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318B1 - Mooring structure for ship - Google Patents
Mooring structure for shi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9318B1 KR101149318B1 KR1020110144733A KR20110144733A KR101149318B1 KR 101149318 B1 KR101149318 B1 KR 101149318B1 KR 1020110144733 A KR1020110144733 A KR 1020110144733A KR 20110144733 A KR20110144733 A KR 20110144733A KR 101149318 B1 KR101149318 B1 KR 101149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lard
- mooring
- module
- ship
- guide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8—Fender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 계류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선안에 설치되는 선박 계류시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mooring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p mooring facility installed in the mooring.
일반적으로 선박은 부두나 잔교(棧橋) 등에 마련된 계선주(繫船柱)에 로프나 체인을 걸어 계류 또는 정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계선주는 기둥형태로 형성된 직주형 계선주나 머리가 굽은 형태로 형성된 곡주형 계선주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 통상 대형 선박의 계류용으로는 직주형 계선주가 사용되고, 소형 선박의 계류용으로는 곡주형 계선주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ships are moored or moored by hanging ropes or chains on mooring lines provided on docks, bridges, and the like. The mooring line is a columnar mooring line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or a curved mooring line formed in the form of a bent head is generally used, the mooring line is used for mooring of large vessels, mooring of small vessels. Curved mooring lines are used.
한편, 종래 상기와 같은 계선주는 부두나 잔교 등에 고정 설치된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즉, 계선주는 계류시켜 둔 선박에 의해 소정정도의 하중을 받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부두나 잔교 등에 고정 설치된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the mooring line as described above was generally formed of a structure fixed to a pier or a pier. That is, the mooring line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load by the mooring ship, it was common to be formed of a structure fixed to the docks, bridges, etc. in order to support such loads.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형의 계선주는 수심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수간만 등으로 인해 수심에 변화가 생기는 지역의 경우, 수심이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부두나 잔교 위에 고정 설치된 계선주와 선박의 높이가 맞지 않아 선박을 계류시키기가 곤란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조수간만의 영향을 받는 하천 변에 설치된 접안시설이나 계류시설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선박의 계류나 정박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ed mooring line as described above can not properly respond to the change in the water depth. In other words, in the area where the water depth changes due to tidal tides, etc., the water depth changes periodically.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moor the ship because the height of the ship does not match that of the mooring boats fixed on the pier or the pier. Can b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berthing facilities or mooring facilitie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iver is affected by tidal wave only, the problem that the mooring or anchoring operation of the ship can be cumbersome frequently.
또한, 선박의 높이가 부두나 잔교보다 높게 형성되는 대형 선박의 경우, 부두나 잔교에 선박을 계류시키고 승하강 시설을 통해 탑승자가 승하선하는데 특별한 어려움이 없을 수 있으나, 선박의 높이가 부두나 잔교보다 낮게 형성되는 소형 선박의 경우, 높이차로 인해 선박을 접안시킨 후 탑승자가 부두나 잔교로 승하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rge vessel in which the height of the vessel is formed higher than the pier or the pier, there may be no particular difficulty in mooring the vessel at the pier or the pier and getting on and off the passengers through the elevation facility. In the case of small vessels that are formed low, the passengers may not get on or off the pier or the remaining bridge after docking the vessel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즉, 별도의 승하선 시설이 없는 소형 선박의 경우, 선박을 부두 등에 접안 및 계류시키고, 탑승자가 자력으로 부두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와야 하는데, 선박의 높이와 부두의 높이가 차이가 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탑승자의 승하선이 쉽지 않았으며, 승하선 과정에서 미끄럼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조수간만 등에 의해 수심 변화가 있는 지역의 경우, 경우에 따라 선박와 부두 시설과의 높이차에 의해 승하선이 불가한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That is, in the case of a small ship without a separate embarkation facility, the vessel should be docked and moored to a pier or the like and the occupant should climb or descend on the pier by his own force. The boarding and unloading of the same occupant was not easy, and there was a fear that safety accidents were frequently caused due to sliding during the boarding and unloading process. In particular, in areas where the depth of water changes due to tidal tides, etc., in some cases, unloading and unloading was impossibl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hip and the wharf fac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심 변화에 적절히 대응 가능하며, 탑승자의 승하선을 보조할 수 있는 선박 계류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ship mooring facility that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depth, and can assist the passengers aboar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한 계선안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과 체결되며, 수면에 부유되어 수심 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식 볼라드 모듈;을 포함하는 선박 계류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guide rail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ooring line for mooring the vessel; And a movable bollard module fastened to the guide rail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and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depth.
