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422B1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422B1
KR101151422B1 KR1020120030059A KR20120030059A KR101151422B1 KR 101151422 B1 KR101151422 B1 KR 101151422B1 KR 1020120030059 A KR1020120030059 A KR 1020120030059A KR 20120030059 A KR20120030059 A KR 20120030059A KR 101151422 B1 KR101151422 B1 KR 10115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opening
filter
bypass channe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현
유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로스
엠알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로스, 엠알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로스
Priority to KR102012003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4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4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6Passive flow control devices, i.e. not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PURPOSE: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to efficiently remove contaminants and soil from rainwater even if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s in a short time. CONSTITUTION: A rainwater treatment device(10) comprises a main body(300) and a bypass channel(400). Rainwater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an inlet(110)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120). The main body filters the rainwate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closed, the bypass channel directly discharges the rainwater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let(210). The bypass channel has one or more flow velocity reducing units(410). The flow velocity reducing units reduce the flow velocity of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Description

우수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Rainwater treatment device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본 발명의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에 함유된 채 하천 등으로 흘러가게 되는 이물 등의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mwater treat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mwater treatment device for efficiently treating contaminants such as foreign matters flowing into a river or the like contained in rainwater.

우수는 대기 중의 여러 오염물질을 포함한 상태로 내리게 되며, 지표면을 흐르면서 각종 오염물질과 함께 하천 등으로 스며들게 된다. Rainwater drops to a state that contains various pollutants in the atmosphere, and as it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water, it penetrates into rivers with various pollutants.

구체적으로, 지표면에는 대기 중에 부유중인 먼지나 이들 먼지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등이 낙하되어 퇴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나, 자동차 운행에 따른 타이어 마모물, 아스팔트 마모물 등의 환경오염물질 역시 함께 쌓여 있다. Specifically, the ground surface has not only fallen and accumulated dust floating in the air,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se dusts, but also particulate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tire wear product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asphalt abrasives are also stacked together.

이들 환경오염물질은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 물질, 질소나 인 등의 부영양화염류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se environmental pollutants contain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eutrophic sal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etc., which may hav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이와 같이 지표면에 축적된 각종 오염물질은 강우시에 배수로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강우와 함께 하천으로 배출되는 유출수의 전체적인 오염농도는 낮지만 총량으로 볼 때 점오염원을 크게 능가하므로, 안정적인 수질 보전을 위해 도로 및 주차장 등 불투수층 지역으로부터 비롯되는 노면 배수를 처리해야 한다.In this way, various pollutants accumulated on the ground surface can be discharged to the river through the drainage in the case of rainfall. In this case, the overall pollution concentration of the effluent discharged to the river with the rainfall is low, but it greatly exceeds the point source in terms of the total amount. To ensure stable water quality, road drainage from impermeable areas such as roads and parking lots should be treated.

즉, 비점오염원 중 하나인 우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하천 등의 수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우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remove various contaminants contained in rainwater, which is one of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to improve water quality of rivers, a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is necessary.

최근에는 이러한 지표면에서 비롯된 비점오염물질을 사전 처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우수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예컨대 차도와 보도 사이에 설치된 측면 또는 보도 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우수에 함유되어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stormwater treatment devices have been proposed and utilized for pretreatment of non-point pollutants derived from such ground surface. For example, pollutants contained in rainwater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sideways or sidewalks between roadways and sidewalks. It is used to remove it.

여기서, 종래의 우수 처리 장치는 일정량의 우수를 처리하는 경우 각종 오염물질이 함유된 이물, 즉, 토사나 고형물 등을 침전시키는 동시에 여과시킴으로써 우수를 처리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우수와는 달리 게릴라성 폭우와 같은 단시간 내에 매우 많은 양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처리 능력의 한계로 인해 우수 처리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Here, the conventional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treats rainwater by precipitating and filtering foreign matters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that is, soil and solids, etc., when tre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ainwater, but unlike general rainwater,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is introduced in the same short time, the limitation of the processing capacity reveals the limitation of rainwater treatment.

