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157B1 -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를 갖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를 갖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157B1
KR101154157B1 KR1020100077870A KR20100077870A KR101154157B1 KR 101154157 B1 KR101154157 B1 KR 101154157B1 KR 1020100077870 A KR1020100077870 A KR 1020100077870A KR 20100077870 A KR20100077870 A KR 20100077870A KR 101154157 B1 KR101154157 B1 KR 10115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resistive
sensor
touch sensor
capac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529A (ko
Inventor
제이슨 타일러 그리핀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2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법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의 정전식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를 통해 터치를 탐지하는 것과,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의 저항식 터치 센서(resistive touch sensor)를 통해 터치를 탐지하는 것과,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의 특징을 결정하는 것, 그리고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를 갖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TOUCH-SENSITIVE DISPLAY WITH CAPACITIVE AND RESISTIVE TOUCH SENSORS AND METHOD OF CONTROL}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용 전자 장치를 비롯한 전자 장치는 광범위한 용도를 갖게 되었으며, 예컨대 전화 메시지, 전자 메시지 및 다른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r; PIM)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단순한 핸드폰, 스마트폰, 무선 PDA 및 무선 802.11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 가능한 랩탑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을 비롯한 여러 유형의 장치를 포함한다.
PDA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핸드헬드(handheld) 용도 및 휴대의 용이함을 의도한 것이다. 휴대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보다 작은 장치가 바람직하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도 또한 알려져 있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 및 출력을 위한 공간이 제한되어 있고 소형인 핸드헬드 장치에서 특히 유용하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수행되는 작업 및 기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의 크기를 줄이려는 지속적인 노력에 따라,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는 그 크기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춘 장치에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춘 개선된 전자 장치 및 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의 정전식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를 통해 터치를 탐지하는 것과,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의 저항식 터치 센서(resistive touch sensor)를 통해 터치를 탐지하는 것과,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의 특징을 판별하는 것, 그리고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배치되는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는, 터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식 터치 센서 및 힘의 문턱값을 초과할 때 터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되는 저항식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에 작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정전식 터치 센서와 저항식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의 특징을 판별하고 터치의 이 특징에 기초하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춘 개선된 전자 장치 및 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라 정전식 터치 센서와 저항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탐지하기에 앞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라 정전식 터치 센서와 저항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탐지한 이후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변형례를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시의 단순화 및 명료성을 위해, 대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지시하는 도면부호는 복수의 도면에 걸쳐 반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언급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이들 특정 세부사항을 갖추지 않고도 실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를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널리 공지된 방법, 과정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된다고 간주해서는 안 된다.
본 개시내용은 대체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의 예에는, 무선 호출기, 셀룰러폰, 셀룰러 스마트폰, 무선 오거나이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으로 이용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형 또는 핸드헬드형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핸드헬드 전자 게임 장치, 디지털 사진 앨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다른 장치와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이 없는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실시예의 블록 선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이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02)와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신을 비롯한 통신 기능은 통신용 서브시스템(104)을 통해 수행된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디코더(106)에 의해 압축 해제되고 디코딩된다. 통신용 서브시스템(104)은 무선 네트워크(15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에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15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데이터 중심 무선 네트워크, 음성 중심 무선 네트워크 및 동일한 물리적 기지국에 걸쳐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네트워크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구동형 장치이며, 하나 이상의 충전식 배터리(144)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인터페이스(14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는, 랜덤 엑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108), 메모리(110), 디스플레이(112), 액추에이터(120), 힘 센서(122), 보조 입력/출력(I/O) 서브시스템(124), 데이터 포트(126), 스피커(128), 마이크(130), 근거리 통신부(132) 및 다른 장치용 서브시스템(134)과 같은 추가적인 서브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자 제어기(117)에 접속된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5) 및 전자 제어기(116)에 접속된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와 전자 제어기는 함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를 구성한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은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를 통해 수행된다. 프로세서(102)는 전자 제어기(116)를 통해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와 상호작용하고 전자 제어기(117)를 통해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5)와 상호작용한다. 텍스트, 문자, 기호, 이미지, 아이콘 및 휴대용 전자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아이템과 같은 정보는, 프로세서(102)를 통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프로세서(102)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계(136)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가속도계(136)는, 적절한 편향 감지 회로 및 프루프 매스(proof mass)를 갖춘 외팔보 비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계(136)는 중력 또는 중력에 의해 유도되는 반력의 방향 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억세스를 위한 가입자의 식별을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150)와 같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SIM/RUIM 인터페이스(140)에 삽입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 또는 탈착형 사용자 식별 모듈(SIM/RIUM) 카드(138)를 이용한다. 대안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는 메모리(110)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되고 메모리(110)와 같이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한 저장수단에 보통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148) 및 구동 시스템(146)을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은, 무선 네트워크(150), 보조 I/O 서브시스템(124), 데이터 포트(126), 근거리 통신용 서브시스템(132)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장치용 서브시스템(134)을 통해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로딩될 수 있다.
