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479B1 - 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 - Google Patents

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479B1
KR101146479B1 KR1020100058336A KR20100058336A KR101146479B1 KR 101146479 B1 KR101146479 B1 KR 101146479B1 KR 1020100058336 A KR1020100058336 A KR 1020100058336A KR 20100058336 A KR20100058336 A KR 20100058336A KR 101146479 B1 KR101146479 B1 KR 10114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shell
weight
catch
cephalo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0583A (en
Inventor
고영로
Original Assignee
고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로 filed Critical 고영로
Priority to KR102010005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479B1/en
Publication of KR2010008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4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두족류가 진입 가능한 유인구(106)가 형성된 바닥면(101)과 바닥면(101)의 적어도 일부를 비스듬히 감싸듯이 형성된 경사면(102)과 로프연결구(110) 그리고 내부에 무게추 수납공간과 미끼부착면이 형성된 공각체(100) 두 개를 이용한 포획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포획방법은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기능적인 형상으로 공각체(100)을 만들었다. 공각체 두 개를 대칭으로 합치면 조개모양의 포획공간을 이루며, 공각체 외부에는 통상의 금속제 무게추를 모르타르(mortar)로 대체한 무게추가 수납 후 돌기형상으로 돌출되어 해저 바닥에서의 위치고정 역할을 하고 공각체 내부에는 도포된 액상의 미끼(동물의 지방질 등)를 조류에 흘려보내지 않고 최대한 움켜쥐는 역할을 하는 미끼 부착면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포획구는 기존의 포획구와 비교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면서도 가변 침전 특성, 미끼 유지 특성 등 기능적 측면으로는 동등하거나 오히려 더 뛰어나다.
또한 본 포획구는, 빠른 시간 내에 다수의 포획구에 미끼를 첨가할 수 있고, 한가지 형상의 공각체 부품으로만 운용되므로 부분적으로 파손된 포획구의 부품교환과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대량의 포획구를 로프에 매달아 운용하는 쭈꾸미 어업에서 특히 뛰어난 생산성 향상효과가 있으며, 무게추 용 모르타르가 삽입되는 부분을 1~4 군데로 적절히 조절하여 침전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각 지역별, 계절별로 폭넓게 변하는 해저특성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An inclined surface 102 and a rope connector 110 formed to obliquel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01 and the bottom surface 101 on which the cephalopod enters the inlet 106, and the weight storage space and the bait attachment surface therein. Disclosed is a capture port using two formed shell 100. The capture 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pture method using the same made the shell 100 in a simple and functional shape as possible to economically mass production. When two symmetrical bodies are symmetrically combined, they form a shell-like capture space.On the outside of the symmetrical body, the weights that replace the ordinary metal weights with mortar are projected into protrusions and fixed at the bottom of the seabed. The inside of the shell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the bait attachment surface, which serves to grasp the applied liquid bait (animal fat, etc.) as much as possible without sending it to the algae.
Compared with the existing catch, the catch has a very simple structure,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ut is equivalent or rather superior in terms of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variabl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bait reten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catch can be used to add a bait to a plurality of catches in a short time, it is only convenient to replace the parts and maintenance of the partially damaged catch because it is operated only with one piece of the shell. As a result, it is especially effective in the fishing of aquatic fish that hangs a large number of catches on ropes. Flexibility to cope with changing seabed characteristics

Description

미끼 부착면과 돌출형 무게추 돌기가 형성된 두족류 포획구 및 상기 포획구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방법.{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Cephalopod seizure capture method using the capture and the cephalopod seizure method formed with a bait attachment surface and protruding weight projections. {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

본 발명은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미끼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된 두족류 포획용 어구와 이를 이용한 경제적인 두족류 포획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phalopod catching gear designed in a shape that can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reduce the loss of bait and an economical cephalopod capture method using the same.

대량으로 포획되는 두족류 중 하나인 주꾸미(이하 낯익은 표현으로 쭈꾸미)는 주낙을 이용하여 포획하거나 소라, 조개의 껍질을 주낙과 유사하게 로프에 매달아 해저에 가라앉혔다가 꺼내는 방법으로 포획하여 왔다.One of the large quantities of cephalopods, Chukkumi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familiar expression), has been captured by trapping by using a juna or by hanging a shell of a seashell or a clam on a rope similar to that of a sakura and sinking it to the seabed.

