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141B1 - 용적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적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141B1
KR101153141B1 KR1020100085349A KR20100085349A KR101153141B1 KR 101153141 B1 KR101153141 B1 KR 101153141B1 KR 1020100085349 A KR1020100085349 A KR 1020100085349A KR 20100085349 A KR20100085349 A KR 20100085349A KR 101153141 B1 KR101153141 B1 KR 101153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s
oil
pressure
pistons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329A (ko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이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형 filed Critical 이준형
Publication of KR20110130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14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용적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낮은 동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높은 압력으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나란히 설치된 원통형의 제1,2실린더(21)(22)와, 상기 제1,2실린더의 일단에 고정된 커버(29)와, 상기 각 커버에 설치되어 고압의 냉매(30)가 배출되거나, 저압의 냉매가 흡입되도록 하는 제1,2고압밸브(23a)(24a) 및 제1,2저압밸브(23b)(24b)와, 상기 제1,2실린더의 내부에 기밀이 유지되게 설치되어 오일(25)의 압력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2피스톤(26)(27)과, 상기 제1,2피스톤이 상호 연동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로드(28)와,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구멍(31a)이 형성되어 제1,2실린더의 타단을 폐쇄하는 밀봉부재(31)와, 상기 제1,2실린더와 통하여지게 상호 연결된 관로(37) 상에 설치되어 오일을 연속적으로 압축하는 기어펌프(38)와,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오일을 공급할 때 다른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도록 유로를 절환하는 제1 내지 제4 전자변(39)(40)(41)(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적식 압축기{omitted}
본 발명은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높은 압력의 냉매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용적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용 압축기는 밀폐된 냉동사이클(refrigerating cycle)을 이루는 4개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로써, 냉동사이클에서 냉매(refrigerant)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나머지 중요 구성요소는 응축기(condensing unit), 증발기(evaporator) 및 팽창기구(expansion unit)이다.
이러한 압축기는 압축방식에 따라 용적식 압축기와 터보식 압축기로 대별된다.
상기 용적식 압축기는 압축실 내의 체적을 감소시켜 압축실로 유입된 냉매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갖는데, 여기에는 왕복동식, 로타리식(회전 피스톤식, 로타리 베인식, 스크류식), 스크롤식, 트로코이드식 등이 포함된다.
이론적인 압축기의 성능은 냉동능력, 소비동력 및 소음과 진동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하여 평가하지만, 실제적인 압축기의 성능은 다양한 종류의 손실 및 냉매 상태 등에 의해 이론적인 경우와는 많은 차이를 갖게 되는데, 이는 압축기의 소비동력은 증가시키지만 성능은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압축기의 운전 상태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려면 압축기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손실이 제거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압축되는 냉매 조건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여야 된다.
다양한 종류의 손실에 의한 압축기의 성능 저하는, 압축기를 이루는 여러 구성 부품들의 기계적인 가공 정도 향상 및 구조적인 변화 등 손실의 제거를 위한 노력으로 상당한 정도 개선되고 있으나, 냉매 조건에 의한 압축기의 성능 저하는 냉매사이클을 이루는 여러 구성 요소들의 조건 변화에 의해 냉매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즉, 냉매 조건에 의한 압축기의 성능 저하는 압축되기 전의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이 최적의 범위에서 유지되어야만 압축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최적의 냉매사이클을 이루면서 냉방 및 난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압축되기 전의 냉매의 상태가 기체와 액체가 공존하는 포화상태보다 과도하게 승온된 상태인 경우 압축기를 이루는 구성부품들이 열화되어 압축기의 수명이 현저하게 감소되며, 압축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압축되기 전의 냉매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냉매에 액체가 존재하여 액 압축이 일어나므로 압축기가 깨지거나, 압축기의 결로 현상 및 냉, 난방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만 안전한 상태에서 높은 