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414B1 -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 - Google Patents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414B1
KR101153414B1 KR1020080068793A KR20080068793A KR101153414B1 KR 101153414 B1 KR101153414 B1 KR 101153414B1 KR 1020080068793 A KR1020080068793 A KR 1020080068793A KR 20080068793 A KR20080068793 A KR 20080068793A KR 101153414 B1 KR101153414 B1 KR 101153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p
disk
assemb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295A (ko
Inventor
박준형
양승대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4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 감소로 인해 조립이 용이해지며, 단위디스크가 별도의 부품 없이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조립됨으로써 누적공차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 불가, 축 틀어짐, 샤프트 및 각 부품의 파손 등 조립 중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와 캡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가습, 물, 먼지, 이물질

Description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disk assembly and air washer having disk assembly}
본 발명은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 감소로 인해 조립이 용이해지며, 단위디스크가 별도의 부품 없이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조립됨으로써 누적공차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 불가, 축 틀어짐, 샤프트 및 각 부품의 파손 등 조립 중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와 캡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들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건식정화장치와 습식정화장치로 구분된다.
건식정화장치로는 음이온 청정기 등이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그 기능이 단순히 먼지나 담배연기 등을 제거토록 된 것이기 때문에 실내 가습 기능은 없으며 또한 먼지가 타고 난 뒤 남게 되는 카본 등에 의해 다시 공기 오염이 초래되는 문제 가 있다.
그러므로 보다 바람직한 공기정화기로는 가습 기능을 함께 가지는 습식정화장치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습식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습식정화장치는 상부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틀(11)에 모터(30)가 고정되고, 모터(30)의 축에는 송풍팬(31)이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틀(11)의 하측 결합부(12)에는 한 쌍의 롤러(40)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30)가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하면 송풍팬(31)이 회전하고, 한 쌍의 롤러(4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00은 디스크 롤러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이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는 다수 개의 디스크 롤러(101)를 이루고 있으며, 양쪽의 디스크 롤러(101)가 상기 롤러(40)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101)는, 지지관(110)의 둘레면에 결합되고, 지지관(110)의 단부에 캡(150)이 각각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캡(150)이 축봉(111)의 양단부에 고정된 축단 지지관(112)의 내측단부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로써 디스크 롤러(101)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습식정화장치는 디스크 롤러 조립체를 이루는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불편하며, 각 부품간의 누적공차로 인해 조립시 조립이 불가하거나 과도하게 조립을 하게 되면 조립 후 축이 틀어지고, 지지관 및 각 부품들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관과 캡이 후크 결합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품수를 감소시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단위디스크가 별도의 부품 없이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조립 가능하게 함으로써 누적공차를 줄여 조립 불가 및 과도한 조립으로 인한 축 틀어짐, 샤프트와 각 부품의 파손 등 조립 중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와 캡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디스크를 설정된 단위개수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기 위해 삽입홀을 갖는 단위디스크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에 조립되어 상기 단위디스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크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의 단면 및 상기 단위디스크의 삽입홀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단위디스크의 자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샤프트와의 조립부위의 보호하기 위해 플랜지를 구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캡과의 조립부위에는 상기 캡의 조립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내측 둘레면에 수나사부를 갖는 삽입홈, 상기 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상기 삽입돌기가 안착되어 상기 캡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 둘레면에 형성되는 단턱 및 상기 캡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삽입홈의 수나사부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구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단턱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단턱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이 상기 단위디스크에 접해 상기 단위디스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체,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조립되는 커버케이스, 상기 본체의 하측부에 조립되며, 공기 정화 및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디스크를 설정된 단위개수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기 위해 삽입홀을 갖는 단위디스크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에 조립되어 상기 단위디스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샤프트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캡을 포함하는 디스크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둘레면에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캡과의 조립부위에는 상기 캡의 조립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내측 둘레면에 수나사부를 갖는 삽입홈 ,상기 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상기 삽입돌기가 안착되어 상기 캡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 둘레면에 형성되는 단턱 및 상기 캡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삽입홈의 수나사부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구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크어셈블리의 캡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는 부품수 감소로 인해 조립이 용이해지며, 단위디스크가 별도의 부품 없이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조립됨으로써 누적공차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 불가 및 과도한 조립으로 인한 축 틀어짐, 샤프트와 각 부품의 파손 등 조립 중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와 캡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가습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230)는 샤프트(232), 단위디스크(234), 캡(236)으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샤프트(232)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 일부가 축 방향으로 따라 절단되어 단면 형상이 각진 형상이 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디스크(234)는 디스크를 설정된 단위 개수로 묶어 각 단위개수끼리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디스크(234)를 이루는 디스크는 정해진 간격만큼 일정한 간 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디스크(234)는 샤프트(232)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도록 삽입홀(235)을 형성한다.
