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259B1 - Mounting assembly of passenger air-bag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Mounting assembly of passenger air-bag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259B1
KR101154259B1 KR1020100061612A KR20100061612A KR101154259B1 KR 101154259 B1 KR101154259 B1 KR 101154259B1 KR 1020100061612 A KR1020100061612 A KR 1020100061612A KR 20100061612 A KR20100061612 A KR 20100061612A KR 101154259 B1 KR101154259 B1 KR 10115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unting
cowl crossbar
fixed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3161A (en
Inventor
최형호
권혁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US12/907,838 priority Critical patent/US8246074B2/en
Priority to CN201010530262.0A priority patent/CN102059998B/en
Priority to DE102010060492.5A priority patent/DE102010060492B4/en
Publication of KR2011005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25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수석 에어백을 크러쉬 패드 및 카울 크로스바에 체결하기 위한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이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는 마운팅 브라켓(200) 및 체결부재(300)를 포함하되, 마운팅 브라켓(200)은 조수석 에어백(100)의 적어도 일측부에 고정되고 일단부에 크러쉬 패드(500)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홀부(2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되기 위한 장착홈부(221)가 형성되고, 체결부재(300)는 장착홈부(221)를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한다.An automotive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fastening the passenger seat airbag to the crush pad and cowl crossbar is presented. The airbag mounting assembly includes a mounting bracket 200 and a fastening member 300, wherein the mounting bracket 200 is fix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and fixed to the crash pad 500 at one end thereof. A coupling hole 211 is formed and a mounting groove 221 for fixing to the cowl crossbar 400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member 300 fixes the mounting groove 221 to the cowl crossbar 400.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 ASSEMBLY OF PASSENGER AIR-BAG FOR VEHICLES}Automotive Airbag Mounting Assembly {MOUNTING ASSEMBLY OF PASSENGER AIR-BAG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마운팅 브라켓을 통해 조수석 에어백을 크러쉬 패드 및 카울 크로스바에 고정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fixing the passenger seat airbag to the crush pad and cowl crossbar through a pair of mounting brackets.

조수석 에어백은 차량의 정면 충돌로부터 앞좌석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차량 실내의 앞쪽에 설치된 크러쉬 패드 어셈블리 내측에 장착된다.The passenger airbag is a safety device to protect the passenger in the front seat from the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is mounted inside the crush pad assembly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interior.

이러한 조수석 에어백은 크러쉬 패드 부품에 별도로 구성되는 에어백 도어 또는 일체로 구성되는 에어백 도어와 연결되어야 하고, 에어백의 전개시 에어백 쿠션이 밖으로 나오기 위하여 도어가 열려야 하며, 그 도어의 힌지부가 에어백에 의해서 구속되어야 한다. 또한 에어백의 전개시 반발력을 지지하고 차량 운행시 에어백의 하중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크러쉬 패드 내부의 강성 부품인 카울 크로스 바에 고정되어야 한다.Such a passenger seat airbag must be connected to an airbag door or an integrally constructed airbag door separately in the crush pad part, the door must be opened to allow the airbag cushion to come out when the airbag is deployed, and the hinge of the door must be constrained by the airbag. do. 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the repulsive force when the airbag is deployed and to support the load force of the airbag when the vehicle is driven, it must be fixed to the cowl cross bar, which is a rigid part inside the crush pad.

도 8a 내지 도 8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8A to 8B are views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passenger seat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특히,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백을 크러쉬 패드 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에어백 마운팅 브라켓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8A to 8B, in order to assemble a conventional airbag into a crush pad, several types of airbag mounting brackets are required.

예컨대, 종래 에어백의 경우, 에어백 모듈을 크러쉬 패드와 연결하기 위한 사이드 브라켓(16)과, 에어백 모듈이 조립된 크러쉬 패드를 카울 크로스 바(20)에 조립하기 위한 에어백 마운팅 브라켓(12)과, 카울 크로스 마운팅 브라켓(13)이 필요하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irbag, the side bracket 16 for connecting the airbag module to the crush pad, the airbag mounting bracket 12 for assembling the crush pad in which the airbag module is assembled to the cowl cross bar 20, and the cowl A cross mounting bracket 13 is needed.

