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243B1 -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243B1
KR101152243B1 KR1020100090633A KR20100090633A KR101152243B1 KR 101152243 B1 KR101152243 B1 KR 101152243B1 KR 1020100090633 A KR1020100090633 A KR 1020100090633A KR 20100090633 A KR20100090633 A KR 20100090633A KR 101152243 B1 KR101152243 B1 KR 10115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evice
internal
client
externa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646A (ko
Inventor
엄경식
강명순
이정철
이도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드임팩트
강명순
엄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드임팩트, 강명순, 엄경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드임팩트
Priority to KR102010009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2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로 구성되며,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해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치된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 상기 서버에 설치된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이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는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서버의 브로커 모듈로 접속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브로커 모듈이,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실행되지 않아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과 접속되지 않은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원격 조정을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원격 조정 요청을 허여하여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에 접속하는 제4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Remote controlling method for client of client - server system}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구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원격 조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은 클라이언트(client)를 서비스 요구자로 서버(server)를 서비스 제공자의 형태로 네트워킹하여 자원을 공유하는 분산 컴퓨팅 시스템이다. 즉,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 및 전송하는 서버에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단말기를 접속하여, 상호간 네트워킹을 통해 각각이 CPU, 하드디스크, 주변기기 등의 자원을 공유하는 분산처리 시스템이다.
더욱이 최근 부각되고 있는 다운사이징(downsizing)의 개념은 개별적으로 운용되던 개인용 컴퓨터 특유의 강점은 살리면서 종전 호스트 역할을 대행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그룹웨어 등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운영의 묘를 살린 통합적인 분산처리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적인 분산처리 시스템은 개방형을 지향하므로 상호 독립적으로 작업하면서도 정보가 고립되는 정보섬(Information Island)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른 기종간의 자유로운 통합도 가능하여, 이전의 호스트 단말기 중심의 중앙집중식 전산시스템이 분산처리 시스템으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은 하나의 서버(100)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1021~102N), 데이터베이스(104)로 구성된다. 상기 서버(100)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1021~102N)는 분산처리 컴퓨팅 방식에 따라 역할을 분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4)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한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은 다양한 목적에 부합되게 구성 가능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관에서는 데이터베이스(104)에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정보나 CT(Computed Tomography) 정보 등 다양한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정보를 읽어와 판독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1021~102N)에는 서버(1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04)에 접속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된 생체정보를 읽어와 판독하는 고가의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판독을 위한 고가의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21~102N)의 사양도 제한되었다.
고사양의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치된 고가의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특정 업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수를 증대시켜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기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고가임에 따라 비용 문제에 의해 그 수가 제한되었다.
본 발명은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설치 수가 제한되더라도, 많은 수의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은,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로 구성되며,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해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치된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 상기 서버에 설치된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이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는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서버의 브로커 모듈로 접속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브로커 모듈이,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실행되지 않아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과 접속되지 않은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원격 조정을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원격 조정 요청을 허여하여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에 접속하는 제4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고가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된 고사양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수가 경제적인 이유로 제한 설치되더라도, 많은 수의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각 장치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방법의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를 위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고가의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고사양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외부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 조정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의 수가 경제적인 이유로 제한 설치되더라도, 많은 수의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이 제공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편이상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해서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라 칭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원격 조정하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라 칭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은, 서버(200)와,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와, 다수의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2041~204M)와, 데이터베이스(206)로 구성된다.
상기 서버(200)와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와 다수의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2041~204M)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서버(200)와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는 분산처리 컴퓨팅 방식에 따라 역할을 분담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서버(200)는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206)에 등록함과 아울러, 데이터베이스(206)에 등록된 생체정보를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를 어느 하나로 다운로드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는 생체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생체정보를 출력하거나 소정의 판독 과정을 거쳐 판독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의해 이행되기를 원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해 서버(200)에는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되고,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에는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2041~204M)는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를 원격 조정하여, 생체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생체정보를 출력하거나 소정의 판독 과정을 거쳐 판독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각 장치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 및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버(200)에는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과 브로커 모듈과 웹 사이트 제공 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은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의 수행을 위한 것이다. 즉,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은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 접속하여 생체정보를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업로드받아 데이터베이스(206)에 등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06)에 등록된 생체정보를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은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의 접속 또는 해제에 대응되게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운용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갱신한다. 상기 브로커 모듈은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및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접속 또는 해제를 담당한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모듈은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및 외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 및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의 다운로드를 담당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6)에는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운용상태정보,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 접속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의 수행을 위한 것으로, 생체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운용상태정보는,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에 설치된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해당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200)의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이 접속 또는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식별정보별로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운용 상태가 표식된 정보이다.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 접속 정보는 서버(200)에 접속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와 해당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한 접속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2021~202N) 각각에는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의 수행을 위한 것으로,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200)로 업로드하여 데이터베이스(206)에 등록하거나, 상기 서버(2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206)에 등록된 생체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출력하거나 판독 기능을 통해 판독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은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한 원격 조정을 이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수의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2041~204M) 각각에는 외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 클라이언용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서버(200)의 브로커 모듈에 접속하여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접속정보를 제공받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브로커 모듈이 제공하는 접속 정보에 따른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접속하고, 그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원격 조정한다.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방법>
이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을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수의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2041~204M)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면(300단계), 그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웹 주소(IP)를 통해 서버(200)로 접속한다(302단계).
