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835B1 - The coordinate earring - Google Patents

The coordinate ear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835B1
KR101150835B1 KR1020100007267A KR20100007267A KR101150835B1 KR 101150835 B1 KR101150835 B1 KR 101150835B1 KR 1020100007267 A KR1020100007267 A KR 1020100007267A KR 20100007267 A KR20100007267 A KR 20100007267A KR 101150835 B1 KR101150835 B1 KR 10115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part
decoration
decorative
cent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0545A (en
Inventor
조욱상
Original Assignee
(주)제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메이스 filed Critical (주)제메이스
Priority to KR102010000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835B1/en
Publication of KR2010013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8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2Ear-rings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 A44C7/006Ear-clips with a pivotable back clamping arm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디자인과 크기나 길이를 달리하는 장식부를 다수 구비하고, 이를 본체에 뜨는 현상없이 마치 하나처럼 일체감 있게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연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코디 귀걸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장식부에, 크기나 길이가 작거나 짧은 앞쪽 장식부와; 상기 앞쪽 장식부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앞쪽 장식부의 뒤에서 상기 앞쪽 장식부를 감싸면서 겹쳐지게 위치하고,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상기 앞쪽 장식부와 겹쳐지는 부분을 빈 공간으로 형성시킨 가운데 장식부; 및,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가운데 장식부의 뒤에서 가운데 장식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형성시킨 뒤쪽 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연결부재는,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측면 상부와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한편, 상기 앞쪽 및 뒤쪽 장식부의 연결부재는,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연결부재 양측으로 앞뒤에서 밀착되게 형성시켜, 상기 앞쪽과 가운데 장식부 또는 상기 가운데와 뒤쪽 장식부 또는 상기 앞쪽과 뒤쪽 장식부 또는 상기 앞쪽과 가운데 그리고 뒤쪽 장식부의 어떤 결합을 하더라도 연결부재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움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디 귀걸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ordinating earring having a large number of decorative parts having different designs and sizes or lengths, and combining them in one piece without any floating on the main body to naturally produce a variety of productions at a low cost. .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orative portion comprising: a front decorative portion having a small or short size or length; A middle decoration part which is larger or lon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and overlaps the front decoration part at the back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and forms a portion overlapping the front decoration part with an empty space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not hidden; And a rear decoration part which is larger or lon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and is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decoration part at the back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not hidden.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includes: The front and rear decorative members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decorative portion, and the front and rear decorative members ar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entral decorative portion. Coordination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and rear ornaments or the front and rear ornaments or the front, center and rear orna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ense of unity as a whole. To provide.

Description

코디 귀걸이{The coordinate earring}Coordinate Earrings {The coordinate earring}

이 발명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귓볼에 착용하는 본체에 결합되는 디자인된 장식부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키지 않고 주변의 상황이나 자신의 분위기에 부합되도록 본체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및 다수로 조합하면서 착용자가 다양하고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코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ring,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and assemble a number from the main body to match the surrounding situation or one's atmosphere without keeping the designed decoration tha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o be worn on the earlob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ordinating earrings that can be worn by the wearer in a variety of ways.

패션의 완성이라고 하는 액세서리는 있고 없음에 따라 그리고 같은 옷이라도 어떤 것을 착용하는가에 의해 분위기를 확 달라 보이게 한다. 특히 원피스나 캐주얼 패션에는 액세서리 하나로 인해 밋밋한 코디가 자신만의 개성 넘치는 패션으로 탈바꿈하기도 한다.There is an accessory called fashion completion that makes the atmosphere look different depending on what is and what is worn on the same clothes. In particular, dress and casual fashion, one accessory makes a simple coordination into a unique fashion.

이러한 액세서리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함께 자신의 신분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착용하던 것으로부터 자신만의 미려함을 나타내거나 독창적인 면을 보여주기 위해 착용하는데, 대표적으로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귀걸이는 각자 취향에 따라 단순하면서 깨끗한 느낌의 멋을 낼 수 있도록 단순하게 장식하거나 화려한 복장에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보석류 등이 화려하게 장식된 것을 취향에 따라 각각 구입 후 귓볼에 착용하여 분위기에 맞는 연출을 하는데 체형과 얼굴형을 고려하여 착용하는 코디법이 제안되고 있다.These accessories are worn to express one's own beauty or to show originality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such as necklaces, earrings and bracelets. The earrings are simply decorated to create a simple and clean look according to their tastes, or they are decorated with jewelery and other items to suit the colorful clothes. However, the coordination method to wear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shape and face shape has been proposed.

먼저 체형 중에서, 통통하고 키가 작은 형은 심플하면서도 여성스런 디자인이 잘 어울려 전체적으로 귀엽고 깜찍하게 연출하며, 뚱뚱하고 키가 큰 체형은 굵은 비즈나 진주 큰 금속류의 볼륨감 있는 디자인을 사용하여 크고 화려하면서 대담하게 연출한다.First, the plump and short form fits the simple yet feminine design, creating a cute and cute overall.The fat and tall figure is large and gorgeous using the voluminous beads or pearly large metal design. Directing boldly.

