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461B1 -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 - Google Patents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461B1
KR101149461B1 KR1020090105597A KR20090105597A KR101149461B1 KR 101149461 B1 KR101149461 B1 KR 101149461B1 KR 1020090105597 A KR1020090105597 A KR 1020090105597A KR 20090105597 A KR20090105597 A KR 20090105597A KR 101149461 B1 KR101149461 B1 KR 10114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ead
club head
center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858A (ko
Inventor
박윤용
Original Assignee
박윤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용 filed Critical 박윤용
Priority to KR102009010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4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Strengthening ribs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클럽을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가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점인 타점을 통과하도록 호젤을 구성하여 골퍼가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시 클럽헤드에 가해지는 힘이 샤프트에서 토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손실 없이 정확하게 직접전해진 힘의 전달로 방향성이 좋고 비거리가 늘어나도록 한 것으로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골프클럽헤드에 샤프트를 결합하는 호젤을 구성하고 상기 호젤에 샤프트를 결합하여 클럽헤드의 페이스로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골프클럽을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가 클럽헤드의 스윗스폿이 형성되는 무게중심점 선상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호젤이 스윗스폿을 형성하는 헤드의 무게중심선 상을 통과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골프클럽헤드는 토우가 제거되어 페이스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며, 우드 골프클럽헤드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일체로 결합하여 그 일 측면에 타격면인 페이스를 구성하고 별도로 가공한 호젤을 클럽헤드의 스윗스폿이 형성되는 무게중심점 선상을 통과하도록 클럽헤드 내부를 관통하게 설치하여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에 일체로 용접하여 고정설치 하여 골프공 타격시 토크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샤프트의 비틀림이 현저히 개선이 되어 샤프트의 품질에 상관없이 방향성을 좋게 하고, 타격힘이 분산되지않고 집중함으로써 비거리가 향상됨과 동시에 무게중심을 위한 토우의 역할이 필요치않아 헤드의 타격면인 페이스가 좌우 대칭형이므로 클럽헤드의 설계가 용이하며, 클럽헤드의 페이스 크기를 작게 하여 전체적인 크기 및 볼륨을 줄여서 공기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스윙 스피드를 높이는 것은 물론, 잔디의 저항을 줄여서 러프에서 탈출이 보다 용이한 신규한 발명이다.
헤드, 페이스, 무게중심점, 스윗스폿, 호젤, 샤프트, 그립, 버, 엠보싱돌기.

Description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the shaft through head Face center is configured of the golf club hosel}
본 발명은 골프클럽을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가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점인 타점을 통과하도록 호젤을 구성하여 골퍼가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시 클럽헤드에 가해지는 힘이 샤프트에서 토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손실 없이 직접 전해지도록 하여 정확한 힘의 전달로 인해 방향성이 좋고 비거리가 늘어나도록 한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golf clup)은 헤드(head)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의 조성에 따라 우드(wood) 또는 아이언(iron)으로 분류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골프클럽의 우드(woods)는 샤프트의 한 단부에 부착된, 단풍나무 또는 감나무와 같이 단단한 나무재료로 제조된 헤드였으나, 최근에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재료로 제조하기도 한다.
상기 클럽 헤드는 일반적으로 견고하며, 실행을 최대화하기 위해 헤드의 무게가 무게중심에 관해 적절히 배분되도록 형상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므로 헤드의 무게를 그 무게중심에 관해 분배시키기 위하여 금속 헤드 내측의 여러 위치에 다른 형태로 된 다수의 웨이트 부재를 위치시키는 등 발전시켜 왔으며, 클럽을 복합 재료로 만들어 우드와 아이언을 개선하여 왔다.
이와 같은 변화는 골프 클럽 헤드의 볼-타격 표면 수명을 연장하는 것, 조절할 수 있는 중심을 제공하는 것, 가장 큰 '스윗 스폿(sweet spot)'이 달성될 수 있도록 골프 클럽 헤드의 주변부를 선택적으로 무겁게 하는 것, 골프 클럽이 볼을 칠 때 바람직한 소리 특성을 제공하는 것, 스윙하는 동안 골프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것, 클럽을 스윙하여 볼을 타격할 때 단단한 임팩트(impact)와 컨트롤(control) 느낌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었다.