그리고 에어백 모듈을 원형 파이프 형태의 카울 크로스 바(2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카울 크로스 마운팅 브라켓(13)을 카울 크로스 바(20)에 맞추어 성형한 후 용접하여 부착하고, 카울 크로스 마운팅 브라켓(13)의 다른 끝단부에는 에어백 모듈에서 내려오는 브라켓과 연결하기 위한 평면부와 너트(14)를 부착한다. 그리고 그 끝단부에 에어백 마운팅 브라켓(12)의 아래 단부를 서로 볼트(15)로 연결하고, 장착브라켓(16)이 마련된 에어백 하우징(11)을 에어백 마운팅 브라켓(12)에 부착한다.In order to assemble the airbag module to the cowl cross bar 20 of the circular pipe shape, first, the cowl cross mounting bracket 13 is molded to fit the cowl cross bar 20 and then welded and attached, and the cowl cross mounting bracket ( The other end of 13) attaches a flat portion and a nut 14 for connection with a bracket coming down from the airbag module. Then, the lower ends of the airbag mounting bracket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olts 15, and the airbag housing 11 provided with the mounting brackets 16 is attached to the airbag mounting brackets 12.

그런데 종래 에어백의 경우, 카울 크로스 바에 대한 에어백 모듈의 조립성과 카울 크로스 바(20)의 원형 형상 때문에 다수의 브라켓이 설계되고 제작되는데, 이렇게 제작된 다수의 브라켓은 부품 원가 및 조립 공수를 증가시키고 조립 공간을 부족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즉, 에어백 모듈과 카울 크로스바 사이 공간이 적어서 그 사이에 마운팅 평면부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우며, 두 브라켓이 겹쳐 있어서 에어백 모듈(크러쉬 패드)이 위에서 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브라켓 변형 공간을 없애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부품을 단순화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irbags, a plurality of bracket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due to the assembly of the airbag module to the cowl crossbar and the circular shape of the cowl crossbar 20, and the multiple brackets thus manufactured increase and increase the cost of parts and the assembly labor. It caused the problem of running out of space. In other words, there is little space between the airbag module and cowl crossbar,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a mounting plane between them, and when the airbag module (crush pad) is impacted from above because two brackets overlap, the bracket deformation to absorb this impact energy There was a problem of eliminating space.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configuration for simplifying the parts while solving the above problems.

또한, 에어백은 충돌 시 작동 시키기 위해서는 인플레이트에 점화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에 전기 공급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컨넥터를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 작업을 위하여 모듈 하단에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한다. 통상의 방법에서는 인플레이터에 다른 리드 와이어를 설치하여 모듈 하단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연결 작업을 하므로 추가적인 리드와이어를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airbag must supply electricity to ignite the inflate in order to operate in a crash. Therefore, the connector of the wire harnes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inflator must be connected. For this work, a working space must be secured at the bottom of the module.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another lead wire is installed on the inflator to connect at a place other than the bottom of the module, an additional lead wire is required.

이상,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Above, 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re mere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related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부품 구성으로 조수석 에어백을 크러쉬 패드 및 카울 크로스바에 체결하고, 부품의 공용화를 통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o provide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fastening the passenger seat airbag to the crush pad and cowl crossbar with a small component configuration,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through the common use of the par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을 카울 크로스바에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은 일측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카울 크로스바에 고정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passenger seat airbag to a cowl crossbar, wherein the passenger seat airbag is fixed to the cowl crossbar via a fastening member on a mounting bracket fixed to one side.

