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206B1 - 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 - Google Patents

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206B1
KR101154206B1 KR1020110090690A KR20110090690A KR101154206B1 KR 101154206 B1 KR101154206 B1 KR 101154206B1 KR 1020110090690 A KR1020110090690 A KR 1020110090690A KR 20110090690 A KR20110090690 A KR 20110090690A KR 101154206 B1 KR101154206 B1 KR 10115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ans
plate
ceramic
hinge
ornam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명유선
Original Assignee
명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유선 filed Critical 명유선
Priority to KR102011009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2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purpose ceramic ware accessory is provided to be attached to the human body in a frame shape in order to obtain an interior decoration effect. CONSTITUTION: A multi-purpose ceramic ware accessory comprises a ceramic ware accessory body(100), a first mount unit(300), a second mount unit(400), a fixed plate(500), a moving plate(600), a hinge pin, and a bolt type coupling unit. In the ceramic ware accessory body, a screwnut type metal fastener is inserted into a groove. In the first mount unit, a fixed plate hing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thereof and a plurality of pin holes is formed in the lower part thereof. In the second mount unit, a magnet plate is installed. A moving plate hing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moving plate. A moving plate magnet is equipp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late hinge. The coupling unit is assembled in the fastener of the ceramic ware accessory body.

Description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

본 발명은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를 후면에 금속 재질의 체결구가 삽입 고정된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신체에 착용시키는 제1거치수단 및 도자기 장신구본체가 장신구로 부착되는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으로 구성하여 착용시에는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제1거치수단에 결합하여 신체에 착용하고, 착용하지 않을 때는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에 부착하여 실내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porcelain orna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celain ornament body in which a fastener made of a metal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versatile porcelain ornaments, the first mounting means for wearing the porcelain ornament body on the body and the porcelain ornament body Composed of a frame-shaped second mounting means attached to the ornament, when worn, the ceramic ornament body is combined with the first mounting means and worn on the body, and when not worn, the ceramic ornament body is attached to the frame-shaped second mounting means. It is about a multi-use ceramic ornaments that allows you to get a decorative effect.

삭제delete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남들과는 다른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자신을 꾸미는 행위를 하게 된다.In general, modern people do the act of decorating themselves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different from others.

자신의 취향에 맞는 옷을 입거나 화장을 하거나 악세서리를 착용하는 등의 행위가 이에 해당된다.This includes wearing clothes that fit your taste, wearing makeup, or wearing accessories.

특히, 이 중 가장 간단하게 자신을 꾸미는 행위가 악세서리를 착용하여 개성을 표현하는 것인데 악세서리에는 반지나 목걸이 또는 귀걸이, 브로치(brooch) 등이 있다.In particular, the simplest act of decorating yourself is to express your personality by wearing accessories, and accessories include rings, necklaces, or earrings, and brooch.

이와 같은 악세서리는 금속이나 나무 및 도자기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최근에는 사람들의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웰빙(well-being)열풍의 영향으로 도자기로 형성되는 악세서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Such accessories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wood, and ceramics. Recently, interest in accessories formed of ceramics is increasing due to the influence of well-being fever which considers people's health as important.

특히 도자기 장신구는 형태의 형성이 자유롭고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ceramic ornamen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free to form and express various colors.

이렇게 도자기로 만들어진 도자기 장신구는 도자기 장신구의 장착부재와 결합시킨 후 사용자의 의복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자기 장신구를 도자기 장신구의 장착부재와 결합시킨 후 사용자의 의복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본 출원인이 2010.08.18.에 등록한 '등록특허공보 제10-0976260호'에 기재된 구성과 같이 도자기 장신구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고정판 힌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 개의 핀홈이 형성되고 고정판 힌지 하부에 고정판 자석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부에는 이동판 힌지가 형성되고, 이동판 힌지 하부에는 고정판의 고정판 자석과 대응되는 곳에 이동판 자석이 구비되며, 전면에는 의복을 뚫는 끝단이 고정판의 핀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이 다수 개 구비되는 이동판과, 고정판의 고정판 힌지와 이동판의 이동판 힌지를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져 도자기 장신구를 의복이 상하지 않게 의복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현대인들은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고,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신이 좋아하는 공연을 관람하거나 미술품을 보기 위해 전시회를 찾게 되는 것이다.
The porcelain ornaments made of porcelain are then fixed to the user's clothing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mounting members of the porcelain ornaments.
As a method of fixing the ceramic ornaments with the mounting member of the ceramic ornaments and fixing them to the user's clothing, the rear surface of the ceramic ornaments as described in the 'Patent No. 10-0976260'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on August 18, 2010. It is fixed to the fixed plate hing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 plurality of pin grooves ar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and a fixed plate magnet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plate hinge, a moving plate hing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 fixed plate magnet of the fixed plate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hinge A moving plate magnet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late, and a mov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ins at the front end of which is fitted into the pin groove of the fixing plate, and fixed to the fixing plate hing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moving plate hinge of the moving plate is movable. Consisting of hinged pins joined together so that ceramics ornaments can be fixed to the garments so that the garments will not be damaged to be.
In addition, as the standard of living increases, modern people become more interested in culture and art, and as the interest in culture and art increases, they look for exhibitions to see their favorite performances or art.