최근 천연의 소라, 조개 껍질을 대량으로 구하기가 점차 힘들어짐에 따라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출성형으로 인공의 두족류 포획구를 만들어 기존의 천연 포획구를 대체하고 있는 바, 그 대표적인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아래의 특허, 실용문헌과 같다.Recently, as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obtain a large amount of natural conch and clam shells, the artificial cephalopod trap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using plastic, replacing the existing natural trap, and the representative prior arts are described below. , The same as the practical literature.

참고로 한국에서, 쭈꾸미 어업이 주로 이루어지는 남해안과 서해안의 바다 밑 환경은 매우 다르다.For reference, in South Korea, the submarine environment on the south coast and west coast where fishing is mainly used is very different.

남해안은 해저면이 부드럽고 해수의 유속이 느린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무거운 포획구는 무른 뻘 속에 깊게 파묻혀 유인용 입구가 폐쇄되기 쉽다.The southern coast is characterized by soft bottoms and slow seawater flow. Therefore, overly heavy catches are deeply buried in soft shells, making it easy to close the manned entrance.

반면에 서해안은 남해안에 비해 해저면이 비교적 딱딱하고 해수의 유속이 빠르다. 즉 포획구가 지나치게 가벼울 경우, 단단한 뻘에 제대로 박히지 않아 조류에 떠밀려 흘러갈 수 있다.The west coast, on the other hand, has a relatively hard sea floor and a high velocity of seawater compared to the south coast. In other words, if the catch is too light, it will not be properly embedded in the hard shell and may be pushed by the algae.

따라서 인공 쭈꾸미 포획구를 설계할 때는 하나의 형상으로도 여러 지역의 해저특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가변적인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설계하는 것이 제품의 경쟁력에 중요하다. 그러나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남해안과 서해안의 해저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하거나, 또한 쭈꾸미 유인용 미끼를 포획구에 적절히 추가하는 설계개념은 나와있지 않다.Therefore, when designing an artificial squash catch, it is important for the product's competitiveness to design a configuration with a variable function that can be applied to all the seabed characteristics of various regions even with a single shape. However, when looking at the prior art document below, the design concept of designing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south and west coasts undersea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or adding appropriately the lure lure lure to the catch is not shown.

특허문헌1. 10-0846059 소라 모형의 포획구에 무게추를 아래쪽으로 배치하고 로프 연결부를 회전부로 설계하여 입구가 해저에 묻히는 현상을 개선한 것.Patent Document 1. 10-0846059 Improved phenomenon that the entrance is buried in the seabed by placing the weight at the bottom of the conch model and designing the rope connection part as the rotating part.

실용문헌1. 20-0446237 특허문헌1과 유사하며, 좌우 이등분 사출 성형하여 무게추 수납조립이 쉽도록 개선한 것.Utility Documents 1. 20-0446237 Similar to Patent Document 1, it is improve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weight weight by bilateral injection molding. 실용문헌2. 20-0344846 실용문헌1과 유사하며, 무게추를 아래로 장착한 본체에 분리식 뚜껑을 끼워서 체결한 것.Utility literature 2. 20-0344846 Similar to Practical Document 1, fastened by attaching a detachable lid to a body with a weight attached downward. 실용문헌3. 20-0333548 조개모형의 포획구 상판과 하판 내부에 각각 무게추를 내장한 것.Utility literature 3. 20-0333548 Internal weights inside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shell model.

두족류 포획구에 관해 현재까지 공개된 기술구성을 살펴보면 주된 개량의 포인트는 포획구의 입구위치를 잘 설계하여 포획구 입구가 뻘에 박히지 않도록 하는 점과, 둘로 나뉘어진 포획구 껍질체를 사출 성형할 때 무게추의 결합위치 또는 무게추 수납공간의 위치를 개량하여 역시 포획구 입구가 거꾸로 박히지 않게 하고, 조류의 움직임에도 포획구의 자세가 바르게 유지되게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The major technical improvement of the cephalopod catching area so far is that the main point of improvement is to design the catching hole inlet well so that the catching hole inlet does not get stuck, and when the injection shell shell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improv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weight or the position of the weight storage space is also to keep the entrance of the catch is not upside down, and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catch correctly even in the movement of birds.

그러나 위와 같은 문제점 말고도 인공의 포획구 설계 제작시에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설계 특성이 있다.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design characteristic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sign of artificial capture port design.