출력(고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용적식 압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됨과 동시에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편(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5)의 하단에는 하부용기(1b)의 저면에 있는 오일(L)을 크랭크축(5)에 형성되어 있는 오일유로(5a)로 빨아올리기 위한 프로펠러(5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 실린더(6)가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압축실에는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피스톤(7)은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 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 핀(5b)은 상기 커넥팅로드(8)의 크랭크축연결부(8a)와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7)과 커넥팅로드(8)의 피스톤연결부(8b)는 피스톤핀(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되어 있는데, 도면 부호 (10)은 헤드커버이고, (12)는 냉매를 밀폐용기(1)의 내부로 전달하는 흡입파이프이며, (13)은 압축된 냉매를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파이프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적식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피스톤이 크랭크축의 편심 핀과 커넥팅로드로 연결되어 있어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데 한계가 있어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모터의 용량을 증대시켜야만 되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냉매를 다단 압축을 하여야 고압의 냉매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압축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됨은 물론 압축기의 설치면적이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오일의 압력으로 피스톤이 진퇴 운동함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2개의 실린더를 나란히 배치함과 동시에 각 실린더의 내부를 진퇴 운동하는 피스톤을 1개의 로드에 의해 연결하여 기어펌프의 구동으로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서 냉매를 압축하면 다른 하나의 실린더에는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적은 동력으로 고압의 냉매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나란히 설치된 원통형의 제1,2실린더와, 상기 제1,2실린더의 일단에 고정된 커버와, 상기 각 커버에 설치되어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거나, 저압의 냉매가 흡입되도록 하는 제1,2고압밸브 및 제1,2저압밸브와, 상기 제1,2실린더의 내부에 기밀이 유지되게 설치되어 오일의 압력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2피스톤과, 상기 제1,2피스톤이 상호 연동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제1,2실린더의 타단을 폐쇄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제1,2실린더와 통하여지게 상호 연결된 관로 상에 설치되어 오일을 연속적으로 압축하는 기어펌프와,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오일을 공급할 때 다른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도록 유로를 절환하는 제1 내지 제4 전자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실린더의 내경 및 길이를 증대시키는 간단한 구조 변경에 의해 냉매를 다단 압축시키지 않고도 고압으로 압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적은 동력으로 고압의 냉매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둘째, 냉매를 다단 압축하지 않고도 고압의 냉매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압축기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셋째, 제1,2실린더의 내부를 제1,2피스톤이 반복적으로 왕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워터재킷의 내부에 있던 물을 데워 난방수 및 온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용적식 압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도 2는 제1,2피스톤이 최대한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도
도 3은 제1,2피스톤이 최대한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원통형의 제1,2실린더(21)(22)가 좌, 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커버(29)에 의해 일단이 각각 폐쇄되어 있고 상기 각 커버(29)에는 고압의 냉매(30)를 배출하거나, 저압의 냉매가 흡입되도록 하는 제1,2고압밸브(23a)(24a) 및 제1,2저압밸브(23b)(24b)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2실린더(21)(22)의 다른 타단은 밀봉부재(31)로 기밀이 유지되게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실린더(21)(22)의 내부에 오일(25)의 압력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2피스톤(26)(27)이 도 2 및 도 3과 같이 로드(28)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2피스톤(26)(27) 및 로드(28)는 핀(32)에 의해 조립되어 있고 밀봉부재(31)에는 로드(28)가 통과하는 