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217B1 -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217B1
KR101155217B1 KR1020100040821A KR20100040821A KR101155217B1 KR 101155217 B1 KR101155217 B1 KR 101155217B1 KR 1020100040821 A KR1020100040821 A KR 1020100040821A KR 20100040821 A KR20100040821 A KR 20100040821A KR 101155217 B1 KR101155217 B1 KR 101155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solar energy
power generation
transparent pipe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291A (ko
Inventor
임재훈
Original Assignee
임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훈 filed Critical 임재훈
Priority to KR102010004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21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7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means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useful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에서 복사된 태양에너지로 전기발전하도록 지표면과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성한 태양발전부와 상기 투명한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온실효과에 의해 발생한 상승기류로 풍력발전을 하는 풍력발전부를 포함해 구성하되, 상기 태양발전부는 태양에너지변환판을 투명한 파이프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투명한 파이프 내주연에 한쌍의 고정레일을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하고, 이때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을 집열판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을 태양전지판(솔라셀)으로 구성하며,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의 배면에도 열전도가 되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정면에서 배면으로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태양에너지변환판의 상,하측 종단에 내측으로 만곡 형성한 대류보정홀을 구성하여, 태양에서 복사되는 태양에너지로 태양전기발전을 하고, 복사된 태양에너지에 의해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서는 온실효과에 의한 상승기류가 발생해 상기 상승기류로 풍력발전을 하도록 하여, 태양에너지와 풍력에 의해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깨끗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생산된 전기는 건축물에서 사용함으로써 공공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소모량을 줄이면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한 파이프가 기밀을 유지하면서 직립으로 설치되고, 기밀을 유지하도록 해 투명한 파이프의 온실효과에 의한 상승기류가 외부로 낭비됨 없이 풍력발전부로 전달되고, 대류보정홀에 의해 태양발전부의 배면까지 열전도가 이루어져, 투명한 파이프 내의 대류가 용이해서 발전능력이 배가 되며, 상기 대류현상으로 태양에너지변환판의 외표면을 냉각하도록 하여, 고열에 의한 태양에너지변환판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고, 주거용 및 상업용 도시 건축물의 외벽면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의 수요접근성 확보 및 적은 유지보수비용이 소요되고, 별도의 설치장치나 공간이 불필요한 장점을 가진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The power generation by complex system which uses a solar energy and the wind power}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에서 복사된 태양에너지로 전기발전하도록 지표면과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성한 태양발전부와, 상기 투명한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온실효과에 의해 발생한 상승기류로 풍력발전을 하는 풍력발전부를 구성하여, 상기 태양발전부로 태양에서 복사된 태양에너지로 전기발전을 하고, 상기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온실효과에 의해 발생한 상승기류로 풍력발전부의 날개를 회전시켜 풍력발전을 하며, 상기 각각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병합, 충전 후 사용하도록 하는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류는 화석에너지의 고갈 및 지구의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체에너지 중에서도 무공해이면서 무한하게 이용할 수 있는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 조력 등의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풍력을 이용하는 풍력발전장치(또는 시스템)는 지상에 고정 설치되는 단부의 상측에 탑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탑의 상단에는 풍력을 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장치를 장착하여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얻게 되는 회전력에 의해 발전기를 작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된 것으로 주로 바람이 많이 부는 내륙 또는 해안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풍력발전장치를 내륙이나 해안가 또는 해상에 설치하게 되면 발전된 전기를 도시지역으로 송전시켜야하므로 그에 따른 송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고, 송전시에는 송전선로의 내부저항 등에 의해 송전전압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압설비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단순히 풍력에 의해서만 전기를 얻도록 하고 있으므로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에는 발전할 수 없게 되는 단순함이 있었다.
