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862B1 - 청소 신발 - Google Patents

청소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862B1
KR101154862B1 KR1020100012007A KR20100012007A KR101154862B1 KR 101154862 B1 KR101154862 B1 KR 101154862B1 KR 1020100012007 A KR1020100012007 A KR 1020100012007A KR 20100012007 A KR20100012007 A KR 20100012007A KR 101154862 B1 KR101154862 B1 KR 10115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dust
cleaning
spac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533A (ko
Inventor
강정호
권희준
이정화
박시범
김진미
이철재
김하나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8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을 신고 걷는 과정에서 신발 전체 면적에 걸친 바닥의 먼지를 압축된 공기로 쓸어서 먼지필터로 이동시켜 걸러냄으로써, 걷는 동작만으로 청소 효과를 충분히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신발 밑창과; 발끝을 덮는 커버와; 상기 신발 밑창 둘레에 형성되되 실내 바닥면과 신발 밑창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튼부와; 상기 신발 밑창 하부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신발 밑창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바람 발생공간과 먼지 이동공간으로 나누는 분리판과; 상기 커튼부 하단 둘레에 구비되어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여 분리판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커튼부 내측 공기의 신발 외측으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윈드실딩 서포터와; 상기 먼지 이동공간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먼지저장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소 신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청소 신발{shoes for dust colleting}
본 발명은 청소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걷는 동작만으로 청소 효과를 낼 수 있는 청소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 실용성이 인증되어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청소용 슬리퍼(실내화)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가격이나 이동성(무게감)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에 우리는 좀 더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며, 걷는 동작만으로 청소효과를 낼 수 있는 청소도구 겸용의 신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걷는 동작만으로 청소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신발이 제안되어 있는데, 걷는 동작만으로 청소효과를 내는 기술에는 신발 밑창에 걸레를 부착하여 신발을 신고 걸음에 따라 직접적으로 먼지를 닦아내는 타입과(특허문헌1 참조), 구조적 특징에 의해 신발을 신고 걸음에 따라 바람을 일으켜 통기되는 과정에서 먼지를 걸러내는 타입이 있다(특허문헌2 참조).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에 제시된 기존 기술의 청소 신발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먼저, 특허문헌1에 제시된 기존의 청소 신발은 발걸레에 먼지 및 쓰레기가 달라붙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생상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사용에 의하여 먼지 부착량이 많아지면 발걸레의 포집 능력이 현저히 악화되어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등 많은 단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2에 제시된 기존의 청소 신발은 한번 발을 디딤에 의해서 청소 가능한 면적이 좁은 입구(4)(도 1a 및 도 1b 참조)에 한정되므로 청소 면적이 매우 좁고, 이에 따라 청소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특히, 특허문헌2에 제시된 기존의 청소 신발은 발을 디딜 때 신발 내부의 공간이 압축되었다가 신발 밑면이 청소대상 바닥면으로 떨어지면서 입구 주변 공기를 흡입하게 됨으로써, 공기 흡입 작용에 의해 입구 주변의 먼지를 내부로 빨아들이는 구조이나, 입구 면적이 좁고 발을 떼면 이미 먼지가 있는 바닥면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으로써 바닥면에 있는 먼지에 대한 흡입력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2에 제시된 기존 청소 신발의 경우, 흡입면적이 작고 흡입 효율도 낮아 청소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1:한국공개실용신안20-2008-0006379호 특허문헌2:일본공개특허공보특개평10-1460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며,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걷는 동작만으로 청소 효과를 충분히 낼 수 있는 청소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신발을 신고 걷는 과정에서 신발 전체 면적에 걸쳐 바닥면의 먼지를 압축된 공기로 쓸어서 먼지필터로 이동시켜 걸러내게 됨으로써, 기존의 공기 흡입 방식의 청소 신발에 비해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존의 발걸레 부착식 청소 신발과는 달리 장기간 사용해도 포집 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청소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발 밑창과; 발끝을 덮는 커버와; 상기 신발 밑창 둘레에 형성되되 실내 바닥면과 신발 밑창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튼부와; 상기 신발 밑창 하부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신발 밑창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바람 발생공간과 먼지 이동공간으로 나누는 분리판과; 상기 커튼부 하단 둘레에 구비되어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여 분리판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커튼부 내측 공기의 신발 외측으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윈드실딩 서포터와; 상기 먼지 