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820B1 -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820B1
KR101148820B1 KR1020050063109A KR20050063109A KR101148820B1 KR 101148820 B1 KR101148820 B1 KR 101148820B1 KR 1020050063109 A KR1020050063109 A KR 1020050063109A KR 20050063109 A KR20050063109 A KR 20050063109A KR 101148820 B1 KR101148820 B1 KR 10114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infrared heater
temperature
use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125A (ko
Inventor
박종명
Original Assignee
박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명 filed Critical 박종명
Priority to KR102005006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820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박스를 구비함으로써, 근적외선 히터를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는 근적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발열량을 조절하거나 온/오프 시키기 위한 히터 구동부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히터를 제어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난방에 따른 희망 온도를 설정시키는 키 입력부와, 사용자 주변의 현재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희망온도와 상기 온도 감지부를 통하여 검출된 현재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발열체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는 소정 시간동안 구동한 후에 상기 발열체를 오프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입력하는 대기 시간 입력 키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근적외선 히터, 컨트롤 박스, 온도 감지부, 마이콤

Description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CONTROL DEVICE FOR INFRARED RAY IRRADIATING MULTI-PLEATED TUBE TYPE HE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히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히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근적외선 히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순차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근적외선 히터 본체
2: 발열체 3: 반사판
4: 보호망 5: 히터 송수신부
6: 히터 제어부 8: 히터 구동부
9: 히터 온도 감지부 10: 키 입력부
11: 온도 설정키 12: 대기 시간 설정키
13: 절환 키 20: 표시부
30: 컨트롤 박스 온도 감지부 40: 마이컴
50: 사용자 유무 감지부 70: 컨트롤 박스 송수신부
100: 근적외선 히터 200: 컨트롤 박스
300: 삼각대
본 발명은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박스를 구비함으로써, 근적외선 히터를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적외선 히터는 기존의 대류식 온풍기나 공기 가열 방식의 종래의 히터와는 달리, 근적외선을 인체에 직접 조사하여 발열케 하는 방식이므로,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적외선의 우수한 직진성(直進性)으로 인하여 난방 효과가 먼 거리에 미치며 특히 하방에 대한 난방 효과가 크므로 옥내용뿐만 아니라 골프 연습장 등과 같은 옥외용으로도 적합하며, 연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먼지와 소음 및 냄새가 없어서 차세대 히터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종래 근적외선 히터에 있어서는, 발열체를 갖는 히터가 벽체나 천장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직접 상기 발열체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발열량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근적외선 히터는 공기를 가열함이 없이 열을 파장으로 전달하므로, 신속한 난방이 가능한 대신 전원을 차단하였을 경우 난방 효과가 급속히 저감된다. 이에 따라, 종래 근적외선 히터는 사용자가 적정 난방을 유지하기 위하여 히터를
자주 온/오프 제어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골프 연습장과 같은 옥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근적외선 히터의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더라도 이를 골프 연습에 집중하고 있는 사용자는 인식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과열로 인한 발열체를 포함하는 히터의 수명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과도하게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에 따라 히터의 발열량을 자동 조절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시킨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히터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히터를 자동적으로 오프 제어함으로서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근적외선 히터의 온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는, 근적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발열량을 조절하거나 온/오프 시키기 위한 히터 구동부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히터를 제어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난방에 따른 희망 온도를 설정시키는 키 입력부와, 사용자 주변의 현재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희망온도와 상기 온도 감지부를 통하여 검출된 현재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발열체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는 소정 시간동안 구동한 후에 상기 발열체를 오프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입력하는 대기 시간 입력 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는 난방공간내에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유무 감지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 유무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 시간 입력키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할 경우 상기 마이컴에서 상기 발열체를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 설정키와 상기 대기 시간 설정키로 서로 절환하기 위 한 기능 절환키가 더 구비되고, 상기 근적외선 히터에는 히터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다른 온도 감지부가 부착되어 있어 적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마이콤에 의해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구동 오프(off)되어 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희망온도를 디지털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본체와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간 송수신하기 위해 각각 유선 또는 무선 송수신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 히터는, 삼각대에 삽입되는 하나의 주축 상측에 히터 고정판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근적외선 히터가 부착되는 스탠드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축 상측에 결합고정되는 고정판이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고정판에 부착되는 상기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는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전체적으로 우산 형태를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삼각대의 