대표적으로 포획구 부품의 형상을 최대한 단순화하여 제조단가를 낮추는 것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지역 해안의 특성에 고루 적응할 수 있도록 포획구의 침전 특성을 다변화 하는 것이다.Representatively, it i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shape of the catch part as much as possible and to diversify the catch characteristics of the catch so as to adapt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ast.

포획구의 침전 특성을 다변화 하면 한 종류의 형상으로도 각 지역 해안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제품의 적용범위가 넓어져 대량생산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이는 곧 단위 제품당 제조단가의 하락으로도 직결된다.By diversifying th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atch,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all of them in one type of shape in the coast of each region. Therefore,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product is widened, which makes mass production easier. It is directly connected.

또한 쭈꾸미 어업의 경우 전체 포획구 운용개수와 각 포획구의 형상특성 상 조류 속에서 미끼를 움켜쥐고 있기가 어려우므로, 선행기술의 포획구에서는 미끼 없이 단순히 좁은 공간에 숨기를 좋아하는 두족류의 연체동물적 특성만을 이용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육식성인 쭈구미의 기호를 자극하거나 쭈꾸미의 먹이가 되는 치어, 새우 등을 유인하여 결과적으로 쭈꾸미까지 유인할 수 있는 미끼를 같이 첨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쭈꾸미가 포획구 내에 갇히는 시간이 빨라지므로 주낙의 해저투척 후 최종 인양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업생산성이 올라가게 되고 상대적으로 말한다면 포획구의 생산성 당 제작단가의 하락으로 이어진다.Also, in the case of squash fishing, it is difficult to grab the bait in the algae due to the total number of catches and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each catch, so in the catches of the prior art, mollusks of cephalopods prefer to hide in a narrow space without bait. Although it is only used, it is good to design it in such a way that it can stimulate the taste of carnivorous Tsukumi or attract the fry, shrimp, etc. which are the food of Zukumi, and consequently add the bait that can attract Utsukumi. In this case, the time to actually trap the squash in the catching hole is substantially shortened, thus shortening the time until the final salvage after throwing the nacre. As a result, fisheries productivity rises and, relatively speaking, leads to a drop in production cost per productivity of catch.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두족류 포획구에서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제조단가상의 경제적인 측면과, 판매가능 지역을 넓히기 위한 제품 성능상의 가변적 특성, 그리고 본 포획구를 이용한 어업방법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창안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conomical aspects of manufacturing cost that was not thought of in the conventional cephalopod catching port,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of product performance to expand the marketable area, and the aspect for improving productivity in the fishing method using the catching port. It was created with overall considera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 창작수단은 다음과 같다.The main technical creativ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먼저 포획구를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기능적인 형상으로 공각체(100)을 만들고 단위 공각체 두 장을 대칭적으로 결합하였을 때 조개모양의 포획공간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First, to make the capture sphere economically mass production, it was possible to achieve the shell-like capture space when making the shell 100 with the simplest and functional shape as possible and combining two units of the shell symmetrically.

다음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금속제 무게추를 모르타르(mortar)로 대체하되 이의 장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포획구의 해저면 고정용 돌기역할을 하는 공각체의 바닥면상 수납공간에 모르타르를 채워 굳히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때 굳어진 모르타르는 해저면에 박힐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외부돌기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포획구의 가변적인 침전특성을 발휘하는 가변하중 무게추(300)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Next, it replaces expensive metal weights with mortar, but adopts a method of filling the mortar with the mortar in the storage space on the bottom of the shell, which serves as the bottom fixing projection of the catch for easy installation. . At this time, the hardened mortar serves as a variable load weight (300) that serves as an external protrusion having strength that can be embedded in the sea bottom and at the same time exhibits variabl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atch.

마지막으로 경제적이면서도 포획효율이 높은 미끼를 이용하여 포획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각체 내부에 도포된 액상의 미끼(동물의 지방질 등)를 조류에 흘려보내지 않고 최대한 움켜쥐는 역할을 하는 미끼 부착돌기를 다수 형성하였다.Lastly, the lure attachment protrusion is used to grab the liquid lure (animal fat, etc.) applied inside the shell to the algae, so that the fishing can be carried out using economical and high capture efficiency. Formed a large number.

