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051B1 -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 Google Patents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051B1
KR101155051B1 KR1020100041846A KR20100041846A KR101155051B1 KR 101155051 B1 KR101155051 B1 KR 101155051B1 KR 1020100041846 A KR1020100041846 A KR 1020100041846A KR 20100041846 A KR20100041846 A KR 20100041846A KR 101155051 B1 KR101155051 B1 KR 10115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igation
foot
steam
hol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382A (ko
Inventor
성석진
Original Assignee
성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석진 filed Critical 성석진
Priority to KR1020100041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05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놓이는 상판을 포함한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 전 공간에 걸쳐 기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연통된 내부 구조를 가지는 한편, 상기 상판은 일 방향의 길이가 적어도 50㎝ 이상인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좌훈공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족훈공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상판에 구비된 발판 하우징과, 상기 발판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증기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나의 훈증기로 치료 효과가 뛰어난 좌훈 요법과 족훈 요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FUMIGATION THERAPY DEVICE FOR FEET AS WELL AS HIPS}
본 발명은 훈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인 좌훈 기능을 갖추면서도 동시에 족훈요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훈증기란, 통상적으로 약재를 훈증시키기 위한 기기를 의미하며, 특정 부위에 증기를 쏘임으로써 일정 목적의 치료 효과 등을 얻기 위한 훈증요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훈증요법을 수행할 경우, 뜨거운 김이 피부에 닿음으로써, 해당 부위를 중심으로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고, 약재를 끓인 증기에 포함된 각종 유익한 약 성분과 수분의 작용으로 인해, 닿는 부위의 피부를 곱게 한다거나, 과로나 질병 등으로 인해 뭉친 근육이나 혈을 풀어주는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좌훈기란, 훈증요법 중에서도 좌훈요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구를 일컫는 용어로서, 좌훈요법은 약재를 끓는 물에 넣고 그 김을 여성기에 쏘이는 한의학적 치료방법을 의미한다.
즉, 좌훈요법이란 한의학 훈증법(薰蒸法)의 일종으로, 약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쏘이는 방법을 말한다. 한편, 그 밖에도 훈증 적용 부위에 따라 명칭이 특정되기도 하는데 발에 훈증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족훈(足薰)이라 칭하기도 한다.
좌훈요법의 경우 많은 정통 한의학서에서 실질적인 치료방법으로 다루어지고 있는데, '황제내경'에는 훈증(薰蒸), '동의보감'에는 소연훈지(燒烟薰之), '경악전서'에는 증울법(蒸蔚法), '금궤요략(金櫃要略)'에는 외음세척(外陰洗滌), 음중납약(陰中納藥), 항문도입(肛門導入) 등으로, '나원개(羅元愷)'에는 외음훈세법(外陰薰洗法) 등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아주 오랜 옛날부터 여성들이 산후, 혹은 여성기가 가렵다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썼던 산부인과적 처방으로 흔히 사용되었다.
이는, 여성기 깊숙한 곳에 약 기운이 풍부한 한약재의 김이 스미게 하여 다양한 여성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뜨거운 김 자체로도 강한 살균력을 지니고 있어 환부에 직접 영향을 미쳐 세균에 의한 질염으로 생기는 가려움증과 냉대하, 물혹 등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인데, 여성호르몬의 분비를 도와 지방 분해, 뼈 강화를 통한 골다공증 예방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생리통과 하복통, 요통, 신경통 및 치질 등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좌훈기란 전술한 좌훈요법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제공되는 기구로서, 통상 구멍 뚫린 의자 구조의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밑에 놓이며, 끓는 물과 약재를 담아 김을 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증기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발바닥에는 신경이 집결된 반사구가 많이 몰려 있고, 이들은 신경 전달 체계를 통해 인체의 여러 각 부위와 밀접한 반응관계를 가진다. 더욱이 발은 심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혈액이 되돌아가기 위한 심장의 순환력이 미치기 가장 어려운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발바닥 부분에는 노폐물이 많이 쌓이고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각종 질병이 유발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발바닥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돕고, 발바닥에 대량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자극함으로써, 혈액 순환이 촉진되어 노폐물과 독소 배출이 원활해져 자연치유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온 몸 오장육부의 각 기관을 자극하는 효과 역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발바닥에 훈증요법을 적용하는 족훈을 통해 상당한 정도의 건강 증진,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훈증 요법을 적용하기 위한 종래의 훈증기는 대체로 좌훈 요법의 적용만이 가능한 좌훈기 구조로 제공되므로, 좌훈 이외의 훈증으로 인한 유용한 효과를 다른 부위, 특히 높은 치료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발바닥 등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좌훈 및 족훈을 병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훈증을 이용한 반신욕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증기의 소실이 적은 보다 효율적인 훈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놓이는 상판을 포함한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 전 공간에 걸쳐 기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연통된 내부 구조를 가지는 한편, 상기 상판은 일 방향의 길이가 적어도 50㎝ 이상인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좌훈공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족훈공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상판에 구비된 발판 하우징과, 상기 발판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증기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발판 