상기 단위디스크(234)는 샤프트(232)에 억지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홀(235)은 샤프트(232)에 삽입되었을 때 자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232)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236)은 샤프트(232)의 양단부에 조립되어 단위디스크(234)가 샤프트(2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캡(236)은 둘레면에 플랜지(237)가 연장 형성되어 캡(236)과 샤프트(232)와의 조립부위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237)는 캡(236)과 샤프트(232)와의 조립부위를 커버링하게 됨으로써 외부 위해 요소의 접근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32)와 캡(236)과의 조립부위에는 캡(236)의 조립을 위한 결합부(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40)는 삽입홈(242), 삽입돌기(244), 단턱(246) 및 체결구(248)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삽입홈(242)은 샤프트(232)의 양측에 각각 함몰 형성되어 내측 둘레면에 수나사부(243)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244)는 캡(236)이 샤프트(232)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 도록 캡(236)의 저면에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246)은 삽입돌기(244)가 안착되어 캡(236)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샤프트(232) 둘레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244)는 단턱(246)에 안착시 단턱(246)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단턱(246)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이 단위디스크(234)에 접해 단위디스크(23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구(248)는 캡(236)에 볼트(238)를 삽입하여 삽입홈(242)의 수나사부(243)에 체결되도록 캡(236)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230)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를 살펴본다.
상기 공기청정가습기는 본체(200), 커버케이스(210) 및 하우징(220) 및 하우징(220)에 형성되는 디스크 어셈블리(23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200)는 상측부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202)을 구비하며, 흡입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204)가 둘레면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내부에 흡입팬(20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06)가 구비되며, 디스크 어셈블리(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모터(208)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케이스(210)는 본체(200)의 상측부에 조립되어 본체(200)의 상측부를 커버링하며, 상측면으로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2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케이스(210)에는 공기청정가습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은 본체(200)의 하측부에 조립되며, 공기 정화 및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230)의 구성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20)은 디스크 어셈블리(230)의 캡(236)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222)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230)는 캡(236)이 하우징(220)의 안착홈(22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며, 몸체(200)의 회전모터(208)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232) 둘레면에 동력전달부재(23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재(233)는 본체(200)의 회전모터(208)에 치합되어 회전모터(208)의 회전력을 샤프트(232)에 전달하여 단위디스크(23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230)는 회전하면서 디스크 표면에 하우징(220)의 물이 묻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흡착함과 동시에 물을 증발시켜 실내를 가습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가습기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디스크(234)는 각각 샤프트(232)의 양측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32) 단면의 단면은 일부가 절개되어 각진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단위디스크(234)의 삽입홀(235)이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삽입 후 자체 회전이 방지되며, 억지 삽입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캡(236)은 샤프트(232) 양단부에 조립된다.
상기 캡(236)은 삽입돌기(244)가 샤프트(232) 외측 둘레면에 삽입되어 샤프트(232)에 일차적로 고정된다.
상기 캡(236)의 삽입돌기(244)는 끝단이 단턱(246)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단턱(246)에 의해 더 이상의 삽입이 차단되어 과도한 삽입으로 인판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244) 중 단턱(246)에서 돌출된 부분이 단위디스크(234)의 측부에 접해 단위디스크(234)가 샤프트(232)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236)의 체결구(248)에 볼트(238)를 삽입하여 삽입홈(242)의 수나사부(243)에 체결시킨다.
상기 캡(236)은 볼트(238)에 의해 이차적으로 샤프트(232)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분리가 용이하여 단위디스크(234)의 교체 및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한다.
또한, 상기 캡(236)의 플랜지(237)가 샤프트(232)와의 조립부위를 커버링하여 외부 위해요소의 접근을 방지하여 파손을 막는다.
상기 단위디스크(234)가 별도의 부품 없이 샤프트(232)에 직접적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232)의 양단부에 캡(236)만이 조립되기 때문에 일측의 캡(236)에서부터 타측의 캡(236)까지의 누적공차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 불가 및 과도한 조립으로 인한 축 틀어짐, 샤프트와 각 부품의 파손 등이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2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캡(236) 각각을 하우징(220)의 안착홈(222)에 안착시켜 회전 가능하게 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220)에 물을 붓고 본체(200)를 하우징(200)에 조립한다
이때, 상기 본체(200)의 회전모터(208)가 샤프트(232)의 동력전달부재(233)에 치합된다.
상기 본체(200)에 커버케이스(210) 조립 후 커버케이스(210)의 조작부(214)를 조작해 본체(200)의 구동모터(206) 및 회전모터(208)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206)가 구동되면서 흡입팬(202)이 회전하고, 커버케이스(210)의 흡입구(212)를 통해 실내 공기가 본체(200) 내로 흡입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본체(200)의 회전모터(208)가 구동되면서 단위디스크(23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단위디스크(234)의 디스크는 회전하면서 표면에 하우징(220)의 물을 묻혀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표면에 흡착하게 된다.
상기 단위디스크(234)를 거친 공기는 이물질 제거 과정을 거쳐 정화된 후 본체(200)의 토출구(204)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단위디스크(234)의 디스크 표면에 묻어 있던 물이 증발하게 되고, 토출되는 공기 중에 섞여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가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 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는 부품수 감소로 인해 조립이 용이해지며, 단위디스크(234)가 별도의 부품 없이 샤프트(232)에 직접적으로 조립됨으로써 누적공차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 불가 및 과도한 조립으로 인한 축 틀어짐, 샤프트(232) 및 각 부품의 파손 등 조립 중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232)와 캡(236)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습식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본체 210 : 커버케이스
220 : 하우징 230 : 디스크 어셈블리