골프 클럽 헤드를 개선시키기 위한 제안으로서, 1990년 5월 29일 나카니쉬 등(Nakanishi, et al.)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928,972호에는 클럽 헤드 타격 페이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인서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이러한 섬유 강화 합성 수지 인서트는 슈팅 표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 상에 배치되어,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그것은 다른 각도의 로프트(loft)를 갖는 골프 클럽의 조립시에 쉽게 조절될 수 있는 중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클럽의 소리 특성을 개선하고 볼-타격 표면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클럽 헤드의 각 부위마다 밀도가 다른 재료를 이용하는 다양한 분말 야금 공정이 1991년 2월 12일 쉬라(Shira)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92,236호가 있다.
1991년 7월 18일 앤더슨(Ander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024,437호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베릴륨, 구리, 티타늄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의 단조(forged) 금속 인서트가 클럽에 대하여 충격이 더욱 단단한 임팩트 및 더욱 우수한 컨트롤과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페이스(face) 플레이트(볼-타격 표면)가 채택되어 왔다.
1993년 11월 16일, 앤더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61,663호 및 미국 특허 제5,261,664호에는 일반적인 단조 금속 인서트의 개선에 의해, 공지된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골프 클럽을 플레이트의 주변부 두께를 증가시켜 무겁게 함으로써 증가된 힐(heel)과 토(toe) 영역을 증가시켰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1993년 10월 26일, 앤더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55,918호에는, 타격 페이스의 배면에 있는 완전히 밀폐된 오목부(recess)가 있고 타격 페이스와 본체 사이에 사다리꼴 모양의 접착 배열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 구조가 구비된 골프 클럽 헤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국내특허 제10-0430329호(2004.04.23)는 금속 타격 표면을 갖는 섬유 강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타격 페이스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가 볼을 칠 때 변형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리콘 카바이드 또는 보론 섬유와 같은 고모듈러스, 고강도 섬유로 가공된 티타늄및/또는 알루미늄 합금 복합체를 구성하여 타격 페이스의 견고성이 증가하고 그 무게가 감소 되어서 가벼운 타격 페이스를 제공한 것이다.
그리고 중심을 벗어나서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 골프클럽 헤드의 비틀림 또는 회전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웨이트 패드를 구비한 골프클럽 헤드에 관련된 것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1,167,106호인 팔머에게 허여된 특허, 제1,526,438호인 스코트에게 허여된 특허, 5,058,855호인 이그라쉬에게 허여된 특허, 및 5,141,230호 안토니오스에게 허여된 특허에 의하면, 팔머와, 스코트의 특허에서는 웨이트패드를 클럽 헤드의 무게중심 바로 아래에 위치시키고, 이그라쉬 및 안토니오스의 특허에서는 웨이트패드를 클럽헤드의 힐(heel) 및 토우(toe)부 내에 위치시켰다.