삭제delete

또한, 이러한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은 주택의 인테리어에도 영향을 미쳐서 그림이나 공예품들을 자신의 집 벽면에 걸어놓고 감상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terest in culture and art affects the interior of the house, so that paintings and crafts can be hanged on the walls of the house.

이러한 소비자들의 취향을 충족시켜주기 위해서 최근에는 누구나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그림이나 공예품들이 액자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것이다.In order to satisfy the tastes of these consumers, low-priced pictures or crafts that are easily purchased by anyone are produced in the form of frames.

특히, 문화와 예술은 각 나라 마다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문화와 예술을 외국에 알릴 수 있는 기념품의 경우에도, 하회탈이나 한복을 입은 입형 등을 미니어쳐(miniature)로 제작하여 브로치나 반지 또는 목걸이 형태로 판매하거나 액자형태로 판매하게 되는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because culture and ar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each country, even in the case of souvenirs that can introduce Korea's culture and art to foreign countries, a miniature of a Hahoe mask or a hanbok is produced by making a miniature. It will be sold in the form of a necklace or in the form of a frame.

도 1 은 종래의 도자기 장신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ramic ornaments.

이와 같이, 도자기 장신구를 브로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 도자기로 형성된 도자기 장신구(10) 후면에 고정판(20)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in order to use the ceramic ornaments in the form of brooches, the fixing plate 2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eramic ornaments 10 formed of ceramics.

이렇게 설치된 고정판(20)에는 고정핀(30)의 일측을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고정핀(30)의 타측을 사용자의 의복에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도자기 장신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The fixing plate 2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in 30 so as to be movabl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30 is coupled to the user's clothing.
However, such ceramic ornaments had the following problems.

삭제delete

즉, 도자기 장신구 후면에 고정핀이 고정판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브로치 형태이기 때문에 도자기 장신구를 반지나 목걸이, 팔지 등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브로치로만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pins are fixed to the rear of the ceramic ornaments by the fixing plate is a brooch form, there is a problem that you can not use the ceramic ornaments as rings, necklaces, arms, etc., but only brooch.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도자기 장신구를 번갈아 가면서 장착할 경우, 한번에 하나의 도자기 장신구만 장착하고 다른 다수 개의 도자기 장신구는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장착하지 않는 나머지 도자기 장신구의 후면에도 각각 고정판에 의해 고정핀이 장착되어 있어서 제품의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alternately installs various kinds of ceramic ornaments, only one ceramic ornament is mounted at a time and other ceramic ornaments are stored. At this time, the back of the remaining ceramic ornaments is not fixed by the fixing plat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is increased because it is mounted.

그리고, 도자기 장신구가 파손되는 경우, 도자기 장신구가 고정핀 및 고정판과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자기 장신구의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고정판도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ceramic ornaments are broken, since the ceramic ornaments are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pins and the fixing plat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fixing pins and the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ramic ornaments cannot be used and disposed of.

또한, 도자기 장신구의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고정판이 손상될 경우 도자기 장신구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ixing pin and the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ceramic ornaments were damage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use the ceramic ornaments.

특히, 사용자가 장착하지 않는 도자기 장신구를 보관할 경우, 크기가 작은 도자기 장신구의 특성상 쉽게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particular, when storing pottery ornaments that are not mounted by the user,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is easily lost or damag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pottery orna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착용시에는 제1거치수단에 결합하여 신체에 브로치로 착용하고, 착용하지 않을 때는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에 부착하여 실내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ear a porcelain ornament body when coupled to the first attachment means to wear as a brooch on the body, when not wearing the porcelain ornament body attached to the second attachment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to obtain an interior decoration effect To provide versatile pottery ornaments.