Claims (11)

  1. 샤프트(232);
    상기 샤프트(232)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디스크를 설정된 단위개수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232)에 삽입되기 위해 삽입홀(235)을 갖는 단위디스크(234); 및
    상기 샤프트(232)의 양단부에 조립되어 상기 단위디스크(234)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236)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232)와 상기 캡(236)과의 조립부위에는 상기 캡(236)의 조립을 위한 결합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240)는 상기 샤프트(23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내측 둘레면에 수나사부(243)를 갖는 삽입홈(242);
    상기 캡(236)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32)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44);
    상기 삽입돌기(244)가 안착되어 상기 캡(236)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232) 둘레면에 형성되는 단턱(246); 및
    상기 캡(236)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삽입홈(242)의 수나사부(243)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캡(236)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구(2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셈블리(23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32)의 단면 및 상기 단위디스크(234)의 삽입홀(235)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단위디스크(234)의 자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셈블리(23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36)은 상기 샤프트(232)와의 조립부위의 보호하기 위해 플랜지(2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셈블리(230).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244)는 상기 단턱(246)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단턱(246)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이 상기 단위디스크(234)에 접해 상기 단위디스크(234)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셈블리(230).
  7. 본체(200), 상기 본체(200)의 상측부에 조립되는 커버케이스(210), 상기 본체(200)의 하측부에 조립되며, 공기 정화 및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하우징(220)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0)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샤프트(232);
    상기 샤프트(232)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디스크를 설정된 단위개수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232)에 삽입되기 위해 삽입홀(235)을 갖는 단위디스크(234); 및
    상기 샤프트(232)의 양단부에 조립되어 상기 단위디스크(234)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샤프트(232)를 상기 하우징(22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캡(236)을 포함하는 디스크 어셈블리(23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232)와 상기 캡(236)과의 조립부위에는 상기 캡(236)의 조립을 위한 결합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240)는 상기 샤프트(23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내측 둘레면에 수나사부(243)를 갖는 삽입홈(242);
    상기 캡(236)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32)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44);
    상기 삽입돌기(244)가 안착되어 상기 캡(236)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232) 둘레면에 형성되는 단턱(246); 및
    상기 캡(236)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삽입홈(242)의 수나사부(243)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캡(236)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구(2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32)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둘레면에 동력전달부재(2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가습기.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0)은 상기 디스크어셈블리의 캡(236)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2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가습기.
KR1020080068793A 2008-07-15 2008-07-15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 KR101153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793A KR101153414B1 (ko) 2008-07-15 2008-07-15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793A KR101153414B1 (ko) 2008-07-15 2008-07-15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95A KR20100008295A (ko) 2010-01-25
KR101153414B1 true KR101153414B1 (ko) 2012-06-05

Family

ID=4181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793A KR101153414B1 (ko) 2008-07-15 2008-07-15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4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66B1 (ko) 2006-12-29 2008-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디스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66B1 (ko) 2006-12-29 2008-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디스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95A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738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1977025B1 (ko) 회전형 가습필터식 가습 장치
KR100627194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1153414B1 (ko) 디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가습기
KR20110090266A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468969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299620B1 (ko)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KR101307842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핸들
KR101295162B1 (ko) 가습 공기 청정기
KR100845595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하부하우징 구조
KR101307844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307843B1 (ko) 가습공기청정기
CN107801411A (zh) 排风机
KR200197150Y1 (ko) 가전제품용 먼지 제거장치
KR102392181B1 (ko) 분진제거기능이 구비된 홀쏘장치
KR100957177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KR20140025840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40025845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063485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201513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027060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KR100845596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하부하우징 구조
KR101249503B1 (ko) 가습 공기 청정기
KR200479747Y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KR20140025841A (ko) 가습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