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873B1 -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4873B1 KR101154873B1 KR1020100011946A KR20100011946A KR101154873B1 KR 101154873 B1 KR101154873 B1 KR 101154873B1 KR 1020100011946 A KR1020100011946 A KR 1020100011946A KR 20100011946 A KR20100011946 A KR 20100011946A KR 101154873 B1 KR101154873 B1 KR 1011548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upling
- outer container
- beverage
- inner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214 soft drin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8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the auxiliary container falling into the main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in solid block form falling into the main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외부용기 내부에 다른 종류의 음료를 담은 내부용기를 구비하여 밀봉시키고, 음료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외부용기의 외부에서 조작하여 내부용기의 음료를 외부용기의 음료와 섞은 후, 외부용기를 개봉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는,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용기에 수용된 액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를 수용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와 착탈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 외부용기 외부에 노출시켜 구비한 당김부재; 및 상기 당김부재와 결합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당김부재의 당김력을 결합수단에 전달하여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다.Inner container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beverages inside the outer container is sealed.If you want to drink the beverage, operate it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mix the drink of the inner container with the drink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n open and drink the outer container. Disclosed is a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allowing.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ontainer consisting of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liquid is received; An inner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to accommodate a liquid different from the liquid contained in the outer container; Coupling means for allowing the inner container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container; A pulling member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a coupling release means connected between the pul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ans to transfer the pulling force of the pulling member to the coupling means to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용기 내부에 다른 종류의 음료를 담은 내부용기를 구비하고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뚜껑으로 외부용기를 밀봉시킨 후, 음료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외부용기 외부에서 내부용기를 결합해제시켜 내부용기의 음료를 외부용기의 음료와 섞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an inner container containing another kind of beverage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to seal the outer container with a lid, and then drink the beverage. When you want to drink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combined to drink the beverage of the inner container by releasing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일반적으로 청량음료 및 액즙음료 등은 음료의 특성에 알맞은 향기, 빛깔 및 맛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에 소량의 응축된 진액을 혼합하여 만든다. 상기한 물과 진액을 혼합하여 완성된 음료는 용기에 저장하여 판매하게 된다.In general, soft drinks and liquid drinks are made by mixing a small amount of condensed essence in water to provide aroma, color and tast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The beverage, which is mixed with the above water and the essence liquid, is stored and sold in a container.
또한, 주류 등의 음료는, 향기, 빛깔 및 맛을 갖는 내용물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음료 제조사에 의하여 제조된 음료는, 그대로 마시는 것이 대부분이나,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맛과 향기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 및 진액을 혼합하여 마시기도 한다.In addition, drinks, such as alcohol, are manufactured by adding the content which has a fragrance, a color, and a taste. Most beverages produced by the beverage manufacturers are used as they are, but may be mixed with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and liquors in order to improve taste and aroma according to the consumer's taste.
상기 음료의 맛과 향기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주 음료를 별도의 잔에 따른 후 추가하고자 하는 이종의 음료 및 진액을 넣어 혼합하게 된다. 즉, 소비자는, 자신의 취향대로 제조한 독특한 맛과 향을 갖는 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하는 경우가 있다. As a method of improving the taste and aroma of the beverage, the main beverage is mixed with a different drink and the essence to be added after a separate cup. That is, a consumer may manufacture and drink the drink which has the unique taste and fragrance manufactured according to one's taste.