이동공간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먼지저장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이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신발 밑창과; 발끝을 덮는 커버와; 상기 신발 밑창 둘레에 형성되되 실내 바닥면과 신발 밑창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튼부와; 상기 신발 밑창 하부면 일측에 신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부착되어 상기 신발 밑창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바람 발생공간과 먼지 이동공간으로 분할하게 되는 복수개의 분리판과; 상기 커튼부 하단 둘레에 구비되어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여 상기 분리판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커튼부 내측 공기의 신발 외측으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윈드실딩 서포터와; 상기 먼지 이동공간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먼지저장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신발은 무동력으로서,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걷는 동작만으로 청소 효과를 충분히 낼 수 있는 청소 신발로서,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시중의 전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청소 신발에 비해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을 신고 걷는 과정에서 신발 전체 면적에 걸친 바닥의 먼지를 압축된 공기로 쓸어서 먼지필터로 이동시켜 걸러내게 됨으로써, 기존의 공기 흡입 방식의 청소 신발에 비해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존의 발걸레 부착식 청소 신발과는 달리 장기간 사용해도 포집 능력이 유지되는 장점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용 신발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측단면도
도 1b는 저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 신발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청소 신발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 청소 신발의 저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작용에 따른 공기 및 먼지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 신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청소 신발의 작용에 따른 공기 및 먼지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신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청소 신발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 청소 신발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발명의 작용에 따른 공기 및 먼지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신발은, 발이 닿는 신발 밑창(1)과, 발끝을 덮는 커버(2)와, 상기 신발 밑창(1) 둘레에 형성되되 실내 바닥면과 신발 밑창(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튼부(3)와, 상기 신발 밑창(1) 하부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신발 밑창(1)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바람 발생공간(S1)과 먼지 이동공간(S2)으로 나누는 분리판(4)(seperator)과, 상기 커튼부(3) 하단 둘레에 구비되어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여 분리판(4)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커튼부(3) 내측 공기의 신발 외측으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윈드실딩 서포터(5)(wind shielding supporter)와, 상기 먼지 이동공간(S2)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먼지저장주머니(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먼지저장주머니(6)의 입구측에는 먼지가 역류하여 상기 먼지저장주머니(6)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편(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저장주머니(6)는 먼지는 남고 공기만 신발 뒤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튼부(3)는 천이나 탄성이 있는 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윈드실딩 서포터(5)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판(4)의 하부면에는 상기 윈드실딩 서포터(5)의 작용을 보조하여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며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분리판이 처져서 바닥면에 닿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서포터(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조서포터(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외측면을 따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청소 신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청소 신발은 걸어다니는 것만으로도 바닥의 먼지들을 포집하여 청소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상적인 보행은 먼저 발뒤꿈치가 땅에 닿고 두번째로 발바닥 전체가 닿고 세번째로 앞쪽이 닿은 상태에서 뒤꿈치가 떨어지는 3박자 보행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청소 신발을 신고 걸음을 걸으면 발 뒤꿈치부터 닿으므로, 발 뒤꿈치가 닿았을 경우 발 앞쪽은 들려있을 수 있지만, 발 앞쪽이 바닥면에 닿는 순간에는 윈드실딩 서포터(5) 내부가 완전히 밀폐된다. 즉, 뒤꿈치가 닿은 후에 발 바닥 전체가 바닥에 닿는 것이 일반적인 걸음걸이로, 발 앞쪽이 바닥면에 닿는 순간에는 발 뒤꿈치는 이미 바닥면에 닿은 상태여서 바닥면의 윈드실딩 서포터(5) 내측 영역은 그 외측 영역과 분리되어 자연스럽게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걷는 동작의 자연스러운 진행에 따라 주름을 갖는 커튼부(3)가 압축되면서 바람 발생공간(S1)에 대해 압축력이 가해지면 바람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바람 발생공간(S1)에서 발생한 바람은 분리판(4)에 의해 분할된 먼지 이동공간(S2)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밀폐상태로 있는 윈드실딩 서포터(5) 내측 영역의 먼지들은 바람에 밀려 고스란히 먼지저장주머니(6)로 가게 된다.