그리고 마르고 키가 작은 체형은 작고 심플하면서도 밝고 선명한 색상으로 포인트를 준 디자인이 적당하며, 마르고 키가 큰 체형은 색감이 강렬하고 화려하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의 것이 좋으므로 강렬한 느낌의 대담하고 큰 사이즈로 연출한다.The thin and short body is suitable for small, simple yet bright and vivid colors. The dry and tall body is strong, colorful, and soft, which makes it bold and large. .

다음으로, 얼굴형 중에서 부드러운 둥근 얼굴 타입의 사람은, 오발 타입의 이어링으로 둥근 이미지를 커버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고 드롭 타입의 것도 세로라인을 강조하므로 적합하지만 둥근 라운드 타입과 같이 얼굴 근처에 둥근 이미지를 가져오게 되면 얼굴 라인을 더욱 강조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Next, the soft round face type of the face type is suitable for covering the round image with the oval type earrings, and the drop type emphasizes the vertical line. When you import it, it's better to avoid facial lines.

또한, 턱 라인이 샤프한 인상을 주는 역삼각형 타입의 경우, 동그란 것을 선택하는 것보다 삼각형의 스터드 타입을 택하며 드롭형을 착용하면 좋은 밸런스를 가져올 수 있지만 반대로 얼굴형과 같은 실루엣의 역삼각형 타입의 것을 착용하면 턱의 라인을 눈에 띄게 하여 역효과를 내게 되니 주의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verted triangle type that gives a sharp impression to the chin line, the triangle stud type is used rather than the round one, and drop type brings a good balance, but the inverted triangle type of the face like silhouette If you wear it, you should notice that the chin line will be noticeable and adversely affect.

또한, 뺨에서 턱에 걸쳐 모난 윤곽을 하고 있는 사각형 타입은, 앞부분이 가는 디자인으로 턱의 방향으로 흐름을 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턱의 라인에 볼륨을 갖게 하지 않는 것이 포인트이며 얼굴과 같은 사각형의 이어링이나 귀걸이를 하는 것은 더욱 모난 이미지를 강조하게 되므로 피해야 한다.In addition, the square type that has a angular outline from the cheek to the chin is a thin front design, and it is important to point the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chin, and the point is not to have a volume in the line of the chin. Wearing earrings or earrings will emphasize more angular images and should be avoided.

그리고 어른스러운 인상의 갸름한 타입의 얼굴은, 균형 있게 보이도록 옆으로 긴 이미지를 가져오게 하고 후프 타입이나 둥근 라운드 타입 등 부드러운 이미지의 것이 좋으며 반대로 파츠가 길게 매달려 있는 것이나 홀쭉하고 가녀린 디자인은 보다 얼굴을 길어 보이게 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The slim face of the adult impression gives a long image to the side to look balanced, and the soft image such as the hoop type and the rounded round type is good. On the contrary, the long hanging parts or the slender and slender design make the face look more balanced. It's good to avoid it because it makes it look long.

여기에, 귀걸이는 귓볼에 착용하는 것으로부터 귀의 형태나 두꺼움이 사람마다 다른 것을 감안하여 귓볼이 두꺼운 사람에게 작은 디자인의 것을 착용하면 오히려 두께나 크기를 강조하게 되어 역효과가 있어 가녀린 디자인이나 아주 작은 디자인의 것은 피하고 두꺼움을 커버해주는 볼륨 있는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Here, earring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thickness and size of those wearing small designs to those with thick ears, considering that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ear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It's a good idea to choose a voluminous design that will avoid thickening.

이와 같은 귀걸이는, 크게 귓볼에 귀걸이 구멍을 뚫어야만 착용할 수 있는 핀 꽂이형과 귀걸이 구멍을 뚫지 않은 채 나사를 조여서 착용 상태를 고정시키는 나사 잭형의 두 종류가 있어, 착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을 갖는 귀걸이를 일일이 고르고 각각마다 구입하여 보관하면서 분위기나 상황에 어울리게 선택적으로 착용하면서 즐거움을 얻게 된다.There are two types of earrings, a pin holder type that can be worn only by drilling a earring hole in the earlobe, and a screw jack type that fixes the wear state by tightening the screw without drilling the earring hole. Each earring with a design is selected, purchased and stored for each one, and enjoyed by being selectively worn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r situation.

이 중에서 일반적으로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핀 꽂이형의 귀걸이(10)는, 귓볼을 관통하면서 체결 결합되는 본체(11)와 장식부(12)가 연결부재(13)를 통해 일체로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Among them, the pin-shaped earring 10 as shown in FIG. 1A is gener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 and the decorative part 12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mber 13 is integrally coupled while penetrating the ear ball. Keep it fixed.