주축의 소정 위치에는 삼각대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 노브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 고정판에 회전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근적외선 히터가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히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히터(100)는, 그 내부에 발열체(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가 마련된 본체(1)와, 상기한 본체(1)내에 수용된 발열체(2)로부터 발생된 근적외선을 전방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발열체(2)의 후방에 설치된 반사판(3)과, 외부로부터 발열체(2)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본체(1) 전면에 구비된 보호망(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서는 컨트롤 박스(200)와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5)가 구비되어 컨트롤 박스(200)의 제어에 따라 근적외선 히터(100)가 조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현재의 히터의 상태 정보를 컨트롤 박스(200)로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리드 선에 커넥터를 사용하여 근적외선 히터(100)와 컨트롤 박스(200)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근적외선 히터(100)에는 히터의 온도 감지부(9)가 부착되어 있어 적정 온도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히터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에너지의 과도한 낭비를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히터의 온도 감지부(9)는, 히터(100)에 직접 열적으로 접촉시켜 열평형상태에 도달한 뒤 온도를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로서 백금저항온도센서, 부특성(NTC) 서미스터, 정특성(PTC) 서미스터, 열전대(Thermocouple), 방사온도계 또는 IC 온도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식 센서로서, 가열된 히터(100)로부터 방출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열방사 온도 감지 센서나 열에너지의 이동을 측정하는 열류센서 온도 감지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온도 감지 센서는 널려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개 이상의 근적외선 히터(100)가 삼각대(300)에 부착된 스탠드형 히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한 삼각대(300)는 3개의 다리(301)와, 3개의 다리가 모여 고정되는 위치에 삽입되는 하나의 주축(303)과 주축의 상측에 소정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100)를 고정하기 히터 고정판(304)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삼각대(300)의 주축(303)의 소정 위치에는 삼각대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 노브(302)가 형성되어 있어 삼각대(300)에 고정된 근적외선 히터(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한 히터 고정판(304)은 통상의 회전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100)가 선풍기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사방으로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와 이에 연결된 회전축을 갖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스탠드형 히터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100)를 고정하기 히터 고정판(304)이 다수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스탠드형 히터가 우산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그 차이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형 히터의 주축(303)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3개의 고정대(305)가 결합수단(도면번호 미부여)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상기 3개의 고정대(305)는 각각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100)를 고정하는 3개의 고정판(304)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3개의 고정판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100) 모두가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스탠드형 히터가 우산 형태를 하고 있음으로, 히터의 열이 하방향의 넓은 지역으로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근적외선 히터(100)를 고정하는 3개의 고정판(304)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판(304) 및 근적외선 히터(100)의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정대(305) 및 이에 연결된 고정판(304)은 통상의 회전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히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100)가 부착된 스탠드형 히터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박스(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컨트롤 박스(200)의 외형은 대략 육면체 형태을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형이나 반구형 등도 가능하며 그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200)의 내부는 후술하는 기능들을 수 행하기 위한 회로들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박스(200)는, 사용자에 의해 난방에 따른 희망온도를 입력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소정시간 만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소정시간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근적외선 히터(100)를 오프(off)시키는 대기 시간을 입력시키기 위한 온도 및 시간 설정키(11)(12)와, 희망 온도나 대기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한 설정키(11)(12)를 희망 온도 설정이나 대기 시간 설정으로 절환하기 위한 기능 절환키(13)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희망온도나 사용자 주변의 현재 온도를 디지털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22)와, 히터(100)에 마련된 송수신부(5)로 제어 신호 등을 송신하거나 히터(100)의 현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송수신부(70)와,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유무 감지부(50)와, 난방에 따른 사용자 주변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80)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근적외선 히터(100)는, 전원을 인가 받아 근적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발열체(2)와, 상기한 발열체(2)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발열량을 조절하거나 온/오프 시키기 위한 히터 구동부(8)와, 상기한 히터 구동부(8)를 미리 프로그램화된 제어 순서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히터 제어부(6)와, 상기한 히터 제어부(6)에 컨트롤 박스(200)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히터 제어부(6)의 제어 신호를 컨트롤 박스(200)에 송출하기 위한 송수신부(5)와, 발열체(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7)와 난방에 따른 히터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열체(2)는 히터 구동부(8)에 의해 전원부(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근적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전원부(7)와 접속된 히터 구동부(8)와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된다.