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로드(28)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4 및 도 6과 같이 외경이 큰 타입으로 적용 가능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채워진 봉 형태의 로드(28)는 비교적 가벼운 알루미늄(Al) 재질로 구성하여 양단에 제1,2피스톤(26)(27)을 나사 결합하여 구성하거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8)를 중량체의 철(Fe) 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적용하여 로드의 중량을 줄여주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파이프 형태를 갖는 로드(28)의 양단에 제1,2피스톤(26)(27)이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로드에는 내부에 오일의 압력이 작용되도록 복수 개의 통공(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28)의 중간에는 제1,2실린더(21)(22) 내의 오일(25)이 혼입되지 않도록 격벽(2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2피스톤(26)(27)의 내부에 유압이 통과되도록 하는 유로(45)를 형성하여 냉매(30)를 압축하기 위해 고압의 오일(25)이 유로(45)에 작용될 때 오일의 압력으로 제1,2피스톤(26)(27)의 외주면 선단에 위치하는 링(33)을 전진하는 피스톤 측으로 밀어 링(33)과 제1,2실린더(21)(22)의 내벽 사이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2피스톤(26)(27) 및 제1,2실린더(21)(22)의 내주면은 제1,2피스톤(21)(22)에 고정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링(33)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고, 밀봉부재(31) 및 제1,2실린더(21)(22) 그리고 로드(28) 및 구멍(31a)의 기밀은 또 다른 링(34)(35)에 의해 각각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제1,2실린더(21)(22)의 타단을 폐쇄하는 밀봉부재(31)에 통공(36a)(36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에는 오일(25)이 이동하는 관로(37)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 상에는 오일(25)을 연속적으로 압축하는 기어펌프(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로 상에는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오일(25)을 공급할 때 다른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도록 유로를 절환하는 제1 내지 제4 전자변(39)(40)(41)(42)이 설치되어 제1,4전자변(39)(42)이 열리면 제2,3전자변(40)(41)이 닫히고, 이와는 반대로 제1,4전자변(39)(42)이 닫히면 제2,3전자변(40)(41)이 열리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각 전자변이 릴레이(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도 되지만 본 발명의 각 실시예서는 제1,2피스톤(26)(27)이 왕복 운동할 때마다 작동하는 제1,2작동봉(46)(47)을 커버(29)의 중심부에 각각 스프링(48)(49)에 의해 탄력 설치함과 동시에 제1,2작동봉(46)(47)의 끝단에는 접점(50)(51)을 설치하여 접점(50)(51)이 교호로 접속될 때마다 제1,4전자변(39)(42)과 제2,3전자변(40)(41)이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솔레노이드(4개)에 의해 작동하는 제1,2,3,4전자변(39)(40)(41)(42)을 설치하지 않고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는 제1,4전자변(39)(42) 및 제2,3전자변(40)(41)이 2개의 솔레노이드(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실린더(21)(22)의 외주면에는 제1,2실린더(21)(22)의 내부를 제1,2피스톤(26)(27)이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냉매(30)를 압축함에 따라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워터재킷(water jacket)(43)이 설치되어 있어 워터재킷을 순환하는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수는 물론이고 온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관로(37) 상에 피스톤의 백래시(back lush)에 따른 압력을 수용하는 압력 챔버(44)를 설치하면 백래시에 따른 압력으로 전자변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제1,2피스톤(26)(27)이 도면 상 우측으로 최대한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실린더(21)의 내부에는 저압의 냉매(30)가 유입되어 있고 제2실린더(22)에는 오일(25)이 가득 채워져 있는데, 이와 같은 상태는 제1,4전자변(39)(42)이 닫히고 제2,3전자변(40)(41)은 열린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실린더(21)의 내부에 유입된 저압의 냉매(30)를 압축시키기 위해 콘트롤부(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으로 도 3과 같이 제1,4전자변(39)(42)을 개방함과 동시에 제2,3전자변(40)(41)을 닫으면 기어펌프(38)가 구동할 때 제2실린더(22) 내에 있던 오일(25)이 밀봉부재(31)에 형성된 통공(36b) - 관로(37) - 제4전자변(42) - 기어펌프(38) - 제1전자변(39) - 관로(37) - 밀봉부재(31)에 형성된 통공(36a)을 거쳐 제1실린더(2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피스톤(26)을 좌측으로 밀게 되므로 제1실린더(21)의 내부에 있던 저압의 냉매(30)가 점진적으로 압축된다.
이 때, 제2실린더(22)의 내부에 있던 제2피스톤(27)은 제1피스톤(26)과 로드(28)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상호 연동되므로 제2실린더(22)의 내부에 있던 오일(25)이 기어펌프(38) 측으로 보다 원활히 공급된다.