즉, 한정된 처리 능력을 가지는 우수 처리 장치의 경우 처리 능력을 초과하는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이물 등이 최종적으로 완전히 걸러지지 않은 채 하천 등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rain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a limited treatment capacity, when the rainwater that exceeds the treatment capacity is introduced, the likelihood that foreign matters and the like will finally flow into the river without being completely filtered.

또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우수가 우수 처리 장치 내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이물 등에 의해 우수 처리 장치가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도 내재되어 우수 처리 장치의 보존에 있어서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었다.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s into the stormwater treatment device in a short time,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e stormwater treatment device loses its function due to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and the like, and a huge capital is required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tormwater treatment device.

따라서, 많은 양의 우수가 단시간에 유입되더라도 오염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걸러내어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한 우수 처리 장치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Therefore, even if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s in a short time, it is urgent to study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that effectively filters contaminants and the like and improves treatment efficiency and easy maintenance and manag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게릴라성 폭우와 같이 예기치 않게 단시간에 많은 양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각종 오염물질을 비롯한 토사, 고형물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기능 저하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iciently remove soils, solids, etc., including various contaminants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s unexpectedly in a short time, such as guerrilla heavy rains, and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degradation beforehand.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개폐부를 통해 유입되어 여과된 후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우수 처리 본체; 및 상기 개폐부가 닫히는 경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우수 처리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을 저감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속저감부를 구비할 수 있다.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nwater treatment body flowing through the outlet after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filtered through the inlet; And a bypass channel through which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direct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losed, wherein the bypass channel is formed above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and flows through the inlet. I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low rat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flow rate of rainw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우수 처리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을 저감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속저감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bypass channel of the storm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m treatment body,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flow rat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flow rate of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유속저감부는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일측 내벽으로부터 타측 내벽을 향해 반복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rate reduction part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eatedly protruded from one inner wall of the bypass channel toward the other inner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바이패스 채널 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재가 충진될 수 있다.In the bypass channel of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medium for filtering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may be fi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에 따라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우수 처리 본체는 상기 개폐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1차로 여과시키는 제1 필터부를 구비하는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와 연통되어 1차로 여과된 우수를 2차로 여과시키는 제2 필터부를 구비하는 여과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rm treatment main body of the storm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ervoir having a first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rimary and rainwater that is firstly filter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servoir secondary The filtration tank provided with the 2nd filter part to filter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저장조 내에서 상기 개폐부를 포위한 채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part of the storm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duced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while surround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the reservoi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에 의해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rainwat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water level of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조로 유입되는 우수를 상기 여과조로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of the storm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ined to guide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eservoir into the filtration tan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저장조와 상기 여과조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보조필터부 및 상기 여과조에 유입된 우수를 하향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주필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part of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ary filter part continuously formed in the storage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and a main filter part passing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tank in a downward direc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보조필터부는 상기 여과조를 향하여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The sub-filter unit of the storm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filter tan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는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우수를 상기 유출구로 안내하는 유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the hole pipe for guiding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portion to the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상기 유공관은 상기 제2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우수가 통과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hole pipe of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ssed through the outlet through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는 상기 우수 처리 본체와 상기 바이패스 채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을 흐르는 우수가 상기 우수 처리 본체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ainfal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storm treatment main body and the bypass channel is a reverse flow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bypass channel into the rainwater treatment main body;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에 의하면, 게릴라성 폭우와 같이 예기치 않게 단시간에 많은 양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각종 오염물질을 비롯한 토사, 고형물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s unexpectedly in a short time such as guerrilla heavy rai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soil, solids, and the like, including various pollutants.