여기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적어도 일측부에 고정되고, 일단부에 상기 크러쉬 패드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홀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카울 크로스바에 고정되기 위한 장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장착홈부를 상기 카울 크로스바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일면에 상기 조수석 에어백이 부착되고 상기 결합홀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크러쉬 패드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과, 일측부가 상기 제1 고정편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절곡 연결되고 상기 장착홈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카울 크로스바에 고정되는 제2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편의 결합홀부와 상기 제2 고정편의 장착홈부는, 상기 크러쉬 패드와 카울 크로스바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정편에는 외부충격시 굽힘모멘트가 발생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에는 굽힘모멘트를 용이하게 발생시키기 위한 굽힘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카울 크로스바의 외면에 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장착홈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부에 삽입된 고정돌기는 너트를 통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의 몸체에는 상기 카울 크로스바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정편의 타단부에는 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unting bracket is fix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one end of the coupling hole for fixing to the crush pad is forme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for fixing to the cowl crossb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mber fixes the mounting groove to the cowl crossbar.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first fixing piece fixed to the crush pad through a fixing member attached to the passenger seat airbag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n one surface thereof, and one side of which is bent at the side edge of the first fixing piece, and the mounting groov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fixing piece which is fixed to the cowl crossbar through a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hole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iece and the mounting groove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iece have different orientations so as to face the crush pad and the cowl crossbar, respectively. The mounting bracke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ir fixed to each sid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The second fixing piec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bent portion that generates a bending moment during external impact. Preferably, the bent portion is formed with a bending slot for easily generating a bending moment.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bod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the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through a nut. It is preferable. The body of the fasten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iece be formed to be bent to extend the engaging piec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mounting bracket when the air bag is deployed.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remarkable effects can be realized.

첫째, 본 발명은 하나의 마운팅 브라켓을 통해 조수석 에어백을 크러쉬 패드 및 카울 크로스바에 체결함으로써, 조수석 에어백의 체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공수, 제품 중량 및 원가를 줄이며, 제품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passenger seat airbag can be fastened to the crush pad and cowl crossbar through a single mounting bracket, thereby simplify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reducing the air transport, product weight and cost, and increasing product productivity. have.

둘째, 본 발명은 마운팅 브라켓이 차종별 설계 변동인자에 의해 각각 개발되는 기존의 방식에서, 설계 변동인자를 하나의 마운팅 브라켓에 통합시킴으로써, 설계를 단순화하고,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design and efficient production of the product by integrating the design variable in a single mounting bracket in the conventional manner, each mounting bracket is developed by the design variable factor for each vehicle.

셋째, 본 발명은 마운팅 브라켓을 모듈의 양 옆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듈 하단에 연결 가능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추가적인 리드 와이어의 설치가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by moving the mounting bracket to both sides of the module, to secure a work spa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odule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lead wir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도 8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8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1.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1;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8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passenger seat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는, 하나 또는 한 쌍의 마운팅 브라켓(200)을 조수석 에어백(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마운팅 브라켓(200)의 양단부를 크러쉬 패드(500) 및 카울 크로스바(400)에 각각 고정함으로써, 제품 설계나 생산을 단순화하는 것은 물론,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mounting bracket 200 in a state in which one or a pair of mounting brackets 200 are fixed to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By fixing to the crush pad 500 and the cowl crossbar 400, respectively, as well as simplifying product design or production, a space for absorbing external impacts is ensured.

구체적으로,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의 마운팅 브라켓(200)은 조수석 에어백(100)의 측부에 부착(용접)된다. 여기서, 조수석 에어백(100)은 해당 내부에 에어백 쿠션이 내장되고, 한 쌍의 마운팅 브라켓(200)을 매개로 크러쉬 패드(500) 및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된다. Specifically, the mounting bracket 200 of the airbag mounting assembly is attached (welded) to the sid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Here,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has an airbag cushion therein and is fixed to the crush pad 500 and the cowl crossbar 400 via a pair of mounting brackets 200.

본 실시예에서는 조수석 에어백(100)의 양측부에 용접된 한 쌍의 마운팅 브라켓(200)을 통해 조수석 에어백(100)을 크러쉬 패드(500) 및 카울 크로스바(400)에 각각 고정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하나의 마운팅 브라켓(200)을 통해 조수석 에어백(100)을 크러쉬 패드(500) 및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조수석 에어백(100)에 대한 마운팅 브라켓(200)의 용접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is fixed to the crush pad 500 and the cowl crossbar 400 through a pair of mounting brackets 200 welded to both sides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but one if necessary.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may be fixed to the crush pad 500 and the cowl crossbar 400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200. At this time, the welding position of the mounting bracket 200 for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can be changed, of course.