이때, 상기 계선안에는 상하방향으로 볼라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볼라드 이동홈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식 볼라드 모듈이 상기 볼라드 이동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llard moving groove is formed in the mooring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llard moving groove, the movable bollard module may be form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bollard moving groove.
또한, 상기 이동식 볼라드 모듈은, 부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체결되어 구름 운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bollard module may include a body part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so as to generate buoyancy, and a roller part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ody part and engaged with the guide rail to perform rolling motion.
또한, 상기 이동식 볼라드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마련된 계선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bollard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ooring lin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이동식 볼라드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부력을 생성하는 보조부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bollard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uoy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to generate buoyancy.
또한, 상기 선박 계류시설은, 상기 가이드레일과 인접하도록 상기 계선안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전사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ssel mooring facility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ladder installed in the mooring lin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be adjacent to the guide rai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은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상하 이동됨으로써, 수심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선박을 용이하게 계류시킬 수 있다.In the ship mooring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은 승하선시 탑승자가 올라설 수 있는 지지판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승하선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승하선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p moor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function as a support plate that can be climbed by the occupant when getting on and off, and to facilitate the boarding and unloading of the occupant,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unloading in advance.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이 설치되는 계선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 계류시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박 계류시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볼라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볼라드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선박 계류시설의 작동 상태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oring plan is installed vessel moo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ship moo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ship mooring facility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ship mooring facility shown i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mobile bollard module shown in FIG. 2.
6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bollard module shown in FIG. 2.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hip mooring facility shown in FIG.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ship moo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이 설치되는 계선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oring plan is installed vessel moo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100)은 선박(미도시)을 계류시키기 위한 계선안(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계선안(10)은 선박을 수상에 정박 또는 계류시키기 위하여 해상, 하천 등에 마련되는 벽면 형태의 구조물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100)은 상기와 같은 계선안(10)에 설치되어 선박의 계류나 정박시 로프(미도시) 등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100)은 수심 변화에 따라 상하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와 같은 로프 고정 작업이나 탑승자의 승하선(乘下船) 등을 용이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 계류시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박 계류시설의 평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a ship moo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ship mooring facility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ship mooring facility shown in FIG.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100)은 계선안(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0) 및 가이드레일(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을 포함한다.2 to 4, the
가이드레일(110)은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계선안(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때, 계선안(10)에는 상하방향으로 볼라드 이동홈(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110)은 상기와 같은 볼라드 이동홈(111)의 양측면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볼라드 이동홈(111)은 계선안(10)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소정정도 인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볼라드 이동홈(111)에 가이드레일(110)이 설치된 경우, 후술할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볼라드 이동홈(111)을 따라 상하방향 이동되어, 선박 계류시설(10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The
한편,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은 가이드레일(110)과 체결되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은 수면에 부유(浮遊)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심 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볼라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볼라드 모듈의 측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the mobile bollard module shown in FIG. 2. 6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bollard module shown in FIG. 2.