이때, 상기 먼지저장주머니(6)의 입구측에는 역류방지편(7)이 구비되어 있는데, 바람의 힘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열리도록 되어 있어, 일단 먼지저장주머니(6)로 유입된 먼지에 대해서는 역류하여 먼지저장주머니(6)를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청소 신발이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면 윈드실딩 서포터(5)의 자중 및 커튼부(3)의 복원력에 의해 커튼부(3)의 주름이 펴짐에 따라 바람 발생 공간이 복원되면서 그 공간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 신발은 기존의 청소 신발과는 달리 윈드실딩 서포터(5)를 두고 있는데, 이는 앞꿈치가 바닥에 닿았을 때는 뒤꿈치가 이미 바닥에 닿은 상태이므로 윈드실딩 서포터(5)에 의해 그 내측 공간이 밀폐되고, 이 상태에서 공기압축에 의해 바람이 발생하면 윈드실딩 서포터(5) 내측 영역의 먼지는 대부분 먼지저장주머니(6)로 가게 되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청소 신발의 경우에는 발 뒤꿈치가 닿으면서 생성된 바람에 의해 먼지가 외부로 흩어져 버릴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청소 신발은 발 뒤꿈치만 닿았을 때에는 적은 양의 바람이 발생하다가 발 앞쪽도 닿아 윈드실딩 서포터(5)가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되었을 때 많은 양의 바람이 발생하여 신발 면적 전체에 해당하는 바닥면에 있는 먼지를 최대한 먼지저장주머니(6)로 보내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걸음을 걸음에 따라 청소 신발의 윈드실딩 서포터(5)에 의해 바닥면이 최대한 밀폐된 상태에서 많은 양의 바람이 발생하여 윈드실딩 서포트 내측의 먼지가 고스란히 먼지저장주머니(6)로 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 신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4의 청소 신발의 작용에 따른 공기 및 먼지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신발은, 발이 닿는 신발 밑창(1)과, 발끝을 덮는 커버(2)와, 상기 신발 밑창(1) 둘레에 형성되되 실내 바닥면과 신발 밑창(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튼부(3)와, 상기 신발 밑창(1) 하부면 일측에 신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부착되어 상기 신발 밑창(1)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바람 발생공간(S1)과 먼지 이동공간(S2)으로 분할하게 되는 복수개의 분리판(4a)과, 상기 커튼부(3) 하단 둘레에 구비되어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여 상기 분리판(4a)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커튼부(3) 내측 공기의 신발 외측으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윈드실딩 서포터(5)와, 상기 먼지 이동공간(S2)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먼지저장주머니(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분리판(4a)의 공기 출구측에는 역류방지판(8)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의 청소 신발의 기술사상은 실시예1과 동일하며, 다만, 분리판(4a)을 복수개 구성하고, 분리판(4a)과 분리판(4a) 사이에 역류방지판(8)을 두는 등 구체적 구성에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먼지저장주머니(6)의 입구측에 먼지가 역류하여 먼지저장주머니(6)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편(7)이 구비됨이 바람직함은 전술한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커튼부(3)는 천이나 탄성이 있는 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윈드실딩 서포터(5)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판(4)의 하부면에는 상기 윈드실딩 서포터(5)의 작용을 보조하여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며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분리판이 처져서 바닥면에 닿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서포터(5')가 구비됨도 전술한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청소 신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걸음을 걸음에 따라 발 뒤꿈치가 닿은 후에 발 앞쪽이 닿는 순간에 바닥면의 윈드실딩 서포터(5) 내측 영역은 그 외측 영역과 분리되어 밀폐되고, 이 상태에서 걷는 동작의 자연스러운 진행에 따라 복수개의 바람 발생공간(S1)에 대해 압축력이 가해져 바람이 발생하게 되며, 각각의 바람 발생공간(S1)에서 발생한 바람은 먼지 이동공간(S2)으로 유입되어 윈드실딩 서포터(5) 내측 영역의 먼지를 대부분 먼지저장주머니(6)로 보내게 된다.