마운팅 브라켓(200)은 조수석 에어백(100) 및 크러쉬 패드(500)가 고정되는 제1 고정편(210)과, 카울 크로스바(400)가 고정되는 제2 고정편(220)으로 구성되며, 이들 제1 고정편(210)과 제2 고정편(220)은 서로 절곡되게 연결된다.The mounting bracket 200 includes a first fixing piece 210 to which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and the crush pad 500 are fixed, and a second fixing piece 220 to which the cowl crossbar 400 is fixed. The first fixing piece 210 and the second fixing piece 220 are bent to each other.

즉, 제1 고정편(210)은 해당 일면에 조수석 에어백(100)의 일측부가 부착되고 해당 일단부에 크러쉬 패드(500) 간의 고정을 위한 결합홀부(211)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홀부(211)는 고정볼트와 같은 통상의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로 형성되는데, 고정볼트는 결합홀부(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크러쉬 패드(500)에 고정된다.That is, the first fixing piece 210 has one side por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attached to one surface thereof, and a coupling hole portion 211 for fixing the crush pad 500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portion 211 is formed 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nventional fixing member such as a fixing bolt, the fixing bolt is fixed to the crush pad 500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portion 211.

그리고 제2 고정편(220)은 해당 일측부가 제1 고정편(210)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절곡 연결되고, 해당 타단부에 카울 크로스바(400) 간의 고정을 위한 장착홈부(221)가 형성된다. 장착홈부(221)는 일측이 절개된 슬롯홈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300)가 결합된다. The second fixing piece 220 is connected at one side thereof at a side edge of the first fixing piece 210, and a mounting groove 221 for fixing between the cowl crossbars 400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mounting groove 221 is a slot groove shape in which one side is cut, and the fastening memb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특히, 제2 고정편(220)에는 외부충격시 굽힘모멘트가 발생되는 절곡부(223)가 형성된다. 이 절곡부(223)는 조수석 에어백(100)에 상부측에 헤드임팩트가 발생되는 경우, 굽힘모멘트가 발생되는 변곡점으로 작용하는 바, 헤드임팩트와의 수직 거리와 헤드임팩트 힘을 곱한 값이 외부충격시 발생되는 굽힘모멘트가 된다. 그리고 절곡부(223)에는 굽힘모멘트를 용이하게 발생시키기 위한 굽힘슬롯(224)이 형성된다. 이 굽힘슬롯(224)은 절곡부(223)의 면적을 줄이므로 해당 위치에서 굽힘모멘트가 발생되도록 유도한다.In particular, the second fixing piece 220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223 to generate a bending moment when the external impact. The bent portion 223 acts as an inflection point at which the bending moment is generated when the head impact is gener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and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head impact force by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head impact is an external impact. It is a bending moment generated at the time. The bent portion 223 is formed with a bending slot 224 for easily generating a bending moment. Since the bending slot 224 reduces the area of the bent portion 223, the bending moment is induc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제1 고정편(210)의 결합홀부(211)와 제2 고정편(220)의 장착홈부(221)는, 크러쉬 패드(500)와 카울 크로스바(400)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다. The coupling hole 211 of the first fixing piece 210 and the mounting groove part 221 of the second fixing piece 220 have different directions so as to face the crush pad 500 and the cowl crossbar 400, respectively. Have

