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649B1 - Laundry Dry Stand - Google Patents
Laundry Dry St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1649B1 KR101151649B1 KR1020110091784A KR20110091784A KR101151649B1 KR 101151649 B1 KR101151649 B1 KR 101151649B1 KR 1020110091784 A KR1020110091784 A KR 1020110091784A KR 20110091784 A KR20110091784 A KR 20110091784A KR 101151649 B1 KR101151649 B1 KR 1011516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 laundry
- hanger
- support
- pair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3156 Musculoskeletal discomfor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건조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바구니를 거치시키는 받침대를 구비하여서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세탁물을 걸 수 있는 세탁물건조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는 지지수단과, 걸이수단과, 각도조절수단과,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서로 교차하며 교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한 쌍의 다리를 구비한다. 상기 걸이수단은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다리의 상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한 쌍의 걸이대를 구비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걸이대를 지지하여 회동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교차부의 상부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차하는 한 쌍의 다리 사이에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건조대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상기 받침대에 세탁물바구니를 거치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세탁물바구니에서 세탁물을 꺼내에 세탁물건조대에 세탁물을 걸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허리를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drying r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drying rack having a pedestal for mounting a laundry basket to hang laundry without bending.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ans, a hook means, an angle adjusting means, and a pedestal. The support means has a pair of leg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rotatably coupled at an intersection. The hook means may be equipped with a pair of hooks that can be mounted to the laundr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of each leg. The angle adjusting means supports the hanger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The pedestal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legs at the top of the inter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unt a laundry basket on the pedestal by providing a laundry drying rack having a pedestal between a pair of legs crossed. Thus, the user can take the laundry out of the laundry basket without hanging the waist and hang the laundry on the laundry rack. Therefore, do not bend and stretch the waist unnecessari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물건조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바구니를 거치시키는 받침대를 구비하여서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세탁물을 걸 수 있는 세탁물건조대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drying r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drying rack having a pedestal for mounting a laundry basket to hang laundry without bending.
요즘 세탁물 건조는 실내 또는 베란다에 배치한 걸이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기존의 세탁물건조대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11)와, 상기 다리(11)에 회동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한 쌍의 걸이대(12)로 크게 구성되는데, 지지부재(11)들은 저면부가 각각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걸이대(12)와 힌지로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다리(11)는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최대 회동각이 제어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가 연결부재(13)로 연결된다. 이 연결부재(13) 또한 절반의 영역이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Nowadays, laundry drying is performed using a hanger placed indoors or on a veranda. As shown in FIG. 14, the laundry drying rack is rotated on a pair of
그리고, 걸이대(12)들은 일정한 간격마다 걸이부재(14)가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Then, the
또한, 한 쌍의 상기 걸이대(12)는 상기 다리(11)들에 대하여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걸이대(12)들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리(11)에 힌지로 연결되는 간격조절부재(15)의 상단이 걸이부재(14)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그러나,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세탁물건조대(10)는 걸이대(12)의 크기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고, 걸이부재(14)의 간격이나 길이도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세탁물의 종류나 크기 ,수량 등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으며, 제품의 외형 크기에 비하여 수용할 수 있는 세탁물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undry dryer 10 made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또한, 이러한 세탁물건조대(10)와 세탁기(또는 세탁하는 장소)는 별도의 공간에 마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은 세탁물 바구니에 담겨져 세탁물건조대(10)가 배치된 장소로 이동된 후 세탁물건조대(10)에 걸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바닥에 놓인 세탁물 바구니의 세탁물을 세탁물건조대(10)에 걸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혔다가 펴는 동작이 반복되어 허리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aundry dryer 10 and the washing machine (or washing place) are usually provided in separate spaces, and the laundry is completed after being washed in the laundry basket and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laundry dryer 10 is disposed. Hanging on the laundry dryer 10, in order to hang the laundry of the laundry basket placed on the floor to the laundry dryer 10, bending and straightening the waist is repeated, causing back pain and discomfor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받침대를 구비하여 세탁물바구니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세탁물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drying rack that can be placed on the laundry basket with a pedestal.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세탁물을 걸어 놓을 수 있는 세탁물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undry drying rack which can hang a large amount of laundry.
또한, 본 발명은 걸이대의 회전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세탁물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drying rack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ger.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는 지지수단과, 걸이수단과, 각도조절수단과,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서로 교차하며 교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한 쌍의 다리를 구비한다. 상기 걸이수단은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다리의 상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한 쌍의 걸이대를 구비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걸이대를 지지하여 회동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교차부의 상부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 설치된다.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ans, a hook means, an angle adjusting means, and a pedestal. The support means has a pair of leg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rotatably coupled at an intersection. The hook means may be equipped with a pair of hooks that can be mounted to the laundr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of each leg. The angle adjusting means supports the hanger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The pedestal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legs at the top of the intersection.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세탁물을 거칠 수 있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the pedestal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ook member so as to roughen the laundry.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다리를 상기 교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접철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the pedestal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it can be folded when the leg rotates about the intersection.
