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638B1 - 노트북 컴퓨터 - Google Patents

노트북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638B1
KR101152638B1 KR1020090064169A KR20090064169A KR101152638B1 KR 101152638 B1 KR101152638 B1 KR 101152638B1 KR 1020090064169 A KR1020090064169 A KR 1020090064169A KR 20090064169 A KR20090064169 A KR 20090064169A KR 101152638 B1 KR101152638 B1 KR 10115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case
radio frequency
noteboo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510A (ko
Inventor
지원규
이석훈
권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06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6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6General purpose computing application
    • G06F2212/161Portable computer, e.g. noteb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 본체부와 노트북용 전지팩을 구비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로서, 상기 노트북용 전지팩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팩 케이스와,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팩 정보를 담고 있는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한 태그('무선주파수 태그')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되어 있어서 팩 케이스의 개봉 시 파손되는 구조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노트북 본체부는 태그의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전지팩의 정품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안테나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정보 송수신과 전지팩으로부터 전력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트북 컴퓨터 {Laptop Computer}
본 발명은 노트북 본체부와 노트북용 전지팩을 구비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노트북용 전지팩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팩 케이스와, 상기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팩 정보를 담고 있는 무선주파수 태그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되어 있어서 상기 팩 케이스의 개봉 시 파손되는 구조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노트북 본체부는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와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전지팩의 정품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안테나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정보 송수신과 전지팩으로부터 전력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산업 발전의 중요한 경향은 디바이스의 와이어리스, 모바일 추세와 아날로그의 디지털로의 전환으로 요약될 수 있다. 무선 전화기(일명, 휴대폰)와 노트북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 아날로그 카메라에서 디지털 카메라로의 전환 등을 그러한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디바이스의 작동 전원으로서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양극 활물질로서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리튬 복합 산화물 등을 사용하는 중량 대비 높은 출력과 용량의 리튬 이차전지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질과 함께 밀폐된 용기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차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발화 또는 폭발될 수 있는 등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에는 다양한 안전소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시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보호회로 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이 전지셀과 외부 입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소자의 장착은 전지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차전지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안전소자가 구비되지 않은 비품 전지팩(non-genius battery pack)이 늘어나고 있다. 안전소자를 구비하지 않은 이차전지는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발화 및 폭발의 위험성이 매우 높으며, 종종 이러한 비품 이차전지를 장착한 상태로 디바이스를 사용하다가 이차전지가 폭발되는 사고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고출력 대용량의 원통형 전지가 주로 사용되므로 폭발력이 커 인명사고와 같은 대형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팩의 모방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외관상으로 정품과 비품을 구별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정품 이차전지, 즉, 이차전지의 작동과 안전성이 담보되는 필요한 요소들을 모두 구비한 전지팩을 확인할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제품의 인식 방식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유통, 물류 등의 분야에서 자동인식(AIDC) 기술의 한 종류로서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Tag)에 저장된 자료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인식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자동인식(AIDC) 기술의 한 종류로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 카드, 라벨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는 기술로 태그 반도체 칩과 안테나, 센서(인식기)로 구성된 무선주파수 시스템이다.
반도체 칩에는 태그가 부착된 상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안테나는 이러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송신하며, 센서는 이 신호를 받아 상품정보를 해독한 후 컴퓨터 등의 시스템으로 보낸다. 따라서 태그가 달린 모든 상품은 언제 어디서나 자동적으로 확인 또는 추적이 가능하다.
RFID는 전원공급 여부, 주파수 대역, 통신접속 등의 분류기준에 따라 세밀한 분류가 가능하다. 우선,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능동형 태그(Active Tag)와 수동형 태그(Passive Tag)로 나뉜다. 능동형은 내장 전지를 사용하고 있고, 읽기/쓰기가 가능한 메모리를 크기 별로 가지고 있으며, 장거리(30 ~ 100 m) 데이터 교환범위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수동형은 외부 전원의 공급이 없으므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저가이며 반영구적 수명을 가진 반면, 읽기전용 메모리이고 높은 출력의 센서가 필요하다. 따라서 소단위 적용에 사용된다.