여기서 발전한 것으로, 특허 제0130956호(1997.11.25)에서는 힐부, 토우부, 상층벽, 상기 상층벽과 하층벽 사이의 측면벽, 및 골프공을 타격하는 외면을 갖는 전방 벽을 구비하는 중공형 본체; 세장형 샤프트의 한 단부를 수납하는 호젤; 및 본체의 힐부 내에 있는 상기 측면벽을 따라 제1수직면의 배면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호젤과 제2수직면을 중개하는 웨이트 패드; 를 구비하며, 상기 외면은, 세장형 샤프트의 종축을 포함하는 제1수직면에 대해 전방으로 경사 되게 배치되며, 상기 스윗 스폿에서 골프공이 타격 될 때 클럽 헤드의 회전이 발생 되지 않도록, 그 상부에 무게중심과 일치 배열되는 스윗 스폿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힐부 및 토우부로 분리하는, 무게중심을 포함하는 제2수직면에 직각으로 교차 되며, 상기 웨이트 패드는, 클럽헤드가 외면상의 스윗 스폿으로부터 측면으로 이격된 중심이탈 지점에서 골프공을 타격할 때, 무게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수평적 회전이 클럽 헤드에 발생하지 않도록 클럽 헤드 내에 무게중심을 갖는 골프클럽 헤드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우드클럽은 메탈헤드에 한하지 않고, 헤드 형상은 샤프트 측으로부터 토우 측에 걸쳐서 점차 팽출하는 형상을 이루고, 그 헤드의 무게중심을 헤 드 투영평면의 중심으로부터 토우 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타격시의 헤드 속도가 향상되도륵 도모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아이언형 클럽에 있어서도, 동일한 이론에 의하여 클럽 페이스부의 배면 단부를 평면적으로 보아서 넥크부를 개재시켜 호오젤부에 곡선적으로 원활하게 연속시켜서 클럽의 무게중심을 약간 토우 측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헤드의 무게중심이 토우 측에 위치하면, 클럽 샤프트 선단으로서 헤드를 회전시키면 샤프트 상단으로부터 하향시의 수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헤드 회전반경이 커지고, 클럽의 헤드가 타격 직전부터 토우 측으로 미리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은 헤드의 속도가 빠를수록 발생 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미리 돌아가는 운동에 의한 타구의 훅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메탈 우드 클럽에 있어서는, 헤드 페이스면은, 샤프트 측은 토우 측보다 약간 전방으로 팽출된 형상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페이스면은 그 전후 폭 방향의 곡율과 상하 폭 방향의 곡율이 동일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상하 폭 방향의 곡율이 커지고 있다.
한편, 아이언클럽에 있어서는 상기한 미리 돌아가는 현상만 아니라, 무게중심을 클럽 페이스의 토우 측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다운스윙의 속도가 초심자보다도 빠른 중급자나 상급자에 있어서는 넥크에서 뒤틀려서 클럽 페이스의 토우 측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토우다운 현상"이 발생 되기 쉬워서, 소위, 헛치기가 발생 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공고 제97-007191호(1997.05.07)는 헤드 의 무게중심이 힐사이드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힐사이드의 크기가 증가하는 만큼 토우사이드의 크기가 감소하며, 헤드 형상이 헤드 토우 측의 뒤쪽 체적을 샤프트 측의 뒤쪽 체적으로서 중량 배분하여 헤드의 무게중심을 토우 측으로부터 샤프트 측으로 이동시켜서, 샤프트 상단으로부터 하향시의 수직선을 회전중심선으로 하는 헤드 회전반경을 축소하여 헤드 중량이 균형을 이루게 하여 타격시의 헤드가 미리 돌아가는 현상, 샤프트 측의 끌어 당겨지는 현상을 억제하였으므로, 미리 돌아가는 현상을 보정 하기 위한 페이스 면의 설계는 불필요하게 되며, 헤드 페이스면의 그 전후 폭방향 곡율과 상하폭방향 곡율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면으로 형성하여서, 타격에 최적인 구면 페이스를 채용할 수 있고, 블레이드(blade)의 살두께를 첨가할 수 있게 되어서 안정된 타구가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지금까지의 골프클럽은, 클럽 헤드의 호젤 위치가 일 측 끝에 구성되어서 (호젤의 위치가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의 왼쪽이나 오른쪽 끝부분에 위치함) 호젤에 결합 되는 샤프트가 클럽헤드의 스윗스폿(Sweet spot :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점)의 중심점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골프 볼을 타격할 때 토크의 발생으로 샤프트의 뒤틀림이 생기면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힘이 분산되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하여 방향성이 떨어지고 비거리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골프클럽은 호젤이 골프클럽 페이스의 왼쪽이나 오른쪽 끝부분에 위치해 있으므로 무게 중심을 스윗스폿의 중앙에 맞추기 위해서 토우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밖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전체적인 페이스가 커지는 등 클럽헤드의 설계가 어려운 원인이 되었다.