또는,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일단은 상기 어느 한 다리의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시 상기 다른 한 다리에 이탈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어느 한 다리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in the laundry drying rack, one end of the pedestal may be coupled to be rotated to one side of the one leg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be separated to the other leg when rotating about the one end. In this case, the pedestal is preferably able to slide along one side of the one leg.
또는,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다리에 착탈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n the laundry drying rack, the pedestal may be detachable from the leg.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걸이대는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날개프레임과,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날개프레임에 연결된 걸이부재를 구비한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it is preferable that the leg has a pair of support fram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part. In this case, the hanger is provided with a wing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t both ends, and the wing frame so that the laundry can be mounted.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걸림부재와,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단부가 상기 날개프레임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걸림홈에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adjusting means includes a locking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Here,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so that the end is rotatable to the wing frame, one side may be mounted to the engaging groove.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베이스부재와, 회동부재와, 제어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날개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한다.In the laundry drying rack, the angle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base member, a rotation member, and a control member. The base member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The pivot member is coupled to an end of the wing frame and installed to pivot about the base member. The control member controls the rotation angle of the pivot member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일측면에 원통형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의 축방향을 따라 돌기된 제1돌기가 상기 제1체결공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재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돌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2돌기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체결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결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재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버튼이 슬라이딩을 하여 상기 제3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에만 삽입될 경우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될 수 있다.Further, in the laundry drying rack, the base member has a cylindrical first fastening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eferably, the first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In this case, the rotat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coupl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such that second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at the same interval as the first protrusion. Grooves are formed. And the control member has a cylindrical butt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slide in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 elastic spring for returning the sliding of the button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rotation member may rotate when the thir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only the first coupling groove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by sliding the button.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각각의 상단에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제어부재를 상기 날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날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각각의 버튼을 연결시키는 연결봉을 더 구비한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the angl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the base member at each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the rotation member and the control member at both ends of the wing frame, respectively. desirable. In this cas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each button provided on each end of the wing frame.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지지봉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it is preferable that the leg further includes a support rod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는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며 양단에 상기 지지봉에 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된 한 쌍의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 연결된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봉에 착탈될 수 있는 보조걸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aundry drying rack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has a pair of auxiliary fram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ring to be hooked to the support rod, and an auxiliary hook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pport rod with a hook member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대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에 구비된 각각의 지지봉에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rack is attached to each of the supporting rods provided on the pair of legs.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대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면에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돌기된 걸이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hanger is furth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hanger protrusions protruding to hang the clothes hanger on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또한, 상기의 세탁물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대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고리의 뒷면에 보조고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다리는 상기 보조걸이대의 상기 보조고리를 걸 수 있도록 상기 교차부 아래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보조걸이봉과, 상기 보조걸이대의 보조고리가 상기 보조걸이봉에 걸렸을 때 상기 보조걸이대를 지지하여 상기 보조걸이대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보조지지부재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drying rack,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hook is further formed on the back of the ring of the auxiliary frame is an auxiliary ring. In this case, the leg is an auxiliary hook rod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frames under the intersection so as to hook the auxiliary hook of the auxiliary hook, and the auxiliary hook when the auxiliary hook of the auxiliary hook is caught on the auxiliary hook rod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end is rotatable to the support frame so as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auxiliary hanger by supporting the.
본 발명에 의하면, 교차하는 한 쌍의 다리 사이에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건조대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상기 받침대에 세탁물바구니를 거치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세탁물바구니에서 세탁물을 꺼내에 세탁물건조대에 세탁물을 걸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허리를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unt a laundry basket on the pedestal by providing a laundry drying rack having a pedestal between a pair of legs crossed. Thus, the user can take the laundry out of the laundry basket without hanging the waist and hang the laundry on the laundry rack. Therefore, do not bend and stretch the waist unnecessari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대에 세탁물을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걸이대에서 세탁물을 걸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보조걸이대 여러 개를 세탁물건조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양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수량 및 크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hang the laundry on the pedestal, it is also possible to hang the laundry in the auxiliary rack. And, if necessary, several auxiliary racks can be installed in the laundry dryer. So a large amount of laundry can be dried. Therefore, it can actively cope with the quantity and size of the laundr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걸이대를 다리의 지지봉에서 180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걸이대에 세탁물을 걸어 놓은 후 보조걸이대를 회전시켜서 걸이대 위로 올려놓을 수 있다. 그러면 걸이대에 걸어 놓은 세탁물이 바람에 날려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auxiliary hanger by more than 180 degrees from the support rod of the leg. In this case, you can hang the laundry on the rack and then rotate the auxiliary rack to put it on the rack. This will prevent the laundry on the rack from blowing away in the wi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조걸이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조걸이대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다른 예,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또 다른 예,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또 다른 예,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또 다른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각도조절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동작의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에 적용되는 각도조절수단의 다른 예,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동작의 개념도,
도 14는 종래의 세탁물건조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laund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hange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rack shown in FIG.
