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404B1 -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404B1
KR101140404B1 KR1020110119113A KR20110119113A KR101140404B1 KR 101140404 B1 KR101140404 B1 KR 101140404B1 KR 1020110119113 A KR1020110119113 A KR 1020110119113A KR 20110119113 A KR20110119113 A KR 20110119113A KR 101140404 B1 KR101140404 B1 KR 10114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notification
push
notification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복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아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아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케이아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adapted to provide push services, e.g. data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사용자(10)와 관리자(20) 그리고 서버(30)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되,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불필요한 알림 통화 감소로 인해 단말기 배터리 소모 및 데이터 통화료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A push notification service offer system and its operation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관리자 정책과 개인화 설정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불필요한 알림 통화 감소로 인해 단말기 배터리 소모 및 데이터 통화료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푸시 알림은 새 메일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일반적으로 몇 초 내에 사용자의 휴대전화로 푸시되는 것으로 전화 설정에서 푸시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푸시 알림 방식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지정한 규칙에 따른 일방적인 푸시 알림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푸시 알림을 받는 이용자의 상황/의도/생활(업무)패턴과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통보됨으로 이용자의 사생활 침해와 원하지 않는 빈번한 알림에 따른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푸시 알림을 받는 이용자의 입장에선 이용자의 상황,의도,생활(업무)패턴과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통보됨으로 개인의 사생활 침해와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푸시 알림을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의 입장에선 푸시 알림 항목(p) 별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의 의사를 존중해야 하는 부분과 개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강제로 푸시 알림을 보내야 하는 푸시 알림 항목(p)이 존재하기 때문에 푸시 알림 항목(p)별로 이용자의 환경설정 범위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상기 푸시 알림 항목별(p)은 푸시 서비스 이용자가 구분할 수 있는 알림 서비스 단위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 1, 2 가 있다. 즉, 선행기술문헌 1은, 특허등록 제0744784호(출원번호 제2005-0113462호)(명칭: 통지메시지 수신시간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것으로 기술적 사상은 아래와 같다. 메시지 서버가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전달을 수신측 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통지(Notification)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지메시지에 상기 통지메시지가 생성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정보가 포함된 통지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지메시지 수신시간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로컬타임을 기준으로 통지메시지(MMS Notification)의 수신시간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통지메시지의 수신시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2는, 특허등록 제0853700호(출원번호 제2006-7025929호)(명칭: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 방법, 그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있는 것으로 기술적 사상은 아래와 같다. 발신 측(initiating party)이 소정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로 착신 측(receiving party)의 어드레스(address)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출(submitting)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소정의 단문 메시지 시스템(short message system)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 시스템이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interface protocol) 모듈을 통해 소정의 푸쉬 통지(PUSH notification)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시스템이 상기 착신 측의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상기 착신 측의 라우팅 정보(routing information)를 획득(obtaining)하고,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측으로 상기 푸쉬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측이 상기 푸쉬 통지에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어드레싱(addressing)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획득(obtai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시스템이 지원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모듈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 방법에 따르면, 보다 적은 비용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의 효율 및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 2 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개인별 PN(Push Notification)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PN(Push Notification) 서비스 시작과 종료 시간을 설정할 수 없고, PN(Push Notification) 서비스 요일을 지정할 수 없고, PN(Push Notification) 서비스 세부항목별 사용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없고, PN(Push Notification) 서비스별 통보 방식을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PN(Push Notification)은 사용자의 상황(예: 취침시간, 주말 여가시간 등)에 상관없이 PN(Push Notification) 서비스 주체가 설정한 규칙에 개인적인 의사와 상관없이 일방적인 통보가 이루어지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와 관리자 그리고 서버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되,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푸시 알림 항목별로 관리자가 일정한 정책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책 범위 안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개인의 취향, 생활(업무)형태, 상황에 따라 푸시 