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945B1 - Partition combined cabinet - Google Patents

Partition combined cabi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945B1
KR101154945B1 KR1020090125179A KR20090125179A KR101154945B1 KR 101154945 B1 KR101154945 B1 KR 101154945B1 KR 1020090125179 A KR1020090125179 A KR 1020090125179A KR 20090125179 A KR20090125179 A KR 20090125179A KR 101154945 B1 KR101154945 B1 KR 10115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abinet
storage space
d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8298A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솔로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솔로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솔로몬
Priority to KR102009012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945B1/en
Publication of KR2011006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공간을 분할 및 구획하는 파티션에 책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사무공간을 분할 및 구획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파티션의 배면에서 개폐가능한 도어를 포함하여, 같은 사무 공간 내 동료와 대화창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배면에서 간편하게 책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횡으로 가로지르는 구획판(130)에 의해 상단 수납부(100) 및 하단 수납부(200)로 구획되고, 정면을 책상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되, 상기 상단 수납부(100)에는, 정면을 개방시키고 배면을 개폐 가능한 도어(120)를 구비한 판재(121)로 마감한 제1 수납공간(110)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 수납부(200)에는, 배면을 개방시켜 배면에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제2 수납공간(210)을 형성하여, 책상 방향에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공간(110)을 구비하여서, 별도의 수납장을 책상 위에 올려놓을 필요 없이 파티션으로 수납장을 대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or storing books or various items in a partition for dividing and partitioning an office space, thereby dividing and partitioning an office space, and at the same time as a storage space, the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rear of the partition. Including, such as can be used as a chat window with colleagues in the same office space as well as without moving to the front, the back can be easily stored or stored books or various items by the partition plate 130 transversely transverse Partitioned into the payment part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the front is installed so as to be disposed in the desk direction, the upper housing 100, the plate having a door 120 that opens the front and can open and close the back A second storage space is formed in which the first storage space 110 finished with 121 is opened, and the lower storage portion 200 opens the rear surface to accommodate an object from the rear surface. To form a cross 210, it hayeoseo having a first storage space that can hold the goods in the direction of the desk 110, and a separate cabinet can take the place of the cabinet to the partition without having to put on the table.

수납장, 파티션, 수납공간, 도어, 대화창 Cabinet, partition, compartment, door, dialog

Description

수납장 겸 파티션{partition combined cabinet}Cabinet and partition {partition combined cabinet}

본 발명은 수납장 겸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무공간을 분할 및 구획하는 파티션에 책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사무공간을 분할 및 구획함과 동시에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파티션의 배면에서 개폐가능한 도어를 포함하여, 같은 사무 공간 내 동료와 대화창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배면에서 간편하게 책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수납장 겸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and a partition, and in particular, to form a storage space for storing or storing books or various items in a partition for dividing and partitioning the office space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while dividing and partitioning the office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that can be used as a chat window with a co-worker in the same office space, including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rear of the partition, and can easily store or store a book or various items at the rear without moving to the front. .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사무공간을 효율적으로 분할 및 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개인별 혹은 부서별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사무용 기구의 하나로 폭넓게 사용된다.In general, partitions are used to efficiently divide and partition office space, and are widely used as one of important office apparatuses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or departmental work.

이러한 용도의 파티션은 통상적으로 별도의 벽체 시공없이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칸막이가 구비되어 각 사무 환경에 적합하게 배치되어 사용된다.Partitions for this purpose are typically configured to be easi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without a separate wall construction, and at least two partitions are provided to suit each office environment.

한편, 사무공간에는 책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장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수납장의 위치는 사무공간에 별도로 마련되고 있는 실정 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거나 보관하기 위해서는 수납장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해야 했었다.On the other hand, the office spa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torage box for storing and storing books and various items, and the location of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in the office space separately, so that the user has a storage box for storing or storing the goods. Had to move to the location.