그리고, 도자기 장신구본체가 파손되는 경우, 도자기 장신구본체가 고정핀 및 고정판과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자기 장신구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고정판도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하는 문제점, 또한 도자기 장신구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고정판이 손상될 경우 도자기 장신구본체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 및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는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보관할 경우, 크기가 작은 도자기 장신구의 특성상 쉽게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eramic ornament body is damaged, the ceramic ornament body is fixedly coupled with the fixing pin and the fixing plate, so that the fixing pin and the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cannot be used and disposed of, and also the rear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If the fixing pin and the fixing plate provided in the damaged porcelain jewelry main body can not be used, and if you store the porcelain jewelry main body that the user does not w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porcelain ornaments so easy to solve the problem that is easily lost or broken To provide a versatile pottery ornament.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신체나 실내 장식을 위해 도자기로 형성되는 장신구를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신체 착용의 제1거치수단 및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으로 구성하되 도자기 장신구본체는 후면 홈부에 체결공이 나사공으로 된 너트형의 금속제 체결구를 삽입 설치하고, 제1거치수단은 상기 체결구에 끼워져 조립되는 결합부가 일 측면에 구비되며, 제2거치수단은 자석판이 설치되어 도자기 장신구본체가 체결구에 의해 다수 부착될 수 있도록 액자 형태로 형성되어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제1거치수단에 의해 신체에 착용하거나 제2거치수단에 부착하여 장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ramic ornament body made of porcelain ornaments for the body or interior decoration;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of the body wearing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of the frame shape; but the ceramic ornament body is fastened to the rear groove The nut-shaped metal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is provided at one side with a coupling part fitted into the fastener,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has a magnetic plate installed so that the ceramic ornament body is connected to the fastener.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frame to be attached by a plurality of porcelain ornament body characterized in that to be worn on the body by the first mounting means or attach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to decorate.

그리고, 체결구는 체결공이 나사공으로 형성된 너트이고, 결합부는 볼트이며, 제1거치수단은 목걸이 줄이나 반지 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고정판 힌지가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 개의 핀홈이 형성되며 고정판 힌지 하부에 고정판 자석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부에 이동판 힌지가 형성되고, 이동판 힌지 하부에 고정판의 고정판 자석과 대응되는 곳에 이동판 자석이 구비되며, 전면에 의복을 뚫는 끝단이 고정판의 핀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이 다수 개 구비되는 이동판;과 고정판의 고정판 힌지와 이동판의 이동판 힌지를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핀;으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The fastener is a nut formed by a fastening hole with a screw hole, the coupling part is a bolt,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may be formed by any one of a necklace string or a ring ring, but preferably, a fixing plate hing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a plurality of pin grooves are formed on the lower part. A fixed plat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plate hinge; and a moving plate hing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moving plate magne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hinge to correspond to the fixed plate magnet of the fixed plate. The movable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ins are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of the fixed plate; and a hinge pin for coupling the fixed plate hinge of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late hinge of the movable plate; will b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도자기 장신구본체의 후면에 제1거치수단을 결합시키면 브로치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벽면에 설치되거나 책상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액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2거치수단의 자석판에 도자기 장신구본체 후면의 체결구를 붙여 도자기 장신구를 고정시킴으로써, 도자기 장신구본체가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도자기 장신구본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도자기 장신구본체가 액자에 설치되므로 장식품과 같은 장식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Such a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rooch by combining the first support means on the back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if the user wants, and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ceramic ornament body, it can be installed on a wall or placed on a desk. By fixing the porcelain ornaments by attaching fasteners on the back of the porcelain ornament body to the magnetic plate of the second mounting means, the porcelain ornament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or damaged, especially when the porcelain ornament body is not used. Since the ornament body is installed on the picture frame, it can give a decorative effect like an ornament.

삭제delete

도 1 은 종래의 도자기 장신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의 구성품들을 분리하여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b 는 본 발명의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제1거치수단을 확대하여 보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제1거치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제2거치수단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제2거치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다른 실시 예의 제2거치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장신구본체가 목걸이 줄과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장신구가 반지 링과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ramic ornaments.
Figure 2a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s of the multipurpose ceramic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orcelain ornament body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ramic ornament body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ramic ornament body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ramic ornamen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of the other embodiments are combine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ramic ornamen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necklace string.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eramic ornaments coupled to the ring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2a 는 본 발명의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의 구성품들을 분리하여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b 는 본 발명의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제1거치수단을 확대하여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제1거치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제2거치수단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제2거치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장신구본체와 다른 실시 예의 제2거치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That is, Figure 2a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multi-purpose porcelain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orcelain ornament body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eram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nament body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eramic ornament body and the 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means are coupled,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ramic ornamen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of another embodiment are coupled.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신체나 실내의 장식을 위해 도자기로 형성되는 장신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2a 와 같이 체결공(210)이 형성된 체결구(200)가 후면의 홈부(110)에 삽입 고정된 다양한 모양의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와 신체 착용의 제1거치수단(300) 및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40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ornaments formed of porcelain for the decoration of the body or the room, as shown in Figure 2a fastener 200 formed with fastening holes 2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0 of the rear and various Porcelain ornament body of the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of the frame type body wearing.