또한, 많은 양의 우수 유입에 의한 기능 저하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여 성능 및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erformance and life by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degradation due to a large amount of rainwater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바이패스 채널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바이패스 채널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1 is a schematic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m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orm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bypass channel provided in the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bypass channel provided in the stormwater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iorate other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modify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readily proposed, but they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with the same func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C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FIG. 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and FIG.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2.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바이패스 채널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바이패스 채널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ior of a bypass channel provided to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ypass provided to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hannel.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10)는 유입구(110) 및 개폐부(120)를 통해 우수(W)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우수 처리 본체(300) 및 상기 개폐부(120)가 닫히는 경우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우수(W)가 직접적으로 유출구(210)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채널(4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7,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nwater treatment body 300 through which rainwater (W) is introduced and filtered through the inlet 1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is closed may include a bypass channel 400 to allow the rainwater (W)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to flow directly through the outlet 210.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400)은 게릴라성 폭우와 같이 예기치 않게 단시간에 많은 양의 우수(W)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W)가 상기 우수 처리 본체(3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유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일종의 유동 통로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 우수 처리 본체(300)를 설명한 이후에 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bypass channel 400 may not directly enter the rainwater treatment main body 300 when rainwater (W) is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300 unexpectedly, such as guerrilla heavy rain. It may be a kind of flow passag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1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storm treatment main body 300.

한편, "우수(W)"라는 용어는 강우시에 도로 등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비롯하여, 도로 등의 배수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모든 물을 포함한다는 것을 밝혀둔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 "excellent (W)"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the water that can flow from the drainage, such as road, including rainwater flowing from the road or the like during rainfall.

우수 처리 본체(300)는 저장조(100) 및 여과조(200)를 포함할 수 있다.Rainfall treatment body 300 may include a reservoir (100) and the filtration tank (200).

상기 저장조(100)는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120) 및 상기 개폐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W)를 1차로 여과시키는 제1 필터부(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조(200)는 상기 저장조(100)와 연통되어 1차로 여과된 우수(W)를 2차로 여과시키는 제2 필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tank 100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 first filter unit 130 that primarily filters rainwater (W)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and the filtration tank 2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servoir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ilter unit 220 for filtering the rainwater (W) filtered first.

여기서, 상기 저장조(100)는 우수 처리 장치(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W)가 개폐부(120)를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는 공간일 수 있다.Here, the storage tank 100 may be a space in which rainwater (W)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rainwater processing device 10 is introduced and stor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한편, 상기 개폐부(120)는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W)의 유량 또는 상기 저장조(100)에 저장되는 우수(W)의 수위에 의해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may be determined by the flow rate of the rainwater (W)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or the water level of the rainwater (W) stored in the reservoir 100.

다시 말하면, 상기 개폐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10)의 처리 능력 이하의 범위 내로 우수(W)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열리게 되어 저장조(100) 내로 우수(W)를 유입시키며, 일정한 조건이 만족되면 닫히게 되어 더 이상 상기 저장조(100) 내로의 우수(W)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opened when the rainwater (W) is introduced into the range below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stormwater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W) into the storage tank (100). Inflow, and closed if a certain condition is satisfied can further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W) into the reservoir (100).

즉, 게릴라성 폭우와 같이 예기치 않게 단시간에 많은 양의 우수(W)가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개폐부(120)를 통해 저장조(100)로 유입되는 우수(W)는 상기 저장조(100)로부터 여과조(200)로 유입되는 우수(W)보다 유량이 클 수 밖에 없다.That is,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W) in a short time unexpectedly, such as guerrilla heavy rain, the rainwater (W) flowing into the storage tank 10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the storage tank 100 The flow rate is inevitably greater than that of the rainwater (W) flowing into the filtration tank 200.

따라서, 저장조(100) 내에는 우수(W)가 점점 채워질 수 밖에 없으며, 결국 저장조(100)의 상측 내벽에까지 도달하게 된다.Therefore, the rainwater (W) is to be gradually filled in the reservoir 100, and eventually reaches the upper inner wall of the reservoir (100).