따라서, 개인마다 별도의 수납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화일박스나 간이 사물함을 비치시켜 사용하였으나, 그에 따라 별도의 비용이 소모되고, 도어를 책상이 설치된 방향으로만 개폐할 수 있게 되어있어, 물품이 긴요하게 필요한 경우 화일박스나 간이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물품을 획득할 수 있었는데, 이때, 파티션으로 사무공간이 분할 및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책상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separate storage spaces for each individual, a separate file box or a simple locker is used, but accordingly, a separate cost is consumed and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sk is installed. If this is necessary, the goods can be obtained by mov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door of the file box or the simple locker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is case, since the office space is divided and partitioned by partitions, it is not possible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desk is located. It took a lot of time.

또한, 같은 사무공간 내에 있는 동료에게 물건을 전달해주거나, 간단한 대화를 할 때에도 파티션에 의해 공간이 막혀 있기 때문에, 동료가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막혀 있는 파티션을 우회하여 동료에게 물건을 전달해주거나, 대화를 해야만 했었다.In addition, because the space is blocked by the partition even when delivering a product to a colleague in the same office space or during a simple conversation, the object is delivered to the colleague by bypassing the blocked partition in order to move to the colleague's location. Had to do.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티션은 그 용도가 사무공간을 분할 및 구획하는데 한정되어 있고, 개인마다 별도의 수납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화일박스나 간이 사물함을 개인 책상 옆에 비치시켜야 했고, 물품이 긴요하게 필요한 경우 화일박스나 간이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해야 했으며, 같은 사무공간 내에 있는 동료에게 물건을 전달해주거나, 간단한 대화를 할 때, 파티션에 의해 공간이 막혀 있기 때문에 파티션을 우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such a conventional partition is limited to the purpose of dividing and partitioning the office space, in order to utilize a separate storage space for each individual had to have a separate file box or a simple locker next to the personal desk, This critical need had to be moved to a location where the door of a file box or a simple locker could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partition was blocked by the partition when delivering items to a colleague in the same office space or during a simple conversation. There was a problem to bypass.

그러므로, 별도의 화일 박스나 간이 사물함을 구비하기 위한 비용이 소모될뿐 아니라 일일이 파티션을 우회해서 업무를 처리해야만 했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inferior because the cost of having a separate file box or a simple locker is consumed and the work has to be performed by bypassing parti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것으로, 파티션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파티션이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수납장 겸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form a storage space in the partition, to provide a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that can be utilized as a storage sp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티션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배면에 개폐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여, 배면에서도 수납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사무공간 내에 있는 동료에게 물건을 전달해주거나, 대화창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납장 겸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back of the partition space is formed, the storage space can be used on the back, and delivers the goods to colleagues in the office space, or can be used as a chat window To provide parti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은 수납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납장 겸 파티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횡으로 가로지르는 구획판(130)에 의해 상단 수납부(100) 및 하단 수납부(200)로 구획되고, 정면을 책상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되, Partitioned horizontally by the partition plate 130 is partitioned into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the front is installed to be disposed in the desk direction,

상기 상단 수납부(100)에는, 정면을 개방시키고 배면을 개폐 가능한 도어(120)를 구비한 판재(121)로 마감한 제1 수납공간(110)을 형성하고, In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00,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formed of a plate member 121 having a door 120 capable of opening a front side and opening and closing a rear side thereof is formed.

상기 하단 수납부(200)에는, 배면을 개방시켜 배면에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제2 수납공간(210)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housing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econd storage space 210 to open the back to accommodate the object on the back.

또한, 상기 구획판(130)은, 책상(300)의 상면(310)과 동일 수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desk (300).

또한, 상기 제1 수납공간(110)은, 횡으로 가로지른 내부 구획판(131)을 추가 설치하여서, 상부 수납공간(111)과 하부 수납공간(112)으로 구획되며, 상기 도어(120)는, 상기 하부 수납공간(112)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torage space 110 is further partitioned into an upper compartment 111 and a lower compartment 112 by installing an inner partition plate 131 horizontally transversely, the door 120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back of the lower receiving space (112).