즉, 제1 고정편(210) 및 제2 고정편(220)으로 구성된 마운팅 브라켓(200)은, 해당 단부가 크러쉬 패드(500)와 카울 크로스바(400)에 각각 효과적으로 체결되도록 전체적으로 비틀어진 형태로 구성되며, 이 비틀어진 형태의 마운팅 브라켓(200)에서 결합홀부(211) 및 장착홈부(221)는, 크러쉬 패드(500) 및 카울 크로스바(400)의 위치에 따라 해당 배치가 조절될 수 있다. That is, the mounting bracket 200 composed of the first fixing piece 210 and the second fixing piece 220 is in an overall twisted shape so that the corresponding ends thereof are effectively fastened to the crush pad 500 and the cowl crossbar 400, respectively. The coupling hole 211 and the mounting groove 221 in the mounting bracket 200 of the twisted shap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rush pad 500 and the cowl crossbar 400.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ide of an “A” portion of FIG. 1,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A” portion of FIG. 1, and FIG. 6 is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300)는 마운팅 브라켓(200)을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하기 위한 카울볼트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너트(330) 결합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200)의 장착홈부(221)에 고정되면서, 용접을 통해 카울 크로스바(400)와 결합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4, the fastening member 300 is a cowl bolt for fixing the mounting bracket 200 to the cowl crossbar 400, and more specifically, mounting of the mounting bracket 200 through coupling of the nut 330. While being fixed to the groove portion 221, th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cowl crossbar 400 through welding.

이러한 체결부재(300)는 카울 크로스바(400)의 외면에 용접되는 몸체(310)와, 몸체(310)에서 돌출되어 장착홈부(22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돌기(320)는 절개된 슬롯홈인 장착홈부(221)에 끼워진 후, 너트(330)를 통해 제2 고정편(220)에 고정된다.The fastening member 300 is composed of a body 310 to be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400, and a fixing protrusion 320 protruding from the body 3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1. Here, the fixing protrusion 3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1 which is a slot slot cut out, and then fixed to the second fixing piece 220 through the nut 330.

체결부재(300)의 몸체(310)에는 곡면부(311)가 형성된다. 이 곡면부(311)는 바람직하게 카울 크로스바(400)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300)의 곡면부(311)가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인 카울 크로스바(400) 외면에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면, 체결부재(300)와 카울 크로스바(400) 간이 용접시 이들 간의 결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A curved portion 311 is formed in the body 310 of the fastening member 300. The curved portion 311 preferably h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400. As such, when the curved portion 311 of the fastening member 300 is formed concav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400, which is a hollow circular pipe shape, the fastening member 300 and the cowl crossbar 400 may be welded. Make sure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m is tigh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편(220)의 타단부에는 걸림편(222)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 걸림편(222)의 절곡 구조는 에어백 전개에 따른 전개압으로 인해 마운팅 브라켓(200)의 장착홈부(221)에서 체결부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5,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iece 220 is bent and extended with the engaging piece 222. The bending structure of the engaging piece 222 prevents the fastening member 3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ounting groove 221 of the mounting bracket 200 due to the deployment pressure caused by the airbag deployment.

즉, 에어백 전개시 마운팅 브라켓(200)의 장착홈부(221)가 도 5의 상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장착홈부(221)에 결합된 체결부재(300)의 단부가 걸림편(222)에 걸리므로 마운팅 브라켓(200)이 체결부재(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even when the mounting groove 221 of the mounting bracket 200 is moved upward in FIG. 5 when the airbag is deployed, th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300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221 is caught by the locking piece 222. The mounting bracket 2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member 300.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편(220)의 타단부에 걸림편(222)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편(220)의 타단부에 걸림편 구성없이 체결부재(300)가 결합되는 장착홈부(221)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engaging piece 222 is bent and extend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iece 220 has been described, but as shown in FIG. 6,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iece 220 is provided. Mounting groove 221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300 is coupled may be formed without a locking piece configuration.