본 발명에 따른 포획구는 기존의 금속제 추를 결합한 포획구나 2부품 이상의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단위부품으로 조립되는 포획구와 비교하여 매우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기능적(가변 침전 특성, 미끼 유지 특성 등)으로는 동등하거나 오히려 더 뛰어난 효과가 있다.The c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compared to the catch which is combined with the existing metal weight or the catch which is assembled into unit parts having different shapes of two or more parts, and thus can be reduced in manufacturing cost and functional (variabl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bait retention characteristics, etc.) Equally effective or even better.

또한 본 발명의 포획구에 의한 포획방법은 단순히 미끼액이 담긴 통에 담갔다 꺼내거나 또는 포획구 내부를 미끼액을 바른 붓으로 간단히 칠하는 방식으로 빠른 시간 내에 다수의 포획구에 미끼를 첨가할 수 있으며, 한가지 형상의 공각체가 대칭형으로 운용되므로 부분적으로 파손된 포획구의 부품교환과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대량의 포획구를 로프에 매달아 운용하는 쭈꾸미 어업에서 특히 뛰어난 생산성 향상효과가 있으며, 무게추 용 모르타르가 삽입되는 부분을 1~4 군데로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각 지역별, 계절별로 폭넓게 변하는 해저특성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한 추가적인 장비 운용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apturing method by the catching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y add the bait to the plurality of catches in a short time by simply immersing and taking ou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bait liquid or simply painting the inside of the catching mouth with a brush coated with the bait liquid. It is very convenient to replace and maintain parts of the partially damaged catch because it is operated in a symmetrical form. As a result, it is especially effective in the fishing of the squash fish that hangs a large number of catches on ropes, and it is flexible to subsea characteristics that vary widely in each region and season by appropriately adjusting 1 ~ 4 parts where weight mortar is inserted. There is an additional equipment operation effect that can be coped with.

도 1은 본 발명 포획구의 외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포획구를 이루는 공각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포획구를 이루는 공각체의 측면도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포획구를 이루는 공각체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 포획구가 해저면에 고정된 상태와 미끼부착면에 의한 미끼 손실방지효과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포획구에서 돌기모서리홈과 돌기뿌리홈에 의해 무게추가 성형되고 경화된 이후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포획구에서 무게추 설치개수에 따른 가변 침전특성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aptu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shell bod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trap.
Figure 3 is a side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ell bod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sh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ure port is fixed to the sea floor and the bait loss prevention effect by the bait attachment surfac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is prevented after the weight is molded and cured by the projection corner groove and the projection root groove in the capture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use state showing the variabl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number of weight install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 port.

상기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represent the main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참고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 용어를 포함한 구성요소들과 그것들이 결합된 구조가 본 발명에 포괄적으로 내재된 기술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components including specific terms and structures in which they are combined do not limit the technical concept inh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포획구는, 도 1에서와 같이 합성수지제로 성형한 동일한 형상의 공각체(100) 두 개를 조개모양으로 겹쳐서 구성한다.First, the capture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is composed of two shells 100 of the same shape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superimposed in a shell shape.

상기 공각체의 대략적인 형상은 두족류가 진입 가능한 유인구(106)가 형성된 바닥면(101), 유인구(106)의 반대편에서 상기 바닥면(101)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비스듬히 감싸듯이 형성된 경사면(10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공각체(100) 두 개가 서로 밀착하여 닫혀있을 때에도 두족류가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두족류 진입방향으로 반원형의 유인구(106)가 형성되며 반면 유인구의 반대쪽 경사면(102)에는 주낙에 매달 수 있는 로프(200)가 연결 가능한 로프연결구(110)가 형성된다.The rough shape of the shell has an inclined surface 102 formed to obliquel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01 on the bottom surface 101 on which the cepharopod enters the attracting mouth 106, 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ttracting hole 106. ) And semi-circular inlet 106 is formed in the cephalopod entry direction so that the cephalopod can easily enter even when the two shells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rope 200 that can be suspen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02 is inclined. Rope connector 110 that can be connected is formed.

전체적인 공각체의 3차원적 형상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시 생산성향상과 생산단가 절감을 위하여 간단한 면의 조합형태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닥면의 경우 외부돌기(104)가 두 개 모두 해저에 용이하게 박히기 위하여 평면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verall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hell is preferably a combination of simple surfaces to improve productivity and reduce production cost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bottom surface, both outer protrusions 104 are easily embedded in the seabed.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become planar shape.