또한, 상기 도어(120)는, 배면에 손잡이(122)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130)의 배면에 힌지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120 is provided with a handle 122 on the ba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partition plate 130.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은, 책상 방향에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공간(110)을 구비하여서, 별도의 수납장을 책상 위에 올려놓을 필요 없이 파티션으로 수납장을 대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having a first storage space 110 that can store objects in a desk direction, so that a storage cabinet can be replaced by a partition without having to place a separate storage cabinet on a desk. .

또한, 본 발명은 하단의 제2 수납공간(210)을 사무기기의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second storage space 210 at the bottom can be utilized as a storage space of the office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은 제1 수납공간(110)의 배면에 도어(120)를 구비하여서, 정면 및 배면 측에서 수납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물건을 전달하기 위한 통로나 아니면 대화창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oor 120 on the back of the first storage space 110, it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in the front and rear side, and can also be used as a passage or a chat window for delivering goods. It also has the advanta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shown in the drawings to refer to the same configuration in other drawing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1 and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orage cabinet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parti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10)은, 두개의 판재(13)(14)를 서로 마주보게 기립 배치한 상태에서 양 판재(13)(14)의 사이에 횡으로 가로지른 구획판(130)을 고정하여서 상기 구획판(130)에 의해서 상단 수납부(100)와 하단 수납부(200)로 구획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개의 판재(13)(14)의 상단 사이에는 횡으로 가로지른 상판(15)을 고정하여서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판티션(10)을 더욱 견고하게 기립될 수 있게 한다. 결국, 양 판재(13)(14)의 상부 내부면과 상판(15)의 저면과 구획판(130)의 상면으로 에워싸이는 제1 수납공간(110)이 상기 상단 수납부(100)에 조성되고, 양 판재(13)(14)의 하부 내부면과 구획판(130)의 저면으로 에워싸이는 제2 수납공간(210)이 상기 하단 수납부(200)에 조성된다.1 and 2, the cabinet and parti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two plates (13, 14) in a state in which the two plate (13, 14) standing up facing each other. The partition plate 130 which is transversely horizontally fixed is formed to be partitioned into the upper housing part 100 and the lower housing part 200 by the partition plate 130. Preferably,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two plate (13) 14 is fixed to the transverse transverse top plate 15 so that the cabinet and the pens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firmly stood. As a result,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surrounded by the upper inner surface of both plate materials 13 and 14,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30 is formed in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00. The second receiving space 210 surrounded by the lower inner surface of both plate materials 13 and 1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30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part 200.

여기서, 상기 제1 수납공간(110)은 책상 방향인 정면을 개방시키고 배면을 도어(120)를 구비한 판재(121)로 막아서, 정면인 책상 방향에서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면 방향에서 도어(120)를 여닫음으로써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storage space 110 opens the front surface in the desk direction and blocks the back surface with the plate 121 having the door 120, so that the first storage space 110 can be used as the storage space in the front desk direction as well as in the rear direc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20 to be used as a storage space.

또한, 상기 제2 수납공간(210)은 정면을 정면판(11)으로 막고 배면을 개방시켜서, 배면 방향에서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0 may be used as the accommodating space in the rear direction by blocking the front surface with the front plate 11 and opening the rear surface.