5 is another example of the pedestal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another example of a pedestal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another example of the pedestal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another example of a pedestal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laund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ment means shown in FIG.
12 is another example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applied to the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ment means shown i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aundry dryer.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의 일 실시예는 지지수단(100)과, 걸이수단(110)과, 각도조절수단(120)과, 받침대(130)와, 보조걸이대(160)를 포함한다.1 to 8 is an embodiment of a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mbodiment of the laund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ans 100, a hook means 110, an angle adjusting means 120, a
지지수단(100)은 서로 교차하며 교차부(103)에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한 쌍의 다리(101)를 구비한다. 즉 지지수단(100)은 제1다리(101a) 및 제2다리(101b)를 구비하고, 제1다리(101a) 및 제2다리(101b)는 서로 교차하고 그 교차부(103)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The support means 100 has a pair of
여기서 다리(101)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2)과, 보조걸이봉(104)과, 보조지지부재(106)와, 지지봉(109)을 구비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102)은 전후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다. 지지봉(109)은 전후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102)의 상단을 연결한다. 보조걸이봉(104)은 보조걸이대(160)가 지지프레임(102)에 설치되기 위하여 보조걸이대(160)의 일측이 걸쳐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보조걸이봉(104)은 교차부(103)의 아래에서 한 쌍의 지지프레임(102)의 일측을 연결한다. 보조지지부재(106)는 보조걸이대(160)의 일측이 보조걸이봉(104)에 걸쳐진 경우 보조걸이대(160)의 타측을 지지하여 보조걸이대(16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보조지지부재(106)는 단부가 지지프레임(102)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걸이수단(110)은 세탁물을 말리기 위하여 세탁물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걸이수단(110)은 한 쌍의 걸이대(111)를 구비한다. 걸이대(111)는 다리(101)의 상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즉 제1걸이대(111a)는 제2다리(101b)의 상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제2걸이대(111b)는 제1다리(101a)의 상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걸이대(111)는 날개프레임(113)과 걸이부재(115)를 구비한다. 날개프레임(113)의 양단은 지지프레임(102)의 상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걸이부재(115)는 날개프레임(113)에 연결된다.Hanger means 110 serves to mount the laundry to dry the laundry, for this purpose, the hook means 1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hangers (111). The
각도조절수단(120)은 걸이대(111)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각도조절수단(120)은 걸림부재(121)와, 지지부재(122)를 구비한다.Angle adjusting means 120 serves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ger (111). To this end, 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includes a locking
걸림부재(121)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121a)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2)의 상단에 설치된다. 지지부재(122)는 단부가 날개프레임(113)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며, 일측이 걸림홈(121a)에 거치될 수 있다. 그래서 걸이대(111)를 지지프레임(102)의 상단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킨 다음 지지부재(122)를 회동시켜서 걸림홈(121a)에 끼우면 걸이대(111)가 지지부재(122)에 의하여 지지되어 펼쳐진다.The locking
받침대(130)는 세탁물바구니를 올려 놓거나, 세탁물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받침대(130)는 교차부(103)의 상부에서 한 쌍의 다리(101) 사이에 설치된다. 즉 받침대(130)는 일측은 교차부(103) 상부의 제2다리(101b)의 지지프레임(102)에 결합되며, 타측은 교차부(103) 상부의 제1다리(101a)의 지지프레임(102)에 결합된다. 그리고 받침대(130)는 한 쌍의 다리(101)를 교차부(103)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접힐 수 있도록 그 중앙부가 힌지(130a)로 결합된다. 또한, 받침대(130)는 세탁물을 걸 수 있도록 걸이부재(130b)를 구비한다.
보조걸이대(160)는 세탁물이 많아서 세탁물건조대에 세탁물을 더 많이 걸어 놓을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된다. 보조걸이대(160)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161)과, 걸이부재(165)와, 걸이돌기(167)와, 보조고리(163)를 구비한다.