골프클럽헤드에 샤프트를 결합하는 호젤을 구성하고 상기 호젤에 샤프트를 결합하여 클럽헤드의 페이스로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골프클럽을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가 클럽헤드의 스윗스폿을 형성하는 헤드의 무게중심점 선상을 통과하도록 호젤이 스윗스폿의 중심선상을 통과하여 구성하며, 골프클럽헤드는 토우의 무게균형을 위하여 측면상 윗부분이 튀어나와 아래측으로 들어가도록 된 구성이 제거되고 페이스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뒤측과 토우가 동일한 형상으로 성하고, 우드골프클럽헤드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일체로 결합하여 그 일 측면에 타격면인 페이스를 구성하고 별도로 가공한 호젤을 스윗스폿을 형성하는 클럽헤드의 무게중심점 선상을 통과하도록 클럽헤드내부를 관통하게 설치하여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에 일체로 용접하여 고정설치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은, 샤프트가 부착이 되는 골프클럽 헤드의 호젤 (Hosel)의 위치를 샤프트가 스윗스폿(Sweet spot :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점)을 형성하는 헤드의 무게중심점 선상을 통과하도록 하여 골프공 타격시 토크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샤프트의 비틀림이 현저히 개선이 되어 샤프트의 품질에 상관없이 방향성을 좋게 하고, 타격힘이 분산되지않고 집중함으로써 비거리가 늘어남과 동시에 무게중심을 위한 토우의 역할이 필요치않아 헤드의 타격면인 페이스가 좌우 대칭형이므로 클럽헤드의 설계가 용이하며, 클럽헤드의 페이스 크기를 작게 하여 전체적인 크기 및 볼륨을 줄여서 공기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스윙 스피드를 높이는 것은 물론, 잔디의 저항을 줄여서 러프에서 탈출이 보다 용이한 신규한 발명이다.
골프클럽헤드에 샤프트를 결합하는 호젤을 구성하고 상기 호젤에 샤프트를 결합하여 클럽헤드의 페이스로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골프클럽을 구성함에 있어서, 사프트가 클럽헤드의 스윗스폿이 형성되는 무게중심점 선상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호젤이 스윗스폿을 형성하는 헤드의 무게중심선 상을 통과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골프클럽헤드는 토우의 무게균형을 위하여 측면상 윗부분이 튀어나와 아래측으로 들어가도록 된 구성이 제거되고 페이스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뒤측과 토우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며, 우드 골프클럽헤드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일체로 결합하여 그 일 측면에 타격면인 페이스를 구성하고 별도로 가공한 호젤을 클럽헤드의 스윗스폿이 형성되는 무게중심점 선상을 통과하도록 클럽헤드 내부를 관통하게 설치하여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에 일체로 용접하여 고정설치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기존의 골프클럽과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샤프트의 토크에 대하여 살펴보면, 골프 클럽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샤프트가 가장 중요하며, 골프클럽에서 가장 비싼 부위이다.
골프 클럽의 헤드 스피드를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골프 클럽의 샤프트가 경량화 되어가고 있으며, 스틸 샤프트 보다 가벼운 그라파이트 샤프트를 많이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샤프트를 더 가볍게 하면서 양질의 토크 (Torque) 를 얻기가 만만치 않고, 가격도 상당히 고가로 된다. 골프볼을 원하는 위치로 정확히 보내기 위해 프로 골퍼가 선호하는 아이언 골프 클럽 샤프트는 그라파이트 샤프트 보다 무겁지만 토크가 아주 낮은 스틸 샤프트를 사용하며, 그만큼 샤프트는 토크가 중요하다.
샤프트 토크란 도 1에서와 같이 샤프트 끝 부분(Butt)을 고정시키고 일정한 힘으로 샤프트의 팁(Tip)을 비틀어 돌리면 샤프트가 비틀어지는데 이때 샤프트가 비틀어지는 힘에 대하여 샤프트가 견디는 정도를 말하며 그 단위는 도수로 나타낸다.
샤프트의 토크는 특히 볼의 방향성에 대단한 영향을 끼친다.
