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132B1 - Teaching tools for learning - Google Patents

Teaching tools for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132B1
KR101155132B1 KR1020100064451A KR20100064451A KR101155132B1 KR 101155132 B1 KR101155132 B1 KR 101155132B1 KR 1020100064451 A KR1020100064451 A KR 1020100064451A KR 20100064451 A KR20100064451 A KR 20100064451A KR 101155132 B1 KR101155132 B1 KR 10115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line
light
slider
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3704A (en
Inventor
홍승대
Original Assignee
홍승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대 filed Critical 홍승대
Priority to KR102010006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132B1/en
Publication of KR2012000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칠판 등과 같은 필기가 가능한 보드에 빛으로 이루어진 라인을 만들어 영어 또는 음악 노트를 펴 놓은 효과를 갖게 함으로써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학습용 교구는 필기가 가능한 보드와, 보드에 필기시 기호를 정렬하여 적을 수 있도록 상기 보드에 광선을 조사하여 적어도 2개의 광학 라인을 상기 보드의 전면에 형성하는 라인형성기와, 라인형성기를 상기 보드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ching aid for learning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learning by making lines of light on a writing-enabled board such as a blackboard and spreading English or music notes. will be.
The teach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 capable of writing, a line former for forming at least two optical line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ard by irradiating light rays to the board so that the symbols can be aligned and written on the board; Support means for fixing to one side of the board.

Description

학습용 교구{Teaching tools for learning}Teaching tools for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칠판 등과 같은 필기가 가능한 보드에 빛으로 이루어진 라인을 만들어 영어 또는 음악 노트를 펴 놓은 효과를 갖게 함으로써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ching aid for learning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learning by making lines of light on a writing-enabled board such as a blackboard and spreading English or music notes. will be.

학습용 교구는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용 교구 중의 하나인 칠판은 검정, 초록색 등을 칠하여 분필로 글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만든 플레이트를 말하는 것으로 흑판이라고도 한다.A teaching aid is an instrument used to guide instruction effectively. One of these teaching aids, the blackboard, is a plate made of black, green, and so on, where you can write letters or draw with chalk.

칠판은 유럽에서 고안되어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으나, 한국에서는 근대적 학교 교육이 실시되면서 사용되었다. 초기의 칠판은 목재 판에 검정색 도료를 칠한 것으로 대부분 교사의 전용물이었으나, 최근에는 종래의 단점을 보완하여 여러 종류의 칠판을 개발하여 학교뿐 아니라 사무실, 가정 등에 이르기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blackboard was devised in Europe and used for a long time, but in Korea, it was used as a modern school education. Early blackboards were painted with black paint on wooden boards, most of which were dedicated to teachers, but recently, various kinds of blackboards have been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past and are widely used in schools, offices, and homes.

칠판의 구조는 붙박이식, 좌우이동식, 상하이동식, 개폐식 등이 있으며, 평면칠판 및 빛의 반사를 없앤 곡면칠판, 좌우측을 접었다 펼 수 있는 칠판 등이 있다. The structure of the board is built-in, left-right, Shanghai-dong, retractable, etc., there are flat blackboards, curved blackboards without light refl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ackboard can be folded.

칠판의 재질은 목재 외에 수지, 금속 등이 있고, 자석을 사용한 인쇄물 게시와 분필 대신 잉크를 사용하는 것도 있다. 색깔은 시력 보호와 안정감을 주는 암녹색이 가장 많이 쓰이며 암청색, 암갈색, 등도 이용되지만, 최근에는 흰색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In addition to wood, the board may be made of resin, metal, etc., and some may use print instead of magnets and ink instead of chalk. Dark green,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color for protecting eyesight and stability, is also used in dark blue, dark brown, etc., but recently, white is widely used.