한 쌍의 보조프레임(161)은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보조프레임(161)의 양단에는 고리(162)가 형성된다. 고리(162)는 다리(101)의 지지봉(109)에 걸 수 있다. 그래서 보조프레임(161)은 지지봉(109)에 착탈될 수 있다. 이때 보조프레임(161)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162)가 제1다리(101a)의 지지봉(109)에 결합되면 보조프레임(161)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162)는 제2다리(101b)의 지지봉(109)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161)이 형성된다. 물론 보조프레임(161)의 고리(162)는 걸이대(111)의 걸이부재(115)에도 걸릴 수 있다. 걸이부재(165)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161)의 사이에서 보조프레임(161)에 연결된다. 걸이돌기(167)는 옷걸이 등을 걸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161)의 일면에서 돌기된다. 걸이돌기(167)는 보조프레임(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보조고리(163)는 고리(162)의 뒷면에 형성되어, 다리(101)의 보조걸이봉(104)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pair of
보조걸이대(160)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1개나 그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리(101)의 상단에 보조걸이대(160)가 사용되지 아니한 경우 받침대(130)의 상면이 개방된다. 이 경우 받침대(130)에 세탁물 바구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걸이대(111)에 세탁물을 다 걸어 놓은 후 공간이 부족한 경우 보조걸이대(160)가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보조걸이대(160)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제1보조걸이대(160a)의 보조고리(163)를 제1다리(101a)에 형성된 보조걸이봉(104)에 걸어 놓은 후 보조지지부재(106)를 회동시켜서 제1보조걸이대(160a)의 걸이부재(105)에 걸치면 제1보조걸이대(160)는 제1다리(101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2보조걸이대(160b)를제2다리(101b)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세탁물을 제1보조걸이대(160a) 및 제2보조걸이대(160b)에 걸 수 있다. The
또한, 제3보조걸이대(160c)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162a)를 제2다리(101b)의 지지봉(109)에 걸고, 제4보조걸이대(160d)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162a)를 제1다리(101a)의 지지봉(109)에 걸면, 제3보조걸이대(160c)의 타단과 제4보조걸이대(160d)의 타단이 도 1과 같이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3보조걸이대(160c)의 폭이 제4보조걸이대(160d)의 폭보다 작다. 그러면 제3보조걸이대(160c) 및 제4보조걸이대(160d)에 세탁물을 걸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다리(101)의 상단에 두 개의 보조걸이대(160c, 160d)의 설치되었으나, 물론 한개의 보조걸이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보조걸이대(160c)만 설치될 경우 제3보조걸이대(160c)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162b)가 제1다리(101a)의 지지봉(109)에 걸린다.In addition, the
한편, 제3보조걸이대(160c)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162a)를 제2다리(101b)에 형성된 지지봉(109)에 걸고, 제3보조걸이대(160c)를 회동시키면 제3보조걸이대(160c)는 일단에 형성된 고리(162a)가 제2다리(101b)에 형성된 지지봉(109)에 고정된 채 제1걸이대(111a)의 상부에 얹혀진다. 그래서 제1걸이대(111a)에 양말 등이 걸려 있을 경우 제3보조걸이대(160c)가 위에서 눌러주므로 양말 등이 바람에 날려 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는 제4보조걸이대(160d)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수단(100)이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다리(101)를 구비하므로 교차부(103) 위의 다리(101) 사이에 받침대(13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130)에 세탁물 바구니를 올려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 세탁물 바구니에서 세탁물을 꺼내어 걸이대(111)에 세탁물을 걸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걸이대(111)에 세탁물을 다 걸어 놓은 경우에는 보조걸이대(160)를 설치하여 세탁물을 걸어 놓거나 또는 세탁물 바구니를 치운 후 받침대(130)에도 세탁물을 걸어 놓을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pport means 100 includes a pair of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받침대(130)는 양단이 한 쌍의 다리에 모두 고정되고, 중앙에서 힌지(130a)로 결합된 경우이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the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들이다. 이 경우 받침대가 설치되는 다리(101)에는 지지프레임(102)을 서로 연결하는 받침대지지봉이 설치된다. 즉 제1다리(101a)에는 제1받침대지지봉(107a)가 설치되며, 제2다리(101b)에는 제2받침대지지봉(107b)가 설치된다.5 to 8 are other embodiments of the pedestal used for the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도 5의 경우 받침대(131)는 일단(131a)은 제2다리(101b)에 설치된 제2받침대 지지봉(107b)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타단(131b)은 제1다리(101a)에 설치된 제1받침대지지봉(107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5, one
도 6의 경우 받침대(133)는 제2받침대지지봉(107b)를 중심으로 회동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받침대(133)는 일단에서부터 슬라이딩홈(133a)이 길게 형성되고, 타단(133b)이 제1받침대지지봉(107a)에 착탈될 수 있게 형성된다. 받침대(133)의 슬라이딩홈(133a)에는 제2받침대지지봉(107b)이 삽입된다. 그래서 받침대(133)는 제2받침대지지봉(107b)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타단(133b)을 제1받침대지지봉(107a)에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133)를 회동시켜 타단(133b)을 제1받침대지지봉(107a)에서 분리시킨 경우 받침대(133)를 제2받침대지지봉(107b)을 따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6, the
도 7의 경우 받침대(135)는 일단(135a)이 제2받침대지지봉(107b)에 착탈될 수 있고, 타단(135b)이 제1받침대지지봉(107a)에 착탈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FIG. 7, one