샤프트는 그 자체의 토크를 가지고 있으며 샤프트의 토크가 클수록 샤프트의 비틀림이 커지고 토크가 적을수록 샤프트의 비틀림이 적으며, 토크가 적은 샤프트일수록 일반적으로 양질의 샤프트라고 할 수 있으며, 볼의 방향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존의 골프클럽의 세부 명칭을 도 2의a인 페어웨이우드 및 우드의 정면도와 도 2의b인 페어웨이우드 및 우드의 측면도와, 도 2의c인 아이언의 정면도와, 도 2의d인 아이언의 측면도에서 살펴보면, 그립(21)이 구성되는 샤프트(20)와, 타격면인 페이스(11)를 갖는 골프클럽 헤드(10)로 구성되고, 상기 골프클럽 헤드(10)는 일 측에 상기 샤프트(20)가 결합되는 호젤(13)과, 호젤(13)의 상단에는 샤프트(20)와 호젤(13)을 단단히 결합하는 패럴(14)과, 호젤(13)과 헤드(10) 사이에 형성되는 넥(15)과, 헤드(10)의 호젤(13)이 형성된 뒷 하부의 힐(16)과, 헤드(10)의 전방 선단 상측에 형성되어 헤드(10)의 무게중심을 설정하는 토우(18)와, 지면에 닿는 솔(17)과, 페이스(11)의 표면에 형성되는 그루브(12)와, 페이스(11)의 중앙에 형성되는 스윗스폿 중심점과, 샤프트(20)와 솔(17)이 이루는 라이각도와, 샤프트(20)와 페이스(11)가 이루는 각도인 로프트각도로 구성된다.
그렇다면 기존의 골프클럽에서 토크가 발생하는 원인을 도 3에 의하여 살펴보면, 가장 좋은 가격부위인 골프클럽 헤드(10)의 스윗스폿(Sweet-spot)으로 골프공을 가격 한다고 가정하고, 골프클럽으로 정지된 골프공을 가격 할 시 그립(21)은 양손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고 보아야하며 샤프트의 끝 부분에 부착된 골프클럽 헤드(10)는 작용, 반작용에 의해 샤프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무게중심선 상의 스윗스폿 중심이 L만큼 거리를 두고 있어 골프클럽이 진행하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용이 일어나므로 골프클럽 헤드(10)는 골프클럽이 진행되는 방향인 F에서 골프클럽이 진행되는 반대 방향인 R로 모멘트가 형성되면서 샤프트(20)가 비틀리는 토크가 발생한다.
이는 샤프트(20)의 중심선과 헤드(10)의 무게중심선 상에 형성되는 스윗스폿의 중심점과의 거리가 L 만큼 벗어나 있다는 것이 토크 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기존의 골프클럽은 토크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골프클럽에서 힘의 분산이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보면, 골프클럽 헤드(10)의 무게중심선 상에 형성되는 스윗스폿(Sweet-Spot)으로 골프공을 가격 한다고 가정하고, 클럽 페이스의 스윗스폿에 가해지는 힘은 그립(21)에서 샤프트 통해 거리 L 만큼 떨어진 클럽헤드 페이스의 스윗스폿으로 굴절되어 전달되므로 이때 벡타의 분산이 야기되어 힘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골프클럽에서 발생하는 토크와 힘의 분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샤프트(20)와 헤드(10)의 무게중심선 상에 형성되는 스윗스폿의 거리인 L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인바,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도 4의a인 드라이브의 구성과, 도 4의b인 페어웨이우드 및 유틸리티우드와, 도 4의c인 아이언의 구성을 살펴보면, 골프클럽 헤드(10)의 샤프트(20)가 결합되는 호젤(13)을 헤드(10)의 스윗스폿이 위치하는 무게중심선 상을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샤프트(20)가 골프클럽 헤드(10)의 스윗스폿이 위치하는 무게중심선 상을 통과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호젤(13)과 샤프트(20)의 이동상태는 도 5의a인 페어웨이, 드라이버 클럽헤드와 도 5의b인 아이언 클럽헤드에서와 같다.
즉 샤프트(20)가 결합되는 호젤(13)을 클럽 페이스(11)의 뒤쪽의 위에서 아래로 사선으로 라이각도를 맞추어 스윗스폿이 형성되는 헤드(10)의 무게중심점 선상을 통과하도록 디자인하면 샤프트(20)의 중심선과 스윗스폿의 중심점이 일치하게 되어 스윗스폿으로 볼을 가격 하면 토크 및 힘의 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기존의 클럽과 본 발명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비교하면, 도 6에서와 같이 기존의 동일한 토크를 가진 샤프트(20)를 사용해도 본 발명이 도 6의b에서와 같이 샤프트(20)의 중심선과 스윗스폿의 중심점의 거리가 0이므로 기존의 같은 샤프트(20)를 사용해도 샤프트(20)의 뒤틀림이 개선이 되며, 스윗스폿 중심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La와 Lc가 토크가 같으므로 클럽 페이스(11) 전체의 토크 평준화를 이룰 수 있다.