여기서, 상기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는 후면 홈부(110)에 체결공(210)이 나사공으로 된 너트형의 금속제 체결구(200)를 삽입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제1거치수단(300)은 도2b 와 같이, 상부에 고정판 힌지(510)가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 개의 핀홈(520)이 형성되며 고정판 힌지(510) 하부에 고정판 자석(550)이 형성되는 고정판(500);과
상부에 이동판 힌지(610)가 형성되고, 이동판 힌지(610) 하부에 고정판(500)의 고정판 자석(550)과 대응되는 곳에 이동판 자석(650)이 구비되며, 전면에 의복(900)을 뚫는 끝단(660)이 고정판(500)의 핀홈(5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670)이 다수 개 구비되는 이동판(600);과
고정판(500)의 고정판 힌지(510)와 이동판(600)의 이동판 힌지(610)를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핀(700);과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의 체결구(200)에 조립되도록 고정판(5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볼트형의 결합부(310);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400)은 금속제 체결구(200)에 의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다수 부착될 수 있도록 도5 및 도6 과 같이 전면이나 후면 중 어느 한쪽 면에 자석판(410)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여기서 체결구(200)는 체결공(210)이 나사공으로 형성된 너트형이고, 결합부(310)는 볼트형이며, 제1거치수단(300)의 결합부(310)는 도7 및 도8 과 같이 목걸이 줄(800)이나 반지 링(850)에도 각각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nut-shaped metal fastener 200 of the fastening hole 210 is a screw hole in the rear groove 110.
And, as shown in Figure 2b,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the fixing plate hinge 51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 plurality of pin grooves 52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fixing plate magnet 550 is formed in the lower fixing plate hinge 510 Fixed plate 500; And
A movable plate hinge 61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 movable plate magnet 650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plate magnet 550 of the fixed plate 500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hinge 610, and the garment 900 is provided at the front side. End plate 660 that is drilled through the moving plate 6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ins 670 is fitted into the pin groove 520 of the fixing plate 500; and
Hinge pin 700 for coupling the fixed plate hinge 510 of the fixed plate 500 and the movable plate hinge 610 of the moving plate 600 to be flowable; and assembled to the fastener 200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t is composed of; bolt-shaped coupling portion 3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500.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in the form of a frame is a magnetic plate 410 on either side of the front or rear, as shown in Figure 5 and 6 so that a large number of ceramic ornaments body 100 can be attached by a metal fastener 200 ) Was installed.
Here, the fastener 200 is a nut-shaped fastening hole 210 is formed of a screw hole, the coupling portion 310 is a bolt type, the coupling portion 310 of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is shown in FIGS.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necklace string 800 or the ring ring 850, respectively.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시에는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제1거치수단(300)에 결합하여 신체에 착용하고, 착용하지 않을 때는 제1거치수단(300)과 분리된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400)에 부착하여 실내 장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ears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and worn on the body, when not wearing the ceramic ornament body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100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in the form of a frame and used as an interior decoration.

즉,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홈부(110)에, 중앙에 체결공(210)이 형성되는 체결구(200)를 삽입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astener 200 to which the fastening hole 210 is formed in the cente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groove 110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그리고,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체결구(200)의 체결공(210)에는 결합부(310)를 끼워 고정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Then, the coupling hole 310 is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210 of the fastener 20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to be fixedly coupled.

이때, 결합부(310)는 제1거치수단(300)의 일 측면에 구비되며, 제1거치수단(300)의 타 측면에는 사용자의 의복(90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이 설치되어 있어서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제1거치수단(300)과 결합시킬 경우,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브로치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3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that is fitted to be fixed to the user's clothing (900) When the ornament body 100 is combined with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can be used as a brooch.

특히, 제1거치수단(300)은 결합부(310)가 고정판(500)의 일측 면에 결합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is the coupling portion 3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500.