상기한 동작 시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및 도 6에서는 오일(25)의 압력이 유로(45)를 통해 작용되어 제1피스톤(26)의 선단에 끼워진 링(33)을 제1피스톤(26)의 전진방향으로 밀어주므로 링(33)과 제1실린더(21)의 사이 기밀을 더욱 확실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압축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어펌프(38)의 계속되는 구동으로 제2실린더(22)의 내부에 있던 오일(25)이 제1실린더(21)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제1실린더(21)의 내부에 있던 냉매가 압축되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제1고압밸브(23a)가 개방되므로 고압의 냉매가 제1실린더(21)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린더(22)의 내부는 오일(25)이 점진적으로 빠져나감에 따라 제2저압밸브(24b)가 개방되므로 저압의 냉매가 유입된다.
계속되는 동작으로 제1,2피스톤(26)(27)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제1실린더(21)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배출함과 동시에 제2실린더(22)의 내부에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피스톤(26)에 의해 제1작동봉(46)이 눌리면 접점(50)(51)이 상호 닿게 되므로 도 2와 같이 제1,4전자변(39)(42)이 닫히고 제2,3전자변(40)(41)은 열리게 된다.
이 때,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하였던 제1,2피스톤(26)(27)이 전자변의 동작으로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하는 백래시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제1실린더(21)에 있던 오일(25)의 일부가 압력 챔버(44)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전자변에 작용되려는 힘을 사전에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변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우측에 위치되어 있던 제1,2피스톤(26)(27)이 좌측으로 완전히 이동한 1행정을 마침과 동시에 제1작동봉(46)에 의해 도 2와 같이 제1,4전자변(39)(42)이 열리고 제2,3전자변(40)(41)은 닫힌 상태에서 기어펌프(38)가 구동하면 제1실린더(21)의 내부에 있던 오일(25)이 밀봉부재(31)에 형성된 통공(36a) - 관로(37) - 제3전자변(41) - 기어펌프(38) - 제2전자변(40) - 관로(37) - 밀봉부재(31)에 형성된 통공(36b)을 거쳐 제2실린더(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피스톤(27)을 우측으로 밀게 되므로 제2실린더(22)의 내부에 있던 저압의 냉매(30)가 점진적으로 압축된다.
이 때, 제1실린더(21)의 내부에 있던 제1피스톤(26)은 제2피스톤(27)과 로드(28)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상호 연동되므로 제1실린더(21)의 내부에 있던 오일(25)이 기어펌프(38) 측으로 보다 원활히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어펌프(38)의 계속되는 동작으로 제1실린더(21)의 내부에 있던 오일(25)이 제2실린더(22)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제2실린더(22)의 내부에 있던 냉매가 압축되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제2고압밸브(24a)가 개방되므로 고압의 냉매가 배출됨과 동시에 제1실린더(21)의 내부는 오일(25)이 점진적으로 빠져나감에 따라 제1저압밸브(23b)가 개방되므로 제1실린더(21)에 저압의 냉매가 유입된다.