상기 본체(11)는, 귓볼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귀걸이 구멍을 뚫고 이를 관통하게 하여 귓볼에 고정시킨다.The main body 11 is a hole in the earring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ar ball and penetrates it to be fixed to the ear ball.

상기 장식부(12)는, 단순한 디자인부터 크기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갖는 형상, 모양 및 색채에,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큐빅, 진주 등과 같은 각종 보석류나 이미테이션류가 부착 적용된 다양한 패턴으로 자신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한다.The decoration part 12 is a simple design to a variety of shapes, shapes and colors, depending on the size, for example, a variety of patterns, such as diamonds, cubic, pearls, etc., various kinds of jewelry or imitations attached to the atmosphere is applied to their atmosphere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상기 연결부재(13)는, 상기 본체(11)의 하단과 장식부(12)의 상단에 예를 들면 링 형태를 이루면서 결합하여 상기 장식부(12)를 본체(11)에 고정시켜 귀걸이(10)를 완성한다.The connecting member 13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 and the upper end of the decorative part 12 in a ring shape, for example, to fix the decorative part 12 to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earring 10 To complete).

그러나 상기 귀걸이(10)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12)가 항상 상기 본체(11)와 연결부재(13)를 매개로 하여 일체로 유지되므로, 착용자는 상기 장식부(12)를 달리하는 귀걸이를 각각 별개로 구입 보관하면서 필요한 연출을 위해 그때마다 선택된 것을 착용하여야만 하는 불편이 있게 된다.However, the earring 10 is, as shown in Figure 1b, since the decorative portion 12 is always maintained integrally via the body 11 and the connecting member 13, the wearer wears the decorative portion ( It is inconvenient to purchase and store earrings different from each other separately, and to wear the selected one at that time for the necessary presentation.

이 경우, 제조판매자는 각각의 디자인된 장식부(12)와 본체(11)를 일체로 결합시킨 제품마다 일정 수량을 미리 제조하여 수요에 대비하게 되는데, 이때 제조된 제품이 전부 판매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예측이 빗나가는 경우에는 재고로 남게 되어 그만큼 제조비용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체 제품 단가에 재고분까지 포함시켜 착용자에게 까지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비용까지 부담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seller prepares a predetermined quantity for each product in which each of the designed decoration part 12 and the main body 11 are integrally prepared, and prepares for demand, in which case the manufactured products are sold separately. If there is no problem but the forecast is left out of stock,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ccordingl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ntire product price includes the inventory part and the cost that does not have to be paid to the wearer.

또한 구입한 귀걸이의 장식부(12) 하나만으로 다양한 주변 상황이나 자신의 개성에 부합되게 연출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착용자들의 다양한 수요 충족과 변화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액세서리로서의 귀걸이가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duce according to various surrounding situations or one's personality with only the decorative part 12 of the purchased earrings, and thus, earrings as accessories that can satisfy various demands and change desires of wearers are required.

이로부터 종래 고정된 형태의 디자인으로 구성된 귀걸이를 선택하여야 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귀걸이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없었던 것과 달리, 착용자가 디자인과 크기나 길이를 달리하는 장식부를 다수 구비하고 이를 본체에 조합시키는 귀걸이가 제안되어 있다.From this, since the earrings having a fixed shape design must be selected, the wearer cannot change the shape of the earrings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but the wearer has a large number of decorative parts having different designs and sizes or lengths. An earring to b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has been proposed.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귀걸이(20)는, 본체(21)에 디자인과 크기나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장식부(22)(23)(24)를 상단에 고정된 연결부재(22-1)(23-1)(24-1)를 통해 주변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연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earring 20 has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22, 23, 24 having different designs, sizes, and lengths fixed to the upper body 21.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s (22-1) (23-1) (24-1) to be coupled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r needs as necessary to facilitate a variety of production at a low cost.

그러나 상기 귀걸이(20)는, 상기 장식부(22)(23)(24)에 고정된 연결부재(22-1)(23-1)(24-1)들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장식부(22)(23)(24)의 상단 가운데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장식부(22)(23)(24)를 일체로 조합하는 경우에는 겹쳐지면서 장식부(22)(23)(24) 자체의 두께에 의해 상호 영향을 미쳐 뜨면서 기울어져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하방을 향해 벌어지게 된다.However, the earring 20 has the decorative part 22 when the connecting members 22-1, 23-1, and 24-1 fixed to the decorative parts 22, 23, and 24 are viewed from the side. Since 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23) (24), when combining the several decoration parts 22, 23, 24 integrally, the decoration parts 22 (23) (24) itself while overlapping. Due to the mutual influence of the thickness of the can not be aligned to be aligned neatly aligned to be opened downward.