이때, 고정판(500)의 상부에는 고정판 힌지(5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 개의 핀홈(520)이 형성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fixing plate hinge 510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500, and a plurality of pin grooves 520 ar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500.

그리고, 고정판 힌지(510)의 하부에는 고정판 자석(550)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fixed plate magnet 550 is formed under the fixed plate hinge 510.

이렇게 형성된 고정판(500)에는 이동판(600)이 결합되는 데, 이동판(600)의 상부에는 고정판(500)의 고정판 힌지(510)와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판 힌지(610)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판 힌지(510)와 이동판 힌지(610)가 힌지핀(700)에 의해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The movable plate 600 is coupled to the fixed plate 500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a movable plate hinge 610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hinge 510 of the fixed plate 500 is formed thereon. In this case, the fixed plate hinge 510 and the movable plate hinge 61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movable by the hinge pin 700.

그리고, 이동판 힌지(610)의 하부에는 고정판 자석(550)과 대응되는 곳에 이동판 자석(650)이 형성되며, 이동판(600)의 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핀(670)이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movable plate magnet 65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hinge 610 to correspond to the fixed plate magnet 550, and a plurality of fixing pins 670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600. This is to be provided.

즉, 사용자가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의복(9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500)으로부터 이동판(600)을 일정간격 이격시킨 후, 이동판(600)에 구비되는 고정핀(670)의 끝단(660)으로 의복(900)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user spaced apart the movable plate 600 from the fixed plate 500 fixedly installed on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n order to couple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to the garment 900, the movable plate 600 ) Is to penetrate the garment 9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end 660 of the fixing pin 670 provided in the).

이동판(600)의 고정핀(670) 끝단(660)이 의복(900)을 관통한 후 다시 의복(900) 외부로 나오게 되면, 사용자는 이동판(600)과 일정간격 이격 되어있던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이동판(600) 방향으로 내리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ixing pin 670 end 660 of the movable plate 600 passes through the garment 900 and then comes out of the garment 900 again, the user has the ceramic ornament body spaced apart from the movable plate 6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100 will be lowered in the moving plate 600 direction.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이동판(600) 방향의 하부로 내려와 고정판(500)과 이동판(600)이 일정거리만큼 가까워지면, 고정판(500)에 구비되는 고정판 자석(550)과 이동판(600)에 구비되는 이동판 자석(650)이 서로 당기면서 자동으로 고정판(500)과 이동판(600)이 밀착되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의복(900)에 장착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descends to the lower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600 and the fixed plate 500 and the moving plate 600 are clo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xed plate magnet 550 and the moving plate provided in the fixed plate 500 ( The moving plate magnets 650 provided in the 600 are pulled together and the fixed plate 500 and the moving plate 60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mount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on the garment 9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때, 고정판(500)의 하부에는 고정핀(670)의 끝단(660)이 끼워져 고정되는 핀홈(520)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판(500)과 이동판(600)이 결합되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의복(900)에 장착된 후, 고정핀(670)의 끝단(660)에 핀홈(520)에 고정됨으로써, 고정핀(670)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500 is formed with a pin groove 520 to which the end 660 of the fixing pin 670 is fitted and fixed, and the fixing plate 500 and the moving plate 600 are coupled to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After being mounted on the garment 900, it is fixed to the pin groove 520 to the end 660 of the fixing pin 670,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the fixing pin 670.

이렇게,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핀(670)에 의해 의복(900)에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고정핀(670)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의 무게를 분산하여 지탱하기 때문에 의복(900)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Thus, by attaching the bulky and heavy ceramic ornaments main body 100 to the garment 900 by a plurality of fixing pins 67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fixing pin 670 is a ceramic ornaments main body 100 Since the weight of the support to disperse the damage to the garment 900 is prevented.

특히, 고정핀(670)의 형태는 "ㄱ" 형태로 형성되고 "ㄱ" 형태의 하부를 호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호 형태의 고정핀(670) 끝단(660)에 의해 고정핀(670)이 의복(900)에 쉽게 관통되고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고정핀(670)에 의해 의복(900)에 고정된 후, 고정핀(670)의 "ㄱ" 형태가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지탱시켜주기 때문에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fixing pin 670 is formed in the "b" shape and by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b" shape in an arc shape, the fixing pin 670 by the end 660 of the arc-shaped fixing pin 670 After easily penetrating the garment 900 and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fixed to the garment 900 by the fixing pin 670, the "a" form of the fixing pin 670 supports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t will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struck to the bottom.