칠판은 학습의 용도에 따라 4선, 5선,그래프, 표 등이 인쇄되어 제작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어 수업에 알파벳을 적을 수 있도록 칠판의 전면에 4선이 인쇄된다. 이러한 칠판은 주로 알파벳이나 영어단어의 쓰기 연습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악수업에 악보를 그려 넣을 수 있도록 5선이 인쇄된다. Blackboards may be printed with four, five, graph, or tab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learning. For example, four lines are printed on the front of the board to help you write the alphabet in your English class. Such a blackboard may be useful for practicing writing of alphabets or English words. In another example, five lines are printed so that music can be drawn in a music class.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용도를 갖는 칠판은 그 학습 용도에 맞게 활용될 수 있어 유용하지만 그 학습 용도 외에는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4선 또는 5선이 그려진 칠판은 영어 또는 음악 수업시에는 매우 편하지만, 글자를 적거나 표, 그림 등을 그릴 때에는 다른 칠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lackboard having each use is useful because it can be used for the learning purpos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other than the learning purpose. For example, a blackboard with four or five lines is very convenient for English or music classes, but other blackboards should be used for writing letters, tables, drawings, etc.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글자를 적거나 표, 그림 등을 그릴 수 있는 통상적인 칠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영어 또는 음악 학습시 칠판에 빛으로 이루어진 4선 또는 5선 라인을 만들어 영어 또는 음악 노트를 펴 놓은 효과를 갖게 함으로써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교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used for the usual blackboard that can usually write letters, tables, drawings, etc., while four or five lines made of light on the blackboard when learning English or music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rish that can be useful for learning by creating a line to have the effect of spreading English or musical not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습용 교구는 필기가 가능한 보드와; 상기 보드에 필기시 기호를 정렬하여 적을 수 있도록 상기 보드에 광선을 조사하여 적어도 2개의 광학 라인을 상기 보드의 전면에 형성하는 라인형성기와; 상기 라인형성기를 상기 보드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earning teach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riting board; A line former to form at least two optical line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ard by irradiating light rays on the board so as to align and write symbols on the board; And support means for fixing the line former to one side of the board.

상기 라인형성기는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통과시켜 상기 광학라인을 구현하는 투영체와, 상기 투영체를 통과한 광을 상기 보드 방향으로 집속 또는 확산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ne former includes a housing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 light sourc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 projecting bod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pass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to implement the optical line; And a len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to focus or diffus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roj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board.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보드의 상단 또는 측면에 결합된 브라켓트에 힌지결합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라인형성기와 상기 보드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일측에 상기 라인형성기가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means is mounted to the base frame hinged to the bracket coupled to the top or side of the board, and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base frame so as to vary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 former and the board of the base frame Sliding movement is possi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er coupled to the line former on one side, and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lider to a point of the base frame.

상기 라인형성기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라인형성기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틸팅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means may further include a tilting unit capable of rotating the line former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lider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line former.

상기 틸팅유니트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구형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봉과, 상기 라인형성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과 연결되는 피벗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벗부는 상기 연결봉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지지판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지지판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ilting unit includes a rotary ball coupled to a spherical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lider, a connecting rod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ball and extending downwar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ivot part installed at the top of the line forme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The pivot part includes a support plate formed under the connecting rod, a fixing cover accommodating the support plate therein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late, and screwed into a screw hol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co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member capable of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글자를 적거나 표, 그림 등을 그릴 수 있는 통상적인 칠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영어 또는 음악 학습시 칠판에 빛으로 이루어진 광학라인을 만들어 영어 또는 음악 노트를 펴 놓은 효과를 갖게 함으로써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general blackboard for writing letters, tables, drawings, etc., while making English or music notes by making optical lines made of light on the board when learning English or music. It can be useful for learning by having the effect spread.

또한, 보드에 광학라인을 형성시 라인형성기와 보드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틸팅유니트에 의해 라인형성기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자유로워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 generator and the board can be varied when the optical line is formed on the board, and the tilt of the line generator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tilting unit, and the rotation is free in any direc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용 교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라인형성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라인형성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인형성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ching aid for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FIG.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line former applied to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e former applied to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e form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학습용 교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teaching aid for learn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학습용 교구는 크게 보드(10)와, 라인형성기(50)와, 지지수단(20)을 구비한다. 1 to 4, the teaching aid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 10, a line former 50, and a support means 20.