알림 사용여부, 알림 시간 대역, 알림 가능 요일, 실시간 통보 혹은 취합 통보 여부, 취합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제3목적은 이용자의 상황, 의도, 생황(업무)패턴과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발송되는 푸시 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역과 요일에만 푸시 알림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새벽이나 주말 등에 무분별하게 발송되는 푸시 알림으로부터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중요하지 않은 푸시 알림은 개별통보가 아닌 취합 통보를 통하여 빈번한 푸시 알림에 따른 이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푸시 알림 항목을 이용자가 각 푸시 알림 항목별로 상세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이용자의 목적, 상황에 맞는 최적의 푸시 알림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푸시 알림 서비스 제공 관리자는 이용자가 푸시 알림과 관련하여 개인화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함으로 푸시 알림으로 통해서 얻고자 하는 그룹, 단체, 회사의 목적과 이용자의 사생활 보호, 이용자별 최적화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불필요한 알림 통화 감소로 인해 단말기 배터리 소모 및 데이터 통화료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이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관리자 그리고 서버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되,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관리자 그리고 서버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여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관리자 그리고 서버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되,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푸시 알림 항목별로 관리자가 일정한 정책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책 범위 안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개인의 취향, 생활(업무)형태, 상황에 따라 푸시 알림 사용여부, 알림 시간 대역, 알림 가능 요일, 실시간 통보 혹은 취합 통보 여부, 취합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용자의 상황, 의도, 생황(업무)패턴과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발송되는 푸시 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역과 요일에만 푸시 알림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새벽이나 주말 등에 무분별하게 발송되는 푸시 알림으로부터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요하지 않은 푸시 알림은 개별통보가 아닌 취합 통보를 통하여 빈번한 푸시 알림에 따른 이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푸시 알림 항목을 이용자가 각 푸시 알림 항목별로 상세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이용자의 목적, 상황에 맞는 최적의 푸시 알림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푸시 알림 서비스 제공 관리자는 이용자가 푸시 알림과 관련하여 개인화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함으로 푸시 알림으로 통해서 얻고자 하는 그룹, 단체, 회사의 목적과 이용자의 사생활 보호, 이용자별 최적화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불필요한 알림 통화 감소로 인해 단말기 배터리 소모 및 데이터 통화료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푸시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푸시 알림 정책설정 정보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서버내의
필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서버내
의 필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취합통보대상 푸시 알림 메시지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서
버내의 필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 푸시 알림 정책설정 정보부를 기반으로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를 저장하기까지의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 푸시 알림 사항의 발생에서부터 실제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
에 푸시 알림 메시지가 전달되기까지의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 푸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등록/관리하는 화면창.
도 8 은 본 발명 각 푸시 항목에 대한 상세 정책설정을 보인 화면창.
도 9 는 본 발명 푸시 알림에 대한 기본 알림 시간대역/요일, 강제설정 여부
를 보인 화면창.
도 10 은 본 발명 모바일에서 사용자들이 푸시 알림에 대한 개인별 설정을
하는 화면창.
도 11 은 본 발명 푸시 알림에 대한 개인설정 사항 조회를 보인 화면창.
도 12 는 본 발명 개인이 설정한 푸시 설정에 대한 상세 조회를 보인 화면
창.
도 13 은 본 발명 개인들이 설정한 푸시 알림 설정을 보인 목록 화면창.
본 발명에 적용된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은 도 1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와 관리자(20) 그리고 서버(30)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되,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관리자(2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관리자 정책설정과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 푸시 알림 서비스 관리부(21)가 구비된다.
또한 푸시 알림 서비스 관리부와 연결되어 관리자가 각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을 설정하는 푸시 알림 정책설정 정보부(22)가 구비된다.
그리고 푸시 알림 서비스 관리부와 연결되어 푸시 알림 서비스 이용자가 각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을 기반으로 허용된 범위 안에서 개인별 환경설정을 하는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23)가 구비된다.
또한 이용자 푸시 알림 정보부와 연결되어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했을 때 알림 사항을 추출하는 푸시 알림 이벤트 발생부(24)가 구비된다.
아울러 푸시 알림 정책설정 정보부와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 및 푸시 알림 이벤트 발생부와 연결되어 이벤트에 따른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부(25)가 구비된다.
더하여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부와 연결되어 푸시 알림 메시지를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OS에 대응되게 설정된 푸시 알림 포멧으로 변환하여 해당 푸시 알림 포멧에 상응하는 푸시 발송 서버로 전송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2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와 푸시 알림 이벤트 발생부에는 미리 정해놓은 이벤트 감시 규칙에 의해서 푸시 알림 사항을 필터링 하는 내부 시스템부(28)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부에는 푸시 알림 대기열에 쌓여 있는 알림 들을 이용자가 설정한 취합 주기에 맞게 취합하여 주기적으로 발송하는 취합 통보 대상 푸시 알림 메시지부(27)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사용자(10)와 관리자(20) 그리고 서버(30)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여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특히 아래 (a)(b)(c)의 각 단계는 도 5 의 푸시 알림 정책설정 정보부를 기반으로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를 저장하기까지의 흐름도를 참고로 한다.