또한, 이동판(600)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고정핀(670)은 일부 고정핀의 길이를 나머지 고정핀에 비해 짧게 형성하고, 고정판(500)의 핀홈(520)도 고정핀(670)과 대응되게 형성하여 각각의 고정핀(670)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켜 의복(90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xing pins 670 provided on the moving plate 600 may form a length of some fixing pins shorter than the other fixing pins, and the pin groove 520 of the fixing plate 500 may also correspond to the fixing pins 670. It is formed so that each fixing pin 670 evenly distributes the weight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will be able to prevent damage to the garment (900).

그리고, 의복(900)에 장착된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의복(900)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고정판(500)이 이동판(600)과 이격되면서 고정판 자석(550)과 이동판 자석(650)이 서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n, in order to separate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mounted on the garment 900 with the garment 900, the user lifts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to the top, the fixed plate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plate 600 The fixed plate magnet 550 and the moving plate magnet 650 will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렇게, 고정판 자석(550)과 이동판 자석(650)이 서로 떨어지면 이동판(600)의 고정핀(670) 끝단(660)이 고정판(500)의 핀홈(5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fixed plate magnet 550 and the moving plate magnet 6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nd 660 of the fixing pin 670 of the moving plate 600 is separated from the pin groove 520 of the fixing plate 500.

고정핀(670) 끝단(660)이 핀홈(520)으로부터 분리되면, 고정핀(670)은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따라 자연스럽게 상부로 이동하면서 의복(9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When the fixing pin 670 end 660 is separated from the pin groove 520, the fixing pin 670 is separated from the garment 900 while naturally moving upward along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being lifted upward. .

또한, 도자기 장신구본체(100) 후면에 구비되는 체결구(200)의 체결공(210) 에 결합부(310)가 구비되는 반지 링(850)이나 목걸이 줄(800)을 결합시키면 하나의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브로치 외에 반지, 목걸이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combining the ring ring 850 or necklace string 800 provided with the coupling portion 310 to the fastening hole 210 of the fastener 200 provided on the back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one ceramic ornaments The body 100 will be able to be used for rings, necklaces in addition to brooches.

특히, 도자기 장신구본체(100) 후면에 구비되는 체결구(200)를 체결공(210)이 나사공으로 형성된 너트로 형성하고, 제1거치수단(300)인 고정판(500)에 구비되는 결합부(310)를 볼트로 형성함으로써,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와 제1거치수단(30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fastener 20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formed by a nut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210 as a screw hole, and a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fixing plate 500 which is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 By forming 310 as a bolt,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combine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즉, 다른 소재의 장신구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제1거치수단(300)과 결합시켜 사용하기 위해 체결구(200)의 체결공(210)에 결합부(310)를 결합시킬 경우, 체결구(200)를 너트로 형성하고 결합부(310)를 볼트로 형성하여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제1거치수단(300)에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제1거치수단(300)과 분리되어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oupling part 31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210 of the fastener 200 in order to use the ceramic accessory body 100 that is heavier than the ornaments of other materials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In this case, the fastener 200 is formed of a nut and the coupling part 310 is formed of a bolt to fix the porcelain ornament body 100 to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to fix the porcelain ornament body 100. It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being lost or broken by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또한, 체결구(200)인 너트의 체결공(210)과 결합부(310)인 볼트의 표면에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부(310)인 볼트가 체결구(200)인 너트에 더욱 부드럽게 장착되거나 탈착되며, 결합부(310)인 볼트가 체결구(200)인 너트에 체결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forming a coating film made of a soft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10 of the nut that is the fastener 200 and the bolt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310, the bolt as the coupling portion 310 is fastener 200 More smoothly mounted or detached to the nut, it is to be able to more securely maintain the state that the bolt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10 to the nut, the fastener 200.

이렇게, 사용자가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제1거치수단(300)과 결합시켜 브로치나 반지 또는 목걸이로 사용한 후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보관할 경우,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거나 책상에 놓이는 제2거치수단(400)에 부착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Thus, when the user combines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with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to use as a brooch or a ring or necklace, and then store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the second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room or placed on the desk Attached to the mounting means 400 is to be stored.

이때, 제2거치수단(400)의 한쪽 면에는 자석판(410)이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제2거치수단(400)에 가까이 가져가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 후면의 체결구(200)가 제2거치수단(400)의 자석판(410)에 붙으면서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제2거치수단(40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is provided with a magnetic plate 410 so that when the user brings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close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the rear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While the fastener 200 is attached to the magnetic plate 410 of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이렇게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400) 전면에 붙어 고정되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보관하는 중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분실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되는 동시에 실내의 벽면이나 책상 위에서 장식효과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frame means 400 in the form of a frame,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safely stored without being lost or damaged while storing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t will be able to create a decorative effect on the interior wall or desk.