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은 바디부(121), 롤러부(122), 계선주(123) 및 보조부이(124)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21)는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수면에 부유될 수 있도록 내측이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즉, 바디부(121)의 내측에는 부력을 생성하는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부(121)가 일측면이 전방으로 돌출된 팔면체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바디부(121)의 외관 형상은 상기 예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롤러부(122)는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것으로, 바디부(121)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롤러부(122)는 계선안(1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0)과 체결되어 구름 운동함으로써,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때, 롤러부(122)는 바디부(121)에 고정 장착되는 롤러브라켓(122a)과, 상기 롤러브라켓(122a)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롤러(122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122)는 바디부(121)의 양측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부(121)의 좌우측에 각각 2개의 롤러부(122)가 장착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롤러부(12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한편, 계선주(123)는 계류시키기 위한 선박의 로프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디부(12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계선주(123)는 직주(直柱)형 계선주, 곡주(曲柱)형 계선주 등 다양한 형태의 계선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계선주(123)가 직주형 계선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계선주(123)는 바디부(121)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나, 로프 고정 작업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바디부(121)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바디부(121)의 하단에는 보조부이(124)가 장착될 수 있다. 보조부이(124)는 부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부유체(浮遊體)로 형성되어,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에 추가적인 부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보조부이(124)는 바디부(121)의 하단에 마련되어 수면 아래에 배치되게 되는 바,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가라앉지 않도록 충분한 부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에 사람이 올라타는 경우에도 충분히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다시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100)은 안전사다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사다리(130)는 가이드레일(110)과 인접하도록 계선안(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선안(10)에 볼라드 이동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안전사다리(130)는 볼라드 이동홈(111)의 전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2 to 4 again, the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ship moor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선박 계류시설의 작동 상태도이다.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hip mooring facility shown in FIG.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100)은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수면에 부유된 채로, 수심 변화에 따라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상하방향 이동되게 된다. 즉,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은 바디부(121)의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 및 바디부(121)의 하단에 마련된 보조부이(124)에 의해 생성되는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유되며, 수심이 변화하게 되면 바디부(121)의 양측에 마련된 롤러부(122)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구름 운동하며,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상하방향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따라서 수심 변화에도 불구하고, 바디부(121)의 일측에 마련된 계선주(123)는 항상 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로프 등을 계선주(123)에 고정시켜 선박을 용이하게 계선안(10)에 계류시킬 수 있다.Therefore, despite the change in depth, the
또한,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은 부력에 의해 항상 바디부(121)의 상부측이 수면 위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선박에 승하선시, 탑승자가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을 밟고 선박에 승선하거나, 계선안(10) 위로 용이하게 하선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21)의 하단에는 보조부이(12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에 탑승자가 올라가는 경우에도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가라앉지 않게 되며, 필요에 따라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에 내린 탑승자는 안전사다리(130)를 잡고 계선안(10) 위로 쉽게 올라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side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100)은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상하 이동됨으로써, 수심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선박을 용이하게 계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설(100)은 승하선시 탑승자가 올라설 수 있는 지지판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승하선을 용이하게 하여, 승하선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선박 계류시설 110: 가이드레일
111: 볼라드 이동홈 120: 이동식 볼라드 모듈
121: 바디부 122: 롤러부
122a: 롤러브라켓 122b: 가이드롤러
123: 계선주 124: 보조부이
130: 안전사다리100: mooring facility 110: guide rail
111: bollard moving groove 120: movable bollard module
121: body portion 122: roller portion
122a:
123: mooring line 124: auxiliary buoy
130: safety ladder
Claims (6)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체결되며, 수면에 부유되어 수심 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은, 부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바디부(121)와, 상기 바디부(121)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체결되어 구름 운동하는 롤러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시설.
A guide rail 110 installed vertically in the mooring line 10 for mooring the ship;
A mobile bollard module 120 is fastened to the guide rail 1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110 and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depth.
The movable bollard module 1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body portion 121 formed inside the space so as to generate buoyancy, and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10 and rolling motion Ship mooring facility comprising a roller portion (122).
상기 계선안(10)에는 상하방향으로 볼라드 이동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상기 볼라드 이동홈(11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이 상기 볼라드 이동홈(1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ollard mov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e mooring lin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uide rail 110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bollard moving groove 111, so that the mobile bollard module 120 moves the bollard. Ship moor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roove (111).
상기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은, 상기 바디부(121)의 일측에 마련된 계선주(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bollard module 120, the moor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oring line (12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1).