기존의 골프클럽에서는 도 6a에서와 같이 샤프트(20)의 중심선과 골프공이 맞는 스윗스폿점 사이에 L이라는 거리가 생겨서 L 과 토크는 비례하게 된다.
이는 유틸리티, 페어웨이우드 및 드라이버우드 클럽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골프공을 가격 하는 힘의 분포를 살펴보면, 골프공을 가격 하기 위해 스윙을 하면 힘이 그립(21)과 샤프트(20)와 호젤(13)을 거처 클럽 페이스(11)의 스윗스폿으로 전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20) 중심선과 스윗스폿의 중심점이 일치하므로 힘의 분산이 일어나지 않아 힘의 집중으로 비거리를 개선할 수 있다.
그렇다면 기존의 골프클럽과 본 발명의 클럽헤드의 페이스를 도 7의a, b, c, d에서 비교하여 살펴보면, 클럽 페이스(11)는 기존의 골프클럽이 본 발명보다 큰데 반하여 타격면의 크기는 본 발명이 기존의 골프클럽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 골프클럽 헤드(10)는 좌우 대칭형이 아니며 클럽 헤드(10) 전체의 무게 중심을 클럽 중앙에 둠으로써 스윗스폿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호젤(13)이 일 측으로 치우쳐있어서 전체적인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해 토우(18) 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바깥으로 튀어져 나와 있으며, 그 때문에 클럽의 전체 면적도 커진다.
그리고 골프 클럽 헤드(10) 디자인에 있어 모든 것을 고려하여야 함으로 제작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은, 토우 부분이 없어지고 호젤(13)이 헤드(10)의 중심측으로 이동되어 상하 대칭이 되며 중앙 수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어 클럽헤드 정 중앙에 스윗스폿이 만들어지며 클럽 헤드(10)의 설계가 기존의 골프클럽에 비교하면 비교적으로 쉬운 편이다.
본 발명에서 골프클럽의 헤드(1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상부덮개(111)와 하부덮개(112)를 일체로 결합하여 그 일 측면에 토우가 없이 양측이 대칭으로 된 타격면인 페이스(11)를 구성하여 접합하고 별도로 가공한 호젤(13)을 클럽 헤드(10)의 스윗스폿을 형성하는 무게중심점을 통과하도록 클럽 헤드(10) 내부를 관통하게 설치하여 상부덮개(111)와 하부덮개(112)에 일체로 용접하여 고정설치 하는데, 이때 호젤(13)은 상부덮개(111)와 하부덮개(112)를 관통하며 하부덮개(112)의 호젤(13)이 결합되는 부위를 뚫음에 있어서, 구멍(113)이 호젤(13)을 잡아주도록 일체로 버(114)를 형성하거나, 도 9에서와 같이 호젤(13)이 하부덮개(112)를 관통하지않고 하부덮개(112)의 호젤(13)단부와 일치하는 지점에 엠보싱 돌기(115)를 형성하여 호젤(13)의 단부가 상기 엠보싱돌기(115)에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호젤(Hosel)(13)의 위치가 골프클럽 헤드(10)에 스윗스폿이 형성되는 무게중심점 선상을 통과하여 라이각도를 이루므로 골프공을 타격 시 샤프트(20)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토크가 발생하지 않아 볼의 방향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힘이 분산되지 않고 골프공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비거리를 개선할 수 있으며, 토우를 없애고 전체적인 클럽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타격면을 크게 하여 스윙 스피드 향상과 러프 탈출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도록 한 골프에 있어서 획기적인 발명이다.
도 1은 골프클럽 샤프트의 토크 해설 예시도.
도 2는 기존 골프클럽의 세부명칭도로서,
a는 우드의 정면도.
b는 우드의 측면도.
c는 아이언정면도.
d는 아이언 측면도.