상기 바닥면(101)과, 바닥면의 측면에서 후면에 걸친 둘레를 둥글고 비스듬하게 둘러싸는 경사면(102)의 조합으로 두족류가 은신할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comb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101 and the inclined surface 102 round and obliquely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from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space for cephalopods to hide.

도 2 ~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공각체(100)의 바닥면(101)에는 공각체 내부로부터 무게추(300)가 선택적으로 수납되는 무게추 수납공간(107)를 형성하며 이는 자연스럽게 상기 공각체 외부로 돌출하여 외부돌기(104)을 형성한다.As can be seen from FIGS. 2 to 4, the bottom surface 101 of the shell 100 forms a weight storage space 107 in which the weight 300 is selectively received from the inside of the shell 100. It protrudes out of the shell to form the outer protrusion 104.

이렇게 되면 얇은 판체로 된 공각체의 단면 형상은 무게추가 삽입될 공간을 (안쪽으로부터) 형성하면서 자연스럽게 포획구가 해저면에 박혀 고정될 수 있는 고정용 돌기를 (바깥쪽으로) 형성하게 된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hin plate body thus forms a space (inside) for the weight to be inserted and forms a fixing projection (outwardly) in which the catch can be fixed to the sea floor.

본 발명의 도면 상 실시예의 치수는 대략 유인구 끝에서 로프 연결구 끝까지의 전장이 대략 13cm 정도이며, 외부돌기(104)의 길이와 폭은 각각 6cm , 1cm 내외로 설정하였으나 정확한 크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 of the embodiment is approximately 13 cm in length from the end of the inlet to the end of the rope connector,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outer protrusion 104 are set to about 6 cm and 1 cm, respectively, but the exact size can be adjusted as needed. Do.

도 5에서와 같이 공각체(100) 두 개가 서로 맞대어진 포획구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바닥면 중 어느 한 면으로 해저에 안착되며 드물게 경사면 쪽을 밑으로 하여 옆으로 세워졌을 때에도 가볍고 뾰족한 경사면(102) 결합부는 쉽게 기울면서 어느 한쪽 바닥면 쪽(무거운 쪽)으로 넘어지게 된다. 따라서 어느 일 측 공각체의 외부돌기(104)에 의한 전체 포획구의 해저면 고정지지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As shown in FIG. 5, the two catching bodies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basically seated on the sea floor with either one of the two bottom surfaces, and a light and pointed inclined surface 102 even when rarely erected sideways with the inclined side down. The coupling is easily tilted and falls to either bottom side (heavy side). Therefore, the bottom fixing support of the entire catching port by the outer protrusion 104 of one side of the shell remains stable.

외부돌기(104)는 상기 공각체(100)가 해저에 박혀 고정되기 쉽도록 가늘고 긴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무게추(300)의 삽입 이후 상기 외부돌기(104)의 뿌리 부분을 좁힐 수 있도록 외부 모서리 부분에 돌기 모서리홈(108)이 형성된다. 상기 무게추 수납공간(107)은 상기 외부돌기(104)의 상기 가늘고 긴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게추(300)의 삽입 이후 역시 상기 외부돌기(104)의 뿌리 부분을 좁힐 수 있도록 내부 모서리 부분에 돌기 뿌리홈(109)이 형성된다.The outer protrusion 104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that the stiffer body 100 is easily embedded in the seabed and fixed, and the outer protrusion 104 can narrow the root portion of the outer protrusion 104 after insertion of the weight 300. Protrusion corner groove 108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The weight storage space 107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longated shape of the outer protrusion 104, the inner portion so as to narrow the root portion of the outer protrusion 104 after the insertion of the weight (300). Protruding root groove 109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상기 무게추(300)의 재료로는 제조원가가 비싼 금속재질이 아닌 모르타르를 채워 넣어 굳혀서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weight 300, it is possible to harden by filling the mortar, not the metal material of expensive manufacturing cost.

통상의 모르타르는 모래와 시멘트를 3대1 비율로 섞어서 물에 개어 굳히게 되나 본 발명의 무게추로 활용될 모르타르는 모래와 시멘트를 2대1 비율로 섞어서 경화시키는 것이 성형부의 정밀도, 경도유지에 바람직하며, 해수와 오래 접촉하여도 침식이 덜 하다.Conventional mortar mixes sand and cement in a ratio of 3 to 1 and solidifies it in water, but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precision and hardness of the molding part by mixing and curing the mortar sand and cement in a ratio of 2 to 1, which will be utilized as the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ess eroded even after long contact with seawater.