(a) 관리자(20)가 푸시 알림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a)단계의 푸시 알림 항목은 푸시 알림 서비스 항목을 이용자가 구분할 수 있는 단위로 분리한 고유코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명칭, 설명을 항목으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a)단계의 푸시 알림 항목은 푸시 알림 서비스 이용자가 구분할 수 있는 서비스 유형을 기준으로 알림 서비스 코드, 알림 서비스 항목명, 항목에 대한 설명을 괸라자가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알림 서비스 코드는 시스템 내부에서 구분하기 위한 고유키로 이용된다.
아울러 상기 알림 서비스 항목명은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문구를 입력한다.
더하여 상기 항목에 대한 설명은 알림 대상과 정책에 대한 설명 등을 입력한다.
(b) 관리자(20)가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b)단계의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은 푸시 알림 항목의 푸시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대상자를 설정, 강제 사용여부, 푸시 알림 방식, 허용된 취합 주기, 푸시 알림을 받을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알림을 받을 요일과 강제 설정 여부를 항목으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b)단계의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은 푸시 알림 서비스 이용 대상자, 강제 사용 여부, 푸시 알림 방식, 허용된 취합 주기, 푸시 알림 받을 시간대역과 요일을 관리자가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 알림 서비스 이용 대상자는 해당 푸시 알림 항목을 이용할 수 있는 그룹 혹은 개인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제 사용 여부는 푸시 알림 항목에 대해 강제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부분이며, 강제사용을 설정한 경우 이용자는 푸시 알림에 대해서 사용함/안함을 설정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푸시 알림 방식은 푸시 알림을 알림 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통보 받는 개별 통보를 허용할 것인지, 일정 시간마다 취합하여 통보하는 취합 통보를 허용할 것인지, 아니면 둘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 설정한다.
아울러 상기 허용된 취합 주기는 취합 통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선택 가능한 취합 주기를 설정한다.(예: 10분, 20분, 30분, 60분 단위, 다중 선택 가능)
더하여 상기 푸시 알림 받을 시간대역과 요일은 이용자가 푸시 알림서비스를 받을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의 기본값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요일의 기본선택 값을 지정할 수 있으며, 설정한 기본 값을 강제화시킬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설정된 정책은 푸시 알림 정책 설정 정보부(22)에 저장된다.
(c) 푸시 알림 서비스 이용자(10)가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을 기반으로 허용된 범위 안에서 개인별 환경설정을 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c)단계의 푸시 알림 항목별 이용자의 개인설정은 푸시 알림 항목의 푸시 알림 수신(사용) 여부, 개별통보 혹은 취합통보 방식으로 푸시 알림을 받을지에 대한 푸시 알림 방식 설정, 취합 통보인 경우 푸시 알림 취합 통보 주기 설정, 푸시 알림을 받을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알림을 받을 요일을 설정하게 된다. 특히 이때 상기 푸시 알림 항목에 대한 관리자 정책이 우선 적용되며, 관리자가 강제 설정을 한 항목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개인설정이 불가능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c)단계의 이용자 개인별 푸시 알림 환경설정을 하는 단계는 푸시 알림 사용 여부, 푸시 알림 통보방식, 푸시 알림 취합 주기, 푸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을 이용자가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 알림 사용 여부는 해당 푸시 알림 항목에 대해서 푸시 알림을 받은 것인지 여부를 설정한다. 만약, 관리자가 강제 사용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이용자는 알림 받지 않음을 선택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푸시 알림 통보 방식은 개별 통보 혹은 취합 통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개별 통보만 허용 이나 취합 통보만 허용을 설정한 경우에는 관리자의 설정을 따라야 한다.
또한 상기 푸시 알림 취합 주기는 푸시 알림 통보 방식에서 취합 통보로 설정된 경우에 관리자가 허용한 취합 주기 중 하나를 선택한다. 관리자가 취합 주기를 강제로 설정한 경우 관리자가 설정한 취합 주기로 설정된다.
아울러 상기 푸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은 푸시 알림을 받을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설정하며, 푸시 알림을 받을 요일을 선택한다. 관리자가 푸시 알림을 받을 시간대역과 요일을 강제로 설정한 경우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대역과 요일의 기본 값으로 강제설정 된다.
더하여 상기 설정된 이용자의 개인 설정과 함께 이용자의 휴대 단말의 OS정보, 휴대 단말의 고유 키와 같이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23)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d)(e)는 이하 도 6 의 본 발명 푸시 알림 사항의 발생에서부터 실제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푸시 알림 메시지가 전달되기까지의 흐름도를 참고로 한다.