그리고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발전은 화력이나 원자력 같은 기존 발전설비와 달리 연료비가 소요되지 않으며, 소음과 공해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태양발전은 대규모 발전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소규모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정용으로 설치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에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사용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반도체로 된 태양전지판(솔라셀)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光)기전력현상에 의해 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태양전지판(솔라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시키며, 충전된 전기는 소정의 개소에 공급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 태양전지판(솔라셀)은 반도체소자여서 반도체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즉 다시 말해 반도체는 한계점이상의 열을 받으면 소자가 파괴되거나 소자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결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태양에서 복사되는 태양열을 집열장치로 집열한 후에 난방용 또는 온수용으로 사용하는 태양열장치가 있다.
특히 태양열의 경우에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생활온수를 생산하거나 국외의 경우 대단위의 집열시스템을 이용 고열화 시켜 이를 이용하여 엔진을 돌려 전력을 생산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 또는 태양전지판(솔라셀)을 구성하여,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이용하여 태양발전을 하고, 태양에서 복사되는 복사열에 의해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 또는 태양전지판(솔라셀)이 가열됨과 투명한 파이프의 내부 밀실의 온실효과를 이용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공기를 데우고, 데워진 공기에 의한 상승기류를 풍력발전부로 유도해 풍력발전을 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한 상승기류의 가속효과 및 상승기류의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투명한 파이프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 또는 솔라셀의 종단을 안으로 만곡된 대류보정홀을 형성하여, 태양 빛이 비치지 않는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 또는 솔라셀의 배면까지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해 공기대류가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하며, 다수개의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한 상승기류를 병렬로 풍력발전부로 유도해 배가 된 풍력발전을 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에서 복사된 태양에너지로 전기발전하도록 지표면과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성한 태양발전부와 상기 투명한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온실효과에 의해 발생한 상승기류로 풍력발전을 하는 풍력발전부를 포함해 구성하되, 상기 태양발전부는 태양에너지변환판을 투명한 파이프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투명한 파이프 내주연에 한쌍의 고정레일을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삭제
이때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을 집열판으로 구성하여,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열발전시스템을 구성한 것과,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을 태양전지판(솔라셀)으로 구성하여, 태양의 복사광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의 배면에도 열전도가 되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정면에서 배면으로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태양에너지변환판의 상,하측 종단에 내측으로 만곡 형성한 대류보정홀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지표면과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투명한 파이프의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비한 태양발전부를 구성하여, 태양에서 복사된 태양에너지로 전기발전을 하고, 상기 태양발전부의 상단부에 풍력발전부를 결합구성하여, 상기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온실효과에 의해 발생한 상승기류로 풍력발전부의 날개를 회전시켜 풍력발전을 하며, 상기 각각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병합, 충전 후 사용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건축물 벽면에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성한 태양발전부를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태양발전부의 상부에 풍력발전부를 설치하여, 태양에서 복사되는 태양에너지로 태양전기발전을 하고, 복사된 태양에너지에 의해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서는 온실효과에 의한 상승기류가 발생해 상기 상승기류로 풍력발전을 하도록 하여, 태양에너지와 풍력에 의해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깨끗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생산된 전기는 건축물에서 사용함으로써 공공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소모량을 줄이면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발명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한 파이프가 기밀을 유지하면서 직립으로 설치되고, 기밀을 유지하도록 해 투명한 파이프의 온실효과에 의한 상승기류가 외부로 낭비됨 없이 풍력발전부로 전달되고, 대류보정홀에 의해 태양발전부의 배면까지 열전도가 이루어져, 투명한 파이프 내의 대류가 용이해서 발전능력이 배가 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상기 대류현상으로 태양에너지변환판의 외표면을 냉각하도록 하여, 고열에 의한 태양에너지변환판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발명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주거용 및 상업용 도시 건축물의 외벽면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의 수요접근성 확보 및 적은 유지보수비용이 소요되고, 별도의 