특히, 다수 개의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동시에 하나의 제2거치수단(400)에 붙여 장식하거나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2거치수단(400)에 붙어있는 도자기 장신구본체(100) 중 일부를 제2거치수단(400)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하더라도 일부의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는 제2거치수단(400)에 계속 남아있기 때문에 제2거치수단(400)은 항상 장식품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plurality of porcelain ornament body 100 can be attached or stored at the same time to one second mounting means 400, the user is part of the porcelain ornament body 100 attach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Even if us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because some of the ceramic ornament main body 100 remains in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will always function as an ornament. It will be possible.

그리고, 제2거치수단(400)에 구비되는 자석판(410)을 제2거치수단(400)의 후면에 설치하여, 제2거치수단(400)의 전면에서 자석판(410)이 보이지않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nd, by installing the magnetic plate 410 provided in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on the rear of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the magnetic plate 410 is not visible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the user It will be able to improve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또한, 제2거치수단(400)에 구비되는 자석판(410)을 제2거치수단(400)의 전면에 설치함으로써,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체결구(2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magnetic plate 410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on the front of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the coupling force with the fastener 20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improved. You will be able to.

이렇게,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제1거치수단(300)에 장착하여 신체 착용을 위해 사용하거나 또는 제2거치수단(400)에 장착하여 실내장식품으로 사용함으로써,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해외에 판매되는 문화상품의 경우, 우리나라의 문화상품인 하회탈이나 한복 입은 인형 또는 부채 등의 미니어쳐를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로 형성함으로써, 우리나라 문화를 담은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신체 착용을 위한 브로치나 실내를 장식하는 액자의 장식품으로 변형되어 우리나라 문화를 해외에 알리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Thus, by using the porcelain ornament body 100 to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to wear the body or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to use as an indoor decoration, the porcelain ornament body 100 is versati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ultural goods sold overseas, miniatures such as Hahoe masks, Korean costumes, dolls, or fan, which are Korean cultural products, are formed into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and the ceramic ornament body containing Korean culture ( 100) is transformed into a brooch for wearing a body or an ornament of a frame decorating an interior,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of informing Korean culture abroad.

100 : 도자기 장신구본체 110 : 홈부
200 : 체결구 210 : 체결공
300 : 제1거치수단 310 : 결합부
400 : 제2거치수단 500 : 고정판
510 : 고정판 힌지 520 : 핀홈
550 : 고정판 자석 600 : 이동판
610 : 이동판 힌지 650 : 이동판 자석
660 : 끝단 670 : 고정핀
700 : 힌지핀 800 : 목걸이 줄
850 : 반지
100: ceramic ornaments main body 110: home
200: fastener 210: fastener
300: first mounting means 310: coupling portion
400: second mounting means 500: fixed plate
510: hinge hinge 520: pin groove
550: fixed plate magnet 600: moving plate
610: movable plate hinge 650: movable plate magnet
660: end 670: fixed pin
700: hinge pin 800: necklace strap
850: Ring

Claims (3)