(d)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시 이용자가 설정한 개인 설정을 기반으로 푸시 알림을 대기, 무시로 발송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d)단계의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시 푸시 알림 이용자 개인화 설정에 따라 푸시 알림을 처리하는 절차는 이용자의 푸시 알림 통보 방식과 알림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알림 대상 요일에 따라 푸시 알림 메시지를 취합 대기열에 추가, 푸시 알림 메시지 통보하지 않음, 푸시 알림 메시지를 통보하게 된다.
특히 상기(d)단계의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시에는 이용자가 설정한 푸시 알림 설정에 따라 푸시 알림 내용을 대기, 무시, 발송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시에는 푸시 알림 서비스와 연동된 내부 시스템부(28)에서 미리 정해 놓은 이벤트 감시 규칙에 의해서 푸시 알림 사항을 필터링하고 푸시 알림 이벤트 발생부(24)를 통해 생성한 정보를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부(25)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푸시 알림 대기는 알림 받을 이용자가 푸시 알림 항목에 대해서 취합 통보를 선택한 경우 바로 푸시 알림을 하지 않고 취합 통보 대상 푸시 알림 메시지부(27)에 저장해 놓는 것을 의미하며, 알림 받을 이용자가 푸시 알림 통보 방식에서 취합통보로 설정하고 푸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에서 설정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이 아닌 경우에도 푸시 알림 대기 목록에 쌓아 놓는다.
아울러 상기 푸시 알림 무시는 알림 받을 이용자가 푸시 알림 항목에 대해서 푸시 알림 통보 방식에서 개별통보로 설정하고 푸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에서 설정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이 아닌 경우에는 푸시 알림을 보내지 않고 무시하도록 한다. 무시된 푸시 알림은 사용자에게 다시 보내지 않는다.
더하여 상기 푸시 알림 발송은 알림 받을 이용자가 푸시 알림 항목에 대해서 푸시 알림 통보 방식에서 개별통보로 설정하고 푸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에서 설정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에 해당하는 경우 바로 푸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때는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26)에서 이용자의 휴대 단말의 OS에 대응되게 설정된 푸시 알림 포멧으로 변환하여 해당 푸시 알림 포멧에 상응되는 다양한 푸시 발송 서버들(30) 중 하나로 전송한다.
(e) 푸시 알림 대기열에 쌓여 있는 알림 들을 이용자가 설정한 취합 주기에 맞게 취합하여 주기적으로 발송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e)단계의 취합 대상 푸시 알림을 취합하는 절차는 취합 대상 푸시 알림 메시지 대기 목록에 있는 푸시 알림을 이용자가 설정한 취합 주기에 맞게 하나의 푸시 알림으로 취합 통보하게 된다.
특히 상기(e)단계의 취합 통보 대상 푸시 알림을 취합하여 발송하는 방법은 각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푸시 알림 대기에 쌓인 대기 목록 중 이용자가 설정한 푸시 알림 취합 주기에 해당하는 것을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부(25)가 취합하여 하나의 푸시 알림 메시지로 만들어 다양한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26)로 전달한다.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26)는 이용자의 휴대 단말의 OS에 대응되게 설정된 푸시 알림 포멧으로 변환하여 해당 푸시 알림 포멧에 상응되는 다양한 푸시 발송 서버들(30) 중 하나로 전송한다.