설치장치나 공간이 불필요한 장점을 가진 발명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발전부의 구성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발전부의 다른구성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발전부를 건축물에 고정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의 건축물에 구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태양에서 복사된 태양에너지로 전기발전하도록 지표면과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성한 태양발전부와, 상기 투명한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온실효과에 의해 발생한 상승기류로 풍력발전을 하는 풍력발전부를 포함하여 구성해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이때 상기 태양발전부는 투명한 파이프의 내주연에 한쌍의 고정레일을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로 끼워지는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성하되,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을 집열판으로 구성하여,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열발전시스템을 구성하거나, 상기 태양발전부는 투명한 파이프의 내주연에 한쌍의 고정레일을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로 끼워지는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성하되,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을 태양전지판(솔라셀)으로 구성하여, 태양의 복사광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한 파이프 내에 구성되는 집열판과 태양전지판의 배면에도 열전도가 되게 투명한 파이프 내에서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집열판과 태양전지판의 종단을 안으로 만곡 형성한 대류보정홀을 구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예와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발전부(100)를 살펴보면, 소정길이의 투명한 파이프(120)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을 구성하는데,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 내주연에는 한쌍의 고정레일(121)을 투명한 파이프(120) 길이로 형성하고 있어 상기 고정레일(121)을 따라 집열판(110a)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은 통상의 태양열발전시스템과 연계되어 태양열 발전을 하게 되는데, 일예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순환펌프로부터 연장되는 열매체라인이 집열판을 거쳐 팽창탱크와 연결되는 열매체순환싸이클과,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응축기로서의 온수가열기와 팽창변을 거쳐 증발기로서의 대기열회수기로 유입된 다음 압축기로 다시 회수되도록 하는 히트펌프장치가 포함된 냉매순환싸이클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열판(110a)은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태양광선에 포함된 에너지를 모아서 열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며, 수집된 태양열을 집열시스템을 이용 고열화 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엔진을 돌려 전력을 생산한다.
이와 같은 태양열발전시스템은 구성 및 작동원리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집열판(110a)의 표면은 검은색의 도료 또는 광분으로 검게 코팅하여, 태양광선이 집열판(110a)에 복사될 시 그 효율이 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집열판(110a)에 태양광선이 복사되면 태양열이 점차적으로 축적되어 집열판(110a)의 외부온도가 점점 상승하고,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가 집열판(110a)을 감싸고 있어, 외부와 차단된 투명한 파이프(120) 내부에서는 온실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데워진 공기는 상승하려고 더워지지 않은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려고 하는 공기대류가 투명한 파이프(120) 내부에서 발생하게 된다.
또한 태양발전부(100)의 다른 실시예로 소정길이의 투명한 파이프(120)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인 태양전지판(110b)을 구성하는데,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 내주연에는 한쌍의 고정레일(121)을 투명한 파이프(120) 길이로 형성하고 있어 상기 고정레일(121)을 따라 태양전지판(110b)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인 태양전지판(110b)은 통상의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연계되어 태양광발전을 하게 되는데, 태양전지판(110b)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시키며, 충전된 전기는 소정의 개소에 공급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태양전지판(110b)에 태양광선이 복사되면 태양열이 점차적으로 축적되어 태양전지판(110b)의 외부온도가 점점 상승하고,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가 태양전지판(110b)을 감싸고 있어, 외부와 차단된 투명한 파이프(120) 내부에서는 온실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데워진 공기는 상승하려고 더워지지 않은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려고 하는 공기대류가 투명한 파이프(120) 내부에서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 내부의 공기 대류가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의 배면, 즉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 또는 태양전지판(110b)의 배면까지 잘 도달하도록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 또는 태양전지판(110b)의 종단을 내측으로 만곡 형성한 대류보정홀(111a,111b)을 구성하여,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 또는 태양전지판(110b)의 정면에 태양광이 복사되면,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 또는 태양전지판(110b)의 배면까지 열전도가 이루어져, 더욱 원활한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태양발전부(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빛이 잘 드는 건축물(A)의 남향 외면에 지표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앵커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투명한 파이프(120)를 고정한다.