이 경우, 상기 개폐부(120)는 상기 저장조(100) 내에 채워지는 우수(W)에 의한 부력에 의해 닫히게 되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W)는 더 이상 저장조(100) 내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In this cas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closed by buoyancy due to the rain (W) is filled in the reservoir 100, the rain (W)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is no longer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100). It will not be possible.

저장조(100) 내로 유입되지 않는 우수(W)는 우수 처리 본체(30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채널(400)을 통해 흐르게 되며, 결국, 우수 처리 본체(300)를 지나지 않은 채 유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Rainfall (W) that does not flow into the reservoir (100) flows through the bypass channel 40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300, and eventually, the outlet 21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300) ) Will be leak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개폐부(120)의 개폐 원리는 저장조(100) 내에 채워지는 우수(W)의 수위에 의해 결정되게 되며, 다시 말하면,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W)의 유량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princi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determined by the water level of the rain (W) is filled in the reservoir 100, that is, determined by the flow rate of the rain (W)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Will be.

즉, 게릴라성 폭우와 같이 예기치 않게 단시간에 많은 양의 우수(W)가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10)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바이패스 채널(400)을 통해 유출구(210)로 유출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우수(W) 유입에 따른 이물 등에 의한 기능 저하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여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W)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in a short time unexpectedly, such as guerrilla heavy rain,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rainwater treat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eded. By flowing to the outlet 210 through the pass channel 4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degradation due to foreign matters due to the inflow of a large amount of rain (W) in advance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life.

다만, 상기 개폐부(120)의 개폐 원리는 부력에 의한 개폐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W)의 유량 또는 저장조(100)에 채워지는 우수(W)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어부를 통해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owever, the opening and closing princi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not limited to opening and closing by buoyancy, sensing the flow rate of the rainwater (W)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or the water level of the rainwater (W) filled in the storage tank (100). Note that it can also be controlled automatically through the control unit.

한편,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우수(W)가 바이패스 채널(40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에도 우수 처리 본체(300) 내에서의 여과 과정은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처리가 진행된 이후에는 개폐부(120)가 다시 열리게 되어 상기 개폐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조(100)로 우수(W)가 유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rainwater (W)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ypass channel 400, the filtration process in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300 may be continuously carried out, to some extent 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opened again, rainwater (W)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10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상기 개폐부(120)가 열려 있는 경우 상기 개폐부(120)를 통해 유입된 우수(W)는 1차적으로 제1 필터부(13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open, the rainwater W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may be primarily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portion 130.

상기 제1 필터부(130)는 저장조(100) 내에서 개폐부(120)를 포위한 채 상기 저장조(100)의 바닥면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다공질로 형성되어 1차적으로 우수(W)에 포함된 이물 등을 여과시킬 수 있다.The first filter unit 13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while surround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n the storage tank 100, and is formed of a porous material to be excellent firs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W) can be filtered.

즉, 상기 제1 필터부(130)는 개폐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W)에 포함된 나뭇잎, 담배꽁초 등과 같은 일반 쓰레기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2 필터부(220)에 의해 여과되기 전에 1차적으로 여과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ilter unit 130 may remove general wastes such as leaves, cigarette butts, etc. included in the rainwater W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and by the second filter unit 220. It may be a component that primarily filters before being filtered.

한편, 미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 필터부(130)의 내벽에는 상기 제1 필터부(130)를 청소하기 위한 작업자의 발판 기능을 하는 계단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제1 필터부(13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ilter unit 130, a step or the like can be formed as a step of the operator for cleaning the first filter unit 130, by using the operator the first The interior of the filter unit 130 may be cleaned.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부(130)를 통과한 우수(W)는 저장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채워지게된 후, 일정 양이 채워지게 되면 제2 필터부(220)를 통과하게 된다.Here, the rainwater W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130 is fill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22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is filled.