(f)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할 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알림 사항을 추출하여 푸시 알림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f)단계의 이벤트 발생단계는 푸시 알림 서비스를 위해 연동한 내부 시스템부(28)에서 미리 정해 놓은 규칙에 따라 푸시 알림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g) 이벤트에 따른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g)단계의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규칙에 따라 발생된 푸시 알림 이벤트 정보를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26)로 전송하기 전에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23)에 저장된 설정을 기준으로 푸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 푸시 알림 통보 방식에 따라 푸시 알림 메시지로 생성하여 취합 통보 대상 푸시 알림 메시지부(27)에 저장 혹은 무시,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로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h) 푸시 알림 메시지를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OS에 대응되게 설정된 푸시 알림 포멧으로 변환하여 해당 푸시 알림 포멧에 상응되는 푸시 발송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h)단계의 푸시 발송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는 APPLE사의 APSN(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GOOGLE사의 Android C2DM(Cloud to Device Messaging), Microsoft사의 MPNS(Microsoft Push Notification Servic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서비스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작용에 의해 도 7 내지 도 13 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도 7 은 본 발명 푸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등록/관리하는 화면창을 보인 것이고, 도 8 은 본 발명 각 푸시 항목에 대한 상세 정책설정을 보인 화면창을 나타낸 것이며, 도 9 는 본 발명 푸시 알림에 대한 기본 알림 시간대역/요일, 강제설정 여부를 보인 화면창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0 은 본 발명 모바일에서 사용자들이 푸시 알림에 대한 개인별 설정을 하는 화면창을 보인 것이고, 도 11 은 본 발명 푸시 알림에 대한 개인설정 사항 조회를 보인 화면창을 나타낸 것이며, 도 12 는 본 발명 개인이 설정한 푸시 설정에 대한 상세 조회를 보인 화면창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 은 본 발명 개인들이 설정한 푸시 알림 설정을 보인 목록 화면창을 나타낸 것으로,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실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운영하는 결과를 얻게 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용자
20: 관리자
30: 서버

Claims (15)

  1. 삭제
  2. 사용자(10)와 관리자(20) 그리고 서버(30)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되,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20)에는,
    관리자 정책설정과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 푸시 알림 서비스 관리부(21);
    푸시 알림 서비스 관리부와 연결되어 관리자가 각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을 설정하는 푸시 알림 정책설정 정보부(22);
    푸시 알림 서비스 관리부와 연결되어 푸시 알림 서비스 이용자가 각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을 기반으로 허용된 범위 안에서 개인별 환경설정을 하는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23);
    이용자 푸시 알림 정보부와 연결되어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했을 때 알림 사항을 추출하는 푸시 알림 이벤트 발생부(24);
    푸시 알림 정책설정 정보부와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 및 푸시 알림 이벤트 발생부와 연결되어 이벤트에 따른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부(25);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부와 연결되어 푸시 알림 메시지를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OS에 대응되게 설정된 푸시 알림 포멧으로 변환하여 해당 푸시 알림 포멧에 상응하는 푸시 발송 서버로 전송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26);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와 푸시 알림 이벤트 발생부에는 미리 정해놓은 이벤트 감시 규칙에 의해서 푸시 알림 사항을 필터링 하는 내부 시스템부(28)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부에는 푸시 알림 대기열에 쌓여 있는 알림 들을 이용자가 설정한 취합 주기에 맞게 취합하여 주기적으로 발송하는 취합 통보 대상 푸시 알림 메시지부(27)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삭제
  6. 사용자(10)와 관리자(20) 그리고 서버(30)가 상호 네트워크로 실시간 통신하여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통보되는 PN(Push Notification)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보시간 대역과 요일 그리고 실시간 취합 통보 여부와 취합 주기를 설정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a) 관리자(20)가 푸시 알림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b) 관리자(20)가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
    (c) 푸시 알림 서비스 이용자(10)가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을 기반으로 허용된 범위 안에서 개인별 환경설정을 하는 단계;
    (d)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시 이용자가 설정한 개인 설정을 기반으로 푸시 알림을 대기, 무시로 발송하는 단계;
    (e) 푸시 알림 대기열에 쌓여 있는 알림 들을 이용자가 설정한 취합 주기에 맞게 취합하여 주기적으로 발송하는 단계;
    (f)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할 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알림 사항을 추출하여 푸시 알림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
    (g) 이벤트에 따른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h) 푸시 알림 메시지를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OS에 대응되게 설정된 푸시 알림 포멧으로 변환하여 해당 푸시 알림 포멧에 상응되는 푸시 발송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푸시 알림 항목은,
    푸시 알림 서비스 항목을 이용자가 구분할 수 있는 단위로 분리한 고유코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명칭, 설명을 항목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8.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푸시 알림 항목별 정책은,
    푸시 알림 항목의 푸시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대상자를 설정, 강제 사용여부, 푸시 알림 방식, 허용된 취합 주기, 푸시 알림을 받을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알림을 받을 요일과 강제 설정 여부를 항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9.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푸시 알림 항목별 이용자의 개인설정은,