계속되는 동작으로 제1,2피스톤(26)(27)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제2실린더(22)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배출함과 동시에 제1실린더(21)의 내부에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2피스톤(27)에 의해 동작하는 제2작동봉(47)이 접점(50)(51)을 온(On) 시키게 되므로 도 3과 같이 제1,4전자변(39)(42)이 열리고 제2,3전자변(40)(41)은 닫히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에 따라 제1,2실린더(21)(22)의 내부에 있던 냉매가 교대로 고압 압축되어 배출되므로 냉방은 물론이고 난방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냉매의 압축 압력에 따라 제1,2실린더(21)(22)의 길이를 조절하는 간단한 구조 변경에 의해 압축기의 용량이 가변되므로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21,22 : 제1,2실린더 23a,24a : 제1,2고압밸브
23b,24b : 제1,2저압밸브 25 : 오일
26,27 : 제1,2피스톤 28 : 로드
29 : 커버 31 : 밀봉부재
36a,36b : 통공 37 : 관로
38 : 기어펌프 39,40,41,42 : 제1,2,3,4전자변
43 : 워터재킷 44 : 압력 챔버
45 : 유로 46 : 제1작동봉
47 : 제2작동봉 50,51 : 접점

Claims (6)

  1. 나란히 설치된 원통형의 제1,2실린더(21)(22)와, 상기 제1,2실린더의 일단에 고정된 커버(29)와, 상기 각 커버에 설치되어 고압의 냉매(30)가 배출되거나, 저압의 냉매가 흡입되도록 하는 제1,2고압밸브(23a)(24a) 및 제1,2저압밸브(23b)(24b)와, 상기 제1,2실린더의 내부에 기밀이 유지되게 설치되어 오일(25)의 압력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2피스톤(26)(27)과, 상기 제1,2피스톤이 상호 연동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로드(28)와,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구멍(31a)이 형성되어 제1,2실린더의 타단을 폐쇄하는 밀봉부재(31)와, 상기 제1,2실린더와 통하여지게 상호 연결된 관로(37) 상에 설치되어 오일을 연속적으로 압축하는 기어펌프(38)와,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오일을 공급할 때 다른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도록 유로를 절환하는 제1 내지 제4 전자변(39)(40)(41)(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압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로(37) 상에 피스톤의 백래시에 따른 압력을 수용하는 압력 챔버(4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압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실린더(21)(22)의 외주면에 워터재킷(43)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압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28)를 봉 형태로 하여 양단에 제1,2피스톤(26)(27)을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압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28)를 파이프 형태로 하여 양단에 제1,2피스톤(26)(27)을 고정하고 로드(28)의 둘레 면에는 오일(25)의 압력이 로드의 내부에 작용되도록 복수 개의 통공(28a)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 중간에는 격벽(28b)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압축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2피스톤(26)(27)의 외주면에 결합된 복수 개의 링(33) 중 최선단에 위치하는 링(33)에 오일의 압력이 걸리도록 상기 제1,2피스톤(26)(27)에 유로(45)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압축기.
KR1020100085349A 2010-05-27 2010-09-01 용적식 압축기 KR101153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9595 2010-05-27
KR1020100049595 2010-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29A KR20110130329A (ko) 2011-12-05
KR101153141B1 true KR101153141B1 (ko) 2012-06-04

Family

ID=4549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349A KR101153141B1 (ko) 2010-05-27 2010-09-01 용적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1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655A (ja) 1998-12-03 2000-06-20 Sadao Yamamoto 円筒の中の楕円シリンダ−に填って楕円ピストンが従動片と複合円筒溝カムで往復運動してなる吸入と圧縮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655A (ja) 1998-12-03 2000-06-20 Sadao Yamamoto 円筒の中の楕円シリンダ−に填って楕円ピストンが従動片と複合円筒溝カムで往復運動してなる吸入と圧縮ポ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29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0929B2 (en) Rotary compressor
US7614251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40170003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with vapor injection system
US10145372B2 (en) Variable capacity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1248437B1 (ko) 용적식 압축기
EP3244065B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device having same
CN108167152B (zh) 一种液压驱动往复泵
KR101153141B1 (ko) 용적식 압축기
KR102495256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20102904A (ko) 가스압축기
KR20120045831A (ko) 용적식 압축기
KR102051661B1 (ko) 컨트롤 밸브 및 가변 용량식 압축기
JP2019019671A (ja) スクリュー圧縮機
KR101442550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657486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195439B1 (ko) 선형 압축기
US11852017B2 (en) Piston machine, modular construction system for a pisto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piston machine
RU2511906C1 (ru) Компрессор с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м механизмом привода
KR100490208B1 (ko) 스터링 냉동기
KR101336436B1 (ko) 사판식 압축기용 피스톤
KR20070030339A (ko) 밀폐형 압축기
CN117145725A (zh) 一种直流线性压缩机
KR102228258B1 (ko) 소형 냉매 압축기
KR101654129B1 (ko) 왕복동식 압축기
RU2592955C1 (ru) Поршневая гибридная машина объемного действ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