하우징은, 사각형 면들로 이루어진 상자 구조로 형성되고 일 측면이 개방된 제1 받침부와, 사각형 면들로 이루어진 상자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받침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 견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받침부와 서랍 방식으로 연결된 제2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훈공은 상기 제1받침부의 상판에 구비되고, 상기 족훈공은 상기 제2 받침부의 상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판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증기 발생부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상자 내부 공간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송풍부가 더욱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기 발생부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훈증 재료 또는 훈증 재료와 물을 담기 위한 훈증 재료 수용기와, 상기 훈증 재료 수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풍부는 상기 가열기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한편, 양쪽으로 개구된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일 개구부가 상기 발판 하우징의 좌훈공이 형성된 부분인 좌훈부 상부에 놓이고, 타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장착되어, 좌훈공으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상부 방향으로 집중시키고 가이드하는, 훈증 가이드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훈증 가이드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타 개구부의 위치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착석면이 형성되고, 상기 타 개구부는 상기 착석면 상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증기 소통용 개방구에 해당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훈증 가이드부 자체가 의자 형태의 착석부 기능을 겸하는 착석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하나의 훈증기로 치료 효과가 뛰어난 좌훈 요법과 족훈 요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둘째, 훈증 적용 부위의 위치, 해당 위치에 공급되는 훈증량 등의 관점에서 증기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보다 효과적인 훈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른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며, 보관의 용이성 및 물류 관리의 효율성도 증가된다.
넷째, 사용자의 몸에 두를 수 있도록 별도로 제공되는 증기 차단천 등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반신욕의 효과도 쉽게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 의 훈증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증기의 순환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훈증기에 훈증 가이드부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의자 형태 착석부와 일체화된 형태의 훈증 가이드부가 본 발명에 따른 훈증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의 사시도로서, 도 1은 훈증기 사용을 위해 제2 받침부가 제1 받침부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비 사용시 보관 등을 위해 제2 받침부가 제1 받침부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구조의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놓이는 상판(10)을 포함한 하우징 형태의 발판 하우징(1)을 구비하는데, 좌훈과 족훈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판(10)은 일 방향의 길이가 적어도 50㎝ 이상인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된 좌훈공(11)들 및 족훈공(12)들이 각각 좌훈 위치와 족훈 위치에 해당되는 만큼 떨어져 상판(10) 상에 형성된다.
한편, 도면을 통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판 하우징(1)의 내부는, 전 공간에 걸쳐 기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연통된 구조를 가지는 한편, 약재 성분 등을 포함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증기 발생부(30)가 구비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 하우징(1)은, 사각형 면들로 이루어진 상자 구조로 형성되고 일 측면이 개방된 제1 받침부(21)와, 상기 제1 받침부(21)와 마찬가지로 사각형 면들로 이루어진 상자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 받침부(21)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 견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받침부(21)와 서랍 방식으로 연결된 제2 받침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시에는 제1 받침부(21)로부터 제2 받침부(22)를 견출하여 도 1과 같이 일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확장된 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받침부(21) 내부로 제2 받침부(22)를 삽입하여, 도 2와 같은 컴팩트한 사이즈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 작업 또한 극히 쉬운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기기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며, 제품의 선적, 보관, 배송 등과 관련한 물류 관리에 있어서도 효율성을 크게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통해, 사용 상태에서의 좌훈공(11)과 족훈공(12)들은 상호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의 상호 위치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의 발판 하우징(1) 위쪽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둔부 및 발바닥이 위치하는 만큼의 거리에 해당되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제2 받침부(22)의 견출 정도에 따라 그 거리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통해, 좌훈공(11) 및 족훈공(12)들의 수, 구멍 크기 등이 다소 다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내부에 놓이는 증기 발생부(30)의 위치와도 관련된 구성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훈증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3 등을 참조하여 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훈증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도 1 및 도 2를 통해서 전술한 발판 하우징(1)은 점선으로 표시하였으며, 발판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기 발생부(30)는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부(30)는 훈증 재료를 담아 가열시킬 수 있는 그릇 구조의 훈증 재료 수용기(31)와, 상기 훈증 재료 수용기(31) 및 훈증 재료에 열을 가할 수 있는 가열기(32)를 포함한 구조로 구성된다.