주파수 대역에 따라 고주파와 저주파로 나뉘어지는데, 30 ~ 500 KHz를 사용하는 저주파 태그는 짧은 가독 거리로 인해 보안, 자산관리, 정품식별 등에 사용되며, 860 ~ 960 MHz나 2.45 GHz의 고주파는 30 m 이상의 가독 거리로 철도, 물류, 유통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무선주파수 태그를 팩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시켜 팩 케이스의 개봉시 파손되도록 구성된 노트북용 전지팩을 구성함으로써, 팩 케이스의 무선주파수 태그를 임의로 인취하여 비품의 전지팩 제조에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주파수 태그를 팩 케이스의 개봉시 파손되는 구조로 팩 케이스 내부에 장착한 노트북용 전지팩과 이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는,
노트북 본체부와 노트북용 전지팩을 구비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로서,
상기 노트북용 전지팩은 상호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팩 케이스와, 상기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팩 정보를 담고 있는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한 태그('무선주파수 태그')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되어 있어서 상기 팩 케이스의 개봉 시 파손되는 구조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노트북 본체부는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와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전지팩의 정품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안테나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정보 송수신과 전지팩으로부터 전력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는, 노트북 본체부에 노트북용 전지팩이 장착된 상태에서, 노트북용 전지팩(이하 전지팩이라 함)의 정품 여부를 무선주파수를 통해 확인하여, 전지팩이 정품인 경우 전지팩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전지팩이 정품이 아닌 경우(이하 비품 전지팩이라 함)에는 전지팩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단하여 비품 전지팩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트북용 전지팩은, 무선주파수 태그가 전지셀들을 내장하기 위한 팩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팩 케이스의 태그를 인취하기 위해 팩 케이스를 개봉하는 경우, 태그가 파손된다. 따라서, 이러한 팩 케이스의 개봉시 파손되는 태그의 장착 구조는 비품 전지셀들을 내장하고 있는 비품 전지팩을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하거나 태그를 인취하여 비품 전지팩을 제조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바람직하게는 이차전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차전지로서 그것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질과 함께 케이스내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과, 그러한 전지셀에 탑재 내지 부착되는 보호회로 모듈(PCM)을 포함하고 있다.
노트북 본체부의 상기 안테나는 무선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ID 안테나로서, 바람직하게는 루프형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형 안테나는 노트북 본체부의 구조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전지팩의 무선주파수 태그와 원활한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노트북 본체부에서 노트북용 전지팩이 장착되는 인근 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노트북 본체부 역시 경박단소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으므로, 루프형 안테나는 칩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팩 케이스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양측 장변부 중 일측 장변부의 내부 경계면 상에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의 양 단부들이 각각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접착된 상태 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에 대한 접착 강도는 무선주파수 태그의 인열 강도보다 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의 양 단부는 무선주파수 태그의 인열강도보다 큰 접착 강도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팩 케이스를 개봉하는 경우, 태그는 양 단부를 제외한 부위가 먼저 파손된다. 이러한 태그의 접착구조는, 태그를 정품 전지팩으로부터 인취하여 비품 전지팩에 재사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인열강도는 찢어짐에 대한 저항을 의미한다.
이 경우, 팩 케이스의 개봉시 태그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일측 장변부는 각각 분리되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팩 케이스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양측 장변부 중 일측 장변부는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구조의 내면에 무선주파수 태그가 패터닝 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팩 케이스의 개봉시 일측 장변부의 힌지 구조가 상하로 벌어지면서 힌지 구조의 내면에 패터닝되어 있는 무선주파수 태그는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팩 케이스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양측 장변부 중 일측 장변부는 무선주파수 태그가 인서트 사출 성형된 상태의 힌지 구조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일측 장변부는 상호 연결되어 있고, 무선주파수 태그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측 장변부에 내장되어 있어서, 팩 케이 스의 개봉시 힌지 구조가 상하로 벌어지면서 인서트 사출 성형된 상태의 태그는 파손된다.
또한, 무선주파수 태그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일측 장변부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제조시 동시에 형성되고, 이는 전체적인 전지팩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전지팩에 내장되어 있는 무선주파수 태그가 태그의 파손 없이 외부로 인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지팩은 외부에서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에 대향하는 위치의 타측 장변부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내부 조립 방식의 체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체결 구조는 상부 케이스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만입부와 상기 체결용 만입부에 대응하여 하부 케이스의 측벽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돌기부로 이루어져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용 만입부와 체결용 돌기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외부로 밀폐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의 체결용 만입부와 하부 케이스의 체결용 돌기부에 의해 상호 용이하게 결합되고, 결합 후 팩 케이스는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타측 장변부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계면에는 접착제가 추가로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지팩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는 수동형 태그와 능동형 태그 모두 가능하다. 무선주파수 태그가 수동형인 경우는 작동을 위한 전력을 노트북 본체부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받아 작동하게 되며, 능동형인 경우는 전지 셀로부터 전력을 받아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주파수 태그가 수동형 태그인 경우에는, 태그로 전력을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가 노트북 본체부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노트북 본체부에는 노트북 컴퓨터의 작동과 관련된 시스템 이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안테나,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로 구성된 센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는 노트북 컴퓨터 자체의 작동과 관련하여 기설치되어 있는 외장형 또는 내장형 안테나가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와 제어부 역시 노트북 컴퓨터 자체의 작동과 관련하여 기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 칩들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노트북 본체부에는 전지셀의 정품 식별을 위한 센서가 본체의 기존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로서 내장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간 내지 장치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정품 식별을 위한 센서로서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가 특정한 방식 내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품의 정보는 전지팩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전지팩의 제조사에서 부여하는 일련의 시리얼 번호, 전지팩의 제조사에서 노트북 컴퓨터의 제조사에 비공개 루트를 통해 제공하는 고유의 정품 식별 번호 등일 수 있으며, 정품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의 상기 제어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제품 정보를 송신을 위한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노트북 본체부로 재차 송신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지팩에 장착된 무선주파수 태그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선주파수 태그와 센서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가 암호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지팩의 무선주파수 태그와 노트북 본체부의 센서에는 각각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부가 추가로 포함된다. 데이터의 암호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대칭키 암호화 방식,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노트북용 전지팩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트북용 전지팩(300)은 상호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상부 케이스(302) 및 하부 케이스(304)로 이루어진 팩 케이스와,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32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지팩(300)의 정보를 담고 있고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주파수 태그(310)를 상부 케이스(302)와 하부 케이스(304)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 시킴으로써, 팩 케이스(302, 304)의 개봉 시 무선주파수 태그(310)가 파손된다.