도 8의 경우 받침대(137)는 내부에 슬라이딩홈(137a)이 형성되어 제1받침대지지봉(107a)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단부에 개폐막대(137b)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홈(137a)에 제2받침대지지봉(107b) 및 제1받침대지지봉(107a)를 삽입시켜 받침대(137)를 지지수단(100)에 설치한다. 그리고 개폐막대(137b)를 개방시켜서 받침대(137)를 회동시키면 제2받침대지지봉(107b)이 슬라이딩홈(137a)의 외부로 벗어나고, 그러면 받침대(137)를 제1받침대지지봉(107a)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In FIG. 8, the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건조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각도조절수단(120) 만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그래서 각도조절수단(1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9 to 11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only 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Therefore, only 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도조절수단(120)은 걸림부재(121)와 지지부재(122)를 구비하였으나, 도 9 내지 도 11의 경우 각도조절수단(120)은 베이스부재(123)와, 회동부재(125)와, 제어부재(127)를 구비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includes a locking
베이스부재(123)는 지지프레임(102)의 상단에 형성되고, 베이스부재(123)에는 원통형의 제1체결공(1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체결공(123a)의 내주면에는 제1돌기(123c)가 형성되도록 제1체결공(123a)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제1결합홈(123b)이 제1체결공(123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음각된다. 그리고 여기서 제1결합홈(123b)은 베이스부재(123)의 제1체결공(123a)의 축방향을 따라 일부의 일정한 길이 만큼만 형성된다. 그래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공(123a)의 하부에만 제1결합홈(123b) 및 제1돌기(123c)가 형성되어 있다.The
회동부재(125)는 날개프레임(113)의 단부에 형성되고, 회동부재(125)에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12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체결공(125a)의 내주면에는 제1돌기(123c)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제2돌기(125c)가 제2체결공(125a)의 원주방향을 따라 양각되어 돌기된다. 그래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동부재(125)의 제2결합홈(125b) 및 제2돌기(125c)의 간격은 베이스부재(123)의 제1결합홈(123b) 및 제1돌기(123c)의 간격과 같다. Rotating
제어부재(127)는 베이스부재(123)에 대하여 회동부재(125)를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재(127)는 원통형의 버튼(128)과, 탄성스프링(129)을 구비한다. 버튼(128)은 제1체결공(123a)과 제2체결공(125a)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된다. 이때 버튼(128)의 외주면에는 제1체결공(123a)의 제1결합홈(123b) 및 제2체결공(125a)의 제2결합홈(125b)에 삽입되는 제3돌기(128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스프링(129)은 회동부재(123)의 제2체결공(125a)에 삽입되어 버튼(128)을 지지한다.The
따라서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버튼(128)이 제1체결공(123a) 및 제2체결공(125a)에 삽입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는 버튼(128)의 제3돌기(128a)가 베이스부재(123)의 제1결합홈(123b) 및 회동부재(125)의 제2결합홈(125b)에 모두 삽입된다. 이 경우 회동부재(125)는 베이스부재(123)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즉 버튼(128)의 제3돌기(128a)가 제1결합홈(123b) 및 제2결합홈(125b)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스토퍼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 11의 (b)와 같이 버튼(128)을 상부에서 화살표 1과 같이 누르면 버튼(128)은 제1체결공(123a)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그러면 버튼(128)의 제3돌기(128a)는 회동부재(125)의 제2결합홈(125b)에만 삽입된다. 이 경우 베이스부재(123)를 구속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제3돌기(128a)가 제1결합홈(123b)에서 이탈한다. 그래서 회동부재(125)는 베이스부재(12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FIG. 11A,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회동부재(125)를 회동시킨 후 버튼(128)을 누르지 않으면 탄성스프링(129)에 의하여 버튼(128)은 상승하여 도 10의 (a)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제3돌기(128a)가 다시 제1결합홈(123b) 및 제2결합홈(125b) 모두에 삽입되므로 회동부재(125)는 구속된다. 그래서 버튼(128)을 누르면 회동부재(125)는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고 버튼(128)을 누르지 않으면 회동부재(125)는 고정된다.If the
회동부재(125)는 날개프레임(113)의 단부에 고정된다. 그래서 각도조절부(120)의 버튼(128)을 누르면 걸이대(111)를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튼(128)을 누르지 않으면 걸이부(111)가 고정된다.Rotating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각도조절수단(120)의 다른 예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도조절수단(120)은 걸이대(111)의 일단에만 설치된다. 이 경우 각도조절수단(120)은 걸이대(111)의 일단만을 지지하였다. 도 12의 각도조절수단(120)이 설치된 세탁물건조대의 사시도는 도 9의 사시도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한다.12 and 13 are other examples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9 to 11 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is installed only at one end of the hanger (111). In this case, 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supported only one end of the
도 12는 걸이대(111)의 날개프레임(113)의 양단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120)의 실시예이고, 도 13은 도 12의 동작예이다.12 is an embodiment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도 12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120)은 한 쌍의 베이스부재(123)와, 한 쌍의 회동부재(125)와, 한 쌍의 제어부재(127)와, 연결봉(126)을 구비한다.The angle adjusting means 120 shown in FIG. 12 includes a pair of
베이스부재(123)는 제1체결공(123a)과, 제1결합홈(123b) 및 제1돌기(123c)가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결합홈(123b) 및 제1돌기(123c)가 제1체결공(123a)의 축방향을 따라 일부의 일정한 길이 만큼만 형성되었으나 도 12의 경우 제1결합홈(123b) 및 제1돌기(123c)는 제1체결공(123a)의 축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베이스부재(123)의 제1베이스부재(123_1)는 전방에 있는 지지프레임(102)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2베이스부재(123_2)는 후방에 있는 지지프레임(102)의 일단에 형성된다.The