도 6에서는 무게추(400)로 모르타르를 수납공간에 삽입 후 돌기를 오무려서 경화시키는 작업과정을 보여주고 있다.In Figure 6 shows the working process of curing the projections by inserting the mortar into the storage space by weight 400.

종래의 포획구는 대부분 어느 한 부품 이상이 반드시 체결되어야만 하는 폐쇄형 조립식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채워넣기 식 무게추 설계가 불가하며, 설사 비 조립식 개방형 구조를 일부 적용한다 하여도 굳어진 모르타르가 빠져 나오지 않게 하려면 별도의 폐쇄형 구조를 추가 형성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포획구의 무게추로 모르타르를 사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 포획구에서 무게추 수납공간의 내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돌기 모서리홈(108)과 외부 돌기의 뿌리부분에 형성된 돌기 뿌리홈(109)에 의해 모르타르를 채워넣은 이후에 돌기를 쉽게 오무릴 수 있으며 이 상태로 무게추(400)가 경화되면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의 사다리꼴형상이 되면서 돌기 모서리홈(108)에 의해 성형된 부분이 뾰족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우측하단에서와 같이 무게추는 비틀린 상태로 수납공간 내부에 위치하며 이후 공각체(100)의 외부돌기(104)가 자체 형상을 유지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빠져 나오지 않고 지지된다.Most conventional catches adopt a closed prefabricated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component must be fastened, so it is impossible to design a filling weight, and even if some non-prefabricated open structures are applied, the hardened mortar does not escape. There was a difficulty in forming additional closed structures. Therefore, in the prior art, it was not easy to use mortar as the weight of the catch. However, as shown in Figure 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after filling the mortar by the projection edge groove 108 formed in the inner corner portion of the weight storage space and the projection root groove 109 formed in the root portion of the outer projection When the weight 400 is hardened in this state, the upper and wider and narrower trapezoidal shapes become narrow, and the parts formed by the protrusion corner grooves 108 become sharp. Therefore, the weight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space in a twisted state, as shown in the lower right of FIG. 6, and then the outer protrusion 104 of the shell 10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to maintain its shape.

한편 본 발명 포획구의 공각체 안쪽면 (바닥면(101)의 뒷면) 영역은 미끼 부착 시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부착돌기(105)가 다수 개 형성된 미끼부착면(103)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는 상기 미끼부착면(103)에 동물성 지방을 액화시킨 미끼(400)를 도포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미끼로 활용될 동물성 지방은 소기름이나 잡어 등을 갈아서 끓인 것이 적당한데, 액체 상태이므로 공각체를 낱개 혹은 2개 결합된 상태로 미끼통에 담갔다 꺼내거나, 혹은 직접 미끼액을 솔이나 붓 등으로 간단히 발라서 부착시킬 수 있다. 도면상에서 보여지는 다수의 부착돌기(105)가 없다면 조류에 의해 미끼(400)는 빠르게 소실되며, 육식성인 쭈꾸미를 유인할 만한 치어나 작은 새우 등을 효과적으로 모여들게 할 수 없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back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01) region of the trapp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ait attachment surface 103 in which a plurality of attachment protrusions 105 are formed to increase the adhesion force when the bait is attached.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it 400 having liquefied animal fat is applied to the bait attachment surface 103. The animal fat to be used as bait is boiled by grinding boiled oil or grated fish. Since it is a liquid state, it is soaked in a bait container with a single or two combined body or taken out, or by directly applying bait liquid with a brush or brush. Can be attached. Without a plurality of attachment protrusions 105 shown in the drawings, the bait 400 is quickly lost by the algae, and it will not be able to effectively gather the fry or small shrimps to attract carnivorous flatfish.