사용시에,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웹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된 신호는, 통신용 서브시스템(104)에 의해 처리되며 프로세서(102)에 입력된다. 프로세서(102)는 이제 디스플레이(112) 또는 대안으로 보조 I/O 서브시스템(124)에 대한 출력을 위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사용자는 또한, 통신용 서브시스템(104)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150)를 거쳐 전송될 수 있는, 예컨대 이메일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아이템을 작성할 수 있다. 음성 통신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작동은, 수신된 신호가 스피커(128)로 출력되며 전송을 위한 신호가 마이크(130)에 의해 생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수용하며 프레임(204)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4)과 후방부(302) 사이에 연장되는 측벽(300)을 포함하는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프레임(204)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를 둘러싼다. 도 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는, 예컨대 글자, 숫자, 구두점, 공란, 제어 문자(예를 들어, 탭, 줄 나눔, 구역 나눔 등), 기호 등뿐만 아니라 기능키(예를 들어, 엔터키, ALT키, CTRL키)의 형태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202)를 디스플레이한다. 완전한 가상 키보드(202)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또한 여타의 완전한 키보드 또는 축소형 키보드를 비롯한 다른 키보드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기능 또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4개의 추가적인 선택용 버튼(206, 208, 210, 212)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는, 기계적 지지를 위해 마그네슘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 트레이(304) 상에 지지된다.
정전식 센서 및 저항식 센서를 포함하는 단일 오버레이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2개의 별개의 오버레이, 즉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를 포함하는 오버레이 및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5)를 포함하는 오버레이가 사용된다. 터치 접촉 또는 터치 이벤트로서 또한 알려져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에 의해 탐지될 수 있고, 예컨대 터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프로세서(10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는, 에어 갭(air gap) 및 절연 도트(insulating dot)에 의해 분리되는 저항식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저항식 터치 센서는 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진 강성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막인 보호용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외측 터치 센서 및 보호용 커버는 가요성이어서, 예컨대 사용자가 보호용 커버 위에서 누름으로써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에 힘이 가해질 때 터치 센서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게 된다.
저항식 터치 센서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힘 문턱값보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에 가해지는 힘이 더 크면,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 및 저항식 터치 감응형 제어기(116)를 통해 터치를 탐지한다. 저항식 터치 위치(216)는,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의 저항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저항식 터치 센서는 효과적으로 터치의 힘의 중심을 결정한다. 저항식 터치 센서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힘 문턱값은 알려져 있다.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5)는 배리어에 의해 분리되는 정전식 터치 센서들을 포함한다.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는 기판, 접지 쉴드, 정전식 터치 센서들 중 하나가 배치되는 배리어, 그리고 다른 정전식 터치 센서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터치는,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5) 및 정전식 터치 감응형 제어기(117)를 통해 탐지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위치(214)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의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효과적으로 터치의 접촉 영역의 중심을 결정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터치의 다른 특징도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외에도, 정전식 터치 센서로부터 정전식 터치 감응형 제어기(117)에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터치와 관련된 접촉 영역의 형상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의 단계들은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코딩은, 주어진 본 개시내용의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에 속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터치는,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5) 및 정전식 터치 감응형 제어기(117)를 통해 탐지된다(400). 정전식 터치 위치(214)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의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를 통해 이러한 터치를 탐지하면(402), 저항식 터치 위치(216)가 결정된다.