회동부재(125)는 제2체결공(125a)과, 제2결합홈(125b) 및 제2돌기(125c)가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2체결공(125a)은 회동부재(125)에 일정한 깊이 만큼 형성되었으나 도 12의 경우 제2체결공(125a)은 베이스부재(12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2결합홈(125b) 및 제2돌기(125c)는 제2체결공(125a)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제2체결공(125a)의 축방향으로 일부의 일정한 길이 만큼만 형성된다. 한 쌍의 회동부재(125)의 제1회동부재(125_1)는 날개프레임(113)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1베이스부재(123_1)에 결합되며, 제2회동부재(125_2)는 날개프레임(113)의 타단에 형성되어 제2베이스부재(125_2)에 결합된다.The
제어부재(127)는 한 쌍의 버튼(128)과, 한 쌍의 탄성스프링(129)을 구비한다. 한 쌍의 버튼(128)의 제1버튼(128_1)은 제1베이스부재(123_1) 및 제1회동부재(125_1)에 삽입되고, 제2버튼(128_2)은 제2베이스부재(123_2) 및 제2회동부재(125_2)에 삽입된다. 한 쌍의 탄성스프링(129)의 제1탄성스프링(129_1)은 제1회동부재(125_1)에 삽입되어 제1버튼(128_1)을 지지하고, 제2탄성스프링(129_2)은 제2회동부재(125_2)에 삽입되어 제2버튼(128_2)을 지지한다.The
연결봉(126)은 지지봉(109)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버튼(128_1)과 제2버튼(128_2)을 연결한다. 즉 일단은 제1버튼(128_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버튼(128_2)에 연결된다. 연결봉(126)은 지지봉(109) 내부에 삽입되므로 외부에서는 연결봉(126)이 보이지 않는다.The connecting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회동부재(125_1)가 걸이대(111)의 날개프레임(113)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2회동부재(125_2)가 날개프레임(113)의 타단에 형성되므로, 걸이대(111)는 양단이 모두 각도조절수단(120)에 의하여 지지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pivot member 125_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도 13의 (a)와 같이 버튼(128)에 하중에 작동하지 않는 경우 버튼(128)의 제3돌기(128a)는 회동부재(125)의 제2결합홈(125b) 및 베이스부재(123)의 제1결합홈(123b)에 삽입되어 회동부재(125)는 고정된다. 그러나 도 13의 (b)와 같이 버튼(128)을 누르면, 제1버튼(128_1)은 제1회동부재(125_1)의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그러면 제1버튼(128_1)의 제3돌기(128a)는 제1베이스부재(123_1)의 제1결합홈(123b)에서 벗어나서 제1회동부재(125_1)의 제2결합홈(123b)에만 삽입된다. 그래서 제1회동부재(125_1)는 제1베이스부재(123_1)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제1버튼(128_1)이 이동하면 제1버튼(128_1)의 이동방향으로 연결봉(126)이 이동하고, 이로인하여 제2버튼(128_2)도 제1버튼(128_1)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제2버튼(128_2)은 제2베이스부재(123_2)에서 돌출된다. 그러면 제2버튼(128_2)의 제3돌기(138)은 제2회동부재(125_2)의 제2결합홈(125b)에서 벗어나서 제2베이스부재(123_2)의 제1결합홈(123b)에만 삽입된다. 그래서 제2회동부재(125_2)도 제2베이스부재(123_2)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걸이대(111)를 회동시킬 수 있다.When the
만약 제1버튼(128_1)을 누르는 하중을 제거하면 버튼(128)은 탄성스프링(129)의 복원력에 의하여 도 11의 (a)와 같이 돌아온다. 그러면 회동부재(125)는 고정된다.If the load for pressing the first button 128_1 is removed, the
100 : 지지수단 101 : 다리
101a : 제1다리 101b : 제2다리
102 : 지지프레임 103 : 교차부
104 : 보조걸이봉 106 : 보조지지부재
107a : 제1받침대지지봉 107b : 제2받침대지지봉
109 : 지지봉 110 : 걸이수단
111 : 걸이대 111a : 제1걸이대
111b : 제2걸이대 113 : 날개프레임
115 : 걸이부재 120 : 각도조절수단
121 : 걸림부재 121a : 걸림홈
122 : 지지부재 123 : 베이스부재
123a : 제1체결공 123b : 제1결합홈
123c : 제1돌기 125 : 회동부재
125a : 제2체결공 125b : 제2결합홈
125c : 제2돌기 126 : 연결봉
127 : 제어부재 128 : 버튼
129 : 탄성스프링 130 : 받침대
130a : 힌지 130b : 걸이부재
131, 133, 135, 137 : 받침대 160 : 보조걸이대
161 : 보조프레임 162 : 고리
163 : 보조고리 165 : 걸이부재
167 : 걸이돌기100: support means 101: leg
101a:
102: support frame 103: intersection
104: auxiliary hook rod 106: auxiliary support member
107a:
109: support rod 110: hook means
111:
111b: second hanger 113: wing frame
115: hook member 120: angle adjusting means
121: locking
122: support member 123: base member
123a:
123c: first projection 125: rotating member
125a:
125c: second projection 126: connecting rod
127: control member 128: button
129: elastic spring 130: pedestal
130a: hinge 130b: hook member
131, 133, 135, 137: base 160: auxiliary hanger
161: auxiliary frame 162: loop
163: auxiliary ring 165: hook member
167: hanger
Claims (16)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다리의 상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한 쌍의 걸이대를 구비한 걸이수단과,
상기 걸이대를 지지하여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교차부의 상부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Support means having a pair of leg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rotatably coupled at an intersection;
Hanging means having a pair of hangers that can be mounted to the laundry and coupled to rotate on the upper end of each leg,
Angle adjus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hanger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And a pedestal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legs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section.
상기 받침대는 세탁물을 거칠 수 있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1,
The pedestal is a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member is provided to rough the laundry.
상기 받침대는 상기 다리를 상기 교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접철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2,
The pedestal is a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it can be folded by rotating the leg about the intersection.
상기 받침대는 일단은 상기 어느 한 다리의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시 상기 다른 한 다리에 이탈할 수 있게 결합된 것을 특징을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2,