끓는점을 넘어서 지속적으로 가열되고 있는 훈증 재료 수용기(31)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는 수직 상부 방향으로 강한 이동성을 가지며, 따라서, 강한 훈증 요법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용 부위를 증기 발생부(30)의 수직 상부에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좌훈 기능을 제 1 기능으로 설정한 구조일 경우에는, 전술한 증기 발생부(30)는 좌훈공(11)들이 위치한 좌훈부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판 하우징(1)의 내부에는, 증기 발생부(30)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증기를 상자 내부 공간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송풍부(40)가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송풍부(40)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를 구성한 경우에도, 좌훈공(11), 족훈공(12) 이외에는 외부와의 연통되는 통로가 없는 반 폐쇄 공간을 가지는 발판 하우징(1)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증기 발생부(30)로부터 발생한 증기가 내부에 가득차게 되고, 따라서 좌훈공(11), 족훈공(12) 모두에서 증기의 방출이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좌훈부의 아래쪽에 증기 발생부(30)를 위치시켰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족훈공(12)을 통한 증기의 방출은 좌훈공(11)에 비해 적어질 수밖에 없으며, 균일한 방출량 또한 담보할 수 없다.
따라서, 발판 하우징(1) 내부에 송풍부(40)를 구비함으로써, 증기가 짧은 시간에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결점을 완화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발생부(30)에 인접한 위치에 송풍부(40)를 위치시킬 경우, 증기 발생부(30)에서 발생하여 해당 부분에 집중되어 있는 증기가 발판 하우징(1)의 내부 전체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증기 발생부(30)의 가열기(32)를 전기를 이용한 전열기로서 구성한 경우에는, 전술한 송풍부(40) 또한 전력에 의한 회전 팬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기술적으로도 용이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전력 공급 루트에 의해 두 가지 작동이 함께 수행될 수 있도록 가열기(32)와 송풍부(4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증기 발생부(30)의 위치에 따른 증기 공급량을 적절하게 배분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발생부(30)가 좌훈공(11)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좌훈공(11)의 총 면적에 비해 족훈공(12)의 총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에 훈증 가이드부(50)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훈증 가이드부(50)는, 좌훈공(11)으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사용자의 둔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마주보는 양쪽에 개구부를 가진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일 개구부(51)가 상기 발판 하우징(1)의 좌훈공(11)들이 형성된 부분인 좌훈부 상부에 놓이고, 타 개구부(52)가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상기 발판 하우징(1)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장착된 훈증 가이드부(50)는 이른바 굴뚝 효과에 의해, 좌훈공으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사용자의 둔부가 위치하는 상부 방향으로 집중시키고 가이드하며, 증기의 이동 경로상에서의 분산, 열손실 등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에서의 훈증기 사용을 위해서는, 도 5의 훈증 가이드부(50)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좌훈기와 관련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좌훈용 의자-일반 의자와 같이 착석면이 형성되는 한편, 착석면 상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개방구가 형성된 구조의 의자-를 훈증 가이드부(50) 외측면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착석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훈증 가이드부(50)와는 별도로 의자와 같은 착석부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훈증 가이드부(50)는, 의자 형태 착석부(60)와 일체화된 형태의 훈증 가이드부(50)를 나타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타 개구부(52)의 위치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착석면(15)이 형성되고, 상기 타 개구부(52)가 상기 착석면(15)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증기 소통용 개방구에 해당되는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훈증 가이드부(50) 자체가 의자 형태의 착석부(60) 기능을 겸하는 착석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는, 좌훈과 족훈 요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보다 효율적인 훈증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사용자가 착석 상태에서 몸의 아래쪽과 훈증기 전체를 동시에 덮는 증기 차단천을 몸통에 두르거나 하여, 해당 증기 차단천이 본 발명에 따른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와 하반신을 차단된 공간 내에 함께 놓이도록 하는 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기 반신욕의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를 도시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판 하우징 10: 상판
11: 좌훈공 12: 족훈공
15: 착석면 21: 제1 받침부
22: 제2 받침부 30: 증기 발생부
31: 훈증 재료 수용기 32: 가열기
40: 송풍부 50: 훈증 가이드부
51: 일 개방구 52: 타 개방구
60: 착석부

Claims (6)

  1. 바닥면에 대해 일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놓이는 상판(10)을 포함한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 전 공간에 걸쳐 기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연통된 내부 구조를 가지는 한편, 상기 상판(10)은 일 방향의 길이가 적어도 50㎝ 이상인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좌훈공(11)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족훈공(12)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상판(10)에 구비된 발판 하우징(1)과;