정전식 터치 위치(214)와 저항식 터치 위치(216)는 상이할 수 있으며, 정전식 터치 위치(214)와 저항식 터치 위치(216)의 차이가 결정된다(404). 이러한 차이는 위치들(214, 216)의 방향 및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4에서 결정되는 위치들(214, 216)의 차이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유지되는 방식,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를 터치하는 손가락,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피쳐(feature)를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가로질러 도달하는 거리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들(214, 216)의 차이로부터,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얻는다. 예를 들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를 터치하는 손가락을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손의 손가락으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를 터치할 때, 다른 손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가 탁자와 같은 표면에 놓여있으면, 위치들(214, 216)의 차이는 매우 미미할 것이다. 오른손 엄지 또는 손가락으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를 터치할 때,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오른손으로 유지하고 있으면, 저항식 터치 위치는 정전식 터치 위치에 대해 좌측 상부에 있을 것이다. 왼손 엄지 또는 손가락으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를 터치할 때,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왼손으로 유지하고 있으면, 저항식 터치 위치(2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식 터치 위치(214)에 대해 우측 상부에 위치할 것이다. 상부 또는 좌측 또는 우측과 같은 기준은 관찰자의 시각에 따른 것이며, 그 이상의 한정적 효과는 없다. 위치들(214, 216)의 차이에 기초하여 기능을 결정할 수 있으며(406), 상기 기능이 수행된다(408).
도 2 및 도 5는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탐지하기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가상 키보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의해 실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식 터치 위치(216)는 저항식 터치 위치(214)의 우측 상부에 있다. 이들 터치 위치(214, 216)의 차이로부터, 사용자는 아마도 왼손에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유지하면서 왼손 엄지 또는 손가락으로 타이핑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들 터치 위치(214, 216)의 차이에 기초하여, 신규의 가상 키보드(502)가 제공된다. 키보드(502)의 키의 형태인 정보는, 이러한 예에서 왼손 엄지를 이용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좌측에 더 근접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예에서의 가상 키보드(502)는 축소형 키보드이지만, 다른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좌측에 키보드(502)가 제공되지만, 저항식 터치 센서 및 정전식 터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터치 위치들(214, 216)의 차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아이콘 또는 다른 정보와 같은 다른 선택 가능한 정보를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동안 손 또는 엄지에 의해 데이터를 보기 어렵게 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와 같은, 선택 불가능한 정보를 비롯한 다른 정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기능은 터치 위치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터치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저항식 터치 센서와 정전식 터치 센서를 통해 결정되는 위치들이 상이하고 정보와 관련된 영역에 함께 위치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차이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단순화되어 있다. 추가적인 단계들이 전술한 과정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수행되는 기능은 수 개의 터치의 정전식 터치 위치와 저항식 터치 위치의 차이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502)는 탐지된 터치의 개수가 문턱값을 초과한 이후에 제공될 수 있다. 수행되는 기능은 복수의 터치에 대한 위치들의 차이에 기초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코딩은, 주어진 본 개시내용의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에 속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 상에서의 터치가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5)를 통해 탐지되면(600), 정전식 터치 위치(214)가 결정된다.
터치가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를 통해 탐지되면, 저항식 터치 위치(216)는 저항식 터치 센서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터치의 특징은 정전식 터치 센터를 통해 주기적으로 결정된다(604). 결정된 특징은, 터치 영역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영역의 크기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와의 접촉 면적의 측정값 또는 평가값이다.
우선 저항식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가 탐지되는 시점의 터치 영역의 크기는, 터치 중에 터치 영역의 크기와 비교된다(606). 터치 영역의 크기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증가량이 결정된다.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에 가해지는 힘의 증가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에 가해지는 힘은, 우선 터치가 탐지되고 이후 터치 중에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가 탐지될 때,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에 기초하여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에 가해지는 힘의 증가와 상관될 수 있다. 면적 문턱값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에 가해지는 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와 면적 문턱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힘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608).