이 경우 에어백 전개로 인한 전개압이 마운팅 브라켓(200)에 전달되면, 마운팅 브라켓(200)이 도 6의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장착홈부(221)에서 체결부재(300)이 이탈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eployment pressure due to the airbag deployment is transmitted to the mounting bracket 200, the mounting bracket 200 may be moved upward in FIG. 6, and the fastening member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groove 221.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300)의 몸체(310)는 곡면부(311)를 갖는 상기 몸체(310)와 달리, 카울 크로스바(400)에 평면상으로 접촉되는 평면부(312)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body 310 of the fastening member 300 is different from the body 310 having the curved portion 311, and the flat portion 312 is in flat contact with the cowl crossbar 400. It can have

평면부(312)를 갖는 몸체(310)는 다양한 직경의 원형 파이프로 구성된 카울 크로스바(400)와 결합되거나,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카울 크로스바(40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원형 파이프로 구성된 카울 크로스바(400)와 결합되는 경우, 카울 크로스바(400) 외면에 밀착가능한 곡면부(311) 구조와 달리, 카울 크로스바(400) 외면과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The body 310 having the planar portion 312 may be combined with a cowl crossbar 400 composed of circular pipes of various diameters, or the cowl crossbar 400 composed of square pipes. However, when coupled to the cowl crossbar 400 formed of a circular pipe, unlike the curved portion 311 structur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400, the coupling force with the cowl crossbar 400 outer surface may be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카울 크로스 마운팅 브라켓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도록 카울 크로스 바의 원형 형상에 부착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구현하여 카울 크로스바에 부착시켜 단순화하고, 이 볼트에 마운팅 브라켓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종래의 부품 원가, 조립 공수 및 공간 부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astening memb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circular shape of the cowl cross bar to replace the role of the conventional cowl cross mounting bracket to simplify the attachment to the cowl crossbar, mounting bracket on this bolt By directly connecting, the problem of conventional parts cost, assembly labor and space shortage can be solved.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 에어백 마운팅 브라켓과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을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더욱 단순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 3개 종류를 마운팅 브라켓을 하나의 마운팅 브라켓으로 통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이 통합된 마운팅 브라켓(200)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철판의 재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통합된 마운팅 브라켓을 펼쳐놓으면 단순한 직사각형 모양이 되므로 재료 손실(Loss)가 매우 적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impler structure by integrally molding the conventional airbag mounting bracket and the side mounting bracket. That is, three types of conventional mounting brackets may be manufactured by integrating one mounting bracket, and the integrated mounting bracket 200 may be simplified in shape to minimize material loss of the steel plate. Unfolding the integrated mounting bracket results in a simple rectangular shape, resulting in very low material losses.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워터젯노즐유닛 200 :상쇄노즐유닛
100 :조수석 에어백 200 :마운팅 브라켓
300 :체결부재 400 :카울 크로스바
500 :크러쉬 패드
100: water jet nozzle unit 200: offset nozzle unit
100: passenger seat airbag 200: mounting bracket
300: fastening member 400: cowl crossbar
500: Crush Pad

Claims (10)