그러나, 상기한 음료들을 혼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잔이 필요하여 불편하고,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어려워 원하는 혼합 음료를 제대로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require a separate cup in order to mix the above drinks,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mixing ratio, so that the desired mixed drink cannot be properly obtain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용기 내부에 내부용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담은 후, 외부에서 내부용기를 결합해제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외부용기의 음료와 내부용기의 음료를 혼합하여 마실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urpose is to detachably combine the inner container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to contain different types of beverage i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side It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conveniently drink by mixing the beverag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beverage of the inner container by decoupl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용기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내부용기를 결합해제시켜 외부용기의 음료와 내부용기의 음료를 혼합시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조작이 외부용기 외부에 노출시켜 구비한 당김부재를 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member provided by exposing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the operation to release the inner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to mix and drink the beverag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beverage of the inner container.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to be made by a simple operation to pul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용기에 수용된 액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를 수용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부측을 외부용기에 착탈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 외부용기 외부에 노출시켜 구비한 당김부재; 및 상기 당김부재와 결합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당김부재의 당김력을 결합수단에 전달하여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outer container consisting of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liquid is accommodated; An inner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to accommodate a liquid different from the liquid contained in the outer container; Coupling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pening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uter container; A pulling member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a disengagement means connected between the pul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ans to transfer the pulling force of the pulling member to the coupling means to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부측을 외부용기의 뚜껑 안쪽에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음료용기에 특징이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side of the inner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by the coupling means inside the lid of the outer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부측을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음료용기에 특징이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side of the inner container is characterized by a beverage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container by a coupling mea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용기의 뚜껑 안쪽에 내부용기의 개구부측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내부용기의 상단에 결합부가 끼워져 개구부를 밀봉하는 결합마개와, 상기 결합마개의 가장자리부를 외부용기의 뚜껑 안쪽에 원통형상으로 돌출시킨 고정돌출부 끝단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이, 일단은 뚜껑의 고정돌출부와 결합마개의 결합부 사이에 끼워지고 타단은 결합마개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마개 위에 수평방향의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지렛대와, 상기 각각의 지렛대 타단과 상기 당김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당김부재의 당김력을 각각의 지렛대 타단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에 특징이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opening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inside of the lid of the outer container, the coupling plug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to seal the opening and the edge of the coupling plug It consists of a fixing member for fixing to the end of the fixed protrusion projecting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lid of the outer container, the release means for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one end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lid and the coupling stopper A plurality of levers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oupling stopper so that the other e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stopper,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each lever and the pulling member to draw the pulling force of the pulling member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a beverage container made of a connection member for transmitting t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용기의 뚜껑 안쪽에 내부용기의 개구부측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내부용기의 상단에 결합부가 끼워져 개구부를 밀봉하는 결합마개와, 상기 결합마개의 가장자리부를 외부용기의 뚜껑 안쪽에 원통형상으로 돌출시킨 고정돌출부 끝단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이, 일단은 뚜껑의 고정돌출부와 결합마개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당김부재에 연결되는 구부림 변형이 자유로운 복수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뚜껑 안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중간부분이 결합마개의 결합부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에 특징이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opening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inside of the lid of the outer container, the coupling plug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to seal the opening and the edge of the coupling plug It consists of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end of the fixed protrusion projecting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lid of the outer container, the release means for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one end between the fixed protrusion of the lid and the edge of the coupling stopper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freely bent and connected to the pulling member and fixed at the other end, and are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lid to support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stopper. It is characterized by a beverage container consisting of a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내부용기의 개구부측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고 내부용기의 개구부 상단이 끼워져 밀봉되는 결합홈을 형성한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이, 상기 외부용기의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당김부재와 내부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에 특징이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opening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container, the coupling groove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inner container is fitted to seal the It is made of a coupl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engagement means for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pull member and the inner container through the lid of the outer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용기 내부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일정 크기의 내부용기가 구비되어 다른 종류의 음료를 담을 수 있게 되므로 음용시에는 간단하게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혼합하여 마실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container of a predetermined size coupled to be separat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is provided to hold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the drink can be simply mixed with each other when drinking.