수행되는 기능은,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가 면적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좌우된다.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가 면적 문턱값을 초과하면, 제1 기능이 수행된다(610).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가 면적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2 기능이 수행된다(612).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2) 상에 제공되는 맵 상에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터치가 탐지된다. 터치의 위치는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5) 및 정전식 터치 감응형 제어기(117)를 통해 결정된다(600). 터치의 위치는 또한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14) 및 저항식 터치 감응형 제어기(116)를 통해 탐지된다. 우선 저항식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가 탐지되면, 이 터치의 특징은 정전식 터치 센서를 통해 결정된다(604). 상기 특징은 터치 영역의 크기를 포함한다.
터치 중에 결정되는 터치 영역의 크기는, 처음 터치가 탐지되었을 때의 터치 영역의 크기와 비교되며(606), 터치 영역의 크기의 증가가 결정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20 %를 초과하는 크기의 상대적인 증가가 결정된다. 터치 영역의 크기의 상대적인 증가가 면적 문턱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면(608), 예컨대 저항식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 위치에서의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해 줌 작업이 수행된다(610). 힘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터치 위치가 디스플레이(112) 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맵을 제공함으로써 맵을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우선 저항식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가 탐지될 때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힘 문턱값을 초과하면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1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기능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8) 상에서 스크롤용 화살표를 선택할 때 스크롤 또는 패닝 속도는 변경될 수 있다. 다수의 다른 기능도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을 참고하여 도시되고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터치 위치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힘 문턱값을 초과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수행되는 기능은 터치 위치의 차이에 따라 그리고 힘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터치의 특징은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의 저항식 터치 센서 및 정전식 터치 센서로부터 결정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예컨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과 관련한 정보의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장치를 유지하는 손 및/또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의 정보를 선택하는 손가락/엄지를 결정할 수 있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힘을 결정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탐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바와 같은 터치의 특징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용도에 기초하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에 관한 것이고, 당업자는 변형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설명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단지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이상의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현된다. 청구범위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에 속하게 되는 모든 변화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100 : 휴대용 전자 장치
102 : 프로세서
104 : 통신용 서브 시스템
108 : RAM
110 : 메모리
112 : 디스플레이
114 : 저항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115 : 정전식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116 : 전자 제어기
117 : 전자 제어기
118 :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120 : 액추에이터
122 : 힘 센서
124 : 보조 입력/출력 서브시스템
126 : 데이터 포트
128 : 스피커
130 : 마이크
132 : 근거리 통신부
136 : 가속도계
138 : SIM/RUIM 카드
140 : SIM/RUIM 인터페이스
142 : 배터리 인터페이스
146 : 구동 시스템
148 :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150 : 무선 네트워크
200 : 하우징
204 : 프레임
206, 208, 210, 212 : 선택용 버튼
214 : 정전식 터치 위치
216 : 저항식 터치 위치
300 : 측벽
302 : 후방부
304 : 지지 트레이
502 : 키보드

Claims (13)

  1.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의 정전식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를 통해 터치를 탐지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의 저항식 터치 센서(resistive touch sensor)를 통해 상기 터치를 탐지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상기 터치의 제1 위치와 상기 저항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상기 터치의 제2 위치의 차이를 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상기 저항식 터치 센서로부터 상기 터치의 특징을 결정하며;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상기 터치의 제1 위치와 상기 저항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상기 터치의 제2 위치의 차이를 정하는 것은, 상기 차이의 크기 및 상기 터치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터치의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배열(arrang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선택 가능한 정보를 식별하는 것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가상 키보드로부터 문자를 식별하고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특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저항식 터치 센서에 의해 상기 터치가 탐지될 때의 제1 터치 면적을 상기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특징을 결정하는 것은, 제1 터치 면적에 대한 제2 터치 면적의 비교에 기초하여 힘 문턱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힘 문턱값을 초과하는지를 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저항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를 탐지할 때의 제1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힘 문턱값을 초과할 때의 제2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배치되는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overlay)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로서, 상기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는 터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식 터치 센서 및 힘 문턱값을 초과할 때 상기 터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되는 저항식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상기 터치의 제1 위치와 상기 저항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상기 터치의 제2 위치의 차이를 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상기 저항식 터치 센서로부터 상기 터치의 특징을 결정하며, 상기 터치의 특징에 기초하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0100077870A 2009-08-27 2010-08-12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를 갖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KR101154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8793.9A EP2290510B1 (en) 2009-08-27 2009-08-27 Touch-sensitive display with capacitive and resistive touch sensors and method of control