보드(10)로 통상적인 칠판이 적용될 수 있다. 칠판의 구조는 붙박이식, 좌우이동식, 상하이동식, 개폐식 등이 있으며, 평면칠판 및 빛의 반사를 없앤 곡면칠판, 좌우측을 접었다 펼 수 있는 칠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칠판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목재 외에 수지,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칠판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칠판의 전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대부분 흡수하여 전면에 빛에 의한 영상이 형성되는 않는 경우 적용되기 어렵다.As the board 10, a conventional blackboard can be applied. The structure of the board may be built-in, left-right, Shanghai-dong, retractable, and the like. A flat blackboard, a curved blackboard without reflection of light, and a blackboard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may be applied. The material of the board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fore, in addition to wood, a blackboard made of a material such as resin and metal may be used. However, if mos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ackboard is absorbed and the image is no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is difficult to apply.

도 1에서는 보드(10)로서 벽면에 고정되는 붙박이식 칠판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칠판은 하부에 칠판지우개나 필기구를 놓을 수 있는 거치대(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틀(15)이 형성된다. 거치대(13) 및 상부틀(15)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칠판 외에도 분필, 연필, 펜 등의 필기구로 필기가 가능한 것이면 적용이 모두 가능하다. 1 shows a built-in blackboard fixed to a wall as a board 10. The illustrated blackboard has a cradle 13 in which a blackboard eraser or writing instrument can be placed at the bottom, and an upper frame 15 is formed at the top. Of course, the cradle 13 and the upper frame 15 may be omitt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blackboard, if the writing is possible with writing instruments, such as chalk, pencil, pen, all applications are possible.

라인형성기(50)는 지지수단(20)에 의해 지지된다. 라인형성기(50)는 보드(10)에 광선을 조사하여 적어도 2개의 광학 라인(1)을 상기 보드(10)의 전면에 형성한다. 보드(10)의 전면에 형성된 광학라인(1)은 필기시 부호, 문자, 표시 등을 정렬하여 적을 수 있도록 해준다. 도시된 예에서 라인형성기(50)는 영어 학습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4개의 광학라인(1)을 형성한다. 4개의 광학라인(1)은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벌어져 나란하게 형성된다. 광학라인(1)에 의해 알파벳 대문자나 소문자를 보드(10)에 필기하는 경우 글자의 높낮이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학라인(1)은 종래의 알파벳 필기용 4선지 노트를 보드(10)에 펼쳐 놓은 효과를 갖게 한다. The line former 5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20. The line former 50 irradiates the board 10 with light rays to form at least two optical lines 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ard 10. The optical line 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ard 10 allows the writing of letters, marks, and the like in writing.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ine former 50 forms four optical lines 1 to be utilized for English learning. The four optical lines 1 are form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When writing the upper or lowercase alphabet letters on the board 10 by the optical line 1, the height of the letters can be aligned. The optical line 1 has the effect of spreading the conventional four-note notebook for writing on the board 10.

그리고 라인형성기() 도시된 바와 달리 음악 학습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5개의 광학라인(1)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는 광학라인(1)에 맞춰 음표를 보드에 적을 수 있다. 이외에도 라인형성기(1)는 3개 또는 2개의 광학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라인(1)은 좌우로 연속되는 형상 외에도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선이나 일점쇄선, 이점쇄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라인(1)은 도시된 직선 형상 외에도 곡선 또는 파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line former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five optical lines 1 so as to be used for music learning. In this case, the note may be written on the board according to the optical line 1. In addition, the line former 1 may form three or two optical lines. In addition, the optical line 1 may be formed discontinuously in addition to the shape that is continuous left and right.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by a dotted line, a dashed line, or a double-dotted line. In addition, the optical line 1 may be formed in a curved line or a waveform, etc. in addition to the linear shape shown.