이때 상승기류의 가속을 증대하고, 발전효율을 증대하기 위해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또는 태양전지판(110b)을 내장한 투명한 파이프(120)를 다층으로 연결하는데,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 간의 연결 마디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상승기류가 외부로 세어 나가지 못하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파이프(120)의 상,하측 종단에 각각 태양빛에도 변질되지 않고,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실리콘으로 된 밀폐링(122)을 결합하고, 연결구(123)로 투명한 파이프(120)들을 연결하게 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23)의 외주연에는 투명한 파이프(120)를 건축물(A)의 외벽면에 고정하도록 고정구(124)가 결합하는데, 상기 고정구(124)의 일측이 앵커볼트와 결합되어 건축물(A)에 투명한 파이프(120)가 고정하게 된다.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의 전체길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A)을 옥상보다 상위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전효율의 증대를 위해 다수개로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의 최상부에는 풍력발전부(200)를 설치하는데, 이때 다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파이프(120)를 병렬로 풍력발전부(200)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력발전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에 의해 유도된 상승기류에 의해 발전하게 되는데, 상기 상승기류가 풍력발전부(200)의 날개(210)를 회전시키고, 상기 날개(210)의 축과 연결된 발전기(220)가 구동되어 발전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승기류를 유도하는 투명한 파이프(120)를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 커플러(230)를 구성하고, 상기 커플러(230) 상부에는 상승기류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210)와 상기 날개가 회전됨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220)를 구성하며, 상기 발전기(220)와 날개(210)를 보호하기 위해 덮개(240)로 발전기(220)와 날개(210)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커플러(230)는 투명한 파이프(120)가 결합되어 유도된 상승기류가 날개(210)로 방출되도록 하는 방출공(231)을 형성하는데, 상기 방출공(231)은 커플러(230)의 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240)에는 풍력발전을 마친 상승기류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천공(24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예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a와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표면과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투명한 파이프(120)의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비한 태양발전부(120)를 구성하여 태양에서 복사된 태양에너지로 전기발전을 한다.
이때 상기 태양발전부(100)의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 또는 태양전지판(110b)은 태양에너지에 의해 서서히 가열되는데,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 또는 태양전지판(110b)이 소정 온도로 가열하면,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 또는 태양전지판(110b)의 주위 공기도 데워져, 공기의 대류현상에 따라 데워진 공기가 상승하려고 하는 상승기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의 온실효과에 의해 데워진 공기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욱 빠른 속도로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그만큼 상승기류의 발생속도와 풍력, 풍속도 증가한다.
상기 투명한 파이프(120) 내부에서 발생한 상승기류는 투명한 파이프(120)를 따라 투명한 파이프(120)의 상부에 구성된 풍력발전부(200)로 유도된다.