그러므로 비록 상기 장식부(22)(23)(24)들이 디자인과 크기나 길이를 달리하면서 조합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형성하지 못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면이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Therefore, although the decorative parts 22, 23 and 24 are combined in a combination of different designs and sizes or lengths, they do not form a sense of unity as a whole, and as shown in FIG. There is an unnatural problem.

이로부터, 이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자인과 크기나 길이를 달리하는 장식부를 다수 구비하고, 이를 본체에 뜨는 현상 없이 마치 하나처럼 일체감 있게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연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코디 귀걸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From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large number of decorative parts varying in design and size or length, by combining them as one unity without the phenomenon of floating on the main body to produce a variety of production at a low cost It is aimed at providing coordination earrings which can be naturally don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귓볼에 착용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부재를 통해 착탈되며, 디자인과 크기나 길이를 달리하는 장식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식부는, 크기나 길이가 작거나 짧으며 앞에 위치하는 앞쪽 장식부와; 상기 앞쪽 장식부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앞쪽 장식부의 뒤에서 상기 앞쪽 장식부를 감싸면서 겹쳐지게 위치하고,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상기 앞쪽 장식부와 겹쳐지는 부분을 빈 공간으로 형성시킨 가운데 장식부; 및,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뒤에서 상기 가운데 장식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형성시킨 뒤쪽 장식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에 하나 이상 차례로 결합되면서 상호 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시키는 코디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앞쪽 및 뒤쪽 장식부의 연결부재는,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연결부재 양측으로 앞뒤에서 밀착되게 형성시키며,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연결부재 두께를 가운데 장식부의 측면 상부와 같도록 형성하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전면을 향해 연결부재보다 두꺼워지게 측면을 형성시켜, 상기 앞쪽 장식부가 어떠한 형태로 결합되더라도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움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디 귀걸이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earlobe; Detachable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main body, and a decorative portion having a different design and size or length; and the decorative portion, the front decorative portion is small or short in size or length and positioned in front; A middle decoration part which is larger or lon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and overlaps the front decoration part at the back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and forms a portion overlapping the front decoration part with an empty space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not hidden; And a rear decorative part that is larger or lon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central decorative part and is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ral decorative part at the back of the central decorative part and is formed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not obscured. In the coordinating earrings to create a variety of atmospheres through the combination while the overall combination,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front and rear decoration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enter decoratio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middle decoration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upper side of the decorative portion, and form the side to be thicker than the connecting member toward the front while going down, so as to maintain the naturalness by forming a sense of unity as a whole, even if the front decorative portion is combined in any form Offer Cody Earrings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코디 귀걸이에 의하면, 가운데 장식부가 앞쪽 장식부를 감싸면서 겹쳐지게 위치하고,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상기 앞쪽 장식부와 겹쳐지는 부분을 빈 공간으로 형성시키면서, 뒤쪽 장식부가 상기 가운데 장식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형성시키며,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연결부재를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측면 상부와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한편, 상기 앞쪽 및 뒤쪽 장식부의 연결부재를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연결부재 양측으로 앞뒤에서 밀착되게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앞쪽과 가운데 그리고 뒤쪽 장식부의 어떤 결합을 하더라도 연결부재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면서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움을 유지시켜 어느 한 경우로만 제한받지 않으면서 외출의 목적이나 장소 그리고 옷과 코디하여 착용자의 미적 감각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하면서 귀걸이 착용자의 다양한 변화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ordinating ear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enter ornament is placed overlapping the front ornament, and the rear ornament is formed while forming a portion overlapping the front ornament with an empty space so that the main ornament is not hidden. While the main decoration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decoration, the main decoration is not hidden, and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enter decoration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center decoration, while the connecting members of the front and rear decoration are By forming the front and back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enter decoration, any combination of the front, center and rear decoration is coupled to each oth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overall naturalness is not limited to only one case Purpose or place of standing out Lorca with various produce, depending on the aesthetics of the clothes and the wearer becomes effective coordination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a variety of earring wearer.

또한,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코디 귀걸이에 의하면, 제품의 양산이 가능하여 적은 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구매 의욕을 불러 일으켜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rdination earr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the product can be purchased at a low cost,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ales by inducing the purchase motivation.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핀 꽂이형 귀걸이와, 이러한 귀걸이를 귓볼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귀걸이 본체에 결합 또는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장식부와, 이러한 다수의 장식부를 본체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b의 본체에 다수의 장식부를 결합시켜 조합된 상태를 정면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의 본체에 결합 또는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장식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장식부를 다수 결합시켜 조합된 상태를 정면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의 본체에 결합 또는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장식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본체에 다수의 장식부를 결합시켜 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1A and 1B show a general pin-shaped earring and a state in which the earring is worn on the earlobe,
2A and 2B illustrate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earring and a process of joining the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to the main body,
3 is a front and sid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to the main body of Figure 2b,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coordinating earr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c is a front and sid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by combining a large number of decorative parts of Figure 4,
6 is a side view showing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cody ear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of FIG. 6.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and the same parts as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도 4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의 본체에 결합 또는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장식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4 is a side view of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cody ear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100)는, 귓볼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착탈되고 다양한 형상과 모양, 색채로 디자인되며 크기와 길이를 달리하는 장식부(120)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10)에 상기 장식부(120)가 연결부재를 통해 다양하게 결합되면서 상호 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한다.Coordinating earring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0 is fastened and fix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earlobe, and detachable to the main body 110 and designed in various shapes, shapes, colors and sizes Consisting of a different length and length 120, the decorative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a connection member to produce a variety of atmospheres as a whole through a combination.