상기 저장조(10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저장조(100)로 유입되는 우수(W)는 여과조(200)로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hereby rainwater (W) flowing into the storage tank 100 can be guided more stably to the filtration tank (200).

여과조(200)는 저장조(100)와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필터부(130)에 의해 1차로 여과된 우수(W)를 2차로 여과시키는 제2 필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ltration tank 200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tank 100, and may include a second filter unit 220 for secondarily filtering the rainwater W filtered first by the first filter unit 130. have.

여기서, 상기 저장조(100)와 상기 여과조(200)는 격벽(2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230)은 상기 저장조(100)에 채워지는 우수(W)가 제2 필터부(220)로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reservoir 100 and the filtration tank 200 may b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30, the partition 230 is a rainwater (W) filled in the reservoir 100 is the second filter unit 220 ) To ensure stable inflow.

한편, 상기 제2 필터부(220)는 저장조(100)와 여과조(200)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보조필터부(222) 및 상기 보조필터부(222)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조(200)로 유입된 우수(W)를 하향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주필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ilter unit 220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auxiliary filter unit 222 and the auxiliary filter unit 222 formed in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filtration tank 200 to the filtration tank 200. It may include a main filter 224 to pass the introduced rain (W)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보조필터부(222)는 상기 여과조(200)를 향하여 높이가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주필터부(224)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The auxiliary filter unit 222 may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filtration tank 200, and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ain filter unit 224.

즉, 상기 보조필터부(222) 및 주필터부(224)는 적어도 하나의 매질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매질층은 우수(W)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여과 내지 흡착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filter unit 222 and the main filter unit 224 may include at least one medium layer, and the medium layer may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rainwater (W) through filtration or adsorption. have.

여기서, 상기 매질층은 각각 아래층으로부터 에코콘크리트, 자갈 또는 모래층 그리고 안스라사이트로 구성되거나, 에코콘크리트, 모래 또는 질석, 안스라사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edium layer may be composed of eco-concrete, gravel or sand layer and anthracite, or eco-concrete, sand or vermiculite, and anthracite, respectively, from the lower layer.

또한, 에코콘크리트, 모래를 충진한 섬유체 또는 질석을 충진한 섬유체, 안스라사이트를 충진한 섬유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It may also be composed of eco-concrete, sand-filled fiber or vermiculite-filled fiber, anthracite-filled fiber.

여기서, 상기 안스라사이트는 정수 및 폐수에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리적 처리의 여과제로, 상기 안스라사이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제2 필터부(220)는 수질의 향상과 함께 여과 속도가 빠르고 처리수량을 증대할 수 있으며 자체경도가 높아 입자의 마모손실이 적고 수압에 의한 내구력이 커서 장기사용에 의한 여과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anthracite is a physical treatment filter used to improve water quality in purified water and wastewater, and the second filter par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nthracite has a filtration rate along with an improvement in water quality. It is fast and can increase the throughput, and its own hardness is high, so that the wear loss of the particles is small and the durability by water pressure is large.

또한, 상기 안스라사이트는 비중이 가벼워 역세수량이 적고 시간이 짧으며 역세척이 잘될 수 있으며, 내산, 내알카리성이며 실리카의 용출이 없어 순수, 초순수의 여과제에 적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hracite has a low specific gravity, so the amount of backwashing is low, the time may be short, and the backwashing may be well performed.

나아가, 부유물은 물론 탁도, 콜로이드상 물질의 제거 능력이 뛰어나며, 미생물담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spended solids, as well as the ability to remove the turbidity, colloidal material, and can also function as a microbial carrier.

한편, 상기 매질층의 최하층에는 유출구(210)와 연통되어 제2 필터부(220)에 의해 여과된 우수(W)를 우수 처리 장치(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유출구(210)로 안내하는 유공관(240)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layer of the medium layer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210 to guide the rainwater W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unit 220 to the outlet 210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10. A hole tube 240 may be formed.