    푸시 알림 항목의 푸시 알림 수신(사용) 여부, 개별통보 혹은 취합통보 방식으로 푸시 알림을 받을지에 대한 푸시 알림 방식 설정, 취합 통보인 경우 푸시 알림 취합 통보 주기 설정, 푸시 알림을 받을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알림을 받을 요일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푸시 알림 항목에 대한 관리자 정책이 우선 적용되며, 관리자가 강제 설정을 한 항목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개인설정이 불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푸시 알림 사항이 발생시 푸시 알림 이용자 개인화 설정에 따라 푸시 알림을 처리하는 절차는 이용자의 푸시 알림 통보 방식과 알림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알림 대상 요일에 따라 푸시 알림 메시지를 취합 대기열에 추가, 푸시 알림 메시지 통보하지 않음, 푸시 알림 메시지를 통보함을 특징으로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2.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e)단계의 취합 대상 푸시 알림을 취합하는 절차는 취합 대상 푸시 알림 메시지 대기 목록에 있는 푸시 알림을 이용자가 설정한 취합 주기에 맞게 하나의 푸시 알림으로 취합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3.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f)단계의 이벤트 발생단계는,
    푸시 알림 서비스를 위해 연동한 내부 시스템부(28)에서 미리 정해 놓은 규칙에 따라 푸시 알림 이벤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4.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g)단계의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규칙에 따라 발생된 푸시 알림 이벤트 정보를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26)로 전송하기 전에 이용자 푸시 알림 설정 정보부(23)에 저장된 설정을 기준으로 푸시 알림 요일과 시간대역, 푸시 알림 통보 방식에 따라 푸시 알림 메시지로 생성하여 취합 통보 대상 푸시 알림 메시지부(27)에 저장 혹은 무시, 푸시 알림 메시지 분배부로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15.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h)단계의 푸시 발송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는,
    APPLE사의 APSN(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GOOGLE사의 Android C2DM(Cloud to Device Messaging), Microsoft사의 MPNS(Microsoft Push Notification Servic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서비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10119113A 2011-11-15 2011-11-15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140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113A KR101140404B1 (ko) 2011-11-15 2011-11-15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113A KR101140404B1 (ko) 2011-11-15 2011-11-15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404B1 true KR101140404B1 (ko) 2012-07-12

Family

ID=4671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113A KR101140404B1 (ko) 2011-11-15 2011-11-15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4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79B1 (ko) * 2012-07-24 2013-02-21 송기택 태양광 발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4353B1 (ko) 2012-11-16 2013-07-08 박순영 호스트 단말기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푸시 서비스 호스팅 방법
KR101327475B1 (ko) * 2013-02-07 2013-11-08 (주)대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KR101361265B1 (ko) * 2012-05-08 2014-02-12 (주)카카오 복수의 알림 모드들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의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
KR20140106002A (ko) * 2013-02-25 2014-09-03 인포뱅크 주식회사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265B1 (ko) * 2012-05-08 2014-02-12 (주)카카오 복수의 알림 모드들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의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
KR101235679B1 (ko) * 2012-07-24 2013-02-21 송기택 태양광 발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4353B1 (ko) 2012-11-16 2013-07-08 박순영 호스트 단말기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푸시 서비스 호스팅 방법
KR101327475B1 (ko) * 2013-02-07 2013-11-08 (주)대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KR20140106002A (ko) * 2013-02-25 2014-09-03 인포뱅크 주식회사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25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ublishing advertisement service information
EP2218211B1 (en) Processing of network content and services for mobile or fixed devices
US20090150400A1 (en) Processing of network content and services for mobile or fixed devices
KR101140404B1 (ko) 통신 단말기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EP2717602A1 (en) Method and apparatuses to enable mobile users to receive personalized notifications
WO2007109125A2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 monitoring and alerting
CN104517191A (zh) 案件回访方法及系统
WO2011155996A2 (en) Group messaging integ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02186136A (zh) 一种联系人动态追踪方法及移动终端
CN103493077A (zh) 用于处理与日历条目相关的数据的方法和装置
WO201207914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act data
CN101099336B (zh) 通信系统中网络节点的配置方法和系统部分
EP26158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ning users&#39; anonymity
CN102172052A (zh) 通信网络中的组管理
CN101321183B (zh) 一种可信任的社会关系推荐系统及其运行方法
CN101764869A (zh) 一种手机短信实现防火墙的方法
US20170366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to-Machine Privacy and Security Brokered Transactions
CN105208533A (zh) 一种消息交互方法和装置
JP2005216249A (ja) 情報配信装置
CN102006546A (zh) 个人化资讯业务系统与发送方法
US20110007888A1 (en) Callback system, transmitting terminal, telephone relay server, callback method and callback program
KR101325233B1 (ko)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597816B1 (ko) 메신저 통합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신저 통합 서비스 시스템
JP2005057708A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送受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及び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KR10108571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문서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