상기 본체(110)는, 가로 바 형태로 상부에서 귓불을 관통 결합하며, 상기 가로 바 양단에서 하부를 향해 'U'형태의 장식부 걸림부재가 위치하게 형성되는데,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중앙에 힌지 결합시켜 구부렸다 펼쳐지게 한다.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ear lobe through the upper portion in the form of a horizontal bar, the decorative member engaging member of the 'U' shape is forme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toward the bottom, in the center for easy coupling and separation Combine the hinges to bend and unfold them.

상기 장식부(120)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본체(110)에 결합하는 순서에 따른 위치에 의해 앞쪽 장식부(121), 가운데 장식부(122) 그리고 뒤쪽 장식부(123)의 3형태로 구분하고 있지만, 이들을 여러 개 두고 보다 다양하게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ecoration part 1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coupling to the main body 110, three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and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Although they are divided into forms, they may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또한 디자인과 크기나 길이를 달리하는 상기 장식부(120)의 상부에 고정 형성된 연결부재가 상기 본체(110)의 'U'형태의 장식부 걸림부재에 관통되면서 상기 본체(110)와의 결합과 분리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결합되는 앞쪽 장식부(121), 가운데 장식부(122) 그리고 뒤쪽 장식부(123)의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고 모두 표현되게 크기나 길이가 작거나 짧은 것에서 크거나 긴 순서로 상기 본체(110)에 차례로 결합되면서 상호 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시킨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120 of different designs and sizes or lengths penetrates through the 'U' shaped decorative member engaging member of the main body 110, the coupling and separation with the main body 110 While the main decoration of the front decoration 121, the center decoration 122 and the rear decoration 123 to be combined without being obscured, all of which are small or short in size or length so as to be expressed freely. Combined with the main body 110 in a large or long order in turn to produce a variety of atmospheres through the combin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앞쪽 장식부(121)는, 전체적으로 두꺼우며 볼륨감이 있어 도드라져 보이게 돌출 형성되고, 크기나 길이가 작거나 짧으며 앞에 위치시킨다.Specifically, the front decoration portion 121, the overall thick and has a sense of volume is formed protruding to appear raised, the size or length is small or short and positioned in front.

또한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1-1)가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상단에서 후면 측으로 치우치면서 후면과 일치하게 형성시키며, 필요에 따라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측면과 같은 두께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12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decorative portion 121 is formed to be aligned with the rear si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decorative portion 121 to the rear side, if necessary, the front decorative portion ( It may be formed to the same thickness as the side of 121).

그리고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는, 전체적으로 넓고 앞쪽 장식부(121)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앞쪽 장식부(121)의 뒤에서 상기 앞쪽 장식부(121)를 감싸면서 겹쳐지게 위치하고,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겹쳐지는 부분을 빈 공간으로 형성시킨다.In addition,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is positioned to be overlapping while covering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t the back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nd wider and lar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s a whole. The overlapping portion with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is formed as an empty space so as not to be obscured.

또한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2-1)가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측면 상부와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연결부재와 밀착되게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122-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at matches the upper side of the side decoration part 122, the connection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In close contact with the member.

물론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가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는 앞에 위치하게 된다.Of course,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may not be combined with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in which case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part.

그리고 상기 뒤쪽 장식부(123)는, 전체적으로 길고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뒤에서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와 밀착되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형성시킨다.In addition,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is long and is lar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central decoration part 122 and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behind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It is formed unobstructed.

따라서 상기 뒤쪽 장식부(123)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3-1)는,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연결부재(122-1) 뒤쪽에서 밀착되게 형성시킨다.Therefore, the connection member 123-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connection member 122-1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물론 상기 뒤쪽 장식부(123)가 상기 가운데 장식부(121)와 결합되지 않고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Of course,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may be combined with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without being combined with the middle decoration part 121.