한편, 상기 제1 수납공간(110)은 여러개의 수납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수납공간(110)에 횡으로 가로지른 내부 구획판(131)을 추가 설치하여서 상부 수납공간(111)과 하부 수납공간(112)으로 구획하고, 상부 수납공간(111)의 배면을 파티션판(12)으로 막고, 도어(120)를 하부 수납공간(112)의 배면에 설치하여서, 상부 수납공간(111)은 정면(책상 방향)에서만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하부 수납공간(112)은 정면 및 배면에서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orage space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 inner partition plate 131 transversely install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10 is provided to the upper storage space 111 and the lower storage space 112. Partitioned,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storage space 111 is blocked by the partition plate 12, and the door 12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storage space 112, so that the upper storage space 111 is only in front (desk direction).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the lower storage space 112 was to be used as a storage space in the front and rear.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배면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어(120)을 개폐하여, 배면에서도 책이나 각종물품을 수납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판재(13)(14)의 사이에 횡으로 가로지른 구획판(130)은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과 같이 설치되는 책상(300)의 상면(3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사용자가 책상(300)에 앉아있는 상태로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하부 수납공간(112)에 책이나 각종물품을 수납 및 보관하거나, 상기 하부 수납 공간(112)의 배면에 형성된 개폐가능한 도어(120)을 통해 같은 공간에 있는 동료에게 책이나 각종물품을 건네주거나, 받을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책상(300)의 상면(310)의 높이와 상기 구획판(130)이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120 is opened and closed on the back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1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so that books or various articles can be stored or stored on the back. In order to further facilitate the above bar, the partition plate 130 transversely between the plate material 13, 14 is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desk 300 which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which is a user sitting on the desk 300, the storage and storage of books or other articles in the lower storage space 112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t is for facilitating handing or receiving a book or various articles to a colleague in the same space through the openable door 120 formed on the rear of the lower storage space 112. That is, since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desk 300 and the partition plate 130 are the same height, the user can process the work while minimizing the movement while the user is sitting,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하단 수납부(200)는 구획판(130)을 중심으로 하여 상단 수납부(1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 수납부(200)는 내부가 빈 형상으로 제2 수납공간(210)이 형성되는데, 여기에는 화일 박스나 간이 사물함 등을 상기 제2 수납공간(210)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배면측에서 상기 화일 박스나 상기 간이 사물함 등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수납공간(210)의 정면은 정면판(220)으로 폐쇄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화일 박스나 간이 사물함을 제2 수납공간(210)의 정면으로 튀어나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수납공간(210)도 제1 수납공간(110)과 마찬가지로 내부 구획판(미도시)을 위치시켜서, 공간을 구획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The lower accommodating part 200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00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plate 130.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200 has an empty shape in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0 is formed, and a file box or a simple locker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0. have. That is, the user can easily use the file box or the simple locker on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is case, the front of the second storage space 210 is the front plate 220. It is preferable to keep it closed, which serves to prevent the file box or the simple locker from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second storage space 210. Similarly to the first storage space 110, the second storage space 210 may be disposed by using an internal partition plate (not shown).

한편,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제2 수납공간(210)의 내부 하단 둘레를 따라 전선인입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ire lead part 500 may be further inclu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210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선인입부(500)는 상기 제2 수납공간(210)의 내부 하단 둘레에 설치되 는 것으로, 상기 전선인입부(5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상으로 사무실에 필요한 각종 전선이 인입되고,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과 인접된 책상(300)까지 각종 전선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전선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사무실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한다.The wire lead portion 500 is installed around the inner bottom of the second receiving space 210, the wire lead portion 500 is a hollow hollow inside the various wires required for the office, It serves to guide the various wires to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and the adjacent desk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wires, to prevent harm to the beauty of the office.

아울러,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가능한 받침대(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able pedestal 600.

상기 받침대(600)는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을 사무실 바닥 등에 위치시켰을 때, 바닥과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수평을 맞춰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받침대(600)는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하단 모서리에 위치한 받침대결합홈(미도시)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받침대(6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edestal 600 is for aligning the floor and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n office floor or the like. The pedestal 600 is screwed into a pedestal coupling groove (not shown) located at the lower edge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otates the pedestal 600,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 Height is to be adjusted. Here, the method of adjusting the height using the above-described screw coupling is a conventionally used metho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폭은 40 내지 45㎝가 바람직한데, 이는 너무 폭이 두꺼울 경우 사무공간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통행하는데 있어서도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이다.The width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40 to 45 cm, because if the width is too thick, not only wastes office space but also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의 도어이 개폐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의 도어(120)이 개폐되는 것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door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closed,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door 120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clos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제1 수납공간(110) 배면에는 도어(120)와, 상기 도어(120)의 상단에는 파티션판(140)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도어(120)의 배면에는 손잡이(122)가 더 포함되고 판재(121)로 마감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a door 120 and a partition plate 140 are inclu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space 110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20 further includes a handle 122 and is finished with a plate material 121.