상기 유공관(240)은 상기 제2 필터부(220)에 의해 여과된 우수(W)가 통과되도록 다공질일 수 있으며, 유입구(110)를 통과하여 유입된 우수(W)가 모든 여과 과정을 거친 후의 우수(W)가 통과되는 유동 통로일 수 있다.The hole tube 240 may be porous so that the rainwater (W)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unit 220 passes, and after the rainwater (W)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passes through all the filtration processes. It may be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rainwater W passes.

따라서, 상기 유공관(240)을 통과한 후 유출구(210)를 통해 우수(W)가 유출되면 우수 처리 장치(10)의 처리 과정은 완료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rainwater (W)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0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pipe 240, the process of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10 is completed.

바이패스 채널(400)은 저장조(100)의 개폐부(120)가 닫힌 경우 유입구(110)를 통과하여 유입된 우수(W)가 유출구(2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동 통로로, 우수 처리 본체(3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Bypass channel 400 is a flow passage for the rainwater (W)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of the reservoir 100 is closed to flow directly through the outlet 210, storm treatment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300.

즉, 상기 바이패스 채널(400)은 게릴라성 폭우와 같이 예기치 않게 단시간에 많은 양의 우수(W)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W)의 유동 통로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유속저감부(410)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bypass channel 400 may be a flow passage of the rainwater (W)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W) is introduced in a short time unexpectedly, such as guerrilla heavy rain, at least one flow rate reduction portion 410 )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유속저감부(410)는 우수(W)의 유속을 저감시키는 일종의 벽으로, 우수(W)의 이동 경로를 증가시켜줄 뿐만 아니라, 이동 경로를 변환케 함으로써 우수(W)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Here, the flow rate reduction part 410 is a kind of wall that reduces the flow rate of the rainwater (W), and not only increases the movement path of the rainwater (W), but also reduces the flow rate of the rainwater (W) by converting the movement path. You can.

한편, 상기 유속저감부(410)는 상기 바이패스 채널(400)의 일측 내벽으로부터 타측 내벽을 향하여 반복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우수(W)를 여과시키는 여과재(420)가 충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low rate reduction part 410 may be repeatedly protruded from one inner wall of the bypass channel 400 toward the other inner wall, and filters the rainwater W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into the inner space. The filter medium 420 may be filled.

상기 여과재(420)는 자갈 또는 모래층으로 구성되거나, 모래를 충진한 섬유체 또는 질석을 충진한 섬유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medium 420 may be composed of a gravel or a sand layer, or may be composed of a fiber filled with sand or a fiber filled with vermiculite.

따라서, 우수 처리 본체(300)를 통과하지 못한 우수(W)라도 상기 여과재(420)로 인하여 소정의 여과 과정을 거치게 된 채로 유출구(210)를 통해 유출되므로, 어느 정도의 여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even rainwater (W)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rainwater treatment main body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0 while undergoing a predetermined filtration process due to the filter medium 42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ertain filtration function. .

다시 말하면, 저장조(100)의 개폐부(120)가 닫히는 경우는 우수 처리 본체(300) 내부로 어느 정도의 우수(W), 즉, 초기 우수(W)가 유입된 이후인 것이 일반적이며, 나중에 유입되는 우수(W)는 초기 우수(W)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이물 등이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of the storage tank 100 is closed, it is generally after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W), that is, initial rainwater (W) has flowed into the rainwater treatment main body 300, and later flows in. The excellent rain (W) is generally relatively less foreign matters than the initial rain (W).

따라서, 우수 처리 본체(300)의 여과 능력을 초과하여 유입된 우수(W)는 그만큼 이물 등이 초기 우수(W)에 비해 적으므로, 바이패스 채널(400) 내에 충진되는 여과재(420)로도 충분히 여과 기능을 구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rainwater (W) that flows in excess of the filtration capacity of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300 has less foreign matters than the initial rainwater (W), the filter material 420 filled in the bypass channel 400 is sufficient. Filtration can be implemented.