상기 서버(200)로 접속한 후에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로그인을 위해 인증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304,306단계), 상기 서버(200)는 인증 정보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전송한다(308단계).
상기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 및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의 다운로드를 서버(200)로 요청하고(310,312단계), 상기 서버(200)는 상기 로그인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청에 따라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 및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을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다운로드한다(314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 및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을 설치함과 아울러 실행한다(316,317단계).
만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이 기 설치되었다면, 상기 인증 후에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 및 원격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한다(310,317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 실행화면을 도시한 것이 도 5a이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서버(200)의 브로커 모듈과의 연결 또는 연결해제를 요청하는 버튼들이 표시되며, 상기 버튼들을 통해 사용자는 서버(200)의 브로커 모듈과의 연결 또는 연결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 실행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서버(200)의 브로커 모듈과의 접속을 요청하면(318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서버(200)로 브로커 모듈 연결을 요청한다(320단계). 상기 서버(200)의 브로커 모듈는 상기 연결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6)에 질의하여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운용상태정보를 토대로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한다(322,324,326,328단계). 상기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정보에는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유휴 클라이언트 장치 정보를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버(200)의 브로커 접속 화면을 통해 안내한다(330단계). 상기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브로커 접속 화면에는 ip 주소, 포트 정보, 내부 클라이언트 식별정보(client #)로 구성되는 브로커 정보와, 내부 클라이언트 식별정보(room number)와 서버 IP 및 클라이언트 IP를 포함하는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정보와, 브로커 접속 로그 상태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브로커 접속 화면을 통해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334단계), 이 경우 서버(200)는 선택된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선택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한다(336단계).
이와 달리 서버(200)가 하나 이상의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속 정보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주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을 허여하기 위한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선택시에는 사용빈도 평준화를 고려하여, 유휴 중인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장치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버(200)는 접속 가능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없음을 통지하며, 이는 미리 설정한 데이터인 -1 등으로 통지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접속 가능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 또는 접속 가능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없음이 통지될 때에,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이를 안내하며, 상기 안내는 도 5b 및 도 5c의 화면에서 좌측 상단에 위치하는 최소화 안내 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창에는 접속 가능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와 그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명령하기 위한 버튼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없음이 통지되었으면(332단계), 상기 브로커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로 복귀하여 유휴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다시 조회하여 접속 정보를 득하는 과정을 재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브로커로의 재접속 요청은 미리 정해둔 시간이 경과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달리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접속 정보에 따른 내부 클라이언트 모듈에 대한 원격 조정을 요청한다(400단계). 상기 요청은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및 서버(200)로 동시에 제공되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요청을 한 외부 클라이언트가 접속 정보를 전송한 외부 클라이언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여, 정상적인 원격 조정 요청인지를 검증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원격 조정이 정상적이면, 원격 조정 허여 정보를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한다(402단계).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원격 조정이 요청됨과 아울러 서버(200)가 원격 조정을 허여하였으면(404단계), 원격 조정을 허여함과 아울러 원격 조정이 허여되었음을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통지한다(408단계).
이와 달리 상기 서버(200)로부터 원격 조정이 허여되지 않았으면,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원격 조정 불허를 통지한다(406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원격 조정 요청에 대한 원격 조정 불허가 통지되었으면 원격 조정 불가를 안내한다(412단계).
이와 달리 원격 조정 요청에 대한 원격 조정 허여가 통지되었으면 내부 클라이언트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원격 조정을 실행한다(410,414단계). 여기서,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원격 조정 또는 자신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실행되면, 서버(200)의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에 접속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에 접속할 때에, 상기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로 제공하며, 이에따라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은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운용상태정보에서 해당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사용중인 것으로 표식하고,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의 실행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의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운용상태정보에서 해당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유휴상태인 것으로 표식한다(416,418단계). 즉, 원격 조정 또는 자신의 사용자에 의해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실행 또는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206)에는 해당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사용중 또는 유휴중인 것으로 표식된다.
상기한 원격 조정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종료가 요청되는지를 체크하고(420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종료가 요청되면 원격 조정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원격 조정 해제를 요청하여 원격 조정을 해제한다(422,424단계).