상기 도어(120)는 얇은 판 형상으로 일측이 구획판(130)의 배면 일측에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힌지 결합은 통상적으로 경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도어(120)가 원활히 개폐될 수 있다면 경첩 등 공지된 어떠한 힌지결합방식도 이용가능하다. 다만, 상기 도어(120)는 두께가 얇은 판이므로 초박형으로 힌지 결합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The door 120 is hing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30 in a thin plate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coupling is typically used by a hinge, but any known hinge coupling method such as a hinge can be used if the door 120 can be opened and closed smoothly. However, since the door 120 is a thin plate, it is preferable to use an ultra-thin hinged method.

상기 도어(120)의 배면에 위치한 손잡이(122)는 사용자가 도어(120)를 개폐할 때 손으로 도어(120)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120)의 손잡이(122)는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홈이 파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를 위해 손잡이(122)가 형성된 도어(120)의 배면 부위를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전술했던 바와 같이 도어(120)의 두께가 얇은 판이기 때문에 도어(12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120)의 상단에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일부를 절개하여 손잡이(122)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handle 122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20 is for easily holding the door 120 by hand when the user opens or closes the door 120. The handle 122 of the door 120 is preferably formed in a groove shape in which the hand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the rear portion of the door 120, the handle 122 is formed. This is to secure a space for easily holding the door 120 because the door 120 is a thin plat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handle 122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door 120 into a size that allows a hand to enter the top of the door 120.

