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541B1 -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541B1
KR101152541B1 KR1020070132558A KR20070132558A KR101152541B1 KR 101152541 B1 KR101152541 B1 KR 101152541B1 KR 1020070132558 A KR1020070132558 A KR 1020070132558A KR 20070132558 A KR20070132558 A KR 20070132558A KR 101152541 B1 KR101152541 B1 KR 10115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ransparent resin
carbon nanotubes
transpar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111A (ko
Inventor
이헌상
박재찬
윤창훈
김헌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13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5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ⅰ) 정적영속길이(static bending persistence)가 800 nm 이하인 강직한 랜덤코일(rigid random coil) 형태의 탄소나노튜브 및 ⅱ)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광선은 잘 투과시키면서도 자외선은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강직한 랜덤 코일, 펼친 길이, 평균 꺾임비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UV Protecting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적영속길이(static bending persistence)가 800 ㎚ 이하인 강직한 랜덤 코일(rigid random coil)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가시광선은 잘 투과시키면서도 자외선은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중에 자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에 비해 파장이 짧으며, 그 파장 범위로 세분화하면 A 영역 자외선(UVA 320 ~ 400 ㎚), B 영역 자외선(UVB 280 ~ 320 ㎚) 및 C 영역 자외선(UVC 200 ~ 280 ㎚)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C 영역의 자외선은 에너지가 가장 크나 대부분 오존층에 의해 제거되고, B 및 C 영역의 자외선은 일반적으로 인체 및 유기물 등에 노화 촉진, 변질 및 암 유발 등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된 투명 플라스틱 패널, 투명 코팅 필름, 포장 용 투명 시트 및 용기 등을 사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인체, 일반 식품 및 유기물 등의 보호를 꾀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로 분자 구조내에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결합기를 가진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과 같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충분한 자외선 차단 성능을 갖지 못하고, 내열성이나 내후성의 부족 및 그 분해 생성물의 안정성 등에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을 산란시킬 수 있는 높은 굴절률을 가진 미립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및 산화세륨 등과 같은 무기계 자외선 산란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충분한 자외선 차단 성능을 갖지 못하고, 이들이 반응 촉매로서 작용하는 문제 등이 있다.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구조의 비등방성이 크며(직경: 수십~수백 ㎚, 길이: 수십~수백 ㎛), 단일벽(singlewall, SW), 다중벽(multiwall, MW), 다발(rope) 등의 다양한 구조가 있다. 또한 감긴 형태에 따라 도체, 반도체의 성질을 띠며, 직경에 따라 에너지갭이 달라지고, 준일차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특이한 양자효과를 나타낸다. 탄소나노튜브의 특이한 구조 및 물성이 보여주는 다기능성은 정보통신기기의 필수인 평면표시소자, 고집적 메모리소자, 2차 전지 및 초고용량 캐패시터(supercapacitor), 수소저장 물질, 화학 센서, 고강도/초경량 복합재료, 정전기 제거 복합재료, 전자파차폐(EMI/RFI shielding) 물질 등에 응용성이 뛰어나며 기존의 소자가 갖는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갖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중 단일벽(SW) 또는 다중벽(MW) 탄소나노튜브를 화장품 또는 코팅액 등에 자외선 차단제로서 적용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자외선 차단 성능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정적영속길이(static bending persistence)가 800 ㎚ 이하인 강직한 랜덤 코일(rigid random coil)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가시광선은 잘 투과시키면서도 자외선은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정적영속길이(static bending persistence)가 800 nm 이하인 강직한 랜덤코일(rigid random coil) 형태의 탄소나노튜브 및 ⅱ)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적영속길이(static bending persistence)가 800 ㎚ 이하인 강직한 랜덤 코일(rigid random coil)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가시광선은 잘 투과시키면서도, 생명체 및 유기물 등에 유해한 파장이 400 nm 이하인 자외선은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은 ⅰ) 정적영속길이(static bending persistence)가 800 nm 이하인 강직한 랜덤코일(rigid random coil) 형태의 탄소나노튜브; 및 ⅱ)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직한 랜덤코일(rigid random coil)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는 이펙티브 벤딩 모듈러스(effective bending modulus)가 열에너지(kT, 여기에서 k는 볼쯔만 상수이고, T는 절대온도임)보다 커서 사용하는 입자의 펼친 길이 이내에서 열에너지로 인한 탄성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입자의 전체크기(말단간 거리)가 겉보기 분자량의 제곱근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탄소나노튜브로 정의된다.
상기 강직한 랜덤코일 형태의 탄소나노듀브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특허 제10-2006-0107451호(2007.08.20 공개)에 개시된 강직한 랜덤코일 형태의 탄소나노튜브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 총 함량을 기준으로 400 내지 1 ppm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400 ppm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1 ppm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상기 정적영속길이(static bending persistence)는 강직한 랜덤코일 형태의 탄소나노튜브가 연속곡률을 가지고 있는 경우 곡률반경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보다 정확하게는 통계물리를 사용하여 하기 수학식 1로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90709680-pat00001
여기서 Db는 꺽임비, R은 말단간 거리벡터, lsp = Clp0는 정적영속길이, C는 상수, L은 펼친 길이, lp0는 임의의 세그먼트 길이, 그리고 θ는 축으로부터 꺽인 각도를 나타낸다.
상기 꺽임비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특허 제10-2006-0107451호(2007.08.20 공개)에 개시된 꺽임비(bending ratio)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적영속길이는 8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자외선 흡수 성능이 뛰어나다.