200 : 서버
2021~202N :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2041~204M : 다수의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

Claims (10)

  1.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로 구성되며,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해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치된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 상기 서버에 설치된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이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는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서버의 브로커 모듈로 접속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브로커 모듈이,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실행되지 않아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과 접속되지 않은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원격 조정을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원격 조정 요청을 허여하여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에 접속하는 제4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브로커 모듈이,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검출되면, 그 검출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접속 요청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한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브로커 모듈로 요청하고,
    상기 브로커 모듈이,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요청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브로커 모듈은,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검출되면, 그 검출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웹 사이트를 통해 접속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에 성공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상기 브로커 모듈에 접속하고, 상기 브로커 모듈로부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공받아, 그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원격 조정하는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원격 조정을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브로커 모듈로 동시에 요청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원격 조정 요청에 대응되게 상기 서버의 브로커 모듈로부터 상기 원격 조정 요청에 대한 허여가 통지될 때에 상기 원격 조정 요청을 허여하며,
    상기 서버의 브로커 모듈이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원격 조정이 요청될 때마다, 원격 조정을 요청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자신이 접속 정보를 제공한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인지 여부를 토대로 상기 원격 조정이 정당한지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원격 조정 허여를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6.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과,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는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서버는,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과 접속하여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및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접속 및 해제를 이행하고,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실행되지 않아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과 접속되지 않은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는 브로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각각은, 상기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에 접속하여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청에 따른 원격 조정을 이행하는 내부 클라이언트용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브로커 모듈에 접속 요청하여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공받는 외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로부터 접속 정보를 제공받아, 그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원격 조정하는 외부 클라이언트용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용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을 통한 원격 조정 요청을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용 원격 조정 프로그램 모듈이 허여하여,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원격 조정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모듈을 이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커 모듈이,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검출되면, 그 검출된 내부 클라이언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접속 요청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한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선택되면, 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브로커 모듈로 요청하고,
    상기 브로커 모듈이,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요청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커 모듈은,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유휴 상태의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검출되면, 그 중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사이트를 통해 접속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에 성공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상기 브로커 모듈에 접속하고, 상기 브로커 모듈로부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공받아, 그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를 원격 조정하는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을 다운로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원격 조정을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브로커 모듈로 동시에 요청하며,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원격 조정 요청에 대응되게 상기 서버의 브로커 모듈로부터 상기 원격 조정 요청에 대한 허여가 통지될 때에 상기 원격 조정 요청을 허여하며,
    상기 서버의 브로커 모듈이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원격 조정이 요청될 때마다, 원격 조정을 요청한 외부 클라이언트 장치가 자신이 접속 정보를 제공한 외부 클라이언트 모듈인지 여부를 토대로 상기 원격 조정이 정당한지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원격 조정 허여를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클라이언트 장치로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KR1020100090633A 2010-09-15 2010-09-15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KR10115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33A KR101152243B1 (ko) 2010-09-15 2010-09-15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33A KR101152243B1 (ko) 2010-09-15 2010-09-15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46A KR20120028646A (ko) 2012-03-23
KR101152243B1 true KR101152243B1 (ko) 2012-06-08

Family

ID=4613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33A KR101152243B1 (ko) 2010-09-15 2010-09-15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2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43A (ko) 2015-06-25 2017-01-04 김민호 서버와 클라이언트 리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337B1 (ko) 2000-05-03 2002-11-13 주식회사 좋은오늘 네트워크 기반의 베이스 컴퓨터 원격제어 시스템
KR100924410B1 (ko) 2004-04-12 2009-10-2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컴퓨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337B1 (ko) 2000-05-03 2002-11-13 주식회사 좋은오늘 네트워크 기반의 베이스 컴퓨터 원격제어 시스템
KR100924410B1 (ko) 2004-04-12 2009-10-2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컴퓨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43A (ko) 2015-06-25 2017-01-04 김민호 서버와 클라이언트 리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46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241B2 (en) Step-up authentication for single sign-on
US11196752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secure management of data center assets from a mobile device
EP2965195B1 (en) User authorization and presence detection in isolation from interference from and control by host central processing unit and operating system
US201700638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104768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heterogeneous platforms
WO20162007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stem self-configuration
CN113765655A (zh) 访问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190519B2 (en) Dock administration using a token
JP2011175402A (ja) アクセス制御連携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制御連携方法
KR101152243B1 (ko)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원격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US8407720B1 (en) Inter-process communication management
US20180063152A1 (en) Device-agnostic user authentication and token provisioning
CN112600744A (zh) 权限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340693B1 (ko) 사용자 권한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홈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2071281B1 (ko) 통합 인증 방법
CN112578750B (zh) 工业数据采集控制器的通信方法及系统
US202103520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rtificate based authentication for tethering
JP201604232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JP201902383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059180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US20230274010A1 (en) Quick management action system
US110574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space sharing
US20230010098A1 (en) Network access via device identifier
WO2019187367A1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50000266A (ko) 응용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자동 가입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