이로부터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1-1)와,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2-1) 그리고 상기 뒤쪽 장식부(123)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3-1)는, 서로 마주하는 어떠한 조합이라도 항상 밀착되어 짐으로써 상기 본체(110)에 장식부(120)를 결합시키는 경우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움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From this, the connecting member 121-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decorative part 121, the connecting member 122-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decorative part 122, and the rear decorative part 123 The connecting member 123-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23-1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natural unity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sense of unity when the decorative part 1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bring naturalness. Will b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의 사용 과정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ocess of using the cody earr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장식부를 다수 결합시켜 조합된 상태를 정면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Figures 5a to 5c show the combined stat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of Figure 4 from the front and side.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100)는, 하나의 본체(110)에 앞쪽 장식부(121), 가운데 장식부(122) 그리고 뒤쪽 장식부(123)와 같이 다수의 장식부(120)를 조합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하는데, 먼저 상기 본체(110)의 귓불을 관통하는 가로 바에 결합되어 있는 'U'형태의 장식부 걸림부재 타 측을 분리하여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Coordination earr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120, such as the front decoration 121, the center decoration 122 and the rear decoration 123 in one main body 110 ) To enable a variety of directing, first separated by separating the other side of the decorative portion engaging member of the 'U' shape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penetrating the earlobe of the main body 110 to maintain the open state.

상기에서 본체(110)가 벌어진 상태에서 연출하고자 하는 전체 컨셉에 맞는 장식부(121)(122)(123) 중에서 다수를 선택한 후 연결부재(121-1)(122-1)(123-1)를 통해 상기 'U'형태의 장식부 걸림부재에 차례로 결합시킨다.After selecting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121, 122, 123 to fit the overall concept to be produc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0 is opened, connecting members 121-1, 122-1, 123-1 Through the 'U' shaped decorative portion through the coupling in turn.

여기서, 예를 들면 길이가 긴 장식부가 먼저 결합되고 이어서 길이가 짧은 장식부를 결합시키는 경우나, 크기가 큰 장식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이어서 크기가 작은 장식부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나중에 결합되는 길이가 짧은 장식부나 크기가 작은 장식부는 먼저 결합된 길이가 긴 장식부나 크기가 큰 장식부에 가려져 제대로 된 연출이 어렵게 되므로, 장식부(120)는 크기나 길이 그리고 디자인을 고려하여 결합시키는 차례를 결정하여, 가로 바를 귓불에 관통시킨 후 상기 'U'형태의 장식부 걸림부재의 타 측과 다시 결합 고정시켜 코디 귀걸이 연출을 완성시킨다.Here, for example, when a long decorative part is joined first and then a short decorative part is joined, or when a large decorative part is joined first and then a small decorative part is joined, Since the small size of the decorative part is first hidden in the long decorative part or the large decorative part combined, it is difficult to properly produce, the decoration part 120 determines the turn to combin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length and design, the horizontal bar After penetrating through the earlobe, the coordinating earrings are completed by re-engagement with the other side of the decorative member locking member of the 'U' shape.

먼저,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대해, 상기 앞쪽 장식부(121)에 가운데 장식부(122)를 결합하여 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상단에서 후면 측으로 치우치면서 후면과 일치하게 형성시킨 연결부재(121-1)와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측면 상부와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22-1) 앞쪽이 서로 밀착하면서 뜨는 현상이 없어 측면에서 볼 때 일체로 자연스럽게 보여진다.First, as shown in FIG. 5A, when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is coupled to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nd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The connecting member 121-1 formed to match the rear side while being biased toward the rear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122-1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floa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no phenomena and it is naturally seen from the side.

또한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는, 전체적으로 넓고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뒤에서 상기 앞쪽 장식부(121)를 감싸 겹쳐지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겹쳐지는 부분을 빈 공간으로 형성시켜, 전체적으로 두꺼우며 볼륨감이 있어 도드라져 보이게 돌출 형성되고 크기나 길이가 작거나 짧은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정면에서도 조화를 잘 이룰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is wider and lar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nd positioned to overlap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t the back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The front decoration portion 121 is formed to overlap the front decoration portion 121 with an empty space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not obscured. ) And the front can be harmonious well.

그리고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대해,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에 뒤쪽 장식부(123)를 결합하여 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측면 상부와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22-1) 뒤쪽과 상기 뒤쪽 장식부(123)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3-1)가 서로 밀착하면서 뜨는 현상이 없어 측면에서 볼 때 일체로 자연스럽게 보여진다.And as shown in Figure 5b for the main body 110, in the case of combining the rear ornament 123 to the center ornament 122, combin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ornament 122 The connecting member 122-1 formed to have a matching thickness and the connecting member 123-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do not floa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looks natural.

또한 상기 뒤쪽 장식부(123)는, 전체적으로 길고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뒤에서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와 밀착되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형성시켜, 전체적으로 넓고 길이가 짧은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와 정면에서도 조화를 잘 이룰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is long and generally lar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central decoration part 122 and is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behind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By forming this unobscured, it is possible to harmonize well in front of the center portion 122 with a wide and short overall length.