한편, 상기 바이패스 채널(400)은 우수 처리 본체(300)의 타측 벽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우수 처리 본체(30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210)와 연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ypass channel 400 may extend along the other wall of the rainwater treatment main body 300,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210 formed on the other side lower portion of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300.

또한, 상기 바이패스 채널(400)과 우수 처리 본체(300), 즉, 여과조(200) 사이에는 상기 바이패스 채널(400)을 흐르는 우수(W)가 상기 여과조(200)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역류방지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W) flowing through the bypass channel 400 blocks the inflow into the filtration tank 200 between the bypass channel 400 and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300, that is, the filtration tank 200. A backflow prevention part 430 may be formed to allow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430 to be formed.

즉, 상기 역류방지부(430)는 우수(W)를 여과조(200) 내부에서 바이패스 채널(400)로의 유입은 허용하는 반면, 그 반대의 유입은 차단시킬 수 있다.That is,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430 may allow the rainwater (W) to flow into the bypass channel 400 from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200, while blocking the inflow of the reverse side.

따라서, 여과조(200)에 채워지는 우수(W)의 유량이 많아지게 되어 수위가 역류방지부(430)에 까지 도달하게 되면, 여과조(200) 내부에 채워지는 우수(W)는 역류방지부(430)를 통해 바이패스 채널(400)로 유입된 후 유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low rate of the rainwater (W) to be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200 is increased so that the water level reaches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430, the rainwater (W)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200 is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 After entering the bypass channel 400 through the 430 may flow out through the outlet 210.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10)는 우수 처리 본체(300)에 의한 여과 및 유출 과정과 상기 우수 처리 본체(300)가 처리할 수 있는 우수(W)의 유량을 초과하는 우수(W)의 유출 과정을 별개의 통로로 구현함으로써, 게릴라성 폭우와 같이 예기치 않게 단시간에 많은 양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각종 오염물질을 비롯한 토사, 고형물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embodiment, the storm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and outflow process by the storm treatment main body 300 and the storm water (W) that the storm treatment main body 300 can process By implementing the runoff process of rainwater (W) exceeding the flow rate as a separate passag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soils, solids, etc. Can be removed.

또한, 바이패스 채널(400)로 인하여 많은 양의 우수(W) 유입에 의한 여과 기능 저하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여 성능 및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ypass channel 400 prevents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of the filtration function due to the inflow of a large amount of rainwater (W), thereby maximizing performance and lifespan.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우수 처리 장치 100: 저장조
110: 유입구 120: 개폐부
130: 제1 필터부 200: 여과조
210: 유출구 220: 제2 필터부
230: 격벽 240: 유공관
300: 우수 처리 본체 400: 바이패스 채널
410: 유속저감부 420: 여과재
430: 역류방지부 W: 우수
10: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100: reservoir
110: inlet 120: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first filter unit 200: filtration tank
210: outlet 220: second filter portion
230: bulkhead 240: perforated pipe
300: storm water treatment body 400: bypass channel
410: flow rate reduction part 420: filter medium
430: backflow prevention unit W: excellent