라인형성기(50)는 지지수단(20)과 연결되는 하우징(51)과,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61)과,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되며 광원(61)에서 발생된 광을 통과시켜 광학라인을 구현하는 투영체(63)와, 투영체(63)를 통과한 광의 진로를 전환시키는 반사경(65)과, 반사경(65)에서 반사된 광을 보드(67) 방향으로 집속 또는확산시키기 위한 렌즈(67)를 구비한다. The line former 50 may include a housing 51 connected to the support means 20, a light source 61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51,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51 and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61. Projector 63 for passing the light to implement the optical line, the reflector 65 for switching the path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rojection 63,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65 in the direction of the board 67 A lens 67 is provided for focusing or diffusing.

하우징(51)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사각의 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드(10)의 전면과 마주하는 하우징(51)의 일측면에는 렌즈(67)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경통(53)이 마련된다. 경통(53)의 단부에는 캡(55)이 나사결합한다. The housing 51 is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In addition, a cylindrical barrel 53 in which the lens 67 is install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51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oard 10. The cap 55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barrel 53.

광원(61)은 하우징(5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광원(61)으로 메탈할로이드 램프나 방전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다. 발광다이오드는 하나 또는 다수를 어레이시킨 유니트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광원(6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하우징(51)의 상부나 측면에 통기구가 형성되거나, 하우징(51)의 내부에 별도의 방열수단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ight source 61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1. A metal halide lamp or a discharge lamp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61, but a light emitting diode is preferably used. The light emitting diode may use a unit module in which one or more are arrayed. Ventila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r the side of the housing 51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61, or a separate heat dissipation mean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51.

투영체(63)는 광원(6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된다. 투영체(63)는 광원(61)에서 발생한 광을 통과시켜 보드(10)에 형성할 광학라인을 형성한다. 투영체(63)로 LCD패널 또는 OHP(OverHead Projector)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projection body 63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51 to be disposed below the light source 61. The projection body 63 passes through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61 to form optical lines to be formed on the board 10. As the projection body 63, an LCD panel or an OHP (OverHead Projector) film may be used.

투영체(63)로 LCD패널을 이용하는 경우 LCD패널에서 5개의 광학라인이 형성된 화상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광원에서 발생된 광은 LCD패널을 통과하면서 LCD패널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되게 변환되어 반사경(65)에 투사된다. LCD패널은 다양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LCD패널을 이용하는 라인형성기(50)는 통상적인 빔 프로젝터로 대체할 수 있다. 반사경(65)은 LCD패널을 통과한 광의 진로를 렌즈(67)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반사경(65)에서 반사된 광은 경통(53)에 설치된 렌즈(67)를 통과하면서 집속된다. When the LCD panel is used as the projection body 63, an image in which five optical lines are formed on the LCD panel is produced. Therefor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LCD panel and is converted to correspond to the image formed on the LCD panel and projected onto the reflector 65. The LCD panel has an advantage of generating various images. The line former 50 using the LCD panel can be replaced by a conventional beam projector. The reflector 65 converts the path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CD panel toward the lens 67.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65 is focu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ens 67 provided in the barrel 53.