마지막으로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대해,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가운데 장식부(122) 그리고 뒤쪽 장식부(123)를 모두 결합시켜 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상단에서 후면 측으로 치우치면서 후면과 일치하게 형성시킨 연결부재(121-1)가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측면 상부와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22-1) 앞쪽과 서로 밀착하고,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측면 상부와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22-1) 뒤쪽과 상기 뒤쪽 장식부(123)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3-1)가 서로 밀착하면서 뜨는 현상이 없어 측면에서 볼 때 일체로 자연스럽게 보여진다.Finally, as shown in FIG. 5C, when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and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are combined and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the front part is combined. Connecting member (122-1) formed so as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122, the connecting member (121-1) formed to match the rear side from the top of the decorative portion 121 to the rear side 1) a connection member formed on the back of the connection member 122-1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front and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123-1) does not float as they stick to each other, so they appear naturally in one view from the side.

또한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는, 전체적으로 넓고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뒤에서 상기 앞쪽 장식부(121)를 감싸 겹쳐지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겹쳐지는 부분을 빈 공간으로 형성시켜, 전체적으로 두꺼우며 볼륨감이 있어 도드라져 보이게 돌출 형성되고 크기나 길이가 작거나 짧은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정면에서도 조화를 잘 이룰 수 있게 되는 한편으로, 상기 뒤쪽 장식부(123)는 전체적으로 길고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뒤에서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와 밀착되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형성시켜, 전체적으로 넓고 길이가 짧은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와 정면에서 조화를 잘 이룰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is wider and lar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nd positioned to overlap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t the back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The front decoration portion 121 is formed to overlap the front decoration portion 121 with an empty space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not obscured. On the other hand,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is generally long and is lar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central decoration part 122 and the center of the rear part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ecoration part 122, the main decoration is formed so as not to be obscured, and harmonizes well in front of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which is wide and short overall. It becomes possibl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10)에 대해,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를 빼고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뒤쪽 장식부(123)를 바로 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상단에서 후면 측으로 치우치면서 후면과 일치하게 형성시킨 연결부재(121-1)가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의 연결부재(122-1) 뒤쪽과 밀착되게 상기 뒤쪽 장식부(123)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3-1)와 밀착하면서 뜨는 현상이 없어 측면에서 볼 때 일체로 자연스럽게 보여진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may be directly removed from the center decoration part 122 and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nd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may be directly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The upper part of the rear decorative part 123 such that the connecting member 121-1 formed to be aligned with the rear 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part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rear of the connecting member 122-1 of the middle decorative part 122. There is no floating phenomenon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23-1 formed on the side is naturally seen integrally.

또한 상기 뒤쪽 장식부(123)는,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뒤에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겹쳐지도록 위치시켜, 전체적으로 두꺼우며 볼륨감이 있어 도드라져 보이게 돌출 형성되고 크기나 길이가 작거나 짧은 상기 앞쪽 장식부(121)와 정면에서도 조화를 잘 이룰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decoration part 123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overlapped so as not to be obscured from the rear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121, and is thick overall and has a sense of volume. It is protruding to be visible and can be harmonized well in front with the front decoration 121 having a small or short size or length.

또한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에 대해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lso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coordinating earr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도 6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의 본체에 결합 또는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장식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본체에 다수의 장식부를 결합시켜 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FIG. 6 is a side view of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a body of a cody ear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and 7B are combined to combine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to the main body of FIG. 6. The state shown is shown from the side.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1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코디 귀걸이(100)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앞쪽 장식부(121)의 장식부가 예를 들면 진주와 같이 전체가 둥글어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 쪽으로도 돌출되는 경우에도 뒤쪽 장식부(123)가 뜨는 현상이 없어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유지시켜 자연스러움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Coordination earring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is the same as the coordinating earring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decoration 121 Even if the decorative part of the pearl is rounded, for example, protrudes toward the rear as well as the front side,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rear decorative part 123 does not float so as to maintain a sense of unity as a whole to show the naturalness.

이를 위해, 상기 가운데 장식부(122)를 연결부재(122-1)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전면을 향해 연결부재(122-1)보다 두꺼워지게 측면을 형성시킨다.To this end, the lower side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connecting member 122-1 toward the front while descending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2-1, the center portion 122.