    상기 발판 하우징(1) 내부에 구비되는 증기 발생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하우징(1)은, 사각형 면들로 이루어진 상자 구조로 형성되고 일 측면이 개방된 제1 받침부(21)와, 사각형 면들로 이루어진 상자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받침부(21)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 견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받침부(21)와 서랍 방식으로 연결된 제2 받침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훈공(11)은 상기 제1받침부(21)의 상판(10)에 구비되고, 상기 족훈공(12)은 상기 제2 받침부(22)의 상판(1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하우징(1) 내부에는, 상기 증기 발생부(30)로부터 발생한 증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상자 내부 공간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송풍부(40)가 더욱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부(30)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훈증 재료 또는 훈증 재료와 물을 담기 위한 훈증 재료 수용기(31)와, 상기 훈증 재료 수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풍부(40)는 상기 가열기(32)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양쪽으로 개구된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일 개구부(51)가 상기 발판 하우징(1)의 좌훈공(11)이 형성된 부분인 좌훈부 상부에 놓이고, 타 개구부(52)가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장착되어, 좌훈공(11)으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상부 방향으로 집중시키고 가이드하는, 훈증 가이드부(5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훈증 가이드부(50)는,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타 개구부(52)의 위치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착석면(15)이 형성되고, 상기 타 개구부(52)는 상기 착석면(15)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증기 소통용 개방구에 해당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훈증 가이드부(50) 자체가 의자 형태의 착석부(60) 기능을 겸하는 착석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KR1020100041846A 2010-05-04 2010-05-04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KR10115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846A KR101155051B1 (ko) 2010-05-04 2010-05-04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846A KR101155051B1 (ko) 2010-05-04 2010-05-04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382A KR20110122382A (ko) 2011-11-10
KR101155051B1 true KR101155051B1 (ko) 2012-06-12

Family

ID=4539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846A KR101155051B1 (ko) 2010-05-04 2010-05-04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334B1 (ko) * 2013-08-05 2014-08-05 성석진 좌훈기
KR101426338B1 (ko) * 2013-05-31 2014-08-07 (주)헬스카페365 건식 반신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70Y1 (ko) * 2005-04-19 2005-07-18 안영완 온열기
KR200409490Y1 (ko) * 2005-12-14 2006-02-24 임호일 족욕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20070106823A (ko) * 2006-05-01 2007-11-06 곽재찬 서랍식 족욕기가 있는 좌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70Y1 (ko) * 2005-04-19 2005-07-18 안영완 온열기
KR200409490Y1 (ko) * 2005-12-14 2006-02-24 임호일 족욕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20070106823A (ko) * 2006-05-01 2007-11-06 곽재찬 서랍식 족욕기가 있는 좌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338B1 (ko) * 2013-05-31 2014-08-07 (주)헬스카페365 건식 반신욕기
CN104207929A (zh) * 2013-05-31 2014-12-17 健康咖啡室365株式会社 用于下半身的干式水疗装置
KR101426334B1 (ko) * 2013-08-05 2014-08-05 성석진 좌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382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968B1 (ko) 스팀 분사식 족욕 겸용 좌훈 장치
KR101426334B1 (ko) 좌훈기
KR101757577B1 (ko) 다용도 훈욕기
CN206745604U (zh) 中药熏蒸沙疗装置
CN107397474A (zh) 治疗高血压的足浴盆
CN205322757U (zh) 多功能熏蒸器
KR20140142592A (ko) 온열치료 및 좌훈, 스팀 기능을 갖는 반신욕 찜질기
KR20060115255A (ko) 훈열치료기를 구비한 의자
KR100999991B1 (ko) 스팀 훈증 반신욕 사우나기
KR20210007325A (ko) 캡슐타입 사우나 장치
KR101155051B1 (ko) 좌훈 및 족훈 겸용 훈증기
CN109077920A (zh) 养生瓮
CN1325033C (zh) 熏蒸保健治疗仪
KR20130136751A (ko) 한방 증기 전신욕 설비
CN207886528U (zh) 一种坐薰炙腰蒸脚三用远红外保健仪
KR101426338B1 (ko) 건식 반신욕기
CN109330871A (zh) 一种负离子足疗桶
KR101090020B1 (ko) 스팀분사노즐이 구비된 좌훈기
CN205339509U (zh) 一种药物熏蒸仪
CN204307068U (zh) 多功能熏蒸治疗床
CN209808988U (zh) 养生瓮
KR101089352B1 (ko) 쌍방향 배출구를 구비한 좌훈기
KR101172151B1 (ko) 헬스케어 자동욕조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CN201253413Y (zh) 中草药保健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