상승기류가 풍력발전부(200)의 날개(2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날개(210)의 축과 연결되어 있는 발전기(220)가 구동해 풍력발전이 이루어지고, 태양발전과 풍력발전으로 상기 각각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병합, 충전 후 각각의 세대에 공급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류보정홀(111a,111b)에 의해 상승기류가 투명한 파이프(120)를 따라 풍력발전부(200)로 유도될 시 태양에너지변환판인 집열판(110a) 또는 태양전지판(110b)의 정면에서 배면으로 배면에서 정면으로 대류가 이루어지면서 상승기류가 풍력발전부(200)로 유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 외관의 모든 부분에서 태양에너지가 수집에 유리하도록 투명하게 하고, 가열된 태양에너지변환판에 의해 상승기류가 발생되어 태양에너지만 있으면 외부바람의 유무와 상관없이 안정적인 상승기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재생에너지 발전 장치처럼 설치비가 비싸지 않고, 장소의 제한을 덜 받으며, 도시의 건물의 벽면에 설치하여 발전설비 전용의 공간확보가 필요 없어, 수요 접근성이 매우 높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0: 태양발전부 110a: 집열판
110b:태양전지판 111a,111b: 대류보정홀
120: 투명한 파이프 121: 고정레일
122: 밀폐링 123: 연결구
124: 고정구 200: 풍력발전부
210: 날개 220: 발전기
230: 커플러 240: 덮개

Claims (5)

  1. 삭제
  2. 태양에서 복사된 태양에너지로 전기발전하도록 지표면과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투명한 파이프 내부에 태양에너지변환판을 구성한 태양발전부와, 상기 투명한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온실효과에 의해 발생한 상승기류로 풍력발전을 하는 풍력발전부를 포함하여 구성해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태양발전부는 태양에너지변환판을 투명한 파이프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투명한 파이프 내주연에 한쌍의 고정레일을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을 집열판으로 구성하여,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열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을 태양전지판(솔라셀)으로 구성하여, 태양의 복사광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태양에너지변환판의 배면에도 열전도가 되어 투명한 파이프 내부의 정면에서 배면으로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태양에너지변환판의 상,하측 종단에 내측으로 만곡 형성한 대류보정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KR1020100040821A 2010-04-30 2010-04-30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KR101155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21A KR101155217B1 (ko) 2010-04-30 2010-04-30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21A KR101155217B1 (ko) 2010-04-30 2010-04-30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91A KR20110121291A (ko) 2011-11-07
KR101155217B1 true KR101155217B1 (ko) 2012-06-13

Family

ID=4539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821A KR101155217B1 (ko) 2010-04-30 2010-04-30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2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06B1 (ko) * 2013-02-12 2014-08-07 장영근 태양열을 이용한 공기 부력 발전 장치
KR20190090912A (ko) 2018-01-26 2019-08-05 이완호 에너지 재활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3655A (ja) * 2008-02-26 2009-09-10 Tomiyama Reinetsu Kogyo:Kk 建築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3655A (ja) * 2008-02-26 2009-09-10 Tomiyama Reinetsu Kogyo:Kk 建築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06B1 (ko) * 2013-02-12 2014-08-07 장영근 태양열을 이용한 공기 부력 발전 장치
KR20190090912A (ko) 2018-01-26 2019-08-05 이완호 에너지 재활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91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5852B (zh) 太阳能热风风力发电方法
CN101033732B (zh) 山体竖井式烟囱太阳能热气流发电系统
Psomopoulos Solar energy: Harvesting the sun’s energy for a sustainable future
BR112014007147B1 (pt) Coletor solar e arranjo de turbina
KR101799704B1 (ko)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하는 복합발전장치
CN101240779A (zh) 用于太阳能热风发电系统的集热器
US8001785B2 (en) Solar energy-based water heating and power generating module
WO2020034025A1 (en) Solar energy collector having a tree structure
Karni Solar-thermal power generation
KR101155217B1 (ko) 태양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시스템
KR20120109889A (ko) 건물형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 발전장치
WO2015017879A1 (en) A power generating window assembly
RU2534329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автономная гибридная электрозарядная станция
KR101556234B1 (ko) 태양 에너지 시스템
KR101587495B1 (ko)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CN201569068U (zh) 防雷型自然能四季式热水系统
CN102022274A (zh) 可控式太阳能储热的热气流结合风力发电系统
CN205714615U (zh) 太阳池热动力发电装置
KR102513699B1 (ko) 건물의 복사열을 이용한 태양열 복합 발전시스템
CN102635159A (zh) 太阳房
KR102615368B1 (ko) 다이렉트 솔라 하이브리드 pvt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공급 시스템
JP2013179138A (ja) 太陽光発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0229992A (ja) 太陽熱利用発電システム
KR101235810B1 (ko) 솔라타워를 이용한 공동주택용 태양열 발전시스템
Matsuoka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thermal-photovoltaic hybrid power generation module for more efficient use of solar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