또한 본 발명은, 외부용기에 결합되는 내부용기를 외부에서 당김부재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부용기를 결합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can be released from the inner container by a simple operation to pull the pulling member from the outside has an effect that is easy to use.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의 음료를 외부용기의 음료와 혼합시켜 형성되는 맛을 흥미나 호기심을 가지고 음용할 수 있으며, 내부용기에 담긴 청량음료, 액즙 및 이종의 주류를 외부용기의 음료와 혼합시키면 즉석에서 칵테일을 음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te formed by mixing the beverage of the inner container with the beverage of the outer container can be drink with interest or curiosity, and the soft drink, juice and heterogeneous liquor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mixed with the beverage of the outer container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drink a cocktail on the f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음료용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와 이 외부용기(10)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용기(20)로 이루어진다.1 to 3 show a beverage containe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t is composed of an
외부용기(10)는 개구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용기본체(11)와, 상기 용기본체(11)의 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밀봉하기 위한 뚜껑(12)으로 이루어지며, 용기본체(11)와 뚜껑(12)의 개폐구조는,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내부용기(20)는, 외부용기(10)에 수용되는 액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용기(1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용기(20)의 개구부측은 결합수단에 의해 외부용기(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결합수단은 외부용기(10) 외부에 노출시켜 구비한 당김부재(30)와, 상기 당김부재(30)와 결합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당김부재(30)의 당김력을 결합수단에 전달하는 결합해제수단에 의해 결합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1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oupling means is coupled between the pullin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용기(20)의 개구부측을 외부용기(10)의 뚜껑(12) 안쪽에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결합수단은 내부용기(20)의 상단에 결합부가 끼워져 개구부를 밀봉하는 결합마개(41)를 구비한다. 결합마개(41)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해 판상으로 제작되고, 내부용기(20)의 개구부 상단 둘레부가 일정깊이 끼워지는 삽입홈(42a)을 가지는 결합부(42)가 위로 돌출형성되어 내부용기(20)의 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밀봉시키게 되며, 고정부재(43)에 의해 외부용기(10)의 뚜껑(12) 안쪽에 고정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side of the
즉, 외부용기(10)의 뚜껑(12) 안쪽에는 고정돌출부(44)를 원통형상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결합마개(41)의 가장자리부를 고정돌출부(44) 끝단과 고정부재(43) 사이에 위치시킨 후, 고정부재(43)를 고정돌출부(44)에 결합함으로써 결합마개(41)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고정부재(43)와 고정돌출부(44)의 고정은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the inside of the
또한, 상기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은 복수개의 지렛대(45)와, 상기 당김부재(30)의 당김력을 각각의 지렛대(45)에 전달하는 연결부재(46)로 이루어진다. 지렛대(45)는 일단이 뚜껑(12)의 고정돌출부(44)와 결합마개(41)의 결합부(42) 사이에 끼워지고 타단은 결합마개(41)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마개(41) 위에 수평방향의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46)는 뚜껑(12)을 관통하여 각각의 지렛대(45) 타단과 상기 당김부재(30) 사이에 연결되고 구부림 자유로운 재질로 제작되어 당김부재(30)의 당김력을 각각의 지렛대(45) 타단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당김부재(30)는 손가락으로 당기는 것이 용이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lease means for separating the
이러한 구성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도 2에서와 같이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수용하고, 내부용기(20)를 뚜껑(12)에 결합한 후, 뚜껑(12)을 외부용기(10)에 결합함으로써 이종의 음료를 담은 하나의 음료용기가 된다.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2 accommodates different types of beverage in the
따라서 음료용기의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외부용기(10)의 외부에 노출시킨 당김부재(30)를 잡아당기게 되면, 결합해제수단의 연결부재(46)에 의해 지렛대(45)의 타단이 위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써 지렛대(45)의 일단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결합마개(41)의 결합부를 아래방향으로 밀어 누르게 되므로 내부용기(20)의 상단 둘레부가 결합부(42)의 삽입홈(42a)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Therefore, when you want to drink the bever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as shown in Figure 3, when pulling the
이로 인해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10)로부터 결합해제되어 분리되고, 밀봉된 개구부가 개방되어 내부용기(20)의 음료가 외부용기(10)의 음료와 섞이게 되므로, 뚜껑(12)을 열고 이종의 음료가 섞인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며, 내부용기(20)의 분리가 당김부재(30)를 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As a result, the