한편, 도 5에 도시된 라인형성기(70)는 광원(73)과 렌즈(75)가 일 직선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광원(73)과 렌즈(75) 사이에 투영체(8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반사경이 생략된다. 투영체(80)로 사각의 프레임(83)에 의해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OHP 필름(81)을 이용한다. OHP(Over Head Projector) 필름(81)에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미도시)가 상하로 5개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차단부 사이에는 광이 통과할 있는 라인 형상의 투명한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투영체(80)로 입사된 광은 OHP 필름(81)의 투명한 영역을 통과하여 보드의 전면에 4개의 광학라인을 형성한다. 투영체(80)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우징(71)의 상부에는 투영체(80)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홈(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출입홈(72)에서 하우징(71)의 저면까지 투영체(8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턱(79)이 하우징(71)의 내부 양측면 및 저면에 형성된다. Meanwhile, in the line former 70 illustrated in FIG. 5, the light source 73 and the lens 75 are installed on one straight line. The projection 80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 source 73 and the lens 75. In such a structure, the reflector is omitted. As the projecting body 80, an OHP film 81 whose edge is supported by a rectangular frame 83 is used. The OHP (Over Head Projector) film 81 is formed by printing five blocking portions (not shown) that can block light incident from a light source. A line-shaped transparent region through which light passes is formed between two vertically adjacent blocking portions. Therefore, the light incident on the projection 80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region of the OHP film 81 to form four optical lines on the front of the board. An access groove 72 through which the projecting body 80 can enter and exit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71 so that the projecting body 80 can be exchanged. And guide jaw 79 that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projection 80 from the access groove 72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71 is formed on both inner side and bottom of the housing 71.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수단(20)은 보드(1)의 상단 또는 측면에 결합된 브라켓트(21)에 힌지결합하는 베이스프레임(23)과, 베이스프레임(23)에 결합하는 슬라이더(30)와, 슬라이더(30)를 베이스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한다. Referring back to Figures 1 to 4, the support means 20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23 and the base frame 23 hinged to the bracket 21 coupled to the top or side of the board (1) The slider 30 and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slider 30 to a base frame are provided.

브라켓트(21)는 나사에 의해 보드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틀(15)에 고정된다. 베이스프레임(23)은 브라켓트(21)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23)은 브라켓트(21)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상부틀(15)에 밀착시켜 놓고, 라인형성기(51)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보드(10)의 전면으로 펼쳐놓는다. The bracket 21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5 formed on the top of the board by screws. The base frame 23 is hinged to the bracket 21. Therefore, since the base frame 23 is rotatable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 it is normally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rame 15, and only when the line former 51 is used, the front frame 10 is unfolded. Release.

베이스프레임(23)에는 슬라이더(3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23)의 하부에는 슬라이더(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2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5)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25)의 단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너비가 커지는 더브테일(dovetail)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slider 30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23. To this end, the guide groove 25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2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23 so that the slider 30 can move. The cross section of the guide groove 25 has a dovetail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가이드 홈(25)에 삽입되는 슬라이더(30)는 가이드 홈(25)과 대응되는 더브테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30)는 베이스프레임(23)의 단부에서 가이드홈(25)에 삽입되어 베이스프레임(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더(30)에 결합된 라인형성기(50)와 보드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The slider 30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5 has a dovetail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25. The slider 3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5 at the end of the base frame 23 and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23.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board and the line generator 50 coupled to the slider 30 can be varied.

베이스프레임(23)의 일 지점에 슬라이더(3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가 마련된다. 고정부로 슬라이더(3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홈(39)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29)가 이용된다. 고정볼트(29)는 손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나비볼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29)는 베이스프레임(23)의 측면에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27)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0)의 나사홈(39)에 나사결합한다. A fixing part is provided to fix the slider 30 at one point of the base frame 23. As a fixing part, a fixing bolt 29 screwed to the screw groove 39 formed on the side of the slider 30 is used. Fixing bolt 29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butterfly bolt to be easily rotated by hand. The fixing bolt 29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7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frame 23 to be screwed into the screw groove 39 of the slider 30.

상술한 지지수단은 바람직하게 라인형성기(5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틸팅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틸팅유니트는 라인형성기(50)를 슬라이더(30)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라인형성기(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진로를 변화시키기 위함이다. The above-mentioned supporting means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tilting unit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line former 50. The tilting unit is to change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ne generator 50 by rotating the line generator 5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lider 30.

틸팅유니트의 일 예로 슬라이더(30)에 형성된 구형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회전구(41)와, 회전구(41)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봉(43)과, 라인형성기(51)의 상부에 설치되며 연결봉(43)과 연결되는 피벗부(90)를 구비한다. As an example of the tilting unit, the rotary ball 41 coupled to the spherical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lider 30, the connecting rod 4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ball 41 and extending downwar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ine forming machine (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51 and has a pivot 9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43.