이러한 무선 주파수 태그(310)를 상부 케이스(302)와 하부 케이스(304)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시키는 구조는 이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정품 전지팩 인식 시스템 구성에 대한 모식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노트북 본체와 전지팩의 기타 많은 구성요소들을 대폭 생략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정품 전지팩용 노트북 컴퓨터(100)는, 안테나(212), 데이터베이스(214) 및 제어부(216)로 구성된 센서(210)를 포함하고 있는 노트북 본체부(200)와, 안테나(312), 데이터베이스(314) 및 제어부(316)로 구성된 태그(310)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노트북 본체부(200)에 전지팩(300)이 장착된 상태(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전지팩(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노트북 본체부(200)는 전지팩(300)이 정품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지팩(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부(220)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센서(210) 이외에 디스플레이부(230) 등 노트북 본체부(200)의 기타 구성요소들도 전지팩(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된다.
센서(210)는 대략, 무선주파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212), 정품 전지팩(30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14)와 무선주파수 데이터의 송수신과 전력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16)를 포함하고 있 다. 제어부(216)는 전지팩(300)의 정품 여부를 확인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은 영상 정보, 음향 정보 등 다양할 수 있다. 센서(210)의 데이터베이스(214)와 제어부(216)는 별도의 마이크로 칩의 형태로 노트북 본체부(20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노트북 본체부(200)의 기존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로서 내장될 수 있다.
노트북 본체부(200)의 센서(21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주파수 태그(310)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312), 제품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14) 및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316)를 포함하고 있다. 태그(310)가 능동형인 경우에는 전지셀(3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일점 쇄선 표시). 데이터베이스(314) 및/또는 제어부(316)는 마이크로 칩의 형태로 전지팩(3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의 구성요소들이 부가되거나 상기 구성의 일부가 변형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팩 케이스의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팩 케이스(308a)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무선주파수 태그(306a)의 양 단부들은 각각 상부 케이스(302a)와 하부 케이스(304a)의 양측 장변부 중 일측 장변부의 내부 경계면 상에 접착(309)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302a) 및 하부 케이스(304a)에 대한 무선주파수 태그(306a) 단부의 접착 강도는 무선주파수 태그(306a) 자체의 인열 강도보다 큰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팩 케이스(308a)를 개봉하는 경우 무선주파수 태그(306a)의 중앙 부위(A)가 먼저 파손되어 태그(306a)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무선주파수 태그(306a)에 대향하는 위치의 타측 장변부는 내부 조립방식의 체결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부 케이스(302a)와 하부 케이스(304a)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 조립방식의 체결 구조는,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스(302a)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만입부(303)와 체결용 만입부(303)에 대응하여 하부 케이스(304a)의 측벽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돌기부(30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용 만입부(303)와 체결용 돌기부(305)의 특정 구조로 인해, 상부 케이스(302a)와 하부 케이스(304a)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용 만입부(303)와 체결용 돌기부(305)는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더욱이, 타측 장변부에서 상부 케이스(302a)와 하부 케이스(304a)의 계면에는 접착제(301)가 부가되어 있어서, 상부 케이스(302a)와 하부 케이스(304a)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킨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팩 케이스(308b)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케이스(302b)와 하부 케이스(304b)의 일측 장변부는 힌지 구조(307b)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무선주파수 태그(306b)가 힌지 구조(307b)의 내면에 패터닝 되어 있어서, 팩 케이스(308b)의 개봉시 상부 케이스(302b)와 하부 케이스(304b)가 힌지 구조(307b)에 의해 상하로 벌어지면서 힌지 구조(307b)의 내면에 패터닝되어 있는 무선주파수 태그(306b)의 중앙부위는 파손된다.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팩 케이스(308c)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케이스(302c)와 하부 케이스(304c)의 일측 장변부는 무선주파수 태그(306c)가 인서트 사출 성형된 상태의 힌지 구조(307c)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팩 케이스(308c)의 개봉시 상부 케이스(302c)와 하부 케이스(304c)가 힌지 구조(307c)에 의해 상하로 벌어지면서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힌지 구조(307c)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무선주파수 태그(306c)의 중앙부위가 먼저 파손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전지팩용 노트북 컴퓨터는, 팩 케이스의 개봉시 무선주파수 태그가 파손되도록 무선주파수 태그를 팩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노트북용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팩 케이스의 무선주파수 태그를 임의로 인취하여 비품의 전지팩 제조에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트북용 컴퓨터는 전지팩의 정품 여부를 무선주파수를 통해 확인하여, 전지팩이 정품인 경우 전지팩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전지팩이 정품이 아닌 경우에는 전지팩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단하여 비품 전지팩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노트북용 전지팩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정품 전지팩 인식 시스템 구성에 대한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팩 케이스의 모식도들이다.