도 4 및 도 5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이, 일단은 뚜껑(12)의 고정돌출부(44)와 결합마개(41)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당김부재(30)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부재(51)와, 상기 뚜껑(12) 안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51)의 중간부분이 결합마개(41)의 결합부(42)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돌출부(52)로 이루어진 것 외에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4 and 5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isengagement means for separating 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의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외부용기(10)의 외부에 노출된 당김부재(30)를 잡아당기게 되면, 결합해제수단의 연결부재(51)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지지돌출부(52)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51)의 중간부분이 결합마개(41)의 결합부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되므로 연결부재(51)가 결합마개(41)의 결합부(42)를 아래방향으로 밀어 누르게 되어 내부용기(20)의 상단 둘레부가 결합부(42)의 삽입홈(42a)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When you want to drink the bever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5, when pulling the
이로 인해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10)로부터 결합해제되어 분리되고, 밀봉된 개구부가 개방되어 내부용기(20)의 음료가 외부용기(10)의 음료와 섞이게 되므로, 뚜껑(12)을 열고 이종의 음료가 섞인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며, 내부용기(20)의 분리가 당김부재(30)를 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As a result, the
이어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용기(20)의 개구부측을 외부용기(10)의 내부 바닥에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이다.6 and 7 show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side of the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 바닥에 내부용기(20)의 개구부측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외부용기(10)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고 내부용기(20)의 개구부 상단이 끼워져 밀봉되는 결합홈(61a)을 형성한 결합부재(61)로 이루어진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opening side of the
또한, 상기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은, 상기 외부용기(10)의 뚜껑(12)에 형성한 관통구멍(64)을 관통하여 상기 당김부재(30)와 내부용기(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2)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elease means for separating the
이때, 상기 연결부재(6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실리콘 또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제작한 밀봉부(63)를 형성하여 뚜껑(12)의 관통구멍(64)을 밀봉하도록 되어 있고, 이 밀봉부(63)는 뚜껑(12)의 관통구멍(64) 하단과 상단 사이의 길이보다 적어도 짧은 길이의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하여 연결부재(62)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뚜껑(12)의 관통구멍(64)과 연결부재(62)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이러한 구성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도 6에서와 같이 먼저 내부용기(20)에 음료를 담아 외부용기(10) 바닥에 고정된 결합부재(61)의 결합홈(61a)과 내부용기(20) 개구부측 상단 둘레부를 끼워 결합한 후, 외부용기(10) 내에 내부용기(20)와 다른 종류의 음료를 수용하여 뚜껑(12)을 결합함으로써 이종의 음료를 담은 하나의 음료용기가 된다.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6, first put the beverage in the
따라서 음료용기의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외부용기(10)의 외부에 노출된 당김부재(30)를 잡아당기게 되면, 결합해제수단의 연결부재(62)에 의해 내부용기(20)가 위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써 내부용기(20)의 개구부측 상단 둘레부가 결합부재(61)의 결합홈(61a)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Therefore, when you want to drink the bever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as shown in Figure 7 pull the
이로 인해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10)로부터 결합해제되어 분리되고, 밀봉된 개구부가 개방되어 내부용기(20)의 음료가 외부용기(10)의 음료와 섞이게 되므로, 뚜껑(12)을 열고 이종의 음료가 섞인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며, 내부용기(20)의 분리가 당김부재(30)를 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As a result, the
또한, 연결부재(62)에 구비된 복수개의 밀봉부(63)가 당김부재(30)를 당길 때, 순차적으로 뚜껑(12)의 관통구멍(64)과 연결부재(62) 사이를 지속적으로 밀봉하게 되므로, 내부용기(2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외부용기(10) 내부의 탄산가스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외부용기 내부에 내부용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외부에서 당김부재를 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외부용기의 음료와 내부용기에 담긴 이종의 음료를 섞은 혼합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음료용기 제조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ontainer inside the outer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by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by a simple operation of pulling the pull member from the outside, the beverag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heterogeneous beverage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mixed It is intended to easily drink the mixed beverage, it can be widely u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manufacturing industry.