상기한 히터 구동부(8)는 반도체 스위칭소자 즉, N형 MOSFET로 구성되며, 전원(12)과 발열체(2)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히터 구동부(8)는 히터 제어부(6)와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의 포토 커플러(미도시)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에 따라, 히터 구동부(8)에는 포토 커플러를 통하여 히터 제어부(6)의 입력신호를 인가 받고, 이 입력신호가 히터 구동부(8)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서 MOSFET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그 결과 히터 구동부(8)는 히터 제어부(6)의 프로그램화된 스위칭신호에 근거하여 발열체(2)의 발열량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히터 제어부(6)는 컨트롤 박스(200)로부터 출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히터 구동부(8)를 제어하여 발열체(2)의 발열량을 다단 제어하거나 히터를 온/오프 제어한다. 또한, 히터 제어부(6)는 초기구동시에는 컨트롤 박스(200)의 송수신부(70)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에러체크를 수행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 제어부(6)와 컨트롤 박스(200)와의 신호 송수신은 무선도 가능하나 전선을 통한 유선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한 히터(100)의 송수신부(5)는 컨트롤 박스(200)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5-1)와, 초기구동시 에러체크를 위한 데이터나 구동중인 히터(100) 본체의 상태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5-2)로 구성된다. 수신부(5-1) 는 일례로 IR 모듈로 구성되며 컨트롤 박스(200)로부터 출력된 빛을 포토 TR(미도시)을 통하여 검출하고 이 검출된 신호를 히터 제어부(6)가 분석 가능하도록 적절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송신부(5-2)는 히터 제어부(6)의 지령에 따른 신호를 빛으로 송출하기 위한 적외선 LED(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송신부(5-1) 및 수신부(5-2)는 RF 송수신기로도 대체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송수신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방식에 의한 송수신도 가능하다.
한편, 컨트롤 박스(200)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난방에 따른 희망온도를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소정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다수의 히터(100)를 오프시키기 위한 대기시간을 입력받는 온도 및 시간 설정키(11)(12)와 상기한 설정키(11)(12)를 온도 설정키나 시간 설정키로 절환하기 위한 기능 절환키(13)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0)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희망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희망 온도 설정 표시부(21)와 온도 감지부(80)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주변의 현재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현재 온도 표시부(22)를 포함하는 표시부(20)와, 난방 공간내의 사용자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유무 감지부(50)와, 난방에 따른 사용자주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80)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희망온도나 대기시간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60)와, 히터(100) 본체의 히터 제어부(6)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희망온도로 발열체(2)의 발열량을 조절하거나 사용자의 감지유무에 따라 히터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수의 히터(100)가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히터 고정판(304)에 연결된 회전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거나 기타 미 리 프로그램화된 제어 순서에 따라 다수의 히터(10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마이컴(40)과, 마이컴(40)의 지령을 히터로 송출하거나 다수의 히터(10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컴(40)에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송수신부(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마이컴(40)은 근적외선 히터(100)의 본체의 현재 가열 온도를 히터 온도감지부(9)로부터 입력받아 적정 이상의 히터 온도인 경우는 히터 구동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키입력부(10)는 기능 절환키(13)를 통하여 사용자의 희망온도나 대기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즉, 기능 절환키(13)의 최초상태에서 키 11, 12는 희망 온도 설정키로, 눌렀을 때에는 시간 설정키로 절환된다. 일례로, 희망 온도가 25℃로 설정되었다 가정하면 사용자가 키 11(up), 12(down)를 조작하여 희망 온도를 가감(加減)할 수 있게된다. 또, 대기 시간이 5분으로 설정되었다 가정하면 사용자가 기능절환키(13)를 조작하여 키 11, 12를 시간 설정키로 절환한 다음 키 11, 12를 조작하여 대기시간을 가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표시부(20)는 키 11, 12가 희망온도설정키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희망온도와 온도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 주변의 현재온도를 각기 표시하고, 키 11, 12가 기능절환키로 사용될 경우 대기시간을 표시한다. 