상기 도어(120)를 닫은 후 고정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도어(120)의 힌지결합되는 일측의 반대 방향인 타측에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120)의 상단에 위치한 파티션판(12)의 상기 도어(120)의 타측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결합되게 된다. 전술한 고정 방식은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고정 방식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method of fixing the door 120 after closing the door 120 is a commonly used method, and a locking jaw (not shown)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door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d side of the door 120, and the door 120 is closed. A lock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12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120 to form a locking groove (not shown). Since the above-described fixing method is a fixing method that is commonly us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파티션판(12)의 두께는 5 내지 10mm의 얇은 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배면에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파티션판(12)이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의 배면에 고정되는 방식은 접착방식, 철침을 장입하는 방식등 견고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고정되면 어떠한 방식을 이용해도 무관하다. 다만, 상기 파티션판(12)을 고정하였을 때, 상기 파티션판(12)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않는 고정방식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파티션판(12)의 겉면에는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기 위해 덮개천(12)이 더 포함될 수도 있는데, 상기 덮개천(미도시)도 전술한 파티션판(12)과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의 고정방식과 마찬가지로 견고하며, 외관이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고정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plate 12 is preferably a thin plate of 5 to 10mm, it is fixed on the back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partition plate 12 is fixed to the back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id adhesive method, such as a method of charging the needle,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ly fixed, any method may be used. However, when fixing the partition plate 12, a fixing method that does not affect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plate 12 is suitable. In addition, a cover cloth 12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12 to further enhance the appearance, and the cover cloth (not shown) also includes the partition plate 12 and the storag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th the partition fix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a fixing method that is robust and has a beautiful appearanc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납장 겸 파티션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납장 겸 파티션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의 수납장 겸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4 and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plurality of storage cabinets and part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ure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lurality of storage cabinets and part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abinets and partitions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의 상단에는 결합구(40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을(10-1)(10-2)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4 and 5,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10-1)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upler 400. Here, the cabinet and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10-1) (10-2)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상기 결합구(400)는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의 상단에 모서리마다 위치하는데, 상기 결합구(400)에는 T형결합부재(410)가 결합된다. 즉, 판재(13)(14)와 상판(15)가 결합되어 형성된 선변(16)(17)에 'ㄱ'자형상으로 상기 T형결합부재(410)의 두께만큼 홈이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에 T형결합부재(410)가 결합되어도 돌출된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The coupler 400 is located at each corner at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and the partition (10-1)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400 is coupled to the T-shaped coupling member 410. That is, grooves are formed in the line sides 16 and 17 formed by combining the plate 13 and 14 and the upper plate 15 in the shape of 'A'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T-shaped coupling member 410. This is to improve the appearance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is not visible even when the T-shaped coupling member 410 is coupled to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s 10-1 and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T형결합부재(410)는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를 연결시켜주며,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강철 등 견고한 금속합금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shaped coupling member 410 connects the cabinet and partitions 10-1 and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orts the cabinet and partitions 10-1 and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lays a ro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rigid metal alloy material such as steel.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의 결합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1)를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2)를 동일선상 동일한 높이로 맞춘 후, 상기 수납장 겸 파티션(10-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장 겸 파티션(10-2)를 상기 수납장 겸 파티션(10-1)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수납장 겸 파티션(10-1)와 상기 수납장 겸 파티션(10-2)의 각 선변(16)(17)을 서로 일치시키면, 각각의 결합구(400)도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 후 상기 결합구(400) 사이에 T형결합부재(410)을 삽설된 후 나사(420)을 이용하여 조여서 결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의 결합구(400)에는 나사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420)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결합 될 수 있게 된다. 즉 나사결합을 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는 서로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더 많은 복수의 본 발명의 수납장 겸 파티션(10-1)(10-2)가 결합될 수 있다.Combination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10-1)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as follows. After adjusting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ame height on the same line in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and partition 10-1 is fixed while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10-1 is fixed. (10-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inet and partition (10-1). At this time, if the line and partition 10-1 and the respective sides 16 and 17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10-2 coincide with each other, each coupling hole 400 is also placed in the same position. Thereafter, the T-shaped coupling member 410 is inserted between the coupling spheres 400, and then tightened by using a screw 420. In this case, a screw bon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400 of the cabinet and partitions 10-1 and 10-2, and a screw thread (not shown) is formed in the screw 420 to screw the coupling. It becomes possible. That is, by screwing, the cabinet and partitions (10-1)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fix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more cabinets and partitions 10-1 and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in the same m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orag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겸 파티션의 도어(120)가 개폐되는 것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door 120 of the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clos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납장 겸 파티션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plurality of storage cabinets and partitions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납장 겸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abinet an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10 : 수납장 겸 파티션 11 : 정면판 12 : 파티션판10: cabinet and partition 11: the front plate 12: partition plate

100 : 상단 수납부 110 : 제1 수납공간 111 : 상부 수납공간100: upper accommodating part 110: first accommodating space 111: upper accommodating space

112 : 하부 수납공간 130 : 구획판 131 : 내부 구획판112: lower storage space 130: partition plate 131: internal partition plate

200 : 하단 수납부 210 : 제2 수납공간 400 : 결합구200: lower housing 210: second storage space 400: coupling

Claims (4)

