서랍이나 도어를 우측으로 당기면 서랍이나 도어는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리게 된다. 즉, 처음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스위치(130)가 안내홀(120)의 좌측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개폐조절장치(100)는 문틀이나 가구에 장착되어 있으며, 링크(도시되지 않음)는 도어나 서랍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도어나 서랍에 고정된 링크(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링크홈(131)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랍이나 도어를 열게 되면, 링크에 의해 상기 스위치(130)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134,135)은 상기 안내홀(12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위치(130)가 우측으로 점차 이동하면, 상기 링크홈(131)에 삽입되어 있던 링크(도시되지 않음)는 링크홈(131)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스위치(130)는 안내홀(120)의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위치(130)의 우측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핀(134)은 상기 안내홀(120)의 수평홀(122) 및 가이드홀(124)을 차례로 통과한 다음, 상기 고정홀(126)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핀(134)이 상기 고정홀(126)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링크(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스위치(130)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스위치(130)는 상기 복귀수단(150)의 인장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게 되고, 이러한 복귀수단(150)의 힘에 의해 상기 스위치(130)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복귀수단(150)의 우측단이 연결되는 상기 복귀연결단(136)이 상기 제1가이드핀(134)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고정홀(126)은 상기 수평홀(122) 및 가이드홀(124)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126)의 길이방향과 상기 복귀연결단(136)과 제1가이드핀(134)의 선분이 이루는 각이 거의 직각을 유지하므로 상기 제1가이드핀(134)은 상기 고정홀(126)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130)는 상기 안내홀(120)의 우측단에서 정지하게 되고, 계속적으로 도어나 서랍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완전히 열리게 된다.
다음으로, 도어나 서랍을 닫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먼저 이때에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링크(도시되지 않음)가 우측으로부터 접근하여 상기 스위치(130)와 간섭된다. 즉, 도어나 서랍(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 링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스위치(130)에 접근하여 상기 닫힘돌기(132)에 부딪힌다. 따라서, 이러한 충돌 힘으로 인하여 상기 스위치(130)가 좌측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핀(134)이 상기 고정홀(126)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가이드홀(124)과 수평홀(122)로 차례로 이동한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닫혀지던 도어나 서랍은 상기 댐퍼어셈블리(200)에 의해 속도가 감속된다. 이처럼, 도어나 서랍을 닫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나 서랍을 좌측으로 한차례 밀어 이동하도록 하면, 그 다음에는 링크가 상기 스위치(130)와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도어나 서랍을 끝까지 닫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도어나 서랍의 닫힘이 완전히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댐퍼어셈블리(20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댐핑력(Damper force)이 작은 유동댐퍼(220)가 먼저 작동하여 유동로드(224)가 유동실린더(222) 내부로 압축된 다음, 압축된 시점부터 상기 고정댐퍼(210)가 작동될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댐퍼(210)의 고정로드(214)는 유동실린더(222)에 의해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로드(214)의 스트로크(stroke)와 유동실린더(222)의 스트로크(stroke)는 같아지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댐핑력(Damper force)의 크기에 따라 상기 고정댐퍼(210)와 유동댐퍼(220)의 작동순서가 변경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작용 설명시, 도어나 서랍에 링크가 구비되고, 문틀이나 가구에 상기 개폐조절장치(100)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링크와 개폐조절장치(100)의 설치장소는 서로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폐조절장치(100)는, 도어나 서랍 등의 열림은 물론, 닫힘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130)와 안내홀(120)이 각각 1개씩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위치(130)와 안내홀(120)의 수량은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홀(120)이, 각각 수평홀(122)과 가이드홀(124) 및 고정홀(126)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홀의 구성도 하나의 경사면 또는 하나의 곡률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가이드홀(124) 및 고정홀(126)이 소정 경사를 가지는 하나의 홀(hole)로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단일 홀(hole)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복귀수단(230)이 고정댐퍼(210)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고정댐퍼(210)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어셈블리(200)가 하나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직렬 댐퍼를 가지는 댐퍼어셈블리(200)가 다수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댐퍼(210,220)가 다수의 열(列)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이와 같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댐퍼(210,220)가 다수의 열(列)을 이루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직렬 댐퍼가 상하로 열(列)을 이루고 있다. 즉, 고정댐퍼(210)와 유동댐퍼(220)가 상하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열(列)의 고정댐퍼(210)와 유동댐퍼(220)는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100. 개폐조절장치 110. 프레임
120. 안내홀 130. 스위치
150. 복귀수단 200. 댐퍼어셈블리
210. 고정댐퍼 220. 유동댐퍼

Claims (4)

  1.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홀(120)과;
    외부의 링크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며, 상기 안내홀(120)을 따라 유동하는 스위치(130)와;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13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어셈블리(200)와;
    상기 스위치(13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여, 스위치(1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복귀수단(1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댐퍼(210,220)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댐퍼(210,220)는,
    댐핑력(Damper force)이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어셈블리(20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댐퍼(210,220)가 다수의 열(列)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댐퍼(210,220)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210,220)에는,
    댐퍼(210,22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보조복귀수단(23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KR1020100073973A 2010-07-30 2010-07-30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KR101156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973A KR101156645B1 (ko) 2010-07-30 2010-07-30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973A KR101156645B1 (ko) 2010-07-30 2010-07-30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076A KR20120012076A (ko) 2012-02-09
KR101156645B1 true KR101156645B1 (ko) 2012-06-14

Family

ID=4583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973A KR101156645B1 (ko) 2010-07-30 2010-07-30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6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19B1 (ko) 2002-03-25 2006-11-17 아르투로 살리세 에스.피.에이. 안내되어 이동되는 가구부재의 운동에너지 및 / 또는운동에 반대되는 충격의 완충장치
KR100896162B1 (ko) 2005-12-14 2009-05-11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미닫이문 급폐 방지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19B1 (ko) 2002-03-25 2006-11-17 아르투로 살리세 에스.피.에이. 안내되어 이동되는 가구부재의 운동에너지 및 / 또는운동에 반대되는 충격의 완충장치
KR100896162B1 (ko) 2005-12-14 2009-05-11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미닫이문 급폐 방지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076A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538B1 (ko) 도어 또는 서랍의 개폐조절장치
KR101118731B1 (ko) 유압식 가동보
CN105507720A (zh) 一种双向阻尼器及其应用的移动门
KR101668355B1 (ko)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156645B1 (ko) 직렬댐퍼가 구비된 개폐조절장치
US10641027B2 (en) Door hinge
CN113710865B (zh) 用于家具的铰接门的打开和关闭的铰接件
CN105927065A (zh) 汽车电动尾门锁紧装置
KR200478368Y1 (ko)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KR101156640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1114484B1 (ko) 다중 탄성체가 설치된 자동 폐쇄 장치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KR101197547B1 (ko) 장력조절기능을 가지는 개폐조절장치
KR101148120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2567363B1 (ko) 도어용 반자동장치
CN204960619U (zh) 一种新型反向阻尼器装置
CN205477063U (zh) 一种双向阻尼器及其应用的移动门
KR101113134B1 (ko) 도어 개폐구조
CN202534046U (zh) 防暴力推开关门锁定机构
KR200484353Y1 (ko) 공기유압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닫힘 장치
CN109914961A (zh) 一种推拉移门的缓冲装置
KR200462046Y1 (ko) 도어 개폐구조
CN103422762A (zh) 用于多门左右缓冲开合的导向装置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