도시된 예에서 슬라이더(3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회전구(41)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더(30)는 2개의 단위블록들(31)(35)로 형성되어 나사(37)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나사(37)는 어느 하나의 단위블록(31)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다른 단위블록(35)에 나사결합한다. 2개의 단위블록(31)(35)이 결합하여 접촉하는 각 결합면에 반구형의 단위홈(33)이 형성된다. 따라서 2개의 단위블록들(31)(35)이 결합한 상태에서는 구형의 결합홈이 형성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lider 30 is formed of two unit blocks 31 and 35 so as to couple the rotary hole 41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lider 30. Are mutually coupled. Screw 37 is inserted in the side of any one unit block 31 is screwed to the other unit block (35). Hemispherical unit grooves 33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mating surfaces to which the two unit blocks 31 and 3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two unit blocks 31 and 35 are coupled, a spherical coupling groove is formed.

상술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30)에 결합된 회전구(41)는 결합홈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라인형성기(50)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라인형성기(5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라인형성기(50)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홈과 회전구(41)의 직경은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ry ball 41 coupled to the slider 30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ound the coupling groove,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line former 50 can be easily adjusted. Even though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line former 50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the diameters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rotary hole 41 may be properly adjusted so that the line former 50 may be kept in an inclined state. .

그리고 피벗부(90)는 연결봉(43)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판(93)과, 지지판(93)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지지판(93)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고정커버(91)와, 고정커버(91)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하여 지지판(93)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95)를 구비한다. And the pivot portion 90 is a support plate 93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43, a fixing cover 91 for receiving the support plate 93 therein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late 93, It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95 that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cover 91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93.

고정커버(91)는 나사에 의해 하우징(51)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커버(91)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93)은 나사에 의해 연결봉(43)의 하단에 결합한다. 지지판(93)은 연결봉(43)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93)의 외경은 고정커버(91)의 내경보다 약간 더 작게 형성된다. 가압부재(95)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95)의 단부가 지지판(93)으로부터 분리되면 라인형성기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라인형성기(50)는 지지판(93)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압부재(95)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95)의 단부가 지지판(93)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지지판(93)을 가압하므로 라인형성기(50)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cover 9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housing 51 by screws. And the support plate 93 installed in the fixing cover 9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43 by a screw. The support plate 93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onnecting rod 43.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late 93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cover 91. When the pressing member 95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en the end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95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93, the line former becomes rotatable. The line former 50 may rotate 360 degrees about the support plate 93. When the pressing member 95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end of the pressing member 9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93 to press the supporting plate 93 so that the line former 5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틸팅유니트에 의해 라인형성기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보드의 특정 위치에 광학라인을 형성하기가 매우 간편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line former by the tilting unit and freely rotate in any direction, so that it is very simple to form an optical line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board.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보드 20: 베이스프레임
30: 슬라이더 50: 라인형성기
10: Board 20: Baseframe
30: Slider 50: Line Former

Claims (5)

필기가 가능한 보드와;
상기 보드에 필기시 기호를 정렬하여 적을 수 있도록 상기 보드에 광선을 조사하여 상하로 벌어져 나란한 적어도 2개의 광학 라인을 상기 보드의 전면에 형성하는 라인형성기와;
상기 라인형성기를 상기 보드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라인형성기는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통과시켜 상기 광학라인을 구현하는 투영체와, 상기 투영체를 통과한 광을 상기 보드 방향으로 집속 또는 확산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투영체에는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가 상하로 형성되고, 상하로 인접하는 상기 차단부 사이에 광이 통과할 수 있는 라인 형상의 투명한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
A board capable of writing;
A line former for forming at least two optical lines which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ard by irradiating light rays on the board so as to align and write symbols when writing on the board;
And support means for fixing the line former to one side of the board,
The line former includes a housing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 light sourc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 projecting bod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pass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to implement the optical line; It has a le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focus or diffus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roj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board,
The projecting teach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the light is formed up and down, the line-shaped transparent region through which the light can pas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djacent blocking portion is form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보드의 상단 또는 측면에 결합된 브라켓트에 힌지결합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라인형성기와 상기 보드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일측에 상기 라인형성기가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ans is a base frame hinged to the bracket coupled to the top or side of the board, and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base frame to vary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 former and the board Is equipped with a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and the slider is coupled to the line forming machine on one side, and a teaching aid for a fixed portion for fixing the slider to a point of the base frame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성기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라인형성기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틸팅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The teaching ai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upport means further comprises a tilting unit capable of rotating the line former in up,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lider so as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line form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니트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구형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봉과, 상기 라인형성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과 연결되는 피벗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벗부는 상기 연결봉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지지판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지지판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