10 : 외부용기 11 : 용기본체
12 : 뚜껑 20 : 내부용기
30 : 당김부재 41 : 결합마개
42 : 결합부 43 : 고정부재
44 : 고정돌출부 45 : 지렛대
46, 51, 62 : 연결부재 52 : 지지돌출부
61 : 결합부재 10: outer container 11: container body
12: lid 20: inner container
30: pulling member 41: coupling stopper
42: coupling portion 43: fixing member
44: fixed protrusion 45: lever
46, 51, 62: connecting member 52: support protrusion
61: coupling member
Claims (6)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용기에 수용된 액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를 수용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부측을 외부용기의 뚜껑 안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용기의 상단에 결합부가 끼워져 개구부를 밀봉하는 결합마개와, 상기 결합마개의 가장자리부를 외부용기의 뚜껑 안쪽에 원통형상으로 돌출시킨 고정돌출부 끝단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결합수단;
외부용기 외부에 노출시켜 구비한 당김부재; 및
상기 당김부재와 결합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당김부재의 당김력을 결합수단의 결합마개에 형성된 결합부에 전달하여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An outer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for receiving liquid an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 inner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to accommodate a liquid different from the liquid contained in the outer container;
A coupling stopper for detachably coupling the opening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inside of the lid of the outer container. Coupling means consisting of a fixing member for fixing to the end of the fixed projection projecting upward;
A pulling member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Drink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between the pul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ans to transfer the pulling force of the pulling member to th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oupling stopper of the coupling means to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1946A KR101154873B1 (en) | 2010-02-09 | 2010-02-09 | Beverage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1946A KR101154873B1 (en) | 2010-02-09 | 2010-02-09 | Beverage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2498A KR20110092498A (en) | 2011-08-18 |
KR101154873B1 true KR101154873B1 (en) | 2012-06-18 |
Family
ID=4492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1946A KR101154873B1 (en) | 2010-02-09 | 2010-02-09 | Beverage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487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03086A (en) * | 2015-04-24 | 2015-07-29 | 杨晓峰 | Bottle cap, tea bottle and tea leaf brewing and storage methods |
KR102396767B1 (en) * | 2020-07-27 | 2022-05-10 | 박용성 | Pack type food container capable of optional intak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2373U (en) * | 1991-04-12 | 1993-03-23 | 株式会社栄光堂セレモニーユニオン | Container |
-
2010
- 2010-02-09 KR KR1020100011946A patent/KR10115487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2373U (en) * | 1991-04-12 | 1993-03-23 | 株式会社栄光堂セレモニーユニオン |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2498A (en) | 2011-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971225B (en) | Distribute the molectron of convering system and distribution convering system and bottle | |
US10610045B2 (en) | Beverage system including a removable piercer | |
US8147120B2 (en) | Disposable shaker | |
US9701453B2 (en) | Closure cap for attaching to a liquid container | |
US8083056B1 (en) | Container | |
AU5188101A (en) | Container with separate storage spaces | |
US9408778B2 (en) | Chambered mixing bottle | |
US20180086519A1 (en) | Bottle for Disposable One Time Use Substance Container | |
KR101499752B1 (en) | Bottle cap drinking with granule additive and beverage simultaneously | |
CA2624862A1 (en) | Drinking container | |
KR101154873B1 (en) | Beverage container | |
US10743689B2 (en) |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novel two-chambered drinking receptacles | |
US20130146592A1 (en) | Supplemental liquid storage device attachable to a primary beverage container | |
US20120103841A1 (en) |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 |
JP2017520489A (en) | Universal bottle cap | |
KR20150017317A (en) | Bottle cap drinking with granule additive and beverage simultaneously | |
JP2009083923A (en) | Container cap with powder storage body being opened at unsealing | |
US20060237471A1 (en) |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 |
KR20090098617A (en) | Heterogeneous substance receiving device | |
KR101546530B1 (en) | Cap container | |
KR101104633B1 (en) | Beverage container | |
KR101056403B1 (en) | Cap for mixing different materials | |
KR101074736B1 (en) | Shaking vessel | |
KR200413867Y1 (en) | Drinkware with a straw | |
WO2018169978A1 (en) | Bevera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