따라서, 기능 절환키(13)를 조작하여 현재 설정된 대기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대기 시간을 설정은 통상의 타이머 회로, 즉, 온(ON) 스위치를 누르면 타이머에 전원이 흘러 순시접점을 닫아 자기유지 되고,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후에는 한시접점을 열어 타이머의 전원을 차단하여 처음상태로 되는 타이머 회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널리 알려진 여러 가지의 타이머 회로를 이용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유무 감지부(50)는 난방 공간내의 사용자 유무(有無)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인체감지용 적외선센서를 들 수 있다. 인체감지용 적외선센서는 강유전체가 인체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적외선을 받으면 그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자발분극의 변화를 일으키고 그 변화량에 비례하여 전하가 유기되는데, 이러한 초전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온도 감지부(30)는 난방에 따른 사용자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발열체로부터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컨트롤 박스(200)에 직접 열적으로 접촉시켜 열평형상태에 도달한 뒤 온도를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로서 백금저항온도센서, 부특성(NTC) 서미스터, 정특성(PTC) 서미스터, 열전대(Thermocouple), 방사온도계 또는 IC 온도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식 센서로서, 컨트롤 박스(200) 주위의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난방에 따른 사용자 주변의 온도를 전자기파를 이용한 열방사 온도 감지 센서나 열에너지의 이동을 측정하는 열류센서 온도 감지기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외기 스위치를 이용한 바이메탈 타입으로 온도 감지 센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온도 감지 센서는 널려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메모리(60)는 마이컴(40)의 제어 순서가 저장된 ROM(미도시)과, 키 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된 희망온도나 대기시간등을 저장하기 위한 RAM(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며, 대기시간의 경과로 히터가 오프된 경우 사용자가 재차 감지되면 마이컴(40)은 기 저장된 희망온도나 대기시간 등을 RAM으로부터 읽어들여 히터를 재차 작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60)는 RAM에 저장된 정보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전원이 공급된다. 다만,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기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지 않는 비휘발성 기억소자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전원장치가 불필요함은 당연하다.
마이컴(40)은 기능 절환키의 조작에 따라 키 11, 12를 희망온도설정키나 대기시간입력키로 그 기능을 절환하고,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희망온도나 대기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사용자의 희망 온도와 온도 감지부를 통하여 검출된 현재 온도를 비교하여 히터의 발열량을 제어하기 위한 지령을 송신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유무 감지부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그 시간을 카운트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히터를 오프시키기 위한 지령을 송신부를 통하여 출력하며, 대기시간내에 사용자가 재차 감지되면 카운트된 시간을 리셋시키고, 초기구동시 히터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에러체크를 수행하며, 메모리에 프로그램화된 제어 순서에 따라 히터를 원격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컨트롤 박스 송수신부(70)는 초기 구동시 에러체크를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신부(71)와, 히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72)로 구성된다. 수신부(71)는 일례로 IR 모듈로 구성되며 히터의 송신부(5-2)로부터 출력된 빛을 포토 TR(미도시)을 통하여 검출하고 이 검출된 신 호를 마이컴(40)이 분석 가능하도록 적절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송신부(72)는 마이컴(40)의 지령에 따른 신호를 빛으로 송출하기 위한 적외선 LED(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송신부(72) 및 수신부(71)는 RF송수신기로도 대체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송수신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방식에 의한 송수신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근적외선 히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순차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예컨데 골프 연습장의 골프 연습자가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100)가 부착된 스탠드형 히터를 이용하여 난방을 할 경우 컨트롤 박스(200)의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컨트롤 박스(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컴(40)과 히터 제어부(6)는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여 초기화 및 에러체크를 수행한다.