The pedestal is one end is coupled to be rotated to one side of the one leg and the other end is laundry laundry drying,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other leg when rotated around the one end.
상기 받침대는 상기 어느 한 다리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edestal is a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sliding along one side of the one leg.
상기 받침대는 상기 다리에 착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2,
The pedestal is a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to the leg.
상기 다리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걸이대는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날개프레임과,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날개프레임에 연결된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leg has a pair of support fram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hanger is a laundr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have a wing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a hook member connected to the wing frame to mount the laundry.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걸림부재와,
단부가 상기 날개프레임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걸림홈에 거치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ngle adjusting mean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ck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 end is coupled to be rotated to the wing frame, the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upport member that can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groove.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날개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ngle adjusting means
A base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 rotation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wing frame and installed to rotate about the base member;
And a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a rotation angle of the pivot member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일측면에 원통형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의 축방향을 따라 돌기된 제1돌기가 상기 제1체결공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돌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2돌기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체결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재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버튼이 슬라이딩을 하여 상기 제3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에만 삽입될 경우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ase member is protru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hole so that a cylindrical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A first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The rotating member may have a cylindrical second fastening hole,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such that second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at the same interval as the first protrusion. Formed,
The control member has a cylindrical button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slide in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Equipped with an elastic spring to return the sliding of the button,
The angle adjusting means is a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member can be rotated when the button is slid so that the third projection is inserted only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각각의 상단에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제어부재를 상기 날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날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각각의 버튼을 연결시키는 연결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ngle adjusting means
The base member is provided at each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the pivot member and the control member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ing frame, respectively.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each button provided on each end of the wing frame.
상기 다리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지지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eg is a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rod connecting the top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며 양단에 상기 지지봉에 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된 한 쌍의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 연결된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봉에 착탈될 수 있는 보조걸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12,
And a pair of auxiliary frame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having a pair of auxiliary fram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o hook the support rods, and having a hook member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the auxiliary hooks being detachable from the support rods. Laundry dryer to do.