Claims (12)

  1. 노트북 본체부와 노트북용 전지팩을 구비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로서,
    상기 노트북용 전지팩은 상호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팩 케이스와, 상기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팩 정보를 담고 있는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한 태그('무선주파수 태그')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부 경계면 상에 위치되어 있어서 상기 팩 케이스의 개봉 시 파손되는 구조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노트북 본체부는 상기 태그의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전지팩의 정품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안테나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정보 송수신과 전지팩으로부터 전력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팩 케이스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양측 장변부 중 일측 장변부는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에 대향하는 위치의 타측 장변부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내부 조립 방식의 체결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체결 구조는 상부 케이스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만입부와 상기 체결용 만입부에 대응하여 하부 케이스의 측벽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돌기부로 이루어져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용 만입부와 체결용 돌기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루프형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의 내면에 무선주파수 태그가 패터닝 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가 인서트 사출 성형된 상태의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장변부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계면에는 접착제가 추가로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는 수동형 태그 또는 능동형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는 수동형 태그이고, 노트북 본체부에는 태그로 전력을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태그와 센서에는 각각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부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KR1020090064169A 2009-07-14 2009-07-14 노트북 컴퓨터 KR10115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69A KR101152638B1 (ko) 2009-07-14 2009-07-14 노트북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69A KR101152638B1 (ko) 2009-07-14 2009-07-14 노트북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10A KR20110006510A (ko) 2011-01-20
KR101152638B1 true KR101152638B1 (ko) 2012-06-04

Family

ID=4361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169A KR101152638B1 (ko) 2009-07-14 2009-07-14 노트북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472B1 (ko) 2011-11-04 2018-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배터리 관리부, 및 배터리 시스템
KR102381445B1 (ko) * 2015-02-16 2022-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플립 커버 인식 방법, 전자 장치, 및 플립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4075A (ja) * 2005-05-18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4075A (ja) * 2005-05-18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10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5417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품 전지 인식 시스템
CN104392263B (zh) 用于便携式无线终端的壳体
US8368515B2 (en) Dual mode RFID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as a reader or tag
CN101142753B (zh) 用于确保无线移动通信装置的安全nfc功能的方法和具有安全nfc功能的无线移动通信装置
CN100544067C (zh) 电池包
US20160190856A1 (en) Battery pack with wireless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s
KR20030044861A (ko) 진위 판별 회로를 구비하는 팩 전지
JP2006236806A (ja) 二次電池、二次電池パ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152638B1 (ko) 노트북 컴퓨터
CN104063739B (zh) 一种基于远程控制的射频卡
US8072312B2 (en) Contactlessly rechargeable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US9324975B2 (en) Card battery having smart card functions
JP5450370B2 (ja) 電池パック真贋判定機能付き携帯端末
JP5330701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携帯電子機器
KR101916125B1 (ko) 젠더장치가 구비된 블루투스 카드장치
KR101542458B1 (ko) 단말기의 휴대용 배터리
CN209784774U (zh) 一种智能尾箱控制器
JP6509667B2 (ja) 収納容器
CN211124104U (zh) 一种方便识别指令的识别装置
CN210460326U (zh) 一种银行智能尾箱
CN215954273U (zh) 一种nfc无线键盘
CN202750137U (zh) 一种具有ic卡的手机保护壳
KR20110078427A (ko) 배터리 탈부착이 가능한 출입인증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