삭제delete 조수석 에어백을 카울 크로스바에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100)은 일측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200)에 체결부재(300)를 매개로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200)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100)의 적어도 일측부에 고정되고, 일단부에는 크러쉬 패드(500)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홀부(2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되기 위한 장착홈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장착홈부(221)를 상기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passenger seat airbag to a cowl crossbar,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cowl crossbar 400 via the fastening member 300 to the mounting bracket 200 fixed to one side;
The mounting bracket 200 is fix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one end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11 to be fixed to the crush pad 500, the other end of the cowl crossbar 400 Mounting groove 221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fastening member 300 is a vehicle air bag mount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mounting groove 221 to the cowl crossbar (40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200)은 일면에 상기 조수석 에어백(100)이 부착되고 상기 결합홀부(21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크러쉬 패드(500)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210)과, 일측부가 상기 제1 고정편(210)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절곡 연결되고 상기 장착홈부(22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00)를 통해 상기 카울 크로스바(400)에 고정되는 제2 고정편(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ounting bracket 200 has a first fixing piece 210 fixed to the crush pad 500 through a fixing member attached to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1 on one surface thereof, and one side thereof. The second fixing piece 220 is fixed to the cowl crossbar 400 via a fastening member 300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221 and bent at the side edge of the first fixing piece 210.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편(210)의 결합홀부(211)와 상기 제2 고정편(220)의 장착홈부(221)는, 상기 크러쉬 패드(500)와 카울 크로스바(400)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upling hole part 211 of the first fixing piece 210 and the mounting groove part 221 of the second fixing piece 220 are mutually disposed so as to face the crush pad 500 and the cowl crossbar 400, respectively.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fferent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200)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100)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ounting bracket 200 is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air fixed to each sid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1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편(220)에는 외부충격시 굽힘모멘트가 발생되는 절곡부(2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fixing piece 220 is a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223 is formed that the bending moment is generated when the external impac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굽힘모멘트를 용이하게 발생시키기 위한 굽힘슬롯(2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6,
The bent portion is formed in the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slot (224) for easily generating a bending momen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카울 크로스바(400)의 외면에 부착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장착홈부(22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2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부(221)에 삽입된 고정돌기(320)는 너트(330)를 통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astening member 300 includes a body 310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400 and a fixing protrusion 320 protruding from the body 310 and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1.
The fixing protrusion 320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1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200 through a nut 33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의 몸체(310)에는 상기 카울 크로스바(400)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부(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body 310 of the fastening member 300, the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311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400 is form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편(220)의 타단부에는 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마운팅 브라켓(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222)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마운팅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iece 220, the vehicle airbag mount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iece 222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mounting bracket 200 when the air bag is deployed is bent extending.
KR1020100061612A 2009-11-13 2010-06-29 Mounting assembly of passenger air-bag for vehicles KR101154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07,838 US8246074B2 (en) 2009-11-13 2010-10-19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CN201010530262.0A CN102059998B (en) 2009-11-13 2010-10-29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DE102010060492.5A DE102010060492B4 (en) 2009-11-13 2010-11-11 Airbag mount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514 2009-11-13
KR20090109514 2009-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161A KR20110053161A (en) 2011-05-19
KR101154259B1 true KR101154259B1 (en) 2012-06-13

Family

ID=4436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612A KR101154259B1 (en) 2009-11-13 2010-06-29 Mounting assembly of passenger air-bag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2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46B1 (en) * 2013-11-29 2015-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unting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f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106A (en) * 1996-08-21 1998-03-03 Mitsubishi Motors Corp Air bag device
JP2006315549A (en) * 2005-05-13 2006-11-24 Calsonic Kansei Corp Mounting part structure of airbag device
KR20070122297A (en) * 2006-06-26 2007-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ssenger airbag module assemb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106A (en) * 1996-08-21 1998-03-03 Mitsubishi Motors Corp Air bag device
JP2006315549A (en) * 2005-05-13 2006-11-24 Calsonic Kansei Corp Mounting part structure of airbag device
KR20070122297A (en) * 2006-06-26 2007-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ssenger airbag module assemb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161A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7260B2 (en) Hood airbag device for vehicle
US8246074B2 (en)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JP2006281945A (en) Airbag device and instrument panel structure for mounting the same
EP0854068B1 (en) Vehicle seat back frame with airbag module assembly
KR101382296B1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KR20140074765A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JP2011207419A (en) Knee air bag device for vehicle
KR20140072285A (en) Safety apparaus for vehicle
JP5128229B2 (en) Bracket for vehicle
KR101047620B1 (en) Roof airbag mounting structure
US7552519B2 (en) Airbag module attachment
KR101154259B1 (en) Mounting assembly of passenger air-bag for vehicles
JP6194802B2 (en) Mounting structure of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device for vehicles with hood
JP6880390B2 (en) Vehicle seat
JP2010235043A (en) Airbag device
JP4968029B2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0882669B1 (en) Passanger air 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of car
KR101855750B1 (en) Reinforcing unit for vehicle body
JP4563868B2 (en) Airbag attachment structure
EP2078645B1 (en) Airbag device for restraining waist part
JP4779640B2 (en) Hood airbag device for vehicle
KR20090028099A (en) Air bag module of vehicles
KR101071734B1 (en) Air-bag housing
KR101005461B1 (en)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KR101284295B1 (en) Rear External Air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