도 7은 무게추의 삽입 개수에 따른 본 발명 포획구의 가변침전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무게추가 1개 채워졌을 때와 4개 모두 채워졌을 때의 침전깊이 차이는 상당하다. 모래가 부드럽고 조류가 거의 없는 바다에서는 유인구(106)의 매몰을 최대한 막기 위하여 무게추를 최대한 줄이고, 모래가 다 씻겨나갈 정도로 조류가 강한 바다에서는 해저에 고착되지 않고 조류에 떠다니는 상태를 막기 위해 무게추를 최대한 늘인다. 물론 종래의 포획구 설계구조로는 이러한 단순 채워넣기 방식의 무게추를 적용할 수 없으므로 무게추의 중량을 그때그때 일일이 조절해야 한다. 이것은 다수의 포획구를 로프에 매달아 운용하는 두족류 포획어업에서 무게추에 대한 별도설계와 많은 수량의 무게추를 추가로 별도 제조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때그때 모르타르를 조절해서 채워 넣은 뒤 경화시점 이전에 오무려 주기만 하면 되므로 전체 포획비용과 어업생산성에서 종래의 포획구를 사용한 방법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효율이 높다.Figure 7 shows the variabl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apture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sertion weight. The difference in sedimentation depth when one weight bag is filled and when all four weights are filled is significant. In the sea where the sand is soft and there is little algae, the weight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o prevent the burial of the attracting port 106 as much as possible. In the sea where the algae is strong enough to wash off the sand, the weight is prevented from floating on the algae. Extend the weight as much as possible. Of course, since the conventional design of the capture port can not be applied to the weight of this simple filling method, the weight of the weight must be adjusted at that time. This means that in the cephalopod catch fishing, where a large number of catches are hung on a rope, a separate design for the weight and a large number of weights must be manufactured separately.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rtar is then adjusted and filled, it only needs to be sprinkled before the time of hardening,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catch is not comparable with the conventional catch port in terms of overall catch cost and fishery productivity.

이상 본 발명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이 내포하고 있는 기술사상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미처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변경 및 간단한 확장 사례를 추가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이 고유하게 보유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In other word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utilize the technical spirit contain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necessary, simple modifications and simple description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nded example may be further implemented, but this is also obvious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uniquely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포획구와 포획방법은 연안의 쭈꾸미 어업에 최적하나, 공각체의 크기와 두께를 변경하거나, 또는 미끼의 종류와 부착방법을 변경하거나, 또는 무게추의 재질과 결합방법을 변경함으로써 연안을 벗어난 지역에서 쭈꾸미를 제외한 다른 두족류의 어업에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The catch and catch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st suited for fishing offshore, bu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shell, change the type and attachment of the bait, or change the material and coupling method of the weight. It can be applied to other cephalopod fisheries other than squash in off-site areas.

100: 공각체 (Hollow shell)
101: 바닥면 (공각체 외부평면)
102: 경사면 (공각체 외부측면)
103: 미끼부착면 (공각체 내부평면)
104: 외부 돌기
105: 부착 돌기
106: 두족류 유인구
107: 무게추 수납공간
108: 돌기 모서리홈
109: 돌기 뿌리홈
110: 로프 연결구
200: 로프
300: 무게추
400: 미끼
100: Hollow shell
101: bottom surface (shell outer plane)
102: slope (outside of the shell)
103: bait attachment surface (shell inner plane)
104: outside turning
105: attachment protrusion
106: Cephalopod Amphibian
107: weight storage space
108: turning corner groove
109: protuberance root groove
110: rope connector
200: rope
300: weight
400: bait

Claims (4)