상기 이동식 볼라드 모듈(120)은, 상기 바디부(121)의 하단에 장착되어 부력을 생성하는 보조부이(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bollard module 120, the vessel mooring facility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unit (124)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21 to generate buoyancy.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인접하도록 상기 계선안(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전사다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시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hip moor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afety ladder (130) installed in the mooring lin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adjacent to the guide rail (1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4733A KR101149318B1 (en) | 2011-12-28 | 2011-12-28 | Mooring structure for shi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4733A KR101149318B1 (en) | 2011-12-28 | 2011-12-28 | Mooring structure for shi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9318B1 true KR101149318B1 (en) | 2012-05-23 |
Family
ID=4627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4733A KR101149318B1 (en) | 2011-12-28 | 2011-12-28 | Mooring structure for shi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931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4115B1 (en) * | 2013-06-20 | 2014-04-10 | 아진기공 주식회사 | Mooring and multipurpose protective device on the sea |
KR101477090B1 (en) * | 2013-01-31 | 2014-12-29 | 현대제철 주식회사 | Berthing device for ship |
KR20170035667A (en) * | 2015-09-23 | 2017-03-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ovable berthing apparatus |
KR20220042672A (en) | 2020-09-28 | 2022-04-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ovable bollard installation of ship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20002671Y1 (en) * | 1982-11-03 | 1982-12-29 | Sibada Ind Co Ltd | Ladder of seashore wall |
KR960022159A (en) * | 1994-12-09 | 1996-07-18 | 경주현 | Quayside Mooring Vessel |
-
2011
- 2011-12-28 KR KR1020110144733A patent/KR10114931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20002671Y1 (en) * | 1982-11-03 | 1982-12-29 | Sibada Ind Co Ltd | Ladder of seashore wall |
KR960022159A (en) * | 1994-12-09 | 1996-07-18 | 경주현 | Quayside Mooring Vessel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7090B1 (en) * | 2013-01-31 | 2014-12-29 | 현대제철 주식회사 | Berthing device for ship |
KR101384115B1 (en) * | 2013-06-20 | 2014-04-10 | 아진기공 주식회사 | Mooring and multipurpose protective device on the sea |
KR20170035667A (en) * | 2015-09-23 | 2017-03-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ovable berthing apparatus |
KR101724442B1 (en) | 2015-09-23 | 2017-04-07 | 삼성중공업(주) | Movable berthing apparatus |
KR20220042672A (en) | 2020-09-28 | 2022-04-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ovable bollard installation of shi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9318B1 (en) | Mooring structure for ship | |
CN104203746B (en) | There is the semisubmersible platform of the movable submersible platform stopping ship for dry type | |
CN201424119Y (en) | Boarding ladder | |
KR101384115B1 (en) | Mooring and multipurpose protective device on the sea | |
KR20130143190A (en) | Docking facility for tower on sea and tower on sea having the same | |
EP1740446B1 (en) | Device for landing a craft | |
KR20150021305A (en) | Sliding type floating power plant mooring apparatus | |
KR101127624B1 (en) | Lifting devices for the boat docked floating platform | |
KR101259029B1 (en) | boarding device for vessel | |
KR101592922B1 (en) | Electrical telescopic system for accommodation ladder | |
KR101322088B1 (en) | A pontoon for small ship wharf | |
KR102188615B1 (en) | An elevating fixing type floating platform facility | |
KR100740505B1 (en) | Anchorage Establishment with Water Level Interlocker | |
KR20140123360A (en) | Amphibian airboat | |
KR200448315Y1 (en) | The small ship berth facility in which a ladder is equipped | |
KR102181192B1 (en) | Watercraft lifting apparatus of air float type | |
KR101658615B1 (en) | 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 |
KR20150104734A (en) | Vessel mooring apparatus using pulley | |
JP4034587B2 (en) | Barrier-free slope | |
CN201362345Y (en) | Floating berthing handling system | |
KR20240162014A (en) | Device for berth of ship allowing ship be anchored stably | |
KR20240161787A (en) | Device for berth of ship allowing easy movement of workers | |
KR20240160069A (en) | Device for berth of ship for preventing waves and swells | |
KR20240160074A (en) | Safe device for berth of ship | |
KR102252154B1 (en) | Floating ship ponto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