이어서, 마이컴(40)은 전원이 인가되었는가를 판단하고(S11),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유무 감지부(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한다(S12).
사용자가 난방공간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13), 마이컴(40)은 카운트된 대기 시간을 리셋(reset)시킨다(S14). 여기서는 최초 운전이므로 카운트된 대기시간이 없음은 당연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예컨데 골프 연습장 내의 난방 공간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13), 단계 S131로 진행한다.
이어서, 마이컴(40)은 메모리(60)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기 저장된 정보가 있는가를 판단한다(S15). 여기서는 최초 운전이므로 기 저장된 정보가 없음은 당연할 것이다. 다만, 제품 출하에 앞서 기본 정보를 미리 프로그램시킨 경우에는 기본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별도로 사용자가 난방 희망온도 및 대기시간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히터는 미리 프로그램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난방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이컴(40)은 메모리(60)에 기 저장된 정보가 없을 경우 입력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151). 이어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0)를 조작하여 난방 희망온도와 대기시간을 입력할 경우, 마이컴(40)은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60)에 저장한다. 그 후, 전술한 S11-S14를 수행한 후 기 저장된 정보가 있는지를 재차 판단한다(S15).
만약, 사용자에 의해 희망온도 및 대기시간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S152), 마이컴(40)은 입력대기상태를 유지한다(S151).
기 저장된 정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15), 마이컴(40)은 기 저장된 정보(희망온도)에 근거하여 히터구동 신호를 송신부(72)를 통하여 송출한다(S16). 또한, 마이컴(40)은 표시부(20)를 통하여 희망 온도를 표시한다.
이후, 마이컴(40)은 온도 감지부(30)를 통하여 현재온도를 읽어들인다(S17). 또한, 마이컴(40)은 표시부(20)를 통하여 현재온도를 표시한다.
이어서, 마이컴(40)은 온도 감지부(30)를 통하여 읽어들인 현재 온도와 메모리에 기 저장된 희망설정온도를 비교 판단한다(S18).
난방에 따른 현재 온도가 희망 온도보다 같거나 더 높으면, 마이컴(40)은 히 터 구동 오프(off) 송신부(72)를 통하여 히터측에 송출한다(S181).
만약, 난방에 따른 현재 온도가 희망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마이컴(40)은 히터 구동 신호를 송신부(72)를 통하여 히터측에 송출하게 된다(S19).
이후,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현재 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검출될 경우(S182), 마이컴(40)은 히터를 재차 구동시키기 위해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한편, 난방 운전중 단계 S13에서 사용자가 난방 공간내에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13), 마이컴(40)은 대기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어서, 마이컴(40)은 카운트된 대기시간과 메모리(60)에 기 저장된 대기시간을 비교하여 기 저장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33으로 진행하여 히터구동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송신부(72)를 통하여 히터측에 송출한다(S133).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계속적인 난방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된다.