Claims (14)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개폐부를 통해 유입되어 여과된 후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우수 처리 본체; 및
상기 개폐부가 닫히는 경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우수 처리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을 저감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속저감부를 구비하는 우수 처리 장치.
Rainfall processing body flowing through the inlet through the inlet is filtered through the opening and the outlet after the rainwater outlet; And
And a bypass channel through which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direct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losed.
And the bypass channel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torm treatment body and has at least one flow rate reduction part for reducing the flow rate of storm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저감부는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일측 내벽으로부터 타측 내벽을 향해 반복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w rate reducing part is a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formed repeatedly protruding toward the other inner wall from one inner wall of the bypass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 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재가 충진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is filled with a filter medium for filtering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n the bypass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에 따라 개폐가 결정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a rainwater processing devic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처리 본체는 상기 개폐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1차로 여과시키는 제1 필터부를 구비하는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와 연통되어 1차로 여과된 우수를 2차로 여과시키는 제2 필터부를 구비하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nwater treatment main body includes a reservoir having a first filter portion for first filtering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a filtration tank having a second filter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reservoir for filtering the rainwater filtered firstly. Stormwater treatmen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저장조 내에서 상기 개폐부를 포위한 채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first filter portion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while surround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the reservoi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ainwater processing device,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by the water level of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조로 유입되는 우수를 상기 여과조로 안내하도록 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s formed to be inclined to guide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torage tank to the filter tan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저장조와 상기 여과조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보조필터부 및 상기 여과조에 유입된 우수를 하향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주필터부를 구비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second filter part includes an auxiliary filter part continuously formed in the storage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and a main filter part configured to pass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tank in a downward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터부는 상기 여과조를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uxiliary filter unit rainwater treatment device that increases in height toward the filtration tan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우수를 상기 유출구로 안내하는 유공관;을 더 포함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And a hole for guiding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unit to the outle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상기 제2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우수가 통과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le pipe is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allowing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portion to pass through the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처리 본체와 상기 바이패스 채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을 흐르는 우수가 상기 우수 처리 본체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우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ackflow prevention unit formed between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and the bypass channel to block the inflow of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bypass channel into the rainwater treatment body.
KR1020120030059A 2012-03-23 2012-03-23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11514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59A KR101151422B1 (en) 2012-03-23 2012-03-23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59A KR101151422B1 (en) 2012-03-23 2012-03-23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438A Division KR20130108017A (en) 2012-05-10 2012-05-10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422B1 true KR101151422B1 (en) 2012-05-30

Family

ID=4627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059A KR101151422B1 (en) 2012-03-23 2012-03-23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42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330A (en) * 2003-07-22 2005-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KR100865253B1 (en) 2008-05-30 2008-10-24 (자)한진개발공사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912708B1 (en) 2008-12-22 2009-08-19 이경섭 Water pollution permeation style purification system
KR101052546B1 (en) 2011-06-09 2011-07-29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First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lateral di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330A (en) * 2003-07-22 2005-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KR100865253B1 (en) 2008-05-30 2008-10-24 (자)한진개발공사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912708B1 (en) 2008-12-22 2009-08-19 이경섭 Water pollution permeation style purification system
KR101052546B1 (en) 2011-06-09 2011-07-29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First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lateral d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en)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KR101242275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power
KR1009041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KR10057095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aminant in road surface drainage of road drain facilities
KR10174144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KR101196653B1 (en) First rainwater treatment aparatus
KR100848011B1 (en) System on removal of pollutants in urban runoff using upflow filtration reactor
KR102203152B1 (en)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KR100991175B1 (en) 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of road
KR101656664B1 (en) Cartridge modular infiltration trench preprocessing tank,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rainwater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34884B1 (en) An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KR100794491B1 (en) The rain water drainage reuse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load reduction
KR101244122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KR100704901B1 (en) Rainwater-controlling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82931B1 (e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KR100799251B1 (en) 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rainwater drain ditch
KR100437075B1 (en) the purificate method of a rainwater in an underflow pond and that equipments
KR101005589B1 (en) Incipient rainwater ecological treatment system for river slope face
KR101384490B1 (en) Auto storm treatment
CN210658599U (en) Environment-friendly pavement water and slope surface water collecting and discharging system
KR200378313Y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aminants in road surface drainage of road drain facilities
KR101137443B1 (en) First flush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torm sewer
KR200343186Y1 (en) Treatment apparatus for road surface drainage with rain drop ability
KR101151422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0856883B1 (en) Separatable drainage system which can easily remove sedi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