EP09168793.9 200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529A KR20110022529A (ko) 2011-03-07
KR101154157B1 true KR101154157B1 (ko) 2012-06-14

Family

ID=4143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870A KR101154157B1 (ko) 2009-08-27 2010-08-12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를 갖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290510B1 (ko)
KR (1) KR101154157B1 (ko)
CA (1) CA2709440C (ko)
TW (1) TW201120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5831B2 (en) 2013-05-28 2016-07-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7516A1 (en) * 2011-06-09 2012-12-13 Casio Computer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2173305A1 (ko) * 2011-06-16 2012-12-20 솔렌시스 주식회사 정전 용량 및 압력 센싱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터치 패널
JP5848561B2 (ja) * 2011-09-20 2016-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DE102011119746A1 (de) * 2011-11-30 2013-06-06 Audi Ag Betätigungsvorrichtung mit einer manuell zu bedienenden berührungssensitiven Oberfläche
WO2013149331A1 (en) 2012-04-07 2013-10-10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 sensing display device
JP6446055B2 (ja) 2014-02-18 2018-12-26 ケンブリッジ タッチ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imited 力タッチを用いるタッチスクリーンのためのパワーモードの動的切り替え
KR102615384B1 (ko) 2014-12-23 2023-12-19 케임브리지 터치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압력감지 방식 터치 패널
GB2533667B (en) 2014-12-23 2017-07-19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US10282046B2 (en) 2015-12-23 2019-05-0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GB2544353B (en) 2015-12-23 2018-02-21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GB2565305A (en) 2017-08-08 2019-02-13 Cambridge Touch Tech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US11093088B2 (en) 2017-08-08 2021-08-1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2617A2 (en) * 1985-05-23 1986-11-26 The Dow Chemical Company A porous filter media
JPH09231006A (ja) * 1996-02-28 1997-09-05 Nec Home Electron Ltd 携帯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7071A (en) * 1990-10-31 1992-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ylus sensing system
DE69623706T2 (de) * 1995-02-22 2003-05-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Kostengünstiges widerstandstablett mit berührungs- und griffelfunktionalität
EP2261777A1 (en) * 2001-08-22 2010-12-1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ensor for generating position data and method therefor
US20080316182A1 (en) * 2007-06-21 2008-12-25 Mika Antila Touch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 Sensor
EP2026179A1 (en) 2007-08-10 2009-02-18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R.L. Method of generating input data
TW200915820A (en) * 2007-09-19 2009-04-01 Giga Byte Tech Co Ltd Touch panel structure having dual touch-mode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GB2456311A (en) 2008-01-10 2009-07-15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Compound Resistive and Capacitive Touch Panel
US20090194341A1 (en) * 2008-02-05 2009-08-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resistive touch input component as a proximity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2617A2 (en) * 1985-05-23 1986-11-26 The Dow Chemical Company A porous filter media
JPH09231006A (ja) * 1996-02-28 1997-09-05 Nec Home Electron Ltd 携帯情報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5831B2 (en) 2013-05-28 2016-07-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20703A (en) 2011-06-16
EP2290510B1 (en) 2018-07-04
EP2290510A1 (en) 2011-03-02
CA2709440A1 (en) 2011-02-27
CA2709440C (en) 2013-09-24
KR20110022529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157B1 (ko) 정전식 터치 센서 및 저항식 터치 센서를 갖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US8179376B2 (en) Touch-sensitive display with capacitive and resistive touch sensors and method of control
JP5784712B2 (ja) 携帯用電子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KR101317290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이것의 제어 방법
CA2667911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A276170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ouch-sensitive display
US8766926B2 (en)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3010669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entry
US812165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36633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66974A (ko) 2차 문자 표현 및 입력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방법
KR20090066316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의 손가락 접촉으로부터 커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US2011012823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20036897A (ko)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선택
JP2020518914A (ja) タッチ感知及びタッチ圧力感知が可能な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0017171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50325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EP2837995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identifying frequency for detecting touches
KR101183769B1 (ko)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16396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6538785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17827A (ko)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에서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CA2685643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2719844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