두족류가 진입 가능한 유인구(106)가 형성된 바닥면(101)과;
상기 유인구(106)의 반대편에서 상기 바닥면(101)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비스듬히 감싸듯이 형성된 경사면(102)과;
상기 유인구(106)의 반대쪽 상기 경사면(102)에 형성된 로프연결구(11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각체(100) 두 개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101)에는 내부공간에 비정형의 무게추(300) 수납이 가능한 외부돌기(104)가 적어도 두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구.
A bottom surface 101 on which an inflow hole 106 into which cephalopods can enter is formed;
An inclined surface 102 formed to obliquel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0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ttracting port 106;
A rope connector 110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02 opposite to the attracting port 106; Consists of two constituent shells 100, including,
Cephalopod catching 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101 is formed with at least two outer protrusions 104 that can accommodate atypical weight 300 in the inner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각체(100)의 바닥면(101) 영역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뒷면은 미끼 부착 시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부착돌기(105)가 다수 개 형성된 미끼부착면(10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끼부착면(103) 상 상기 외부돌기(104)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비정형의 무게추(300)가 삽입 후 정형 및 경화될 수 있는 무게추 수납공간(107)이 상기 외부돌기의 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surface 101 region of the shell 100 is made of a flat surface, the back surface is made of a bait attachment surface 103 formed with a plurality of attachment protrusions 105 to increase the adhesion force when the bait is attached, the bait attachment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protrusion 104 on the surface 103, the number weight storage space 107 that can be shaped and cured after insertion of the atypical weight 300 i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outer protrusions. Cephalopod trapping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돌기(104)는 상기 공각체(100)가 해저에 박혀 고정되기 쉽도록 가늘고 긴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무게추(300)의 삽입 이후 상기 외부돌기(104)의 뿌리 부분을 좁힐 수 있도록 외부 모서리 부분에 돌기 모서리홈(108)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 수납공간(107)은 상기 외부돌기(104)의 상기 가늘고 긴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게추(300)의 삽입 이후 역시 상기 외부돌기(104)의 뿌리 부분을 좁힐 수 있도록 내부 모서리 부분에 돌기 뿌리홈(10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protrusion 104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that the stilt body 100 is easily embedded in the seabed and fixed, so that the root portion of the outer protrusion 104 can be narrowed after the insertion of the weight 300. Protrusion corner groove 108 is formed in the outer corner portion,
The weight storage space 107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longated shape of the outer protrusion 104, the inner portion so as to narrow the root portion of the outer protrusion 104 after the insertion of the weight (300). Cephalopod trapp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root groove 109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삭제delete
KR1020100058336A 2010-06-21 2010-06-21 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 KR1011464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336A KR101146479B1 (en) 2010-06-21 2010-06-21 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336A KR101146479B1 (en) 2010-06-21 2010-06-21 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583A KR20100080583A (en) 2010-07-09
KR101146479B1 true KR101146479B1 (en) 2012-05-21

Family

ID=4264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336A KR101146479B1 (en) 2010-06-21 2010-06-21 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47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31Y1 (en) 2004-07-13 2004-10-01 송희성 Cephalopod capture-tool
KR20050101138A (en) * 2005-09-23 2005-10-20 박하령 Fishing traps and how to use them
KR200407656Y1 (en) 2005-11-15 2006-02-01 윤석희 Artificial Shell For Fishingoctopus
KR20090104290A (en) * 2008-03-31 2009-10-06 임옥순 A fishing gear for cephalopod cap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31Y1 (en) 2004-07-13 2004-10-01 송희성 Cephalopod capture-tool
KR20050101138A (en) * 2005-09-23 2005-10-20 박하령 Fishing traps and how to use them
KR200407656Y1 (en) 2005-11-15 2006-02-01 윤석희 Artificial Shell For Fishingoctopus
KR20090104290A (en) * 2008-03-31 2009-10-06 임옥순 A fishing gear for cephalopod cap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583A (en) 201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7987A (en) Artificial fishing lure
US20090283051A1 (en) Fish habitat
KR101423581B1 (en) Pyramid-type's artificial reef having multi- floor
KR200489751Y1 (en) Fish luring ground bait basket for fishing line connection
US3858554A (en) Individual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lobsters or similar crustaceans during their growth
JP2021500060A (en) Device for breeding aquaculture animals in the sea
JP2004236548A (en) Flexible lure
KR101146479B1 (en) Cephalopod seizer / seizing method which has bait suction surface and bump type weight insertion
KR102576771B1 (en) Fishing device for a cephalopod with eco-friendly ceramic tile
KR102575915B1 (en) A cephalopod spawning ground
CN204350896U (en) Mesh sheet can draw type drift artificial fish-aggregating device in
JP2000245286A (en) Fishes, shellfishes, aquaculture crawl and cage
US201001158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Luring Aquatic Animals
KR101191489B1 (en) Implement for capturing webfoot octopus
KR101968220B1 (en) Concrete artificial fish reef
KR200459187Y1 (en) Implement for capturing the cephalopod
KR101363320B1 (en) Submerged facility for culturing crabs
KR100846059B1 (en) Apparatus for capturing cephalpoda
KR101666503B1 (en) Sea cucumber for captured-tool
CN204482724U (en) A kind of solid netted artificial fish shelter
KR200391108Y1 (en) An art fish-breeding ground
KR102000973B1 (en) Nature friendly dual structure artificial reef
KR200485461Y1 (en) Marsh snail collection tool
KR100588432B1 (en) Artificial reef for sea-shells and sea-weeds
KR200454801Y1 (en) Zucchini catching 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