The tilting unit of claim 4, wherein the tilting unit is coupled to a spherical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lider, a connecting rod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phere and extending downwar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ne former. And a pivot portion connected to the
The pivot part includes a support plat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a fixing cover accommodating the support plate therein and having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late, and screwed into a screw hole formed at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cover. A teaching aid, comprising: a pressing member capable of pressing the outer surface.




KR1020100064451A 2010-07-05 2010-07-05 Teaching tools for learning KR101155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51A KR101155132B1 (en) 2010-07-05 2010-07-05 Teaching tools for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51A KR101155132B1 (en) 2010-07-05 2010-07-05 Teaching tools for lear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04A KR20120003704A (en) 2012-01-11
KR101155132B1 true KR101155132B1 (en) 2012-06-13

Family

ID=4561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451A KR101155132B1 (en) 2010-07-05 2010-07-05 Teaching tools for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1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16B1 (en) * 2012-10-24 2014-03-11 홍승대 Teaching tools for lear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1257A (en) * 2018-06-20 2018-11-16 长江大学 A kind of English teaching board facilitating setting-ou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2927A (en) * 2001-11-16 2003-05-23 Ricoh Elemex Corp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JP2003162364A (en) * 2001-11-28 2003-06-06 Sony Corp Remote control system for application software which is projected on screen
JP2010139965A (en) * 2008-12-15 2010-06-24 Sakawa:Kk Projector hanger for multifunctional board and multifunctional board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2927A (en) * 2001-11-16 2003-05-23 Ricoh Elemex Corp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JP2003162364A (en) * 2001-11-28 2003-06-06 Sony Corp Remote control system for application software which is projected on screen
JP2010139965A (en) * 2008-12-15 2010-06-24 Sakawa:Kk Projector hanger for multifunctional board and multifunctional board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16B1 (en) * 2012-10-24 2014-03-11 홍승대 Teaching tools for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04A (en)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48748A5 (en)
KR20070030908A (en) A dual position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155132B1 (en) Teaching tools for learning
US2496647A (en) Portable image projector
US7441905B2 (en) Optical scanner
US5477283A (en) Image projecting device
KR920010491A (en) Simple Bar Code Reader
KR101373316B1 (en) Teaching tools for learning
US3632197A (en) Viewing method and means
KR100769107B1 (en) The electrical teacher's desk with book scanner, that using digital camera
US20080018654A1 (en) Writing board device having high-definition image display function
CN102293519B (en) Copyboard
KR20120003363U (en) White board for showing reference as a background
JP2004061258A (en) Dustproofing cover of laser marking device
CN210466802U (en) Medical teaching display device of bore hole 3D
CN209054388U (en) A kind of projection desk lamp
KR20170080527A (en) Sensing device and optical sensing module
JP4834043B2 (en) Hidden mark visual recognition device for spectacle lenses
US6102553A (en) Palm-size projector light with annular lens and rotatable adjustment ring for changing patterns of emitted light
US3501838A (en) Pantographic implemented overhead projector
JPH0544586U (en) Blackboard with screen
CN217684778U (en) Hand feeling feedback device, lens adjusting assembly and adjustable-focus lamp with same
KR200190588Y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KR20010081245A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H0646718Y2 (en) Viewer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