상기 투명 고분자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 가 1 mm인 경우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인 열가소성 고분자인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에 상기 강직한 랜덤코일 형태의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투명 고분자 수지를 투입하고, 용융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가공온도 및 혼련속도 등은 투입되는 투명 고분자 수지가 열화되지 않고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일반적인 조건인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투명 플라스틱 제품은 상기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제품은 코팅지, 패널, 필름 또는 시트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투명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Calibre 300-30, LG-DOW사 제조)에 정적영속길이가 800 nm인 강직한 랜덤 코일형 탄소나노튜브를 200 ppm이 되도록 투입하고, 이축압출기로 250 ℃ 및 300 rpm 하에서 용융혼련 및 사출성형하여 두께 3 mm의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정적영속길이가 1000 nm인 강직한 랜덤 코일형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시트의 자외선 투과율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자외선 투과율: Gretagmacbeth사의 Coloreye 7000A에 의거하여 360 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대한 투과율을 700 nm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자외선 투과율 0.5 0.9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적영속길이가 800 nm 이하인 강직한 랜덤코일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시편은 360 nm 파장의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데 비하여,
정적영속길이가 1000 nm인 강직한 랜덤코일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시편은 700 nm 파장의 가시광선과 360 nm 파장의 자외선을 구별없이 투과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ⅰ) 꺽임비 Db가 0.1 내지 0.8이고 정적영속길이(static bending persistence)가 0 nm 초과 800 nm 이하인 강직한 랜덤코일(rigid random coil) 형태의 탄소나노튜브; 및 ⅱ) 두께가 1 mm인 경우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인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 총 함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0 ppm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서 있어서,
    상기 투명 고분자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플라스틱 제품.
KR1020070132558A 2007-12-17 2007-12-17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KR10115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558A KR101152541B1 (ko) 2007-12-17 2007-12-17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558A KR101152541B1 (ko) 2007-12-17 2007-12-17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111A KR20090065111A (ko) 2009-06-22
KR101152541B1 true KR101152541B1 (ko) 2012-06-01

Family

ID=4099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558A KR101152541B1 (ko) 2007-12-17 2007-12-17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9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케이씨씨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1332B1 (fr) * 2012-06-04 2015-04-24 Arkema France Utilisation de nanocharges carbonees a tres faible taux pour la stabilisation uv de materiaux composites
FR2991330B1 (fr) * 2012-06-04 2015-04-03 Arkema France Materiau composite a tres faible taux de nanocharges carbonees,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utilisations
WO2016105178A1 (ko) * 2014-12-26 2016-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더 커버용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얻어진 레이더커버 및 레이더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2007, Vol.103, pp.3370~3376 (2006.12.1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9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케이씨씨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111A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ste et al. Transparent polymer nanocomposites: An overview on their synthesis and advanced properties
Sasani Ghamsari et al. Impact of nanostructured thin ZnO film in ultraviolet protection
Müller et al. Review on the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polymer nanocomposites and nanocoatings and their applications in the packaging, automotive and solar energy fields
Li et al. Facile synthesis of highly transparent polymer nanocomposites by introduction of core–shell structured nanoparticles
KR101152541B1 (ko) 자외선 차단 투명 수지 조성물
Demir et al. Challenges in the preparation of optical polymer composites with nanosized pigment particles: a review on recent efforts
Culica et al. Cellulose acetate incorporating organically functionalized CeO2 NPs: efficient materials for UV filtering applications
Chanakul et al. Controlling the reversible thermochromism of polydiacetylene/zinc oxide nanocomposites by varying alkyl chain length
Nakamura et al. Heat-shielding and self-cleaning smart windows: near-infrared reflective photonic crystals with self-healing omniphobicity via layer-by-layer self-assembly
Karimi et al. A review on graphene’s light stabilizing effects for reduced photodegradation of polymers
Garcia et al. Quantum dots as nonagglomerated nanofillers for adhesive resins
Naddeo et al. Nano-charged polypropylene application: Realistic perspectives for enhancing durability
CN104487494A (zh) 硬涂膜及其制备方法
Alsaad et al. Optical properties of transparent PMMA-PS/ZnO NPs polymeric nanocomposite films: UV-Shielding applications
Mondal Nanomaterials for UV protective textiles
KR20100081976A (ko) 광경화성 조성물, 미세 패턴 형성체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소자
BR112013011675A2 (pt) cristal fotônico compósito, método para detectar uma mudança de temperatura, método para controlar o comprimento de onda de radiação refletida por uma superfície e método para preparar um cristal fotônico compósito sensivel à temperatura
PT2382262E (pt) Composições transparentes, incolores de absorção de radiação infravermelha compreendendo nanopartículas de óxido de tungsténio não estequiométrico
Roy et al. Poly (vinyl alcohol)–MnO2 nanocomposite films as UV-shielding materials
WO2005023535A3 (en) Encapsulated nanoparticles for the absorption of electromagnetic energy in ultraviolet range
Wildner et al. Nanofiller materials for transparent polymer composites: Influences on the properties and on the transparency—A review
Buruga et al. A facile synthesis of halloysite nanotubes based polymer nanocomposites for glass coating application
Yan et al. Synergistic effect of addition of fillers on properties of interior waterborne UV-curing wood coatings
Awad et al. Free volume properties of the zinc oxide nanoparticles/waterborne polyurethane coating system studied by a slow positron beam
Madhi et al. Eco-friendly castor oil-based UV-curable urethane acrylate zinc oxide nanocomposites: Synthesis and viscoelastic behavi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