삭제delete 삭제delete 신체나 실내 장식을 위해 도자기로 형성되는 장신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를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와 신체 착용의 제1거치수단(300) 및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400);으로 구성하되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는 후면 홈부(110)에 체결공(210)이 나사공으로 된 너트형의 금속제 체결구(200)를 삽입 설치하고,
제1거치수단(300)은,
상부에 고정판 힌지(510)가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 개의 핀홈(520)이 형성되며 고정판 힌지(510) 하부에 고정판 자석(550)이 형성되는 고정판(500);과
상부에 이동판 힌지(610)가 형성되고, 이동판 힌지(610) 하부에 고정판(500)의 고정판 자석(550)과 대응되는 곳에 이동판 자석(650)이 구비되며, 전면에 의복(900)을 뚫는 끝단(660)이 고정판(500)의 핀홈(5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670)이 다수 개 구비되는 이동판(600);과
고정판(500)의 고정판 힌지(510)와 이동판(600)의 이동판 힌지(610)를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핀(700);과
도자기 장신구본체(100)의 체결구(200)에 조립되도록 고정판(5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볼트형의 결합부(310);로 구성하며,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400)은 금속제 체결구(200)에 의해 도자기 장신구본체(100)가 다수 부착될 수 있도록 전면이나 후면 중 어느 한쪽 면에 자석판(410)을 설치하여,
착용시에는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제1거치수단(300)에 결합하여 신체에 착용하고,
착용하지 않을 때는 제1거치수단(300)과 분리된 도자기 장신구본체(100)를 액자 형태의 제2거치수단(400)에 부착하여 장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자기 장신구.
In constructing jewelry made of ceramics for the body or the interior decoration,
Multi-purpose porcelain ornaments porcelain ornaments main body 100; and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in the form of body wearing;
Porcelain ornaments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a nut-shaped metal fastener 200 of the fastening hole 210 is a screw hole in the rear groove 110, and installed,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A fixing plate 500 having a fixing plate hinge 5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pin grooves 520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ixing plate magnet 550 formed below the fixing plate hinge 510; and
A movable plate hinge 61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 movable plate magnet 650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plate magnet 550 of the fixed plate 500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hinge 610, and the garment 900 is provided at the front side. End plate 660 that is drilled through the moving plate 6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ins 670 is fitted into the pin groove 520 of the fixing plate 500; and
Hinge pin 700 for coupling the fixed plate hinge 510 of the fixed plate 500 and the movable plate hinge 610 of the moving plate 600 to be flowable; And
Consists of a bolt-shaped coupling portion 3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500 to be assembled to the fastener 200 of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in the form of a frame is provided with a magnetic plate 410 on either side of the front or the rear so that a plurality of ceramic ornament body 100 can be attached by the metal fastener 200,
When worn, the ceramic ornament body 100 is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and worn on the body,
When not worn, multi-purpose ceramic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by attaching a decorative ceramic body main body 100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means 300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400 in the form of a frame.
KR1020110090690A 2011-09-07 2011-09-07 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 KR101154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690A KR101154206B1 (en) 2011-09-07 2011-09-07 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690A KR101154206B1 (en) 2011-09-07 2011-09-07 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206B1 true KR101154206B1 (en) 2012-06-26

Family

ID=4668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690A KR101154206B1 (en) 2011-09-07 2011-09-07 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2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915B1 (en) * 2016-05-03 2018-08-02 김상운 Frame having birth sto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24A (en) * 1996-02-25 1997-09-02 Masamitsu Suzuki Ring
KR200395383Y1 (en) 2005-06-30 2005-09-08 윤재일 Jointer using magnet
KR20050109932A (en) * 2003-01-25 2005-11-22 성 충 웡 Magnetic fastener
KR100976260B1 (en) * 2010-04-21 2010-08-18 명유선 Mounting member for ceramic ware adorn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24A (en) * 1996-02-25 1997-09-02 Masamitsu Suzuki Ring
KR20050109932A (en) * 2003-01-25 2005-11-22 성 충 웡 Magnetic fastener
KR200395383Y1 (en) 2005-06-30 2005-09-08 윤재일 Jointer using magnet
KR100976260B1 (en) * 2010-04-21 2010-08-18 명유선 Mounting member for ceramic ware adorn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915B1 (en) * 2016-05-03 2018-08-02 김상운 Frame having birth st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52764A (en) Magnetic earrings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US20130263625A1 (en) Magnetically interchangeable jewelry and accessories
JPH0761289B2 (en) Interchangeable decorative jewelry
KR101154206B1 (en) An all-purpose ceramic ware adornments
KR100976260B1 (en) Mounting member for ceramic ware adornments
US20070137251A1 (en) Decorative earring sleeve
CN210901712U (en) Wearing type functional ornament
US10967670B2 (en) Ornament assembly with suspension effect
KR102194527B1 (en) Decoration for accessory with improved dynamic of part
KR20090089565A (en) Accessory medal
CN209883238U (en) Multifunctional wearable ornament
KR200386159Y1 (en) Pendent with magnet
CN201001456Y (en) Suspension member for jewelry
US20160100657A1 (en) Sang Gems Fashion Accessory System and Method
KR20230151944A (en) Multi Jewelry Joint Ring
KR200489064Y1 (en) 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y
KR200375099Y1 (en) Pendant for accessory
KR101631842B1 (en) Accessory having Decoration Replacement Function
TW201509338A (en) Removable jewelry setting
KR101668414B1 (en) Precious metals assembly
KR101668415B1 (en) Precious metals assembly
JP3201808U (en) A pedestal for holding jewelry and ornaments
KR200476010Y1 (en) Stone house for accessary with Jewel of protection and improved appearance
JP2011147670A (en) Pendant for accessory
JP3147617U (en) Decoration using natural s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