[실시예3]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신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신발 밑창(1)과 윈드실딩 서포터(5) 사이에 위치하는 커튼부(3)를 천이나 고무로 함에 있어서, 신발의 양측면 측 일부 영역을 주름없이 탄력이 좋은 고무(9)로 하여 신발의 좌?우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는, 발목이 앞뒤유동에는 강한 반면에 좌?우 유동에는 약해 신발의 좌?우 유동에 의해서 발목을 다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발의 좌?우 유동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청소 신발의 기능은 유지한 상태에서 커튼부(3)의 신발 양쪽 측면 일부 영역을 주름없이 탄력이 좋은 고무(9)로 대체함으로써 신발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여 좌?우 유동에 의한 발목 부상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신발 밑창 2:커버
3:커튼부 4,4a:분리판
S1:바람 발생공간 S2:먼지 이동공간
5:윈드실딩 서포터 6:먼지저장주머니
7:역류방지편 8:역류방지판
9:고무

Claims (9)

  1. 신발 밑창과;
    발끝을 덮는 커버와;
    상기 신발 밑창 둘레에 형성되되 실내 바닥면과 신발 밑창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튼부와;
    상기 신발 밑창 하부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신발 밑창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바람 발생공간과 먼지 이동공간으로 나누는 분리판과;
    상기 커튼부 하단 둘레에 구비되어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여 분리판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커튼부 내측 공기의 신발 외측으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윈드실딩 서포터와;
    상기 먼지 이동공간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먼지저장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2. 신발 밑창과;
    발끝을 덮는 커버와;
    상기 신발 밑창 둘레에 형성되되 실내 바닥면과 신발 밑창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튼부와;
    상기 신발 밑창 하부면 일측에 신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부착되어 상기 신발 밑창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바람 발생공간과 먼지 이동공간으로 분할하게 되는 복수개의 분리판과;
    상기 커튼부 하단 둘레에 구비되어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여 상기 분리판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커튼부 내측 공기의 신발 외측으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윈드실딩 서포터와;
    상기 먼지 이동공간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먼지저장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리판의 공기 출구측에는 역류방지판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저장주머니의 입구측에는 먼지가 역류하여 먼지저장주머니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저장주머니는 먼지는 남고 공기만 신발 뒤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부는 천이나 탄성이 있는 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윈드실딩 서포터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부에는 전체적으로 주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부의 신발 양측면 측 일부 영역은 신발의 좌?우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주름이 없는 고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윈드실딩 서포터의 작용을 보조하여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며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분리판이 처져서 바닥면에 닿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서포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신발.
KR1020100012007A 2010-02-09 2010-02-09 청소 신발 KR10115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07A KR101154862B1 (ko) 2010-02-09 2010-02-09 청소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07A KR101154862B1 (ko) 2010-02-09 2010-02-09 청소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33A KR20110092533A (ko) 2011-08-18
KR101154862B1 true KR101154862B1 (ko) 2012-06-18

Family

ID=4492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007A KR101154862B1 (ko) 2010-02-09 2010-02-09 청소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13B1 (ko) * 2019-04-04 2020-04-10 주식회사 보슈아 집진 기능을 갖는 실내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03A (ja) * 1996-06-28 1998-01-20 Morikimi:Kk 集塵スリッ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03A (ja) * 1996-06-28 1998-01-20 Morikimi:Kk 集塵スリッ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광고;NEMOPAN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13B1 (ko) * 2019-04-04 2020-04-10 주식회사 보슈아 집진 기능을 갖는 실내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33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366Y1 (ko) 슬리퍼용 걸레
KR101154862B1 (ko) 청소 신발
GB2195074A (en) Ventilating sole for footwear
KR100937229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CN213524076U (zh) 一种防滑效果好的拖鞋
KR200441409Y1 (ko) 분리대가 구성된 실내화 주머니
US7663859B1 (en) Electrostatic footwear
CN106617468A (zh) 一种可清洁除尘的拖鞋
CN208540807U (zh) 一种吸尘鞋
CN206776852U (zh) 一种粘发除尘鞋套
CN207949056U (zh) 一种可重复使用便捷式鞋套
KR20130127106A (ko) 청소용 실내화
CN202010137U (zh) 鞋底清洁机
KR102099613B1 (ko) 집진 기능을 갖는 실내화
CN109393643A (zh) 一种防尘鞋子
CN203152630U (zh) 一种拖地拖鞋
KR20160000475U (ko) 공용 매트리스의 청결한 사용을 위한 일회용 위생커버
KR102662443B1 (ko) 청소용 슬리퍼
CN102715684A (zh) 吸尘鞋
TWM261053U (en) Improved design of slipper
KR200387913Y1 (ko) 실내용 덧신
CN201640618U (zh) 后跟带有气囊的拖鞋
JP3012849U (ja) 靴半脱ぎ用足乗せ板
CN201491785U (zh) 一种拖鞋
CN202525212U (zh) 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