수납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납장 겸 파티션에 있어서,In the cabinet and partition can be used as a storage cabinet, 횡으로 가로지르는 구획판(130)에 의해 상단 수납부(100) 및 하단 수납부(200)로 구획되고, 정면을 책상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되;It is partitioned into the upper housing part 100 and the lower housing part 200 by the partition plate 130 crossing horizontally, the front is installed to be disposed in the desk direction; 상기 상단 수납부(100)에는, 정면이 개방되고 배면이 개폐 가능한 도어(120)를 구비한 판재(121)로 마감한 제1 수납공간(110)을 형성하고; Forming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i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100),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of which a front surface is opened and a rear surface is opened and closed with a plate (121) having a door (120); 상기 하단 수납부(200)에는, 배면을 개방시켜 배면에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제2 수납공간(210)을 형성하며;In the lower housing part 200, a second housing space 210 is formed to open a rear surface to accommodate an object on the rear surface; 상기 제1 수납공간(110)은, The first storage space 110, 횡으로 가로지른 내부 구획판(131)을 추가 설치하여서, 상부 수납공간(111)과 하부 수납공간(112)으로 구획되며;An inner partition plate 131 transversely installed to be further partitioned into an upper storage space 111 and a lower storage space 112; 상기 도어(120)는, The door 120, 상기 하부 수납공간(112)의 배면에 구비되며,It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lower storage space 112, 배면에 손잡이(122)가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130)의 배면에 힌지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겸 파티션.The handle 122 is provided on the back, the cabinet and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partition plate (130).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획판(130)은, The partition plate 130, 책상(300)의 상면(310)과 동일 수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겸 파티션.Cabinet and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desk (30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25179A 2009-12-16 2009-12-16 Partition combined cabinet KR101154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79A KR101154945B1 (en) 2009-12-16 2009-12-16 Partition combined cabi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79A KR101154945B1 (en) 2009-12-16 2009-12-16 Partition combined cabi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98A KR20110068298A (en) 2011-06-22
KR101154945B1 true KR101154945B1 (en) 2012-06-14

Family

ID=4440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79A KR101154945B1 (en) 2009-12-16 2009-12-16 Partition combined cabi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94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577A (en) * 1996-11-26 1998-06-16 Itoki Crebio Corp Combination furniture for desk and housing container
JPH11332672A (en) * 1998-05-28 1999-12-07 Dantani Plywood Co Ltd Ld-partitioning furniture/table
KR200376869Y1 (en) 2004-11-22 2005-03-11 주식회사 울타리 goods receipt structure for a partition
KR20090005236U (en)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artition with the lower cabi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577A (en) * 1996-11-26 1998-06-16 Itoki Crebio Corp Combination furniture for desk and housing container
JPH11332672A (en) * 1998-05-28 1999-12-07 Dantani Plywood Co Ltd Ld-partitioning furniture/table
KR200376869Y1 (en) 2004-11-22 2005-03-11 주식회사 울타리 goods receipt structure for a partition
KR20090005236U (en)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artition with the lower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98A (en)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608B2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US9265325B2 (en) Cosmetic compact with pivoting tray
JP6158215B2 (en) Cabinet and mirror selectively attached to a hinge that supports the door of the room to the door frame, hinge for such attachment, and method for its attachment
US20070247037A1 (en) Storage drawer assembly with power capability and modular drawer arrangement
TW200907266A (en) Refrigerator
US20190380495A1 (en) Wall of a furniture element and furniture element or item of furniture having said type of wall
US20080315737A1 (en) In-Wall Mounted Toolbox
KR101154945B1 (en) Partition combined cabinet
US8205950B1 (en) Workstation unit with vertically movable panel
US20050236290A1 (en) Case with removable accessory holder
KR200441767Y1 (en) Chest with sliding door
JP2007143646A (en) Wash cabinet
US20160338885A1 (en) Plaster dispenser and first aid kit container
US8764131B2 (en) Undercabinet secretary with hidden compartment
JP2003289952A (en) Housing furniture
KR101053993B1 (en) Versatile Cabinet
KR102582319B1 (en) storage cabinet with ceiling storage
KR200352858Y1 (en) The Cosmetic Case Having a Magnetic Substance
KR100598788B1 (en) partition with custody box
KR102108193B1 (en) A cell phone case
KR20190126226A (en) A furniture door equipment
WO2024045231A1 (en) Luggage case
KR102478767B1 (en) Versatile storage box painted with natural lacquer
US9775435B2 (en) Shelf component
KR200325103Y1 (en) a de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