도 3은 기존 골프클럽의 토크 발생원인과 힘의 분산 원인 예시도로서,
a는 우드 및 드라이버 예시도.
b는 아이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상태 예시도로서,
a는 드라이브 예시도,
b는 우드 예시도.
c는 아이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호젤 이동상태 예시도로서,
a는 우드 예시도.
b는 아이언 예시도.
도 6은 샤프트의 토크 비교 예시도로서,
a는 기존의 클럽 예시도.
b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 7은 골프클럽 헤드 페이스의 비교도로서,
a는 기존골프클럽 우드 예시도.
b는 본 발명의 우드 예시도.
c는 기존의 아이언 예시도.
d는 본 발명의 아이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호젤이 하부덮개를 관통한 상태의 클럽헤드 구성도로서,
a는 일부 절개 정면도.
b는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호젤이 하부덮개를 관통하지 않은 상태 예시도로서,
a는 일부 절개 정면도.
b는 측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드 11: 페이스 12: 그루브
13: 호젤 14: 패럴 15: 넥
16: 힐 17: 솔 18: 토우
20: 샤프트 21: 그립
111: 상부덮개 112: 하부덮개 113: 구멍
114: 버 115: 엠보싱돌기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골프클럽헤드에 샤프트를 결합하는 호젤을 구성하고 상기 호젤에 샤프트를 결합하여 클럽헤드의 페이스로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골프클럽을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가 클럽헤드의 스윗스폿을 형성하는 무게중심점 선상을 통과하도록 호젤이 스윗스폿을 형성하는 헤드의 무게중심선 상을 통과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골프클럽헤드는 토우의 무게균형을 위하여 측면상 윗부분이 튀어나와 아래측으로 들어가도록 된 구성이 제거되고 페이스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뒤측과 토우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한 것과, 상기 골프클럽헤드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일체로 결합하여 그 일 측면에 타격면인 페이스를 구성하고 별도로 가공한 호젤을 클럽헤드의 스윗스폿을 형성하는 무게중심점을 통과하도록 클럽헤드 내부를 관통하게 설치하여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에 일체로 용접하여 고정설치한 것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
KR1020090105597A 2009-11-03 2009-11-03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 KR101149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597A KR101149461B1 (ko) 2009-11-03 2009-11-03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597A KR101149461B1 (ko) 2009-11-03 2009-11-03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58A KR20110048858A (ko) 2011-05-12
KR101149461B1 true KR101149461B1 (ko) 2012-05-22

Family

ID=4436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597A KR101149461B1 (ko) 2009-11-03 2009-11-03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4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015U (ko) * 1996-02-12 1997-09-08 양충렬 퍼터 및 치퍼겸용 골프클럽헤드
KR19980046522U (ko) * 1996-12-28 1998-09-25 이태성 골프클럽-타면의 세로축과 샤프트 위치
KR200175802Y1 (ko) 1999-10-12 2000-03-15 안승철 골프채
KR20010087872A (ko) * 2000-03-09 2001-09-26 최원하 퍼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015U (ko) * 1996-02-12 1997-09-08 양충렬 퍼터 및 치퍼겸용 골프클럽헤드
KR19980046522U (ko) * 1996-12-28 1998-09-25 이태성 골프클럽-타면의 세로축과 샤프트 위치
KR200175802Y1 (ko) 1999-10-12 2000-03-15 안승철 골프채
KR20010087872A (ko) * 2000-03-09 2001-09-26 최원하 퍼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58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936B2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US10610746B2 (en) Golf club heads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impact response
US5601498A (en) Golf club head with shankless hosel
US9662551B2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US6102813A (en) Golf club with a hosel traversing the head
JP6450786B2 (ja) インパクトに影響を及ぼすボディ特徴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5356138A (en) Dual weight golf club set
JP6346351B2 (ja) リブ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関連方法
JP5768042B2 (ja) 複数のフェースインサート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または他の打球装置
WO1997032632A2 (en) Golf club with opening at base of the head
WO2013049304A1 (en) Golf club heads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impact response and a stiffened face plate
GB2374539A (en) A golf club
KR101149461B1 (ko) 샤프트가 헤드 페이스의 타점 중심을 통과하는 호젤을 구성한 골프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