상기 보조걸이대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에 구비된 각각의 지지봉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13,
The auxiliary rack is laundry drying rack,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detachable to each support rod provided on the pair of legs.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면에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돌기된 걸이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uxiliary hanger
Laundry dry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hanger protrusions protruding to hang the clothes hanger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보조걸이대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고리의 뒷면에 보조고리가 더 형성되며,
상기 다리는 상기 보조걸이대의 상기 보조고리를 걸 수 있도록 상기 교차부 아래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보조걸이봉과, 상기 보조걸이대의 보조고리가 상기 보조걸이봉에 걸렸을 때 상기 보조걸이대를 지지하여 상기 보조걸이대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보조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건조대.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uxiliary hanger is further formed with an auxiliary ring on the back of the ring of the auxiliary frame,
The leg supports the auxiliary hanger when the auxiliary hook ro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frames under the intersection so as to hang the auxiliary ring of the auxiliary hanger, and the auxiliary ring of the auxiliary hanger is caught by the auxiliary hanger rod. And an auxiliary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end of the auxiliary hanger can be rot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1784A KR101151649B1 (en) | 2011-01-10 | 2011-09-09 | Laundry Dry St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292 | 2011-01-10 | ||
KR1020110091784A KR101151649B1 (en) | 2011-01-10 | 2011-09-09 | Laundry Dry Sta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1649B1 true KR101151649B1 (en) | 2012-06-14 |
Family
ID=4660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1784A KR101151649B1 (en) | 2011-01-10 | 2011-09-09 | Laundry Dry St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164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3269B1 (en) | 2013-05-07 | 2014-09-25 | 허영균 | Folding type laundry dring rack |
KR101487907B1 (en) | 2014-01-16 | 2015-02-03 | 이상배 | Drying stand with adjustable and extendable construction |
KR101686334B1 (en) * | 2015-06-19 | 2016-12-13 | 정태연 | Drying rack having laundry basket |
KR101686333B1 (en) * | 2015-06-19 | 2016-12-13 | 정태연 | Drying rack having laundry basket |
WO2025014150A1 (en) * | 2023-07-12 | 2025-01-16 | (주)코지미 | Hanger for laundry drying rack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956Y1 (en) | 2003-09-24 | 2003-12-11 | 박숙자 | Laundry drying support |
KR200336678Y1 (en) | 2003-10-07 | 2003-12-18 | 이영훈 | Ironing stand with drying stand |
KR100838268B1 (en) | 2007-07-10 | 2008-06-17 | 박종만 | Foldable Clothes Dryer |
-
2011
- 2011-09-09 KR KR1020110091784A patent/KR10115164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956Y1 (en) | 2003-09-24 | 2003-12-11 | 박숙자 | Laundry drying support |
KR200336678Y1 (en) | 2003-10-07 | 2003-12-18 | 이영훈 | Ironing stand with drying stand |
KR100838268B1 (en) | 2007-07-10 | 2008-06-17 | 박종만 | Foldable Clothes Drye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3269B1 (en) | 2013-05-07 | 2014-09-25 | 허영균 | Folding type laundry dring rack |
KR101487907B1 (en) | 2014-01-16 | 2015-02-03 | 이상배 | Drying stand with adjustable and extendable construction |
KR101686334B1 (en) * | 2015-06-19 | 2016-12-13 | 정태연 | Drying rack having laundry basket |
KR101686333B1 (en) * | 2015-06-19 | 2016-12-13 | 정태연 | Drying rack having laundry basket |
WO2025014150A1 (en) * | 2023-07-12 | 2025-01-16 | (주)코지미 | Hanger for laundry drying ra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228540A1 (en) | Laundry drying rack | |
KR101151649B1 (en) | Laundry Dry Stand | |
KR20110128583A (en) | Clothes rack | |
KR102247771B1 (en) | Laundry hanger | |
KR102013401B1 (en) | folding clothes hanger | |
KR101654597B1 (en) | Foldable Hanger for Laundry | |
KR20130078368A (en) | Basket supportor for laundry dryness device | |
KR101388518B1 (en) | Functional hanger | |
KR101305050B1 (en) | Detachable Laundry Hanger | |
KR101406241B1 (en) | The drawer type dry hanger for easy to length adjustment | |
KR200450680Y1 (en) | Multipurpose movable drying hanger | |
EP2546404A2 (en) | Laundry dryer | |
KR200458584Y1 (en) | Slidable sub-hanger for foldable hanger for wash | |
KR20150117381A (en) | Laundry hanger | |
KR20130023775A (en) | Laundry dry stand | |
JP6792362B2 (en) | Clothesline | |
KR101291733B1 (en) | Clothes horse | |
KR20150004071U (en) | Drying rack combined clothes hanger | |
KR20110000516U (en) | Apparatus for Drying Laundry | |
KR20200129774A (en) | Foldable laundry drier | |
KR102743805B1 (en) | The supportor for laundry hanger | |
KR101234689B1 (en) | Sliding tyoe laundry dry stand | |
KR101686334B1 (en) | Drying rack having laundry basket | |
JP2012125541A (en) | Laundry drying stand | |
KR200222110Y1 (en) | Stand for laund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