따라서 상기 앞쪽 장식부(121)가 앞쪽뿐만 아니라 뒤쪽으로도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뒤쪽 장식부(123)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결합을 유지시키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front decorative part 121 protrudes not only in the front but also in the rear, as shown in FIGS. 7A and 7B, since the influence on the rear decorative part 123 may be blocked, natural coupling Will be maintained.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20 : 종래 일반적인 귀걸이들
11, 21, 110 : 본체
12, 22, 23, 24 : 장식부
13, 22-1, 23-1, 24-1 : 연결부재
100, 100' : 이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코디 귀걸이
120, 120' : 장식부
121 : 앞쪽 장식부
122, 122' : 가운데 장식부
123 : 뒤쪽 장식부
121-1, 122-1, 123-1 : 연결부재
10, 20: conventional common earrings
11, 21, 110: main body
12, 22, 23, 24: decoration
13, 22-1, 23-1, 24-1: connecting member
100, 100 ': Coordinating earring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0, 120 ': decoration
121: front trim
122, 122 ': Center part
123: rear ornament
121-1, 122-1, 123-1: connecting member

Claims (3)

삭제delete 삭제delete 귓볼에 착용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부재를 통해 착탈되며, 디자인과 크기나 길이를 달리하는 장식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식부는, 크기나 길이가 작거나 짧으며 앞에 위치하는 앞쪽 장식부와; 상기 앞쪽 장식부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앞쪽 장식부의 뒤에서 상기 앞쪽 장식부를 감싸면서 겹쳐지게 위치하고,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상기 앞쪽 장식부와 겹쳐지는 부분을 빈 공간으로 형성시킨 가운데 장식부; 및,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크기나 길이보다 크거나 길며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뒤에서 상기 가운데 장식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면서 주된 장식이 가려지지 않게 형성시킨 뒤쪽 장식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에 하나 이상 차례로 결합되면서 상호 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시키는 코디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앞쪽 및 뒤쪽 장식부의 연결부재는,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연결부재 양측으로 앞뒤에서 밀착되게 형성시키며, 상기 가운데 장식부의 연결부재 두께를 가운데 장식부의 측면 상부와 같도록 형성하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전면을 향해 연결부재보다 두꺼워지게 측면을 형성시켜, 상기 앞쪽 장식부가 어떠한 형태로 결합되더라도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움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디 귀걸이.
A main body worn and fixed to the earlobe; Detachable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main body, and a decorative portion having a different design and size or length; and the decorative portion, the front decorative portion is small or short in size or length and positioned in front; A middle decoration part which is larger or lon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and overlaps the front decoration part at the back of the front decoration part, and forms a portion overlapping the front decoration part with an empty space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not hidden; And a rear decorative part that is larger or longer than the size or length of the central decorative part and is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ral decorative part at the back of the central decorative part and is formed so that the main decoration is not obscured. In the coordination earrings to create a variety of atmospher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front and rear decoration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entral decoratio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entral decoration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central decoration, and the front is lowered down. Coordination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ide to be thicker than the connecting member, to form a sense of unity as a whole, even if the front decorative part is combined in any form.
KR1020100007267A 2010-01-27 2010-01-27 The coordinate earring KR1011508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267A KR101150835B1 (en) 2010-01-27 2010-01-27 The coordinate ear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267A KR101150835B1 (en) 2010-01-27 2010-01-27 The coordinate ear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545A KR20100130545A (en) 2010-12-13
KR101150835B1 true KR101150835B1 (en) 2012-06-13

Family

ID=4350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267A KR101150835B1 (en) 2010-01-27 2010-01-27 The coordinate ear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83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78A (en) * 2000-11-06 2002-05-11 백병룡 A pendant
KR20090011613A (en) * 2007-07-27 2009-02-02 조욱상 The earring capable of various coordina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78A (en) * 2000-11-06 2002-05-11 백병룡 A pendant
KR20090011613A (en) * 2007-07-27 2009-02-02 조욱상 The earring capable of various coordin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545A (en) 201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331B2 (en) Personalizeable wearable and displayable items
US9943123B2 (en) Swimsuit assembly
CN206324371U (en) It is conveniently replaceable the new jewellery of ornament
JP3177051U (en) Accessory coupling using chain
KR101150835B1 (en) The coordinate earring
US20120077416A1 (en) Anti-Twisting Fashion Jewelry Bra Strap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44247B2 (en) Vertically adjustable charm system
KR20090011613A (en) The earring capable of various coordinating
CN207898062U (en) A kind of necklace
US20170042304A1 (en) Bendable Wire Frame
KR101522907B1 (en) The pendant is available with compatible accessories
KR200463726Y1 (en) Floating decoration-part for accessory
KR20100058384A (en) Decoration buckle for belt
CN216416276U (en) Changeable pendant
TWM564372U (en) Jewelry crossing and surrounding structure of ornament
CN211747424U (en) Finger ring
US20200060395A1 (en) Stringed jewelry
TWI657762B (en) Jewel string and surrounding structure for accessory
KR200456842Y1 (en) Earing
CN206333475U (en) A kind of no-welding-spot splices jewellery
CN210611255U (en) Cheongsam-type pendant
JPWO2006051910A1 (en) Decorative body, necklace with composite body and composite decorative body
CN209825428U (en) Hollowed-out chain link and jewelry chain
KR200336056Y1 (en) Chain for decoration
CN216147384U (en) Novel jewelry chain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