만약, 단계 S132에서 기 저장된 대기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은 단계 S131, S132를 반복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스코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박스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히터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히터를 자동적으로 오프 제어함으로서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근적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발열량을 조절하거나 온/오프 시키기 위한 히터 구동부로 이루어진 근적외선 히터를 제어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난방에 따른 희망 온도를 설정시키는 키 입력부와,
    사용자 주변의 현재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희망온도와 상기 온도 감지부를 통하여 검출된 현재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발열체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 감지부는, 백금 저항 온도 센서, 부특성(NTC) 서미스터, 정특성(PTC) 서미스터, 열전대(Thermocouple), IC 온도센서, 열방사 온도 감지 센서, 열류센서 온도 감지기, 외기 스위치를 이용한 바이메탈 타입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근적외선 히터가 적어도 2개 이상이 부착되는 스탠드형 근적외선 히터이며, 상기 스탠드형 근적외선 히터는, 삼각대에 삽입되는 하나의 주축 상측에 히터 고정판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근적외선 히터가 부착되며, 상기 주축 상측에 결합고정되는 고정판이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고정판에 부착되는 상기 다수의 근적외선 히터는 아래 방향을 향하며, 상기 삼각대의 주축의 소정 위치에는 삼각대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 노브가 형성되며, 상기한 히터 고정판에 회전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근적외선 히터가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소정 시간동안 구동한 후에 상기 발열체를 오프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입력하는 대기 시간 입력 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는 난방공간내에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감 지하기 위한 사용자 유무 감지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 유무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 시간 입력키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할 경우 상기 마이컴에서 상기 발열체를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히터에는 히터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다른 온도 감지부가 부착되어 있어 적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마이콤에 의해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구동 오프(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희망온도를 디지털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본체와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간 송수신하기 위해 각각 유선 또는 무선 송수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50063109A 2005-07-13 2005-07-13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KR10114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109A KR101148820B1 (ko) 2005-07-13 2005-07-13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109A KR101148820B1 (ko) 2005-07-13 2005-07-13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125A KR20070008125A (ko) 2007-01-17
KR101148820B1 true KR101148820B1 (ko) 2012-05-25

Family

ID=3801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109A KR101148820B1 (ko) 2005-07-13 2005-07-13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8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192A (ko) * 2001-10-05 2003-04-14 (주) 케이티티에스 근적외선히터의 온도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192A (ko) * 2001-10-05 2003-04-14 (주) 케이티티에스 근적외선히터의 온도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125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6159A1 (en) Temperature sensing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improvements for cooking appliances
US7791004B2 (en) Fluid heating system and method
US8008604B2 (en) Low profile heater
ES2306935T3 (es) Dispositivo de calefaccion electrica con detector de corriente.
EP4231545A2 (en) Temperature sensing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improvements for cooking appliances
NO151022B (no) Temperatur-reguleringssystem
US4831225A (en) Microwave oven/convection oven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ventilation of the cooking chamber
JP2513005B2 (ja) 空気調和機
US7268324B2 (en) Electric cooking assembly with hot-warning indicator
JP2012502410A (ja) 加熱制御装置及び加熱制御方法
US20030225542A1 (en) Electronic fan capable of automatic fan speed adjustment according to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s
KR101148820B1 (ko) 근적외선 히터의 컨트롤 장치
US6624394B2 (en) System for obtaining a uniform air temperature in a discrete space
US20170343240A1 (en) Combination cooling and heating fan structure
US6169850B1 (en) Air heating device
AU8036687A (en) Condition controlling system
WO200407718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gulating room temperature with plug-in heaters or air conditioners
KR200260146Y1 (ko) 근적외선 히터의 온도제어장치
KR20030029192A (ko) 근적외선히터의 온도제어장치
SE502882C2 (sv) Mikrovågsugn med undervärme
KR200180833Y1 (ko) 가정용 온열 혈액촉진/통증치료기의 제어장치
KR101180402B1 (ko) 피사체 열감지 가능한 고안전성 난방기
JPH0579675A (ja) 輻射温度制御方法及び輻射温度制御装置
US20030225480A1 (en) Electric fan operable in a breeze-simulating mode
EP0556168A1 (en) Thermost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